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 개발

        김선연(Kim Sun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의 각 단계별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그것들의 위계를 분석하여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과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참고하였고, 실제 집단 창의성 수업 담당교수 면담을 통해 중요한 특징과 내용을 추출하여 기본구조를 개발하였다. 둘째, 교육학 전공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여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이해 단계에서 [교환하기]-[공유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둘째, 공감 단계에서 [탐색하기]-[조사하기]-[분석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셋째, 통찰 단계에서 [발견하기]-[(리)프레이밍하기]-[정의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넷째, 발상 단계에서 [가설세우기]-[생성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다섯째, 선정 단계에서 [순위정하기]-[선택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여섯째, 생각시각화&프로토타입 단계에서 [해석하기]-[통합하기]-[표현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일곱째, 검토&파일럿테스트 단계에서 [확인하기]-[점검하기]-[평가하기]-[순환하기]로 하위목표를 개발하고 위계를 분류하였다.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 개발의 대표적 시사점은 첫째, 학교교육에서 집단 창의성 교육에 필요한 내용선정과 향상의 기준을 제공하는 것, 둘째 학교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집단 창의성 평가도구 또는 집단 창의성 후속 연구의 측정도구로 활용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ub-objectives of each stage of the thinking process model of group creativity and, by analyzing its hierarchies, develop a prototype of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group creativity. For this, to begin with, the study referred to the thinking process model of group creativity and the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developed a basic framework through extracting important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by conducting an interview with a professor teaching group creativity. Then, it conducted a delphi method with 5 experts in the discipline of education and completed the prototy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developed exchange and sharing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group understanding stage. Second, it developed exploration, survey and analysis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empathy stage. Third, it developed discovery, (re)framing and definition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insight stage. Fourth, it developed hypothesis and creation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ideation stage. Fifth, it developed priority and choice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selection선정 stage. Sixth, it developed interpretation, integration, and expression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thinking visualization and prototype stage. Seventh, it developed realization checking, examination, evaluation, and looping as sub-objectives and classified hierarchies in the review and pilot test stage. The study has main implications, including providing the standard of contents selection and improvement for group creativity education in schooling; utilizing as an assessment tool of group creativity for students in schooling environments or as an assessment tool of group creativity for following studies.

      • KCI등재후보

        Marzano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한 문법 영역의 수업목표 진술 및 평가 문항의 설계

        김진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3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Marzano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바탕으로 문법 교육을 위한 수업 목표를 진술하고, 그에 적합한 평가 문항을 선다형과 서술형으로 일부 목표를 선정하여 평가 문항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Marzano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은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을 최신의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교육목표분류학이다. 이 교육목표분류학은 인간이 특정 시점에서 새로운 과제를 수행하기로 결정이 이루어졌을 때 정보가 처리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arzano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서 크게 '지식 영역'의 범주와 '사고체제' 범주의 매트릭스로 나타낼 수 있다. '지식 영역'은 '정보', '정신적 절차', '심동적 절차'로 구성된다. 또한 '사고 체제'는 '자기 체제', '메타인지 체제', '인지 체제'로 설정되어 있고, '인지 체제'에서는 '인출', '이해', '분석', '지식 활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arzano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42개의 문법 수업목표를 진술하였다. 설정한 목표 진술에 적절한 평가 문항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문항은 수준 1의 '재생', 수준 2의 '표상', 수준 3의 '명세화하기', 수준 4의 '조사 보고', 수준 5의 '정확성 점검', 수준 6의 '동기검사'에 관한 여섯 가지의 수업목표와 관련한 여섯 개의 평가 문항이다. This study aims to state learning objectives for grammar education based on Marzano'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design assessment items by selecting some objectives as multiple-choice and descriptive assessments for relevant assessment items. Marzano'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s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designed to apply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o the newest educational spot.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a signification from a method processing information when a person determines to conduct new tasks in a specific timepoint. It can be shown broadly as metrics of 'knowledge domain' category and 'thinking system' category in Marzano'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knowledge domain' consists of 'information', 'mental procedures', and 'physical procedures'. Further, the 'thinking system' is configured as 'self-system', 'metacognitive system' and 'cognitive system', and 'cognitive system' consists of 'retrieval', 'comprehension', 'analysis' and 'knowledge utilization'. Therefore, the study herein stated 42 grammar learning objectives based on Marzano'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Relevant assessment items were designed for goal statement established. Designed items were six assessment items relevant to six learning objectives regarding a level 1's 'regeneration', a level 2's 'presentation', a level 3's 'specification', a level 4's 'investigation report', a level 5's 'accuracy check', and a level 6's 'motivation check'.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목표 개발과 분석을 위한 Hauenstein 신 교육목표분류학의 재조명

        임유나(Lim, Yoo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오늘날 ‘역량’이 학교교육의 방향과 목표로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의 목표 분류 체계뿐만 아니라 이들을 종합하는 ‘행동적영역’까지 설정하고 있는 Hauenstein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탐색하여 역량기반 교 육목표에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으로 구분된 교육목표분류학들의 특징, 역량의 개념과학교교육에의 역량 도입의 의미를 탐색한 후, Hauenstein의 분류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auenstein의 분류학은 세 영역의 총합을 전체(행동적 영역)로 판단한다는 점에서 비판 가능성이 있었고, 학습 상황적 맥락이 보다 강조되어야 할 필요성과학습과학의 발달에 따른 분류 체계 위계 수준의 타당성 재검토가 요구되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그의 분류학은 유기체로서의 학습자와 전인적 학습의 관점, 경험의 강조와 구성주의의 아이디어, 인지적 영역과 비인지적 영역들을 통합하는 행동적 영역의 설정 등 역량과 공통의 개념적 틀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량교육을 위한 교육목표/성취기준을 개발, 분석하거나, 역량기반 수업 체계의 틀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적용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Hauenstein의 분류학은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비인지적 영역의 중요성을 재고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었다. Today competency is emphasized as the goal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auenstei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which creates classification systems for not only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but also the behavioral domain-and examine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After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taxonomies for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as well as the concept of competency and the meaning of adopting this concept in schools, the study analyzed Hauenstein’s taxonomy. Hauenstein’s taxonomy is likely to be criticized in that it sets the sum of each domain as the whole (the behavioral domain). Learning context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his conceptual framework. It would be better to review the validity of his taxonomy’s hierarch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learning science. Nonetheless, Hauenstein’s taxonomy is applicable for developing and analyzing educational objectives or achievement standard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a learning system. This is because the taxonomy and the concept of competency have the same conceptual framework, with an emphasis on holistic learning, experience and the idea of constructivism, and the integration of the cognitive and noncognitive domains. Moreover, Hauenstein’s taxonomy promotes a re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both the cognitive and the noncognitive domains.

      • KCI등재

        인지 중심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체계 연구- 분류학 설계의 과정과 결과를 중심으로 -

        김동욱(Kim, Dong U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2

        본 연구는 인지이론이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한 지난 호 연구에 이은 후속연구로, 분류학 개발의 실제 과정과 결과를 다룬다. 블룸의 교육 목표분류학을 개정한 앤더슨과 크래스홀의 분류학 체계를 기본 틀로 하여 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학의 내용요소들을 대입하고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식으로 설계를 진행하였다. 앤더슨과 크래스홀의 분류학이 명제적 지식과 논리적 사고에 기초해 있고, 윌슨의 분류학이 학과주의적 지식만 다룬다는 한계에 따라 확장된 인지 관점에서 미적 지식과 통합적 지식, 직관적 사고 등 새로운 미술교육의 내용과 인지 요소들을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지식교육이 놓치고 있는 종합 지적인 인지교육을 지향하는 분류학 체계를 만들고자 했다. 이 분류학에 대해 전문가 62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이 분류학이 타당성과 적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미술교육목표분류학은 미술교육 내용학 분야의 기초적 연구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수업설계, 교육평가, 역량측정 및 진단, 교육과정 개발, 교재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미술교육의 인지적 실천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actual process and results of the taxonomy development as a follow up study after the last issue study which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cognitive theory on designing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art. Based on the taxonomic system of Anderson and Krathwohl, which revised Bloomʼ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ontent elements of Wilsonʼs educational evaluation taxonomy for art were assigned, and the knowledge and thinking elements which had not been covered in both taxonomy were added to this taxonomy design. Because of the limitation that Anderson and Krathwohlʼs taxonomy only deals with propositional knowledge and thinking, and Wilsonʼs taxonomy based on discipline, this study has added the elements of aesthetic knowledge, integrated knowledge, and intuitive thinking to the taxonomy in the viewpoint of expended cognition. For this taxonomy, two times of delphi surveys on 62 experts in related fields have been conducted, and confirmed that this taxonomy is valid and appropriate. Thi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art based on cognition can be used not only as a basic research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al contents but also in various fields such as class design, educational evaluation, competence measurement and diagnosis,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and it can help cognitive practice of art education.

      • 새로운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7차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임청환 대구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과학·수학교육연구 Vol.3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현행 7차 초등학교 과학과의 교육 목표를 분석하는데 있다. 기존의 교육 목표 분류 체계가 갖고 있는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 목표 분류 틀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3학년부터 6학년까지 수업 목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영역의 비중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 빈도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지식, 이해, 적용 능력과 같은 저수준의 교육 목표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상대적으로 분석, 종합, 평가 능력과 같은 고수준의 목표가 차지하는 빈도와 비율이 매우 적다. 둘째, 탐구 과정 영역의 수업 목표 빈도와 비율이 낮고, 특히 대부분이 관찰, 측정, 분류와 같은 저 수준의 영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문제 발견 및 해결 능력이나 이론적 모델의 설정 검증 및 수정 능력과 같은 통합적인 탐구 능력에 대한 비중이 낮다. 셋째, 대단원의 수업 목표와 차시별 수업 목표가 상급 학년으로 갈수록 각 영역의 목표가 하위 수준에서 상위 수준으로 빈도수와 비율이 적절히 높아져야 되지만 초등학교 과학과의 수업 목표에서는 이런 현상을 찾기 어렵다. 넷째, 대단원과 차시별 수업 목표 간에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어서 교육 과정에 제시된 교육 목표를 구체적으로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 KCI등재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 수업목표 분석 -가정과를 중심으로-

        육경민 ( Kyung Min Yuk ),조현주 ( Hyun Ju Ch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4

        이 연구는 2007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가정과 7학년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수업목표를 내용-행동으로 이원 분류하여 행동을 유형별로 분석 및 분포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Bloom의 신교육 목표 분류틀에 따라 목표를 분석하여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 있는 바를 핵심역량을 계발하는 방향으로 반영하였는지 수업목표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개정교육과정의 수업목표를 이원 분류하여 행동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는 인지적영역, 정의적영역, 운동기능적영역의 목표가 균형 있게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내용영역별 수업목표를 Bloom의 신교육 목표 분류틀로 분류한 결과는 인지과정 차원에서 ``2.이해하다``, ``3.적용하다``, ``4.분석하다``, ``5.평가하다``, ``6.창안하다``, ``1.기억하다``의 순으로 비율이 많았으며, 지식차원에서는 ``A. 사실적지식``, ``B. 개념적지식``, ``D. 메타인지지식``, ``C. 절차적지식`` 순으로 비율이 높게 제시되었다. 그리고 일부의 지식차원과 인지과정차원에 편중되어 있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되는 중학교의 가정과 수업목표가 개념을 이해하는데 매우 치우쳐 있었으며, 이는 핵심역량을 키우기 위한 국가적 목표와 교육과정 개정의 지향하는 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수업목표 설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핵심역량을 키울 수 있는 수업목표 개발이 시급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sson goals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that are reflected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uses the method of dual classification: contents and behavior.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behavior.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current lesson goals reflect the various types of core competency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51.7 percent of the total lesson goals are cognitive, 30.1 percent are affective, and 18.2 percent psychomotoric, and that the portion of three lesson goals is not fairly balanced. In the cognitive domain of Bloom`s Taxonomy, the results, ranked in the order of size, are as follows : ``2. understand``, ``3. apply``, ``4. analyze``, ``5. evaluate``, ``6. create``, and ``1. remember``. It is confirmed that these textbooks do not reflect the lesson goals in a balanced way that are explicit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esson goals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lean toward understanding concepts, which does not match the national curriculum goals (i. e. various types of core competenc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home economics textbooks to properly reflect lesson goals be developed. Such textbooks can show the importance of these goals and promote diverse kinds of core competency. Various lesson goals should be presented.

      • KCI등재

        인지이론이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김동욱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cognitive theories on developing a new taxonomic system of art educational objectives.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education and the flow of cognitive researches since the 1960s has been examined, and the existing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was examined based on cognitive theori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of the 1960s revealed the cognitive nature of perception, and provided the basis of art education as visual education. And the symbolic system theory of the 1970s and 1980s revealed the cognitive nature of art as literacy education in terms of symbol processing and interpretation. Since the 1990s, the embodied cognitive theory has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expanded cognition in art education by including sense, behavior, and external environment into cognition. On the other hand, Bloom's taxonomy, as the standard of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Anderson and Krathwohl's taxonomy which modified Bloomʼs one, both deal with only propositional knowledge and thinking, so there is a limit to exclude the art educational elements such as intuition and emotion. Meanwhile, Wilson 's taxonomy of art educational assessment does not cover the diversity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due to the formalism in modern art and the nature of academic department cente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system of taxonomy of art educational objectives which improves the problems of existing taxonomy from the perspectives of cognition. 본 연구에서는 인지에 기초한 새로운 미술교육목표분류학을 개발한다는 목표아래 인지이론이 새로운 분류학 체계 개발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탐구한다. 이를위해 1960년대 이후 인지연구의 흐름과 미술교육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기존 교육목표분류학의 체제를 인지이론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1960년대의 정보처리이론은 지각의 인지적 성격을 밝혀 시지각 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근거를 제공하였고, 1970~80년대의 상징체계론은 상징 처리와 해석의 관점에서 문해력 교육으로서미술교육의 인지적 성격을 밝혀주었다. 1990년대 이후의 체화된 인지이론은 신체감각과 행위, 외부환경까지도 인지에 포함시킴으로써 미술교육의 확장된 인지에 대한이론적 바탕을 제공하였다. 한편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과 이를 수정한 앤더슨과크래스홀의 분류학은 명제적 지식과 사고만 다루고 있어 직관과 정서 등 미술교육적요소들을 배제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학은 모더니즘미술의 형식주의와 학과 중심 성격으로 인해 현대 미술교육의 다양성을 포괄하지못한다. 따라서 인지주의의 관점에서 기존 분류학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체계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기범 ( Park Kee Bur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4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토대로 분석하여, 향후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을 두어 2015개정 초등 사회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목표 측면에서, 성취기준이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에 편중되어 있다. 인지 발달을 고려하여 5-6학년군에서는 절차적 지식의 비중을 현재보다 높일 필요가 있다. 절차적 지식의 비중을 높이면, 인지 과정 측면에서 `적용하기` 목표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학년군별 지식 목표와 인지 과정 목표별로 비중의 차이가 없었다. 인지 발달 수준에 따라서 학년군별로 차별성이 드러나야 한다는 관점에서, 5-6학년군에서 는 `이해하기`에 중심을 두면서, 이보다 복잡한 인지 과정인 `적용하기`와 `분석하기` 활동의 비중을 현재 보다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인지 과정 진술의 위계 문제이다.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이 위계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 초·중·고 학습자의 인지 발달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사회과교육은 `이해하기`와 `적용하기`에 중심을 두고 성취기준을 진술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넷째, 인지 과정 진술의 일관성의 문제이다. 인지 과정을 포괄적으로 서술할지, 아니면 구체적 인지 과정으로 적시해야할 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이해하기` 활동에서 특정 `하위 인지 과정`의 편중 현상이다. 이해하기 인지 과정의 하위 인지 과정을 학습자가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성취기준의 행동 요소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성취기준의 진술은 사회과교육의 목표, 내용 선정 및 조직, 교육 방법, 평가에 이르는 교육의 전 과정의 지표가 된다. 성취기준의 진술에 대한 정교한 전략이 향후 교육과정 개발에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by Bloom `s new education goal taxonom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atement of futur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Bloom `s new education goal taxonom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knowledge, achievement standards are concentrated on factu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Considering cognitiv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procedural knowledge at the 5-6th grade level.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by grade level. From the viewpoint that the achieve standards of the grading group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development level,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application and analysis activity, which is a more complex cognitive process than the understanding in the 5-6th grade group. Third, it is a hierarchical problem of cognitive process statements. If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focuses on the hierarchy, considering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learner, it is reasonable to state the understanding and applying -centered achievement standard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education. Fourth, the adequacy of cognitive process statements is a problem. There is a need to discuss whether the cognitive process statements should be comprehensive or specific. Fifth, it is a biased phenomenon of specific sub-cognitive processes in understanding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behavioral elements of the achievement standard so that the learner experiences variously the sub-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cognitive process. The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is an indicator of the whole process of education, from social studies education goals,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education methods, and evaluation. A sophisticated strategy for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is required for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최정인 ( Jung In Choi ),백성혜 ( Seoung Hye Pai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2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교육목표를 안내하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며, 평가의 방향을 지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2009 개정과학과 교육과정은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인 만큼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과학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를 지향하는 성취기준이 되어야 바람직할 것이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우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담아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에서 고등사고를 촉진하는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의 유형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NGSS와 비교하여 인지과정 차원과 지식 차원에서 특정 범주의 인지과정이나 지식 유형에 편중되어 있었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와 같은 인지과정이나 ‘메타인지 지식’과 같은 지식의 유형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성취기준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은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서도 다루어지지 않음을 비교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천명하고 있는 과학교육의 목표를 고려하였을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 진술이 일부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 편중되어 있는 것은 분명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방식에 대한 제고를 통하여 다양한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을 지향하는 성취기준을 작성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int for improvement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7 &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compared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has expanded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which promote a higher level thinking. However,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has been biased to the type of specific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in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nd knowledge dimension as compared to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such as ‘analyze,’ ‘evaluate,’ ‘create,’ and the type of knowledge such as ‘meta-cognitive knowledge’ have been treated inattentively. In addi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that were neg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were not dealt with in the learning objective of teachers` guides, either. The revised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curriculum to reflect better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chievement standards including various types of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by improving the method of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후보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 학습목표 분석

        강대중,박행모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2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oriented care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practical arts, ‘My career’ unit,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t analyzed 59 learning objectives of the unit of the practical arts, ‘My career’ of 2009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ceptual knowledge exceeded majority from the sub-type of knowledge dimension. Subsequently meta-cognitive knowledge accounted for 40.0%, while there was no fac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accounted for only 5.0%. Second, the item ‘Understand’ was shown the most common from items of cognitive process dimension. Subsequently items ‘Create’, ‘Apply’, and ‘Remember’ followed in the order, while there was no learning objectives that was associated with the item ‘Analyze’. Third,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of the learning objectives of sixth-grade practical arts, ‘My career’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ccording to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rom two dimensions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was as follows. Understanding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most common, and creating meta-cognitiv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meta-cognitive knowledge followed in the order. This showed the learning objectives were given too much importance for some criteria out of 24 analysis criteria in total. Therefore, the career education of the subject, practical arts, needs to increase the ratio of learning objectives which can improve the ability of higher order thinking by requiring solutions rather than correct answers to a problem, and to open a training program that help raise the ability of a teacher so that one can reconfigure the learning objectives.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를 분석하여 발전적인 진로교육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학습목표 59개이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차원의 유형 중에서 개념적 지식 유형이 절반을 넘었고, 그 다음으로 메타인지 지식 유형이 40.0%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사실적 지식 유형은 없었고 절차적 지식 유형은 5.0%에 불과하였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의 유목 중에서 ‘이해하다’ 유목의 학습목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창안하다’, ‘적용하다’, ‘기억하다’ 등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분석하다’ 유목과 관련이 있는 학습목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체계에 따른 2009 개정 교육과정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학습목표를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 즉 이차원적 분류 관점에서 분류한 결과, 개념적 지식 유형을 ‘이해하다’ 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메타인지 지식을 ‘창안하다’, 메타인지 지식 유형을 ‘이해하다’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분석 준거 24개중 소수의 분석 준거에 학습목표가 편중된 결과를 보였다. 앞으로 실과 교과의 진로교육은 정답보다는 해답을 요구하는 다양한 고등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목표 비율을 높이고, 학습목표를 재구성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을 개설할 필요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