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Marzano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한 문법 영역의 수업목표 진술 및 평가 문항의 설계
김진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3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Marzano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바탕으로 문법 교육을 위한 수업 목표를 진술하고, 그에 적합한 평가 문항을 선다형과 서술형으로 일부 목표를 선정하여 평가 문항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Marzano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은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을 최신의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교육목표분류학이다. 이 교육목표분류학은 인간이 특정 시점에서 새로운 과제를 수행하기로 결정이 이루어졌을 때 정보가 처리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arzano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서 크게 '지식 영역'의 범주와 '사고체제' 범주의 매트릭스로 나타낼 수 있다. '지식 영역'은 '정보', '정신적 절차', '심동적 절차'로 구성된다. 또한 '사고 체제'는 '자기 체제', '메타인지 체제', '인지 체제'로 설정되어 있고, '인지 체제'에서는 '인출', '이해', '분석', '지식 활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arzano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42개의 문법 수업목표를 진술하였다. 설정한 목표 진술에 적절한 평가 문항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문항은 수준 1의 '재생', 수준 2의 '표상', 수준 3의 '명세화하기', 수준 4의 '조사 보고', 수준 5의 '정확성 점검', 수준 6의 '동기검사'에 관한 여섯 가지의 수업목표와 관련한 여섯 개의 평가 문항이다. This study aims to state learning objectives for grammar education based on Marzano'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design assessment items by selecting some objectives as multiple-choice and descriptive assessments for relevant assessment items. Marzano'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s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designed to apply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o the newest educational spot.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a signification from a method processing information when a person determines to conduct new tasks in a specific timepoint. It can be shown broadly as metrics of 'knowledge domain' category and 'thinking system' category in Marzano'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knowledge domain' consists of 'information', 'mental procedures', and 'physical procedures'. Further, the 'thinking system' is configured as 'self-system', 'metacognitive system' and 'cognitive system', and 'cognitive system' consists of 'retrieval', 'comprehension', 'analysis' and 'knowledge utilization'. Therefore, the study herein stated 42 grammar learning objectives based on Marzano'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Relevant assessment items were designed for goal statement established. Designed items were six assessment items relevant to six learning objectives regarding a level 1's 'regeneration', a level 2's 'presentation', a level 3's 'specification', a level 4's 'investigation report', a level 5's 'accuracy check', and a level 6's 'motivation check'.
인지 중심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체계 연구- 분류학 설계의 과정과 결과를 중심으로 -
김동욱(Kim, Dong U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2
본 연구는 인지이론이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한 지난 호 연구에 이은 후속연구로, 분류학 개발의 실제 과정과 결과를 다룬다. 블룸의 교육 목표분류학을 개정한 앤더슨과 크래스홀의 분류학 체계를 기본 틀로 하여 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학의 내용요소들을 대입하고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식으로 설계를 진행하였다. 앤더슨과 크래스홀의 분류학이 명제적 지식과 논리적 사고에 기초해 있고, 윌슨의 분류학이 학과주의적 지식만 다룬다는 한계에 따라 확장된 인지 관점에서 미적 지식과 통합적 지식, 직관적 사고 등 새로운 미술교육의 내용과 인지 요소들을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지식교육이 놓치고 있는 종합 지적인 인지교육을 지향하는 분류학 체계를 만들고자 했다. 이 분류학에 대해 전문가 62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이 분류학이 타당성과 적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미술교육목표분류학은 미술교육 내용학 분야의 기초적 연구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수업설계, 교육평가, 역량측정 및 진단, 교육과정 개발, 교재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미술교육의 인지적 실천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actual process and results of the taxonomy development as a follow up study after the last issue study which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cognitive theory on designing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art. Based on the taxonomic system of Anderson and Krathwohl, which revised Bloomʼ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ontent elements of Wilsonʼs educational evaluation taxonomy for art were assigned, and the knowledge and thinking elements which had not been covered in both taxonomy were added to this taxonomy design. Because of the limitation that Anderson and Krathwohlʼs taxonomy only deals with propositional knowledge and thinking, and Wilsonʼs taxonomy based on discipline, this study has added the elements of aesthetic knowledge, integrated knowledge, and intuitive thinking to the taxonomy in the viewpoint of expended cognition. For this taxonomy, two times of delphi surveys on 62 experts in related fields have been conducted, and confirmed that this taxonomy is valid and appropriate. Thi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art based on cognition can be used not only as a basic research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al contents but also in various fields such as class design, educational evaluation, competence measurement and diagnosis,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and it can help cognitive practice of art education.
역량기반 교육목표 개발과 분석을 위한 Hauenstein 신 교육목표분류학의 재조명
임유나(Lim, Yoo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오늘날 ‘역량’이 학교교육의 방향과 목표로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의 목표 분류 체계뿐만 아니라 이들을 종합하는 ‘행동적영역’까지 설정하고 있는 Hauenstein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탐색하여 역량기반 교 육목표에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으로 구분된 교육목표분류학들의 특징, 역량의 개념과학교교육에의 역량 도입의 의미를 탐색한 후, Hauenstein의 분류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auenstein의 분류학은 세 영역의 총합을 전체(행동적 영역)로 판단한다는 점에서 비판 가능성이 있었고, 학습 상황적 맥락이 보다 강조되어야 할 필요성과학습과학의 발달에 따른 분류 체계 위계 수준의 타당성 재검토가 요구되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그의 분류학은 유기체로서의 학습자와 전인적 학습의 관점, 경험의 강조와 구성주의의 아이디어, 인지적 영역과 비인지적 영역들을 통합하는 행동적 영역의 설정 등 역량과 공통의 개념적 틀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량교육을 위한 교육목표/성취기준을 개발, 분석하거나, 역량기반 수업 체계의 틀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적용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Hauenstein의 분류학은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비인지적 영역의 중요성을 재고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었다. Today competency is emphasized as the goal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auenstei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which creates classification systems for not only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but also the behavioral domain-and examine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After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taxonomies for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as well as the concept of competency and the meaning of adopting this concept in schools, the study analyzed Hauenstein’s taxonomy. Hauenstein’s taxonomy is likely to be criticized in that it sets the sum of each domain as the whole (the behavioral domain). Learning context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his conceptual framework. It would be better to review the validity of his taxonomy’s hierarch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learning science. Nonetheless, Hauenstein’s taxonomy is applicable for developing and analyzing educational objectives or achievement standard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a learning system. This is because the taxonomy and the concept of competency have the same conceptual framework, with an emphasis on holistic learning, experience and the idea of constructivism, and the integration of the cognitive and noncognitive domains. Moreover, Hauenstein’s taxonomy promotes a re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both the cognitive and the noncognitive domains.
새로운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7차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임청환 대구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과학·수학교육연구 Vol.3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현행 7차 초등학교 과학과의 교육 목표를 분석하는데 있다. 기존의 교육 목표 분류 체계가 갖고 있는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 목표 분류 틀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3학년부터 6학년까지 수업 목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영역의 비중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 빈도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지식, 이해, 적용 능력과 같은 저수준의 교육 목표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상대적으로 분석, 종합, 평가 능력과 같은 고수준의 목표가 차지하는 빈도와 비율이 매우 적다. 둘째, 탐구 과정 영역의 수업 목표 빈도와 비율이 낮고, 특히 대부분이 관찰, 측정, 분류와 같은 저 수준의 영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문제 발견 및 해결 능력이나 이론적 모델의 설정 검증 및 수정 능력과 같은 통합적인 탐구 능력에 대한 비중이 낮다. 셋째, 대단원의 수업 목표와 차시별 수업 목표가 상급 학년으로 갈수록 각 영역의 목표가 하위 수준에서 상위 수준으로 빈도수와 비율이 적절히 높아져야 되지만 초등학교 과학과의 수업 목표에서는 이런 현상을 찾기 어렵다. 넷째, 대단원과 차시별 수업 목표 간에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어서 교육 과정에 제시된 교육 목표를 구체적으로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김옥남 안암교육학회 2006 한국교육학연구 Vol.12 No.2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recently D. R. Krathwohl who was a co-writer of Bloom's original taxonomy published the revised book with L. W. Anderson. So This study purpos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taxonomy studies by comparing and analysing Bloom's original taxonomy with the recent alternatives, and in this study all four taxonomies - Bloom et al(1956), Hauenstein(1998), Marzano(2001), Anderson & Krathwohl(2001) were examined. Three alternatives raise commonly two points of Bloom et al.'s taxonomy, which are irrelevance of 'knowledge' category and hierarchical relation of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In which, Hauenstein(1998) propose 'conceptualization' instead of 'knowledge' and put 'synthesis' after 'evaluation', and Marzano(2001), Anderson & Krathwohl(2001) propose 'knowledge dimension', and Marzano exclude 'evaluation' category, and Anderson & Krathwohl(2001) establish 'create' as the highest level. The result of comparing, it was reasonable and suggested that a alternative having two dimension structure is more proper rather than others. And It is worth to consider interchanging the place of 'synthesis' or 'create' with 'evaluate', and including meta-cognition as the major-category or sub-category of objectives. And the directions of educational taxonomy study are thes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taxonomy and difference of cognitive objectives in school level. They can be answering by educational taxonomy, so taxonomy studies must refine educational taxonomy.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이 인지적 영역에서, Bloom 등의 분류학에 대한 세 가지 대안적 분류학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목표분류학의 의의와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loom 등의 분류학을 살펴본 후 그 대안으로 제시된 Hauenstein(1998), Marzano(2001), Anderson과 Krathwohl(2001)의 분류학을 비교하고 논하였다 세 가지 대안적 분류학은 Bloom 등의 분류학에 대한 두 가지 공통된 문제제기를 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식’ 범주의 부적절성을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Hauenstein은 ‘개념화’라는 범주를 제안하여 ‘지식’과 ‘지적 능력 및 기능’이 아닌 ‘지적 능력 및 기능’으로 목표들의 성격을 단일화하여 위계성을 도모하였다. 이에 비하여 Marzano와 Anderson과 Krathwohl은 별도의 차원으로 분리시켰다. 둘째, ‘분석’, ‘종합’, ‘평가’의 관계 설정에 관한 것으로, Hauenstein은 ‘분석’을 ‘평가’의 하위 유목으로 포함되게 하고 ‘평가’보다 ‘종합’을 더 수준높은 목표로 설정하였다. Marzano는 ‘분석’에 ‘평가’적 요소가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 ‘평가’를 범주에서 제외하였다. Anderson과 Krathwohl 역시 ‘창안하다’를 최상위 수준의 목표로 하고 있다. 본고에서 Bloom 등의 분류학과 그 대안적 분류학들을 살펴보면서 앞으로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하게 되었다. 분류학으로서의 체계성과 복잡성을 가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어떤 요소들을 가져야만 분류학이라고 할 수 있는가? 또한 우리 교육에서, 각 학교급별로 추구해야 하는 인지적 목표가 같은지, 실제로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답을 찾는 데에 중요한 틀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 분류학으로서의 체계를 보다 정교화할 필요가 있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실과 교과의 인지적 목표 분석
오성환,송현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실과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실과 6학년 교과서의 인지적 영역 목표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내용은 첫째, 전체 목표는 어떻게 분류되는지를 밝히고, 둘째, 단원별 목표는 어떻게 분류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2007 개정 실과 6학년 지도서 7종이다. 분석 대상 목표로 인지적 영역 389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목표는 연구자와 2명의 코더가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표에 근거하여 분류하였다. 이 연구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6학년 교과서의 목표 중 지식 차원의 결과는 사실적 지식 10.8%, 개념적 지식 58.3%, 절차적 지식 16,2%, 메타인지 지식 14.7%로 나타났다. 인지과정 차원은 ‘기억하다’ 3.6%, ‘이해하다’ 69.28%, ‘적용하다’ 12.3%, ‘분석하다’ 2.3%, ‘평가하다’ 3.6%, ‘창안하다’ 9.0%로 나타났다. 둘째, 단원별로 목표를 분석한 결과는 지식차원에서는 ‘간단한 생활 용품 만들기’ 단원이 예외적으로 메타인지 지식이 가장 많았으며, 다른 모든 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이 가장 많았다.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모든 단원에서 ‘이해하다’ 유목의 목표가 가장 많으면서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차원적 분류에서는 ‘간단한 생활 용품 만들기’ 단원이 예외적으로 메타인지 지식으로 창안하는 목표 D6이 가장 많았으며, 다른 모든 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는 목표 B2가 가장 많으면서 편중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cognitive objectiv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is study classified 389 Practical Arts Education instructional objectives of 6 grade. The subjects were 7 kinds of textbooks in 2007 revised curriculum. The selected goals were classified by the researcher and 2 coder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finding of this study revealed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dimension results were analyzed as realistic knowledge (10.8%), conceptual knowledge (58.3%), procedural knowledge (16,2%), and meta‐cognitive knowledge (14.7%). The cognitive dimension results were analyzed as ‘remember (3.6%)’, ‘understand (69.28%), ‘apply (12.3%)’, ‘analyze (2.3%)’, ‘evaluate (3.6%), and ‘devise (9.0%)’. Second, when analyzing unit objectives, in the dimension of knowledge, ‘Making Simple Household Items’ unit had exceptionally more meta‐cognitive knowledge, while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biggest part in all other units. In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ll the units had ‘understand’ items most and most of the units were biased to ‘understand’. In two dimensional classification, ‘Making Simple Household Items’ unit had exceptionally more D6 creating meta‐cognitive knowledge, while in other units B2 understanding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most frequently dealt with.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 영역 성취기준 비교
강경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6 No.3
이 연구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해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 영역의 성취기준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성취기준을 지식과 인지과정으로 이원 분석할 수 있는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생명과학Ⅰ』과 『생명과학Ⅱ』, 2022 개정 『생명과학』, 『세포와 물질대사』, 『생물의 유전』의 성취기준이다. 모든 분석 대상 교과에서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기 형태로 제시한 성취기준이 가장 많았다. 성취기준에 나타난 지식 차원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개념적 지식이 가장 많았고, 메타인지 지식이 가장 적었다. 인지과정 차원에 대한 분석 결과 모든 교과에서 ‘이해하기’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에는 ‘창안하기’가 제시된 점이 긍정적인 변화로 나타났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세포와 물질대사』, 『생물의 유전』에서도 ‘평가하기’와 ‘창안하기’의 비중이 다소 높아진 점은 긍정적인 변화로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 영역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성취기준에 나타난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변화가 더욱 강화되어 반영될 수 있도록 성취기준 설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Life science area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In this study, Bloom’s revised taxonomy that can analyze achievement standards in two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was us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2015 revised 『Life Science I』 and 『Life Science II』, the 2022 revised 『Life Science』, 『Cells and Metabolism』, and 『Heredity of Living things』 achievement standards. In all analysis subjects,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form of understanding conceptual knowledge were the most common. When analyzing the knowledge dimension shown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detail,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most, and metacognitive knowledge was the lea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understanding' occupied the most weight in all subject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Life Science』, the suggestion of ‘creating’ was a positive change. In addi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Cells and Metabolism』 and 『Heredity of Living things』, the fact that the proportion of 'evaluating' and 'creating' has increased somewhat can be seen as a positive chan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esign of learning objectives so that the changes in the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shown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can be further strengthened and reflected in the course of developing life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체육과 수업 목표 분석
김정수(Kim Jung Soo),백수진(Baek Su-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체육과 수업 목표를 인지적, 심동적, 정의적 영역의 하위범주별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과서에 제시된 364개의 차시별 수업 목표를 Bloom의 교육목표인 인지적, 심동적, 정의적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인지적 영역의 수업 목표는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표를 기준으로 분석하고, 심동적 및 정의적 영역의 수업 목표는 목표⋅과정중심 교육과정 개념 틀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체육과 수업 목표는 심동적 영역 198개(54.4%)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고, 인지적 영역이 124개(34.1%), 정의적 영역이 42개(11.5%)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영역의 수업 목표는 Bloom의 지식 차원 중 ‘사실적 지식’이 53개(42.7%)’, 인지과정 차원 중 ‘기억’이 91개(73.4%)’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심동적 영역의 수업 목표는 개인적 발달의 주요개념인 생리적 효율성 중 ‘신경근육 효율성’이 59개(24.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의적 영역의 수업 목표는 개인적 발달의 주요개념인 심리적 안정성 중 ‘자기 이해’가 29개(12.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체육과 수업 목표 구성 시 인지적 영역의 강화, 심동적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화, 정의적 영역의 확대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and draw meaningful insights and provide suggestion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364 lesson objectives provided in the 2015 curriculum-based PE textbook were classified into cognitive, psychomotor or affective domain according to Bloom’s taxonomy. The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cognitive domain was performed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and the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psychomotor and affective domains was performed based on the concept frame of the objectives and process centered curriculum.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three domains by Bloom’s taxonomy, which are ‘cognitive’, ‘psychomotor’ or ‘affective’, the percentage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psychomotor domain was the highest in the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in the cognitive domain, the percentage of instructional objectives related to ‘factual knowledge’, which is the lowest level in the knowledge dimension, was the highest and the percentage of instructional objectives regarding ‘remember’, which is the lowest level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the highest. Third, in the psychomotor domain, the percentage of instructional objectives regarding ‘efficiency of neuromuscle’, which is one of the three elements of ‘physiological efficiency’ in the concept of personal development domain, was the highest. Forth, in the affective domain, the percentage of instructional objectives regarding ‘joy of movement’, which is one of the four elements of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concept of personal development domain, was the highest.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cognitive domain should be increased and that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diversified in the affective and psychological domains.
교육목표분류학을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발전방안 탐색: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정민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me suggestions about competencybased curriculum, especially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in the perspectives of educational taxonomy. To accomplish this goal, we reviewed the articl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2015 curriculum in Korea. We found that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cused the holistic approach to competency and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lso, a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ntribute to alignment of objectivesinstructionassessment and wholeperson education using various dimension in example,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psychomotor domain. But 2015 revised curriculum has the hierarchies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key competencies and competencies of subject matters don’t have concrete articulation. In addition, performance standards are composed of ‘contents’ and ‘skills’ focused on cognitive domain including cognitive process. We suggests from these findings that we need to redefine the concept of ‘competencies’, ‘skills’, the discrimination of ‘competencies’ and ‘skills’, the development and articulation with subject matters of some lower constructs. It leads us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parents, teachers, schools about objectivesinstructionassess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교육목표분류학을 고찰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점을 도출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구현 논리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발전방안을 교육목표분류학의 관점에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들을 고찰함으로써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강조점은 역량에 대한 통합적, 총체적 접근과 학습자중심 교육에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또한 교육목표분류학은 목표수업평가의 일관성을 기하고 교육에 관계되는 모든 이들간의 의사소 통에 필요하고, 전인교육을 위한 목표들은 지식, 기능, 태도, 혹은 인지적, 운동기능적, 정의적 영역, 또는 인지적, 비인지적 영역에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일련의 교육목표들은 위계를 가지고 있고,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의 관계는 기초적인 형식은 갖추었으나 실제적인 관계성은 불분명 하였다.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내용(영역, 핵심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요소)’과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교육 내용과 경험의 방향 견인 측면에서 ‘역량’의 개념 정의, ‘기능’의 재정의, ‘역량’과 ‘기능’의 차이와 구분, 핵심역량의 하위 구인 개발과 교과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목표분류학을 활용함으로써 학교와 학생의 목표, 교육내용, 학습활동, 성취수준에 대한 의사소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의 학습목표 특성 분석
박경진,류춘렬,최진수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에 제시된 학습목표를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와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학습목표를 분석할 때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7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 중 과학 분야 169개 주제에 제시된 702개의 학습목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고 코딩한 후 각 학습목표 사이의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로 나타난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별로 사용된 학습목표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초등은 약 3개, 중등은 약 6개의 서로 다른 범주의 학습목표가 사용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방법과 학교 급에 관계없이 지식차원의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의 ‘기억하다’, ‘이해하다’, ‘창안하다’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단순 통계 분석 결과로는 확인할 수 없지만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한 가중치에 근거하여 살펴본 결과 초등 단계는 과학적 사실에 대한 학습을 통해 실제 실험과정에 적용해 보는 활동을 강조한 반면, 중등 단계는 이보다는 과학적 사실, 개념 자체를 이해하는 것을 더욱 강조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기존 단순 통계적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것에 비해 보다 다양한 학습목표의 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이 학습목표를 분석하는데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objectives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of centers for the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analyzing learning objectives by comparing the results of analysi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For this purpose, 702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in 169 science subjects were selected as subjects to be analyzed. After classifying and coding the learning objectives according to Bloom’s revised taxonomy, we conducte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number of learning objectives used for each subject, and about 3 elementary school levels and about 6 middle school levels were used. Second, the knowledge dimension such as ‘factual and conceptual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such as ‘remember’, ‘understand’, and ‘create’ was high regardless of the research method and school level.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the weighting through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he elementary school level emphasize activities th be applied to the actual experimental process through learning about scientific facts, while the middle school level emphasize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facts and concepts themselve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can analyze characteristics of various learning objectives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simple statistical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