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수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 대구·경북권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홍인(Jeong Hongin),우성미(Woo Sungm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환경과 COVID 19 로 대학생들의 진로준비에는 많은 혼란이 초래되었고, 대학과 교수의 역할에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시급히 규명하여 취업시장 한파를 돌파할 수 있는 준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교수지지의 역할과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수지지, 진로준비행동, 학습민첩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변인 간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권 내 4년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165명의 데이터는 SPSS와 AMOS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지지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지지가 높을수록 학습민첩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민첩성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수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 학습민첩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수지지와 학습민첩성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며, 교수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학습민첩성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과 교수는 학생이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준비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사회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새로운 것을 학습할 수 있는 역량으로 학습민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학생의 학습민첩성과 진로준비행동에 교수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밝혀진 만큼, 교수 본연의 역할인 학습과 진로지도 역량을 제고하고 학교 또한 교수의 역량 제고를 위해 필요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상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COVID 19 have caused a lot of confusion in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professors is also required.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rofessor suppor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learning agility were reviewed, and the model between variables was established based on this. For the practical verification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nd 165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1.0 program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ofess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rofessor support, the more sensitive it was to learning ag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arning agility, the more significant it had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nally, it was found that learning agility between professo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rtially mediat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rofessor support and learning ag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at learning agility must be sensitively expressed in order for professo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be connected.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universities and professors should pay attention to help students prepare for a career that suits them, and improve learning agility with the ability to flexibly respond to social changes and learn new things. In addition, as it has been found to be a prerequisite for students learning ag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original role of professors, learning and career guidance capabilities, and schools should also actively provide necessary support to enhance professors capabiliti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항공서비스 전공학생들의 교수지지, 진로준비행동,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김지흔(Kim, Ji-Heun),정민주(Chung, Min-Joo)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5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 전공학생들의 교수지지와 학업성취도 그리고 진로준비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항공서비스 전공학생들의 학습지도 및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한 교수자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지지와 학업성취도에 영향관계에서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 정서적지지 모든 요인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지지의 요인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 크기를 비교한 결과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지지이 모든 하위요인이 진로준비행동 중 탐색행동요인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지지의 모든 요인이 탐색행동요인에 미치는 영향력 크기를 비교한 결과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 정서적지지 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수지지의 모든 하위요인이 진로준비행동 중 준비행동요인에서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 요인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준비행동 요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 크기는 탐색행동 요인 , 준비행동 요인 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항공서비스 전공학생들 교수지지와 학업성취도 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탐색적 행동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보적 지지요인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 정서적 지지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얻었다. 다섯째, 진로준비행동의 준비행동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보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는 매개역할을 하지 못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물질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는 학업성취도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n teaching suppor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n the role of teacher for the teaching guide and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all factors of informative support, material support, apprais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teaching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and when comparing the size of influence on all the factors of teaching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ey were found to influence in order of appraisal support, material support, informative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Second, all the sub-factors of the teaching support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actor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in th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level.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xploratory behavior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tween the teaching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s, the informative support factor was found to play a role of full mediation but the material support, apprais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were found to play a role of partial mediation.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informative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were found to fail to play a role of mediation, but mater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were found to play a role of partial medi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level.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예비교사의 실천적교수역량, 자율성지지, 교사에 대한 만족감 간의 구조적 분석

        육명신(Yuk, Myungsin),박명신(Park, Myeungs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예비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자율성지지, 교사에 대한 만족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먼저,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교육실습을 통해 교육을 받은 D지역에 소재한 중학생 615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22일부터 7월 12일까지 약 3개월 동안 자료를수집하고 정선된 580명을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교사의 실천적교수역량과 자율성지지는 중학생의 수업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예비교사의 실천적교수역량과 자율성지지는 교사에 대한 만족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에 대한 만족도는 중학생의 수업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예비교사의 실천적교수역량 및 자율성지지가 교사에 대한 만족감을 매개로 수업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의 수업참여의 향상을 위해서는 예비교사의 실천적교수역량과 자율성지지, 교사에 대한 만족감이 선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실습의 효과에 직·간접 영향을 주는 방안 마련에 이론적, 실증적 자료제공 등을 통해 중학생의 적극적인 수업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 s practical teaching ability, autonomy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teachers. First of all,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re made. Based on this, 615 middle school students in D area who had been educated through education and practice were included. The data were collected for about three months from April 22, 2019 to July 12, 2019, and the structured model was verified by 580 peopl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liminary teacher s practical teaching capacity and autonomy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practical teaching capability and support of autonomy of preservice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Third, the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urth, the practical teacher capacity and autonomy support of preservice teach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lass participation through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This mean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eservice teacher s practical teaching capability, autonomy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 must be preced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through the provision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data to prepare the plan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effect of educational practice.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수공학 활용의도에 관한 구조 분석

        양소현,이미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on behavior intention of the structure ofinstructional technology of teachers who working at the special schools. School-wide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of fellow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regarding instructional technology were selected as variables by investigating preceding researches.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e.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311 teachers who works at special school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chool-wide social support did not affect the behavior intention of instructional technology of teachers at special schools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social support of fellow teachers affected the behavior intention of instructional technology of teachers at special schools positively through full mediation of attitud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teaching efficacy affected the behavior intention of instructional technology of teachers at special schools positively through full mediation of attitud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orth, attitude regarding instructional technology highly affected the behavior intention of instructional technology of teachers at special schools positive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consequence, discussions for this research were laid for the practical schools. First, to increase the social support of fellow teachers, research groups of teachers are needed to share the information and emotional support among teachers. Second, to increase the teaching efficacy, the opportunities of training and self-development regarding using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utilizing instructional technology strategies in class are needed. Third, the lectures of successful cases regarding instructional technology in class are needed to promote the positive attitude of teachers who working at the special schools.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수공학 활용의도에 관한 구조를 분석하고자,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31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교수공학과 관련된 학교차원의 사회적지지,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 교수효능감, 교수공학 관련 태도를 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구조를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차원의 사회적지지는 특수교사의 교수공학 활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는 교수공학 관련 태도 변인을 통하여 특수교사의 교수공학 활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은 교수공학 관련 태도 변인을 통하여 특수교사의 교수공학 활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공학 관련 태도는 특수교사의교수공학 활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의 적용 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영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와 교사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종금,전정민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3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경기도와 경기외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교사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t 검증, 일원 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사회적지지, 놀이교수효능감, 영아와 교사 간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놀이교수 효능감, 사회적 지지는 서로 정적으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사회적 지지,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와 교사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 놀이교수효능감에 대한 신념이 가장 강력하게 영향력을 미쳤다. 넷째, 영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사회적 지지,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와 교사 간 상호작용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으로는 교사의 허용적 태도, 교사의 반응적 태도, 경험의 다양성, 적극적 활동참여 순으로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infant class teachers and their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by surveying 310 infant class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and around Gyeonggi-do. For the data collected, th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utilizing the SPSS 21.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firstl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of teachers, the social support and the play teaching efficacy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Secondly, the values of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and the social support indicate positive association. Thirdly,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s revealed from variables in which most influences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is the belief of the play teaching efficacy. Lastly, sub-variables of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that are affected by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of teachers, the social support and the play teaching efficacy have significance in order of permissive attitude, responsive attitude, range of experience, activeness for activities of teachers

      • KCI등재

        체육 교사의 믿음이 자율성 지지 교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주혁(Jung, Joo-Hyug),천승현(Cheon, Sung Hyeo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5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체육교사들이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수방식에 대한 믿음과 생각이 실제 그들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 연구는 횡단 설계의 상관연구로 151명의 체육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가이드라인에 따라 참여 교사로 하여금 자율성지지 교수방식에 대한 세 가지 믿음인 1)효율성에 대한 믿음, 2)단순함·쉬움에 대한 믿음, 그리고 3)기준·규준에 대한 믿음을 측정하는 시나리오 중심의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믿음은 모두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과 긍정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세 가지 믿음은 효율성, 기준·규범, 그리고 단순함·쉬움 순으로 실제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율성에 대한 믿음이 실제자율성지지 교수행동을 예측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선행변인이었다. 이러한 발견·결과는 현장의 체육교사들이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수방식을 적용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연구자 및 연수를 진행하는 교육자들이 이론 중심의 교사연수프로그램을 적용 시 실제 체육교사들이 자율성지지의 교수방식이 효과적이며, 실질적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믿음·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사연수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s" beliefs about autonomy-supportive teaching styles on their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al behaviors in the PE practice. Design: Study design is cross-sectional or correlational-based. Method: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influence of teachers" three beliefs, namely 1) easiness, 2) effectiveness, and 3) normalcy about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al behaviors. 151 middle and high school PE teachers from Seoul, Korea metropolit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scenario-based questionnaire following the study guideline. Results: PE teachers" three belief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al behaviors. Specifically, teachers" beliefs about effectiveness, normalcy, and easiness on autonomy-supportive motivating style positively predicted their actual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al behaviors respectively. The belief on effectiveness is the strongest predictor of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al behaviors in the PE context. Conclusion: The finding revealed three beliefs, especially the effectiveness about autonomy-supportive teaching styles are important for PE teachers to adopt their motivating styles as being more or less autonomy-supportive toward their students. Further, it is crucial for instructors or researchers to design theory-based, teacher-focused intervention program or teacher education program of which helps teachers believe that autonomy support is effective, flexible, and practical to implement in their PE classes.

      • KCI등재

        신중년 직업훈련생의 심리적 안녕감, 교수자율성지지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성취정서의 매개효과 분석

        김성우,안윤정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aculty autonomy support on learning engagement, mediated by achievement emotion, among senior vocational trainees. For this purpose, 191 cautious older vocational trainees participating in national strategic industry occupation training at a vocational training center in Gyeonggi-do were surveyed. SPSS 27 and AMO 24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support for teaching autonomy, learning immersion, and achievement emotion were all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faculty autonomy support, learning engagement, and achievement mood were all significant except for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learning engagement and faculty autonomy support on achievement mood. Third, achievement emotion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earning engagement,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for faculty autonomy and learning engage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pport for faculty autonomy are the main predictors of learning engagement among senior vocational trainees, and the mediating role of achievement emotion in the relationship is confirmed. In order to increase the learning engagement of senior vocational trainees, it is recommended that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and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manag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aculty autonomy support and to enhance achievement emotion. 본 연구는 신중년직업훈련생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수자율성지지가 성취정서를 매개로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있는 직업훈련기관에서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훈련에 참여하는 신중년 직업훈련생 191명을 설문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과 AMOS 24를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안녕감, 교수자율성지지, 학습몰입, 성취정서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 교수자율성지지, 학습몰입, 성취정서 간의 관계는 심리적 안녕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교수자율성지지가 성취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성취정서는 심리적 안녕감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효과, 교수자율성지지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중년 직업훈련생의 심리적안녕감과 교수자율성지지는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 변인이며, 그 관계에서 성취정서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신중년 직업훈련생의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 심리적 안녕감과 교수자율성지지의 관리와 더불어 성취정서를 향상시키기 위한 직업훈련프로그램과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교수자 지지가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송성숙,함현진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자 지지가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경기도 D대학교 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Google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 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수자 지지는 학업적 지연행동과 부적상관이 있었 고, 학업적 실패내성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학업적 실패내성과 학업적 지연행동 간에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 째, 교수자 지지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학업적 상황에서 교수자의 지지와 학업적 실패내성의 수준을 높여줄 수 있는 교육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을 낮추고 학업적 실패내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교수자의 지지프로 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in the influence of professor suppor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 Google survey was conducted on 211 students at D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with collected data. The mediated effect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has been verified through three stages of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fessor support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failure tolerance. In addi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it showed that academic failure tolerance has a full mediated effect in the influence of professor suppor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raise the level of professor support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academic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of providing a program of professor support that can improve academic procrastination problems and strengthen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of students.

      • KCI등재

        부모, 친구, 교수의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군 전역 복학생을 중심으로

        김동하,손영미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parents, friends, and professors and perceived stress for returning students afer military service. To this end, 204 returning students from all over the military who attend four-year universities in Chungnam and Daejeon were recruited using SN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parental support, friend support, professors support, and self-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perceived stres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other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friend support, professor support, and perceived stress, Self-leadership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support and perceived stress, and parent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with perceived stress. Friend support didn't produce significant results. The above results show that it contributes differently to the self-leadership and perceived stress of returning students across the military depending on social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군 전역 복학생을 대상으로 부모, 친구, 교수의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SNS를 활용하여 충남 및 대전 소재 4년제 대학을 다니는 군 전역 복학생 204명의 자료를 모집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수지지,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지각된 스트레스는 다른 모든 변인들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수지지와 지각된 스트레스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수지지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를 셀프리더십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비해 부모지지는 지각된 스트레스와 직접효과만을 가졌으며, 친구지지는 군 전역 복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에 유의한 직간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원에 따라 군 전역 복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지각된 스트레스에 서로 다르게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군 전역 복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문대학생의 교수지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이영미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9 상담심리교육복지 Vol.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rofessor support, self-determining motivation to learn, flow-in-learning and intent-to-persist for learning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consisted of 707 students in junior college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instruments employed were the scales of professor support, self-determining motivation to learn, flow-inlearning and intent-to-persist for learning. First, professor support, self-determining motivation to learn, and the flow-in-learning of junior college students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upon their intent-to-persist for learning. Second, professor support of the students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upon their selfdetermining motivation to learn and flow-in-learning. Third, self-determining motivation to learn of the student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upon their flow-in-learning. Fourth, professor support of the students was found to have an significant indirect effect upon their intent-to-persist for learning through self-determining motivation to learn and then flow-in-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교수지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지속의도 간의 구조적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경상북도지역에 소재한 전문대학생 707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교수지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지속의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교수지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습몰입은 학습지속의도에 직접영향을 미친다. 둘째, 교수지지는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습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자기결정성학습동기는 학습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넷째, 교수지지는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습몰입을 통하여학습지속의도에 간접 영향을 미친다. 교수지지는 자기결정성 학습동기를 부분 매개하여 학습지속의도에간접 영향을, 교수지지는 학습몰입을 부분 매개하여 학습지속의도에 간접 영향을, 교수지지는 자기결정성학습동기, 학습몰입을 이중 매개하여 학습지속의도에 간접 영향을 미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