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희진,박재진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with its focus on the gudiance of child problem behaviors.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went through several steps such as literature review, needs assessment of teachers, devising a trial program, expert examination, revision of the program, and applying the revised program to a group of 5 teachers for 6 week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measured with a concept map, the participants’ evaluations, and tests of their knowledge regarding child guid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eed for the teacher education focusing on guiding child problem behavior was verified. Second,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needs of teachers was formulate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ed of understanding on the problem behavior, the cause of problem behavior, and the methods of guidance strategy. Third,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the program, participants' satisfaction was increased by reflecting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Fourth, tools were used to evaluate this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s proved that the programs were effective for teachers. Fifth, the final program describes the considerations of using the program for suggesting how it can be applied effectively. The gener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ovided in the end.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문제행동을 지도를 위한 현직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근거로 영유아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현직 교사 대상의 요구 조사를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교사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의 시안을 전문가에게 타당도 점검을 받은 후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개념도, 평가지, 활동지, 설문지를 활용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수의 교사에게 실행 가능한 최종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교사 대상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현직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현직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였으며, 교육 내용에는 문제행동의 개념, 문제행동의 원인 파악, 지도 전략의 방법을 다루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에서 실제 참여자 요구를 반영하여 참여자의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만족도를 높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서는 도구를 활용하였고 평가 결과를 통해 프로그램이 교사교육으로 효과적이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거쳐 최종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교사교육 적용 시의 유의점을 제시하여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현직 교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밝히고, 실제 교사교육 시 필요한 교육 내용과 진행 방법에 대한 기초 가이드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교사들이 영유아 특성에 맞게 영유아의 문제 행동을 지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비형식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백소이,노석구,신명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비형식 과학교육의 전반적인 경험실태 분석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와 같은 인식이 교사들의 비형식 과학교육 경험과 어떤 연관이 있는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인식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비형식 과학교육이 자신들의 과학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고 있으며(73.4%), 프로그램이 재미있었다라고(83.3%) 응답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긍정적인 과학태도를 형성을 위해 학교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으로 과학캠프를 가장 선호하였다. 이와 같은 교사들의 선호는 교사들의 일반적인 사항이나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체험 유무, 횟수 보다는 교사 개개인의 개인적인 경험과 신념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로서의 입장에서 벗어나 학부모의 입장에서 본인들의 자녀들을 위해 선택하고 싶은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으로 학교 밖 프로그램을 더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그에 대해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의 문제점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점과 학교 밖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장점을 그 이유로 들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비형식 과학 교육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이제까지 특정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단기적인 효과성에 대해 논의하는 연구가 대다수였다. 장기적이고 총체적인 접근을 한 연구가 부족하다. 실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사들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과 정규 교육과정의 연계 과정 등에 대한 연구 등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a written survey of 278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and interviews with seven teachers. It was found from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at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perceived informal science education 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of mind(73.4%) and that the informal program was fun and interesting (83.3%). Most teachers also recommended science camp as a desirable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 operated within school curriculum rather than outside it. As parents of elementary students, however, they preferred science camp outside the school curriculum. During the interviews with sample teachers, teacher K said that most teachers have some problems with informal science education in school; they preferred an out-of-school program to an in-school program.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regarding specific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s' effectiveness in the short term, but few dealing with a long term or systematic approach. Based on this study, some suggestions are indicated with respect to informal science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s and methodology, as well as studies on associating informal education with the school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모두를 위한 교육”을 표방하는 미국 교사교육프로그램의 주요 쟁점 -미국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 교사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정원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3

        This paper is an trial to understand the main issue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as the problems of cutting public budget resulting from the concentration of wealth in the US. The public budget cut is making the problems of the areas which cannot choose but rely on the public budget deteriorate. The tradition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universities, which are trying to mak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ories and practices, between universities and schools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for ‘Education for All’, are in crisis. The alterna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uch as ‘Teach for America’ which is supplying workers who graduate the famous universities, and are trained by a short course, are expanding while the tradition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cannot counteract the problem of teachers' leaving from urban schools. The universities which have had the tradition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trying to shorten the programs rather tha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m for promot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his situation of the US lets us prospect that the trend of deepening of social inequality would lead de-professionalizing of teachers.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at kind of situation in South Korea. 이 글에서는 미국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제기되고 있는 주요 쟁점을 미국 사회 부가 집중되는 과정에서 진행되는 공적 지원 축소 경향과 연결시켜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다양성’을 기조로 하는 미국 사회 내 공적 예산 축소는, 공적 지원 의존도가 높은 지역의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가운데 다양한 배경을 지닌 ‘모두’를 위한 교육을 지향하면서 이론과 실제, 대학과 현장학교와의 교호적 관계를 추구해 온 전통적 교사교육프로그램을 위기에 처하게 만들고 있다. 공적 예산 감소로 교사 해고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심학교들의 교사 확보 문제에 전통적 교사교육프로그램이 적극 대응하지 못하는 가운데 명문대 출신자들로 하여금 단기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하도록 하여 우수 교사를 확보하기 어려운 도심학교에 배치하는 등의 대체 교사교육프로그램이 사적 영역에서 급속히 팽창하고 있다(예: Teach For America). 이에 전통적 교사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 온 대학은 교사 전문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질적 개선보다는 프로그램을 보다 단기화 하는 등, 변화하는 상황에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중이다. 이러한 미국 상황은, 사회적 불평등 심화 경향이 교직의 탈전문화로 이어질 가능성을 전망하게 한다. 또한 이는 불평등 수준이 보다 심화될 것이라 전망되는 우리 사회에서도 그것이 공교육의 토대와 교사교육프로그램에 미칠 영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

        구미향,황소영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7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의 유아인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유아인권교육프로그램 시행을 통해 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유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기본권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을 대표하는 총 40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Q 표본을 분류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의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시행 전과 후에 동일한 Q 소팅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대한 인식 유형은 단일 유형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들은 생존권과 보호권을 중요한 권리로 인식한 반면 발달권과 참여권에 대해서는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는 공통된 의견을 갖고 있었다.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유아교사의 인권 의식은 ‘비차별적 생명존중과 폭력으로부터의 보호’와 ‘권리주체자로서 능동적인 참여와 성장’ 이라는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전과 후 유아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생존권과 보호권을 중요하게 생각하던 9명의 교사는 유아인권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그들의 인권의식이 오히려 공고해 졌으며, 6명의 교사는 유아의 참여권과 발달권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의식의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국제교육실습 사례 비교 연구

        이현명 ( Lee Hyun-myoung ),정용재 ( Joung Young Jae ),설양환 ( Sol Yang Hwa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국제사회의 흐름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대처하는 국제적 감각과 역량을 지닌 교사 양성을 위해, 국제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국내 대학과 미국의 주요 대학의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과 사례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양질의 국제교육실습 운영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컨소시엄(연합체) 형태의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미국의 오하이오대학교와 인디애나대학교, 한국의 공주교육대학교 사례를 국제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의 목적, 프로그램 개발, 외부의 제약과 긴장, 내적인 우려, 지원자 배치 유형, 실습기관 배정, 프로그램 홍보 및 학생의 관심처리, 신청과정 및 지원자 선정, 프로그램 감독에게 환송될 정보, 교육실습생의 업무 배정, 지원자 오리엔테이션 및 귀국 등의 영역을 서로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주교육대학교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의 한계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국제교육실습의 목적과 비전은 프로그램을 주관하는 대학의 교육목표와 철학에 맞게 재설정해야 한다. 둘째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주관대학의 교육목표와 철학이 반영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자격 취득과 국내 교육실습 대체에 관한 명확한 법적인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교사양성기관은 구성원들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국제교육실습의 실효성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지원자 배치 유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실습기관 배정도 다양화가 필요하다. 일곱째,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통한 대외적 신인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여덟째, 지원자 선정기준을 다변화해야 한다. 아홉째, 교육실습생의 업무 배정은 개별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교한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앞으로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려면 새로운 교육 정책의 뒷받침도 필요하다. 첫째는 대학의 자율성이 최대한 보장되어야 하고 개별 교사 양성 대학 간의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교사자격 취득과 국내 교육실습을 대체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여 대학 구성원 간의 갈등과 긴장을 최소화해야 한다. 셋째 확실한 재정적 지원을 통해 많은 예비교사가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넷째, 교사양성기관의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내실화될 수 있도록 새로운 프로그램개발과 운영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implications for operating international student teaching programs which encourage student teachers to develop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international capacities by analyzing and comparing cases of the major universities’ international student teaching programs in Korea and the USA.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international cases including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Ohio University, and Indiana University so far as to develop and operate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as a type of a consortiu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familiarities and differences by comparing each domain such as program goals, program development, external pressures and tensions, internal concerns, types of placements, determining host institutions, marketing the program, addressing students concerns, application process and candidate selection, information to be returned to the program directors, candidate placement logistics, and orientation and reentr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some insightful implication for overseas student teaching. First, the goal and vision for overseas student teaching should be reset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and philosophy of its leading university. Second, when the leading university is developing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 it should reflect on its own educational goal and philosophy. Third,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should establish a legal basis for acquiring teaching licensure and waiver for local student teaching program for the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 Fourth,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should enhance its effectiveness to build trust among the participating education institutions. Fifth, types of placements should be diversified. Sixth, the principle of determining host institutions should also be diversified. Seventh, external credit rating should be increased by reestablish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Eighth, the principles of candidate selection process should be diversified. Ninth, the focus of candidate placement logistics should be focused on the individua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ast but not least,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should establish plans for improving its program through an elaborate program evaluation. To galvanize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in Korea,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faculty who are involved in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be supported by educational policies. First,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provide support by establishing a national consortium in order to insure maximum autonomy of educational universities.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conflicts and tensions betwee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by establishing a legal basis for teacher licensure and waivers for local student teaching. Third, to attract a large number of student teaching candidates sufficient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urth,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also actively support in developing and operating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to enriching teaching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양진희(Yang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일반유치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한 다음 프로그램의 목표, 프로그램의 내용, 프로그램의 활동방법을 구성함으로써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10주간 총 60시간(1주일에 2회씩)에 걸쳐 실험집단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12명과 특수교사 일반연수에 참여한 통제집단 12명으로, 모두 유아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이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은 교사의 통합교육 교사효능감, 교수수행능력, 통합교육 직무만족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천을 증진시키는 현직교사교육 및 교사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바람직한 접근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어 가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implemented and evaluated a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childcare teachers' demands on the teachers' efficacy, teaching performance, and teachers' work satisfaction. The demand characteristic of teacher about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the program's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10 weeks(20 times) with 12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ing the effects of the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eacher 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wo sub-areas of teacher efficiency-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eaching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ork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김옥주,조혜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세 미만의 영아를 보육하는 경력 1년 미만의 영아반 초임교사가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과 현장의 요구조사를 기초로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안)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안)의 시행·평가 및 수정·보완을 통하여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목표는 '영아보육과정의 계획과 통합적 운영 및 평가 능력을 기른다, 영아의 발달 특성에 적합한 놀이지도 능력을 기른다,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원리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학부모와의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상담할 수 있다, 영아의 개인차를 고려한 일상생활지도를 할 수 있다, 영아의 건강 및 안전을 지도, 관리할 수 있다.'이다. 교육내용은 '영아보육과정의 계획·운영·평가, 영아의 발달과 놀이지도, 영아-교사의 효과적인 상호작용, 부모-교사의 신뢰로운 관계형성, 영아의 일상생활지도, 영아의 건강 및 안전관리'에 따른 20개의 하위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의 교수방법은 강의, 토의, 워크숍, 역할극, 어린이집 현장관찰, 사례나누기 등의 다양한 방법이 선정되었다. 교육담당자는 영아반 보육경험이 있는 경력교사와 어린이집 원장 및 유아교육·보육관련 교수이다. 교육시간은 총 20시간 6회기를 교육하도록 제시되어 있으나, 교육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요구에 따라 이상의 교육내용과 운영방법을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 KCI등재

        발명교사교육센터 연수 프로그램 분석 및 평가

        홍영지,최유현,이건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2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training program contents based on the invention teacher education standard and also to suggest the future task of currently operating Invention Education Center for Teacher(IECT) through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of IECT. The training program of IECT means the job training program operated by each IECT in the capital area, central part, southeast part, and southwest par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training program of each center operated for three years since the foundation in the capital area, central part, southeast part, and southwest part was analyze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raining program of IECT established in 2013 in the capital area, central part, southeast part, and southwest part, the conclusion was verified like below. First, most of the training course of IECT in each zone included development of creativity, invention project, and intellectual property & patent application among invention content studies, and also basics of invention education, development of invention education program, invention teaching/learning, invention activity instruction among invention pedagogy. As elements considered as important in the actual invention, these areas are closely related to performance of invention education, which is to improve the application to the actual work-site after completing the training. Second, IECT in each zone showed differences in areas for emphasis. Such differences 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enter and also local infrastructure where centers are located. However, the training program was planned based on the standard of invention teacher education. 이 연구는 발명교사교육센터 연수 프로그램의 분석 및 평가를 통해 발명교사교육표준에 기초한 연수 프로그램 내용을 파악하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발명교사교육센터의 향후 과제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발명교사교육센터 연수 프로그램은 수도권, 중부권, 동남권, 서남권의 각 발명교사교육센터에서 운영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을말하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교사교육센터 설립 후 3개년 간 운영된수도권, 중부권, 동남권, 서남권 각 센터의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2013년부터 설립·운영된 수도권, 중부권, 동남권, 서남권의 발명교사교육센터 연수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확인하였다. 첫째, 권역별 발명교사교육센터는 발명교사교육 표준에서 발명내용학 중 창의성계발, 발명 프로젝트, 지식재산과 특허 출원 영역을, 발명교육학 중 발명교육의 기초,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발명 교수 학습, 발명 활동 지도 영역을 대부분의 연수과정에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영역은 실제 발명에서 중시되는요소이며 또한 발명교육 수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영역들로, 현장에서 발명교육을실천하는 교사의 연수 후 현업적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권역별 발명교사교육센터는 중점적으로 강조하는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발명교사교육센터가 위치한 지역 인프라와 권역별 발명사교육센터의 특색에따른 것으로, 비중있게 다루는 영역의 차이는 있으나 발명교사교육 표준에 기초하여연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이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교사를 중심으로

        이선애(Lee, Sun-Ai),강혜경(Kang, Hye-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를 대상으로 교사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해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교사 13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2일부터 3월 6일까지 주2회 2시간씩 총 16회기의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의 효과 검증을 위해 교육프로그램 실시 전 사전 검사를, 교육프로그램이 완전히 종료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패키지 SPSS 21.0을 이용해 윌콕슨의 대비된 쌍의 부호 순위 사전-사후 z검정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교육프로그램 적용 전⋅후 어린이집교사의 사회적 자본은 유의미하게 변화되었다. 둘째, 교사교육프로그램 적용전⋅후 어린이집교사의 효능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른 집단별 교사교육프로그램 적용 전⋅후, 교사효능감 수준이 높은 집단(N=7)에서만 사회적 자본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교사교육프로그램 적용 전⋅후 사회적 자본 수준 집단별로 교사효능감의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이를 통해 교사교육프로그램이 보육 구성원의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어린이집교사의 내면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과 더불어 교사의 효능감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From January 2 to March 6, 2020, a total of 16 educational programs were applied to 13 daycare center teachers locat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wice a week.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ocial capital and teacher efficacy, a pre-test was conducted before the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was completely complet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1.0,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a pre-post z-test of Wilcoson s control code ranking pair.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capital of daycare center teachers chang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Secon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work efficien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improved significantly. Third, social capital has improved significantly only in groups with high teacher efficacy (N=7) before and after apply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eacher effect by social capital level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Conclusions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hrough this,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can positively change the inside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increase the teacher s efficiency on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relationship of childcare members.

      • KCI등재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전문교과 교사의 경력별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 개발

        김연경,송해덕,전미연,신안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2

        최근 직업교육의 질적 향상과 발전을 위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 산업현장 맞춤형 교육을 목표로 NCS 기반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교육현장에서 중등단계의 직업교육을 직접 수행하고 있는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을 확인하여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주요 내용들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지원체제들을 함께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의 전문교과 교사 역량을 분석·종합하였다. 분석 종합된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에 대한 타당화 검증을 위해 교육학 전문가 4인과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 6인에게 전문가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수정·보완된 역량을 교육의 필요성과 역량의 중요성으로 나누어 설문을 만든 후,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조사 조사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을 도출한 후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연수 프로그램에 따른 교육형태, 교육방법, 평가방법에 대한 문항을 함께 포함하여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끝으로 2차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로 구분하여 최종 10개의 전문교과 교사 대상의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NCS 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에 따라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사 대상의 역량기반 연수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일선 교육연수기관에서 실제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NCS-based curriculum is being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Meister high school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Vocational teachers’ competencies are essential in implementing NCS-based curriculum because they are performing vocational education in educational practic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amework of competency-based vocational teachers’ training program that is essential in implementing NCS-ba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first, vocational teachers’ competencie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Second, summarized competencies were reviewed and validated by four Ph.Ds majoring in education and six high school teache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 of NCS-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Third, the first round of survey was conducted with 25 high school teachers for the determining necessary and important competencies. Fourth, based on the findings from survey results, high priority competencies were used in developing initial vocational teachers’ training program contents. The second round of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validation of the initial program contents. In addition, preferred educational types and methods, evaluation methods were examined. Lastly, the final NCS-based vocational teachers’ training program was identified and the program has two versions according to the teach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actical resources for those who want to develop competency-bas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NCS-based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