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관련 경험과 인식

        홍정숙,구본재,김동원,안상권,우선주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관련 경험과 인식 내용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특수학교 교권침해 예방 및 교권 존중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최근 3년간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직·간접적인 교권침해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7명에게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전사 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3개의 범주, 7개의 주제와 36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범주는 ‘교권침해 주체와 유형’, ‘교권침해의 원인, 예방, 대처’, ‘교권침해 개선 방안’이었다. 이에 따른 7개의 주제는 ‘학생의 교권침해’, ‘학부모의 교권침해’, ‘교직원의 교권침해’, ‘교권침해 원인’, ‘교권침해 예방 노력과 대처 방식’, ‘학교문화 개선’, ‘제도 및 정책 개선’ 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교 교사의 교권침해 예방 및 교권 존중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th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infringe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ight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to make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to prevent an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7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over the past three years who had experienced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during that time. Results: Three categories were identified: 1) types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2) causes, prevention, and responses-regarding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3) improvement tasks. Seven themes were identified: student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parent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school manager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causes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efforts to prevent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response to such an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mprovement of school culture, and improvement of related system and policies. Conclusion: Implications for preventing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were suggested to respect teachers’ authority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 KCI등재

        교권침해 실태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학부모의 인식을 중심으로

        최선옥,염보아,황의갑 한국치안행정학회 2018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4 No.4

        This study attempted an exploratory study on violence against teachers. Violence against teachers have continued to increase in our society. Adding on previous research on violence against teachers by students, this study gave attention to the role and the perception of parents. Out of 449 press releases during the last three years with the key words "violence against teacher," 269 articles were collected and us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The results showed an interesting pattern that more violence against teachers were committed by parents than by students. As well, the analyses of online survey of 424 parent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howed that those parents who had higher perceptions of general violence against teachers in our society and schools were likely to had higher perceptions of provability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in the school where their children was associated. On the other hand, those parents who showed a higher evaluation of their schools expressed lower provability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Suggestions for the policy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이 연구는 교권침해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교권침해와 관련된 언론보도자료 분석과 이에 따른 학부모의 교권침해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권침해 가능 상황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 3년간 주요언론과 방송사 그리고 경기지역 종합신문에 보도된 교권침해 기사를 검색하였고 총 449건 중 269건이 ‘교권침해’나 ‘교권침해 보호’와 관련되었다. 그리고 경기도내 초・중・고등학교 95개교 각 1학급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체 424명 중 불성실한 응답 8명을 제외한 416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14년부터 언론보도 건수는 증가하고 있고, 2016년에 114건으로 전년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2017년에도 6월까지 49건이 보도되어 우리사회의 교권침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설문분석 결과에서도 학부모들 대다수가 우리사회의 교권침해가 ‘심각하다’고 인식한 반면에 자녀가 재학 중인 학교의 교권침해는 ‘심각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흥미로운 경향을 보였다. 학부모의 교권침해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생인권침해에 따른 교권침해 가능 상황‘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학생의 교권침해 가능상황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부모의 우리사회와 자녀 학교의 교권침해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과 학교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교권침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의 변화를 위한 정책대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 KCI우수등재

        포자모형을 적용한 교권보호 정책의 정책형성과정 분석 : 학생인권 정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홍수민(Sumin Hong),이승호(Seung-ho Lee)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3

        우리나라에서 ‘교권’에 관한 논의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교권에 대한 현재의 논의는 교권의 가장 소극적인 차원, 교사의 인권을 보호하거나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법적인 방지 조치를 다루는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교권을 바탕으로 우리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실제적이고 적극적인 탐색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권과 관련하여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는 ‘교권보호’라는 의제와 관련 정책이 설정되는 과정을 분석하며 그 이유를 밝혀보고자하였다. 특히 정책형성과정 모형 중 ‘포자모형’을 통해 교권보호 정책의 형성과정을 분석함으로써교권보호의 의제 설정 과정을 살피고 교권보호 정책이 학생인권 정책과 가지는 연관성과 이를 통한 변화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포자모형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상이하고 작은 힘을 가진 개인들’이 ‘하나의 영향력’을 행사하는과정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모델이다. 따라서 포자모형을 통해 교권과 관련된 의제가 형성되어가는과정을 분석하는 것은 교권 관련 정책으로서 제시되는 교원지위법이나 교권보호조례와 같은 정책형성의 원인과 과정을 더 세밀하게 드러내어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분석의 결과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도되는 제한적인 교권에 대한 논의와 정책의 원인은 바로, 교권이 교육과 교사의 본질적이고 적극적 역할을 수반하는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의제설정과정이 ‘학생인권조례’와같은 학생인권 정책에 대한 반동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Discussions on ‘teachers’ rights have been limited in our country. The current discussion of teacher’s rights remains at the most passive level, focused on the legal measure to protect teachers human rights or infringem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lacks a practical and active search on how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eacher s rights. In this regard, this study highlights ‘protection of teachers’ rights and the relevant policy making process focusing on the reason of the current passive discussion regarding teacher s rights. In particular, it studies the agenda building process for the protection of teachers rights by analyzing the relevant policy making process applying the Spore Model and analyz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udent s human rights policies and the teacher s rights protection policies. The spore model is suitable for explaining the process how individuals exercise their influence in a democratic society. Therefore, analyzing the agenda building process regarding teachers rights through a spore model further reveals the causes and the process of the policy making such as the Teachers Status Act and the Teacher s Rights Protection Ordinance. In this light, this study addresses the reason for the current limited discussion on teacher s rights in the Korean society, suggesting that even though teacher s rights entails active and fundamental role of education and teachers, the agenda was built as a reaction to the student s human rights policies such as Students’ Human Rights Ordinance .

      • KCI등재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경험과 개선 방안

        홍정숙 ( Hong Jeongsuk ),조정민 ( Cho Jungmin ),조정현 ( Cho Junghyun ),최광현 ( Choi Kwangh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 특수교사가 경험한 교권침해 실태와 지원 요구를 질적 연구를 통해 밝히고, 이를 토대로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개선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특수학급에 근무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직·간접적인 교권침해 경험이 있으며 그 정도가 보통 이상인 특수교사 19명에게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전사 자료를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3개의 범주, 8개의 주제와 42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범주는 ‘주체별 교권침해 유형’, ‘교권침해의 원인과 영향’, ‘교권침해 대처 실태 및 개선 방안’이었다. 이에 따른 8개의 주제는 학부모의 교권침해, 관리자의 교권침해, 교직원 및 보조인력의 교권침해, 학생의 교권침해, 교권침해의 원인, 교권침해의 부정적 영향, 교권침해 발생 시 대처 방식, 교권침해의 개선 방안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를 예방하고 교권침해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 및 개선 방안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to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s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regular schools with a class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ir need for support and (b) to suggests practical methods and policy proposals to reduce the infringement of special class teachers’ right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9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a special class who experienced infringement of their teachers’ rights directly or indirectly more than once in the past three years to a moderate or more severe extent. The interview transcription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41 sub-themes, 8 themes, and 3 categories were derived. Three theme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type of infringement, cause and effect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response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improvement measure. Eight sub-themes were further identified, including parent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school manager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other teachers’ or school staff’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student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causes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negative effect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response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improvement measure. Based on the analysis, we propose methods of how to prevent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regular schools with a special education class and reduce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 KCI등재

        교권(敎權) 관련 연구 동향 분석:최근 10년(2011-2020)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임정미(Im, Jeongmee),유기웅(Ryu, Ki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등재된 교권(敎權)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교권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술 논문 중 교권 관련 연구 총 77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시기별 분석을 사용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주제는 총 7개 대주제로 분류되었는데 그 중 교권의 개념, 교권에 대한 인식, 교권침해에 대한 연구가 전체의 74%를 차지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연구, 양적 연구, 질적 연구의 순으로 연구되었다. 연구대상은 교사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특히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시기별로는 2011년부터 매년 3~9편이 꾸준히 연구되었으며, 2020년에는 연구 논문 수가 16편으로 급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내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첫째, 연구주제 측면에서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 보장에 대한 연구 증가,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 연구 증가, 교권침해 분야에서 피해교원의 경험 위주의 연구, 교권에 대한 교육학 분야의 이론 연구가 부족하다. 둘째, 연구방법 측면에서 연구방법의 다원화 추세, 인식 연구의 양적 연구 편중화, 변인을 탐색하는 연구가 부족하다. 셋째, 연구대상 측면에서 교권 주체로서의 교원에 대한 외연의 확장, 특수교사의 교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헌법이론적 관점에서 초·중·고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의 제한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며, 정치적 기본권 제한이 교사의 정체성과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누리과정을 운영하는 보육교사의 자격요건을 강화하고 교권을 보호하기 위한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학 분야에서 교권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draws implication and identifie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teacher s right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teacher s rights and authority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year 2011 to 2020. For this purpose, content analysis was implemented through research theme,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 and analysis by time period on 77 total studies on teacher s right among academic paper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 themes were classified into seven main topics total and among the topics, 74% of the total were researched on the concept of teacher s rights, awareness of teacher s rights, and violation of teacher s rights. Literature review,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arried out in order as the research method. Studies on teachers were conducted the most as research subjects, and studies are increasing especially on child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As for the analysis by time period, 3~9 journals have been studied each year steadily since year 2011, in year 2020 the number of studies surged up to 16 journal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are discussed. First, in terms of research theme, studies increased in ensuring teacher s political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increased in awareness on teacher s right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also the studies are focused on teacher s experience of harm in the area of violation on teacher s right and there is shortage in theoretical studies of teacher s right in the field of education.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 there are diversification trend in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bias in research of awareness and lack of research exploring variables. Thir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expanding the exterior of teachers is necessary as they are the subject of teacher s right and studies are needed on teacher s righ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his study s conclusion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constitutional theory perspective, reconsideration of the restrictions on the political fundamental human righ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ies on the impact of teacher s identity and educational activities from the political fundamental human rights restriction are needed. Second, strengthen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childcare teachers who administers the Nuri curriculum and basic studies to protect the teacher s right are needed. Third, various studies on teacher s right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주요국의 교권 보호 방안에 대한 사례 연구

        홍신기(Hong, Sin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본 연구는 주요국의 교권을 회복하고 보호하려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권 보호 법령 관점에서 주요국의 경우는 교권 보호를 위한 단독입법보다는 교육법 내에서 조항을 규정하고 있고 개인의 기본권을 규정하는 법률 내용을 근거로 활용하고 있다. 교권 보호 정책 관점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교권보호 정책은 교실 내에서 이루어진 교사와 학생이 교육활동을 할 때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훈육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교권 보호와 교권 침해 현상은 복 합적 요인이 작용하여 상호작용적 접근, 사회-환경적 접근, 사회통제론적 이론 등의 여러 이론의 틀을 가지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교사와 학생의 강한 유대관계 형성이 교권 보호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교권 보호를 시사점으로는 교권 의 용어 규정과 교권 보호를 위한 조치를 보다 상세하게 규정하고 실행을 국가적 차원에서 실행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ases that major countries are trying to prevent and intervent violence against teachers at school. Internationally, the issue, violence against teachers, is recently raised many times. Also, the problem of lacking to teachers is in serious situation. In terms of enacted law and legislation, they usually do not enact law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only. They use law for regulate fundamental rights of people. In a sense of policy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there is one common characteristics that it is related to students behavior discipline. The result is that less controlled and managed classrooms are showed aggressive behaviors of its students. It can be understood by using various theory frames, because it is very complex and changeable. In this study, three theory frames are used: interactional perspective, social-ecology perspective, and social theory. As a result, relationship of teachers and students is very critical role for protecting teacher s rights and authori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government and legislature need to address more detail for preventing and dealing with violence against teachers at school, and to try in wide national level.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raised issues and suggested implications of policy and law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 `교권 보호 종합 대책`을 통해 본 유치원교사 교권보호 정책의 현황과 과제

        정소명,임지혜,이정욱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보호 정책의 근간이 되고 있는 `교권 보호 종합 대책(교육과학기술부, 2012)`에서 제시한 정책의 내용을 검토하고 유치원 교사의 교권보호를 위한 적용 가능성과 문제점, 그리고 향후 개선 방안을 진단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권 보호 종합 대책을 분석한 결과, 첫째, 교권 개념에 대한 협의가 요구되고 둘째, 학부모의 교권 침해에 대한 가중 처벌 정책을 적용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셋째, 피해 유치원 교사의 상담 · 치료, 법률 상담 등의 지원이 강화 되어야 하며 넷째, 유치원 교사 교권 침해 사례 은폐 방지 및 예방 강화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치원 교사를 고려한 교권보호를 위한 인프라 구축의 노력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앞으로 유치원 교사의 교권보호를 위해 유치원의 학교교권보호위원회 설치 규정에 대한 법적 명시, 교권보호를 위한 관리자의 책임감과 노력 요구, 유치원 교사의 정신 건강을 지원하는 제도 개선 및 교권지원센터 활용 방안 마련, 교권에 대한 교육 및 연수,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과제 및 시사점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양다경 ( Yang Dakyoung ),이연승 ( Lee Yeonse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유치원 교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 학부모를 대상으로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이해, 교권보장, 침해원인, 교권 확립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올바른 사회적 인식과 교권 확립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 학부모를 대상으로 질문지 200부를 배부하여 최종 15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권 의미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와 교권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며, 교권 보장 실태에 대한 인식 중 신분·재산권에 대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권침해 수준 및 원인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현재 교권침해 수준은 약간 침해받고 있다`에, 교사의 교권 확립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은 `교육현장을 고려하지 않은 국가의 교육정책` 에, 교사가 학부모로부터 교권을 침해받는 부분에 대해서는 `학부모의 부당한 요구나 간섭` 에 대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권 확립 대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교권보호를 위해 교사 스스로 노력해야 하며, 교권확립을 위한 제도마련이 필요하다` 에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form righteous social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uthority and establish strong authority in of itself by analyzing the parent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uthority, guarantee of authority, causes of infringement and establishment because parents have a great impact on kindergarten teacher`s` authority. To this end, this study gave a questionnaire survey to the parents of students attending kindergarten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15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suggested the following. First, the parents ha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for the meaning of a teacher`s authority and perception of teacher`s authority. In terms of guaranteed authority, they perceived a kindergarten teacher`s status and rights to property the most. Second,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ir authority is currently infringed to some extent` for the infringement of authority, and responded that the biggest factor hindering a teacher`s authority from being established is `the government`s educational policy that does not consider the actual state of the educational field`. In addition, the parents perceived that the teachers` authority is most infringed by `parents` unjust requests or interventions`. Third, the parents most perceived that `the teachers themselves have to try to protect their authority and a system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teacher`s authority.

      • KCI등재

        시민교육 관점에서 본 교권

        전윤경(Yungyeong J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글은 교권 침해 사건과 관련하여 교사는 교육주체가 맞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 교육의 전문성에 근거한 교권의 법적 성격을 논의하였다. 방법 교권 보호를 위한 교육 관련 법률의 입법 현황을 검토하고, 그 한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한계에 대해 ‘교권은 보호의 객체인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으며, 교권을 교육의 전문성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결과 논의 결과 최근의 교권 보호를 위한 입법은 교사의 법률상의 지위 혹은 권한을 강화하기 위한 입법 조치가 아니라 학생 및 학부모의 책임과 의무를 강화하는 소극적 입법 혹은 통제(의부 부과) 중심의 입법을 중심으로 교권 보호 목적을 달성하려 한다는 비판을 하였다. 교육의 전문성에 근거한 교사의 권리와 권한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결론 이에 따라 본 글은 시민교육의 관점에서 교사를 보호의 객체에서 교육의 전문성의 주체로 그 권한을 강화하고 존중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더 나아가 학생 인권과 교권이 충돌하는 가치가 아니라면 결국 교권 회복을 위한 최종적인 해결책은 민주적이고 인권친화적인 학교문화의 정착을 통해 학생 인권과 교권을 모두 보호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legal nature of teaching rights based on educational ex-pertise and to discuss ways to restore teaching rights from a civic education perspective. Methods For this purpose, reviewed the legislative status of education-related laws to protect teaching rights and analyzed their limitations. Regarding its limitations, the question was raised, ‘Is teaching authority an object of protection?’ In addition, teaching authority wa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expertise. Results As a result, the recent legislation to protect teaching rights was seen as a passive legislation that strengthens the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of students and parents, rather than a legislative measure to strengthen the legal status or authority of teachers. Conclusions Accordingly, from the perspective of civic education, this article strengthens the authority and au-thority of teachers from objects of protection to subjects of educational expertise, and emphasizes the establish-ment of a democratic and human rights-friendly school culture.

      • 예비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연구

        채윤정(Yoon Jung Chae),이지희(Ji Hee Lee) 한국교육정치학회 2023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교사양성과정에서 교권 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Q방법론을 통해 얻은 교권과 교권침해에 관한 표본을 PQ Method 2.3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는 교권을 추상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권침해는 미디어를 통해 처음 접했다고 할 만큼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권은 전문성과 도덕성을 기반으로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학생 인권과의 조화로운 균형이 필요하며,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교권 보호가 법제화를 통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비교사는 실제 교육 현장을 경험해보지 못하여 교권 및 교권침해에 대한 인식이 현실과 상이할 수 있어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권을 행사하거나 교권침해를 경험했을 때 대처방안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교원양성과정에서 예비교사에게 교권과 관련된 교육은 교권의 명확한 개념을 인식하고, 교권침해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지향해야 하며, 교권과 학생 인권의 조화로운 균형을 통한 인권친화적인 학교문화를 만들어 가기 위해 인권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teachers’ rights and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Using the Q-methodology, a sample of opinions on teachers’ rights and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was obtained and analyzed using the PQ Method 2.35 program. The aim w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authority education within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 analysis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tend to perceive teachers’ rights in an abstract manner.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ir awareness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s limited, to the extent that it could be attributed to their initial exposure to media. Meanwhile, teachers’ rights are perceived to be exerted based on professionalism and ethics. It is recognized that a harmonious balance with students’ human rights is necessary, and there is a perceived need for the systematic legalization of teachers’ rights protec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may have a perception of teachers’ rights and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that differs from reality due to their lack of experience in actual educational fiel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educate pre-service teachers on how to handle teachers’ rights and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when experienced in real educational field. Additionally, it is proposed that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creating a rights-friendly school culture through a harmonious balance between teaching rights and students human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