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어에서 동사부정형의 자소표기

        유시택 한국독어학회 2019 독어학 Vol.40 No.-

        자소 상 –geln (segeln), -dern (rudern)으로 끝나는 부정형이 있음에 반해 –heln, -hern으로 끝나는 부정형은 없다. 부정형에 이런 공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언급한 연구는 여태까지 없다. 이 논문은 왜 이런 대조가 존재하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2, 3인칭 동사 형태가 2음절이 되는 경우는 공명도 때문 이거나 동일자음 회피를 위한 경우에만 가능하다. 그렇지 않다면 2, 3인칭 동사 형태는 모두 1음절이 어야 한다. 그런데 <h+e+공명음>으로 끝나는 어간이 –t, -st와 결합할 때는 이 중에 어떤 경우에도 해 당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2음절이 된다. 그것은 자음 <h>가 다음에 성절성 공명음이 올 수 없도록 해야 하는데 (따라서 새로운 음절이 생길 수 없게 해야 하는데) 뒤따르는 <el>은 성절성 공명음이 <h> 다음에 올 수 밖에 없게 하기 때문이다. 정서법이 스스로 모순된 요구를 보이는 <hel>은 따라서 당연 히 자소표기에 나타날 수 없다. 절대적인 비문법성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자소론 연구는 자소 <h>가 음절을 분리하거나 앞 모음을 장모음으로 발음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만 강조하고 있 다. 그러나 <h>는 이 기능뿐만 아니라 뒤따르는 공명음이 비성절성 공명음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중요 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Im Deutschen existiert keine Verbinfinitivform, deren graphematische Repräsentation auf –heln, -hern endet, während die Infinitivformen auf –geln (segeln), -dern (rudern) zugelassen sind. In der Forschung zur Graphematik bleibt bisher dieser Kontrast ungeklärt. Die vorliegende Arbeit ist der erste Versuch, eine Antwort auf die Frage zu liefern, warum ein Infinitiv wie <maheln> ein Beispiel für absolute Ungrammtikalität darstellt. Die Flexionsformen für 2. und 3. Person im Verb müssen einsilbig sein bis auf zwei Fälle: (i) wenn sich die stammauslautenden Konsonanten und die darauf folgenden Verbendungen nicht innerhalb einer Silbe silbifizieren lassen, (ii) wenn der Verbstamm auf /d/ oder /t/ endet. In diesen Fällen sind die Verbformen für 2. und 3. Person (Singular, Präsens, Indikativ) zweisilbig. Flexionsformen für 2. und 3. Person, die durch die Verbindung einer stammauslautenden Graphemfolge <heSon> und der Verbendungen –st und – t erzeugt werden, sind zweisilbig, obwohl diese Formen keine der beiden oben genannten Bedingungen erfüllen. Dies ist auf die kontradiktorischen Forderungen einer Graphemsequenz <heSon> zurückzuführen. Das Graphem <h> in der Folge <h+Son> erzwingt nämlich die unsilbische Realisierung von einem folgenden Sonoranten. Die Folge <e+Son> muss andererseits als ein silbischer Sonorant realisiert werden. Eine Graphemfolge wie <h+e+Son>, in der zwei konfligierende Bedingungen gleichzeitig erfüllt werden sollen, ist daher ausgeschlossen. Sie stellt einen Fall der absoluten Ungrammatikalität dar.

      • KCI등재

        러시아어 유음의 음운적 특성 연구

        김신효(Kim, Shin Hy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1

        유음(liquid)은 자음과 모음의 자질을 모두 공유하고 있다. 즉 폐쇄음(stop)을 발음할 때와 같이 설단이 치경과 접촉하는가 하면 모음을 발성할 때와 같이 공기가 큰 마찰을 하지 않고 자유롭게 흘러가게 된다. 러시아어 유음 /l/, /r/은 [+consonant]자질 값을 가진다는 점에서 자음과 공통점이 있고, [+sonorant]자질 값을 가진다는 점에서 모음과 공통점이 있는 공명 자음이다. 공명도 서열 상 전이음(glide) 다음으로 높은 자음이면서 조음자는 [coronal]에 속하는 설정음이다. 유음이 가지는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장애음과는 다른 음운적 특성을 가지며, 공명음 부류 내에서도 비음(nasal)과 음운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유음 /l/과 /r/은 공통점도 많지만 서로 다른 음운적 특성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유음이 유성성 동화와 어말무성음화 현상에서는 장애음과 차이를 보이고 연자음성동화에서는 설정성(coronal)으로 인해 연구개음(Velar)이나 순음(Labial)에 비해 쉽게 동화되며 공명음 부류 중에서 비음 /m/과도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음 음소배열에서는 음절 두음에서의 4자음결합, 3자음 결합, 2자음 결합 등에서 음절 두음의 마지막 분절음이나 음절 말음의 첫 분절음 출현 빈도에서 다른 자음들과 월등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유음은 [+sonorant]자질 값을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무성음+유음/l/, 무성음+유음/r/, 유음/l/+무성음, 유음/r/+무성음 등 2자음 결합에서 후행 무성음에 무성음화 되지도 않고, 선행하는 다른 무성음을 유성음화 시키지도 않는다. 그리고 무성음+유음/l/+유성음, 무성음+유음/r/+유성음, 유성음+유음/l/+무성음, 유성음+유음/r/+무성음 등 3자음 결합에서 유음은 자신의 유성성(voice)을 선행하는 무성음에 전파하지 않고 후행하는 자음의 유성성을 선행하는 자음에 투명(transparent)하게 전파한다. 그리고 유음이 [+sonorant] 값을 가지기 때문에 유성성 자질 값이 미명시([0voice])되어 어말유성성 중화의 목표음(target)이 될 수 없다. 또한 유음이 속해있는 설정음이 연구개음이나 순음에 비해 연자음성 동화 적용 서열이 낮기 때문에 후행하는 연자음에 가장 활발하게 연자음화되고 선행하는 자음들의 경연자음성을 동화시키는데는 가장 소극적이다. 특히 이화현상에서는 유음이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분절음이다. 또한 유음 /r/과 /l/은 자음 중 전이음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 공명도를 가지므로 공명도 연쇄원리를 준수하는 음절의 경우 음절 핵(nuclear)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게 되고 음절 두음의 마지막 분절음이나 음절 말음의 첫 분절음이 되는 빈도가 높다, 그리고 원시슬라브어(Proto-Slavic)에서 중위후설모음(mid-back vowel)을 뒤따르는 유음은 *#oLC연쇄를 형성하고 이 연쇄 중에서 많은 경우 현대러시아어에서 음위전환(metathesis)되어지며 어중 위치(medial position)에서 예르(jer)가 현대러시아어에서는 유음-모음 연쇄로 보존되어지는 통시적 특성을 가지는 자음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음은 공명음인 동시에 설정음이며 공명도가 높은 자음이라는 사실 때문에 다른 자음들과는 다른 음운적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유음 /r/과 /l/도 연자음성 동화에서는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가진다.

      • KCI등재

        김영랑의 시 「모란이 피기까지는」의 음상적 특징 분석

        장보미(Jang, Bo?mi)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7

        김영랑의 시는 음악성을 함유한다. 음악이 소리를 전제하고, 그 소리들이 의미의 전개를 야기하듯이 시어는 그것이 함유하고 있는 음성적 효과를 통해 시어의 의미 전개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지금까지 김영랑 시의 리듬은 대체로 시의 형식 측면에서 연구되었다. 시의 음악성을 밝히기 위해 시어의 길고 짧음과 같음, 반복 및 일정한 휴지가 제시되었는데, 시의 다채로운 면모를 밝히기에는 제한적인 것이었다. 소리와 의미의 기표로서 시어를 분석하는 과정은 낭독을 통한 청각적 효과와 의미의 환기, 재발화를 통한 의미의 확산이 실질적으로 시의 가치를 확인하는 의미 있는 활동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형식과 의미의 결합으로서의 시어의 소리 결합과 그것의 리듬 체계를 언술함으로써 시의 가치를 탐구하려 한다. 본 글은 현대시의 리듬을 규명하기 위한 지표로서 음상적 특징을 시 분석에 활용한다. 음상(音相)은 소리의 차이로 말미암은 어감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시의 각 분절과 구조, 주제의 성격을 가늠하는 단서가 된다. 한 편의 시를 장악하는 음상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화자의 감정과 호흡의 짜임과 함께 시의 리듬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 시의 음성적 특징, 음상 분석은 하나의 발화로서의 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단위의 분석이 된다. 이러한 논지를 뒷받침하는 예로 본문에서는 ?모란이 피기까지는?을 분석한다. 각각 공명음과 장애음의 계열로 구성된 두 개의 동심원은 시의 분절마다 다른 배합으로, 이미지와 감각으로서의 분위기를 형성한다. 이 시에서는 공명음을 기본 단위로 하여 장애음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화자의 호흡과 긴장의 정도가 달라진다. 두 개의 동심원으로 표현된 음성적 자질들의 배합이 주제 표현을 위한 의미 형성을 돕는 것이다. 시적 언어의 형식으로서 음성적 자질들은 의미 자질을 내포한다. 소리를 전제한 시어는 청각적 요건뿐만이 아니라 주제를 구현하기 위한 위치와 의미 자질을 전제한다. 이 점에서 시를 지배하는 의미의 최소 단위로서의 음상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 흐름으로서의 시의 리듬을 밝히는 실마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a rhythm is combination of meaning and form in Kim yeong-rang’s poem. When we consider the process of poetic diction"s vocalization, sound feature is the key to determine rhythm that controls over poem’s meaning and tone. The previous discussions noted a foot for sense of stability while reciting a poem. That means harmonious auditory characteristic makes a poetic beauty, but the balance of sound is not everything in poem’s musicality. Sounds, basic elements of a subject in a poem, are designated in their own places not separating form and meaning. Especially, the harmony of sound is not the only way to create poetic esthetic in the modern poetry. Thus, previous theories have a limitation that cannot be to analyze the whole structure of a poem. Till the peonies bloom produces a rhythm through the placement of sonorant and obstruent. Sonorant makes a soft sound with positive vowel harmony. In contrast, Obstruent produces grave sound with passive vowel harmony. Poetic languages obtain sound images depending on sound characters. Similarly, every sound image is connected with other senses and meaning structure. For that reason, the poetic narrator’s dictions express his emotion. In Till the peonies bloom, both sonorant and obstruent comprising its structures interact each other. In last line, two sounds are mixed and combined with their sound images for realize main topic. In this poem, two different sounds make the narrator’s breath. Arrangement of sonorant shows the mellow stream, and that of obstruents display fast breathe. The gradual flow of aspiration is based on a lot of nasal and liquid sound in poetic diction. In contrast, rough curve is based on aspirated consonant, tense consonant which are belonged to obstruents. Two sound streams control the poem’s mood depending on sound frequency. Among these curves, first line and last line have a similar syntax. The Last one expands a meaning of first by removing the boundary of seasonal circulation, beauty and sadness. Poetic narrator gets a maturation of consciousness trough that meaning expansion. An echo symptom is originated in rhythm of verse. Not a simple repetition but producing difference, makes for the second articulation according to comprehension of poetic symbol. A result of this thesis is the new condition of rhythm. The two concentric circles create an aesthetic value depending on fusion of content and form. Sonorant"s circle and obstruent’s circle make upsurge of sentiment and tension of breathing in this poem. Rhythm is not a perfect means of analyzing musical form in the poem. In process of poetic creation, sound image, sense, progression of meaning, and topic determinate placement of phonemes. So, rhythm is not an accent or a beat. Therefore, sound qualification which reflects meaning and structure is the new way of analyzing rhythm. That is the main thrust of this study.

      • KCI등재

        유ㆍ무성 자음으로의 동화현상에 있어서 /v,v'/와 공명음의 특성

        유승남(Yoo Seung-Nam)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3 슬라브학보 Vol.18 No.1

        Russian voicing assimilation is usually regressive, with the voicing of obstruent clusters conditioned by the final obstruent in the chain. However voiced labials /v, v'/ have special status in the assimilation. They behave as sonorant when they occur before a vowel or sonorant consonant. but as obstruent in other position. They are devoiced finally and before a voiceless obstruent. but they fail to trigger voicing assimilation. More interesting thing about them is they permit assimilation to propagate across them. To explain their split behavior Hayes derived Ivl from underlying Iwl and set several rules to get correct surface form. The sonorant consonants also fail to trigger voicing assimilation. Jakobson asserts that sonorants play no role in the voicing assimilation. He states that an initial obstruent in an Obstruent + Sonorant + Obstruent cluster assimilates to the final obstruent as if there were no intervening sonorant. Many scholars. however, say that assimilation across sonorant does not happen and only some of scholars say that is the alternative pronunciation. The application of voicing assimilation across sonorant consonants ought to cross association line to be crossed. This is a serious violation of the basic principles of autosegmental phonology. The transparency of Russian sonorants with respect to voicing assimilation is explained, if we assume that sonorants do not have a value for voice specified in the lexicon. Since they do not possess such a feature. association lines do not cross when final obstruent in the cluster spreads it's voicing feature to the initial obstruent across the sonorant in the middle. In surface representation. however. every sonorant must possess 〔+voiced〕 value. For this. it is resonable to provide 〔+voiced〕 value to lexically unspecified sonorants after all process of derivation is finished.

      • KCI등재

        능동 소음 제어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타이어 공명음의 저감

        백지선,유진환,이상권,윤영삼,이재훈,염기호,황성욱 한국자동차공학회 2022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30 No.10

        This study proposesa new method for active noise cancellation(ANC) of cavity noise of a tire. A general method for ANC of road noise is to use several accelerometers for acquirement of reference signals. Cavity noise of tire is caused by the resonance of tire cavity mode. Resonance frequencies of tire cavity are determined by the cavity structure of tire. Therefore, harmonic sinusoidal signals can be used for reference signals. However,resonance frequencies could be varied due to small change of tire cavity during driving of a car. For the overcome of this variation, adaptive filter of ANC system was designed and applied to the ANC of a cavity noise. The proposed method didnot need accelerometers for the ANC of cavity noise and practically was applied to the ANC of cavity noise of a tire in a car. Cavity noise of a test was attenuated to 3-5dBA and effect of reduction was similar to passive method like resonant type tire.

      • KCI등재

        인가 제약에 의한 러시아어 /v/의 정체성 연구

        김신효(Kim Shin Hy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2

        러시아어의 대표적 자음관련 음운 현상 중 하나인 유무성 자음 동화는 자음이 인접한 환경에서만 발생 가능하고 원칙적으로 인접자음을 건너뛰고 동화 현상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sonorant] 자질 값을 가지는 공명자음 /m/,/n/, /l/, /r/, /j/와 환경에 따라 [+sonorant] 또는 [-sonorant] 값을 가지는 /v/는 규칙의 촉발음(trigger)과 대상음(target) 사이에 인접하더라도 음운 현상에 참여하지 않고 오히려 원거리에 있는 자음이 음운 현상에 참여하는 예가 발생한다. 미명시이론(Underspecification Theory)에 의한 분석에서는 공명자음들과 /v/가 장애음 무리 사이에 오는 경우 [voice] 자질 값을 미명시하고 투명성 효과(transparency effects)로 설명하여 양자 간의 차이를 알 수 없다. 그렇지만 환경에 따라 [+sonorant] 또는 [-sonorant] 값을 가지는 /v/의 정체성은 [+sonorant] 자질 값을 가지는 다른 공명자음과 차이가 있다. 인가제약(Licensing)에 의한 분석에서는 공명자음(/m, n, l, r, j/)들은 SonVOI와 LICENSE 제약의 위계, NasVOI와 LICENSE 제약의 위계에 따라 유성성([voice]) 미명시 여부가 달라지고 최적형이 상이하게 도출된다. 반면 /v/는 무성자음([-voice])+/v/의 자음무리인 /sverx/ → [sverx]의 경우에만 Son VOI ≫ LICENSE 제약 위계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즉, 유성자음([+voice])+/v/의 자음무리인/zver’/ → [zver’], 유성자음([+voice])+/v/+무성자음([-voice])의 자음무리인/bez vtoroj/ → [bes ftoroj], 무성자음([-voice])+/v/+유성자음([+voice])의 자음무리인 /s vdovoj/ → [z vdovoj]는 제약 위계가 LICENSE ≫ Son VOI 이든, Son VOI ≫ LICENSE 이든 옳은 형태를 도출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인가제약에 의한 분석을 통해 /v/는 다른 공명자음들과 구별되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힐 수 있다. 또한 /v/가 어말이나 무성자음 앞에서 무성음화되는 장애음의 특성과 동화 현상을 촉발시키지는 못한다는 공명음적 특성 모두를 가진다는 정의에 설득력을 부가할 수 있다.

      • KCI등재

        The Phonological Status of Russian v reconsidered

        유승만 한국러시아문학회 2004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15 No.-

        러시아어 v는 러시아어의 대표적인 음운 현상 중의 하나인 유성동화의 대상이 될 경우에는 다른 장애음들과 같이 유성 동화의 영향을 받는 반면, 유성 동화를 촉발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 공명음들과 같이 유성 동화를 촉발하지 않는 특이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러시아어 v의 음운론적 위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고찰하고, 그 장점들과 단점들을 적시한 후, 러시아어의 v는 전통적인 러시아 문법에서 주장되어 온 바와 같이 러시아 음운 체계 내에 순치마찰음으로 정의되어야 함을 보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전의 연구들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되어질 수 있다. 첫째, 전통적인 러시아 문법은 러시아어 /v/를 순치마찰음으로 분류하고 있다. 둘째, 러시아 역사 언어학 또는 방언학에 근거한 주장들은 러시아어 /v/가 유음인 /w/에서 몇 가지 규칙에 의해 도출되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셋째, 러시아어 /v/는 좀 더 엄밀하게 말해 /ʋ̝/라고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상기한 세 가지 견해 중, 본 논문에서 동의하고 논의를 진척시키고자 하는 견해는, 러시아어 /v/는 전통 문법에서 다루고 있는 바와 같이 순치 마찰음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러시아어 /v/의 음성학적 자질들에 대한 연구 데이터들을 살펴보면, 러시아어의 /v/가 다른 장애음들과 달리 특이한 현상을 보이는 것은 그것이 가진 자연적인 음성학적 특징 때문이고, 그것을 음운론의 영역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는 옳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러시아어 /v/를 순치 마찰음으로 분류하는 것은 이론적 측면 뿐 아니라, 언어 교육적 측면에서도 간단한 음운 체계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에게 보다 나은 학습 효과를 낳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영어 폐쇄음-공명음 연쇄에 대한 한국인의 발음오류 및 발음지도 효과

        조현관 ( Hyeon Kwan Cho ),김성희 ( Seong Hee K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한국어 음운론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한국인 학습자들의 영어발음 오류들을 조사하고 다음으로 그러한 오류들에 대한 명시적 발음교육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고에서 실시한 음성분석의 초점은 폐쇄음-공명음 연쇄에 대한 발음 분석이다. 폐쇄음-공명음 연쇄는 폐쇄음-비음, 폐쇄음-유음, 폐쇄음-활음과 같이 세 가지 종류의 연쇄를 말한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발음교육 이전의 한국인 피실험자들은 모국어 음운론의 부정적 전이에 의해 폐쇄음 비음화와 폐쇄음 유성음화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그들에게 일정기간의 발음교육을 실시한 결과, 비록 원어민과 동일한 수준의 발음을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교육 이전 단계와 대비하여 폐쇄음 비음화와 폐쇄음 유음화의 빈도수가 상당히 감소된 것으로 보아 그들의 발음이 상당한 정도로 향상되었음이 증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nglish pronunciation errors of Korean learners caused by interference of Korean phonology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xplicit teaching method on correcting those errors. The focus of our acoustic analysis is the pronunciations of English stop-sonorant sequences which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stop-nasal, stop-liquid, stop-glide. Prior to the instruction, it was revealed that Koreans showed extensive degree of stop nasalization and voicing which were motivated by the negative interference of their native phonology. In contrast, they could improved their pronunciations of stop-sonorant sequences by reducing the rate of nasalization and voicing drastically after taking pronunciation instructio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KCI등재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한 제언

        엄홍준(Um, Hong-joon)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8 No.-

        이 글은 한국어의 음절 구조와 영어의 음절 구조가 상이하여 발생하는 표기법의 문제에 대해서 논의한다. 한국어에서는 음절초와 음절말에 자음군을 허용하지 않는 반면에 영어에서는 가능하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영어에서 온 외래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데에 여러 문제가 노정된다. 이러한 문제 중에서 우리는 유음과 비음 연속체의 표기와 장애음과 공명음 연속체의 표기에 대해 집중한다. 첫 번째의 경우는 그 연속체가 음절 자음이 되느냐의 여부와 상관없이 자음군 사이에 ‘으’를 삽입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두 번째 경우, 이것은 음절 자음이 되는 연속체의 경우인데, 역시 자음군 사이에 ‘으’를 넣어야 한다고 제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some difficulties in orthography due to the discrepancy of the syllabic structure between Korean and English. Consonant clusters are not permitted in the places of the onset and coda of a syllable in Korean while they are in English. The difference between two languages exposes some problems in transcribing English loanwords into Hangeul, the Korean Alphabet. Among these problems, we are mainly concerned with the sequence of liquid and nasal consonants, and obstuent and sonorant consonants. It is suggested that [?] should be inserted between liquids and nasals, irrespective of becoming the syllabic consonant, and that in the case of the sequences of the obstuents and liquids, whose sequences usually become the syllabic consonant, [?] is put between the sequences, t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