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임직원의 조직 내 이문화 적응과정에서의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미경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미래교육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임직원들이 국내 조직에서 경험하는 이문화와 이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경험의 장면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애 국내 조직에서 다양한 문화 차이를 경험한 세 사람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그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참여자들과 면담을 진행했으며, 이들이 경험한 주요한 이문화와 성찰적 경험들을 듣고 분석했다. 면담을 통해 한국으로 오게 된 과정과 한국에서의 일 경험 속에서 적응과 학습의 과정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에게 한국에서의 일 경험을 알 수 있는 기회는 우연하게 주어졌다. 그러나 그들이 한국으로 이끌린 내면에는 글로벌 인재 확보를 중시하는 사회적 상황에 따른 시대적 요구, 장기적 경력개발의 디딤돌로서 국제적인 일 경험에 대한 개인적 동기, 그리고 한국 문화에 대한 정서적 호감이 영향을 준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일터에 진입하면서부터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경험했다. 조직 내에서 경직된 위계질서, 업무 처리 방식 등의 업무 문화 차이와 한국의 정 문화,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소외, 의사소통 표현의 차이 등의 업무 외에서의 문화 차이를 경험했다. 참여자들은 단순한 업무와 한국어 습득뿐만 아니라 동료와 상사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름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일터에서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 가고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 모두 외국인 임직원에 대한 더욱 특성화된 교육제도와 경력개발제도 등의 조직적 관리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조직 차원의 관리제도가 그들의 수월한 적응과 학습을 위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외국인 임직원이 일터의 이문화 적응 과정에서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은 학습으로 이어졌다. 일을 함으로써 한국말을 익히고 업무의 범위와 소속감도 함께 커진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터에서 구성원들과의 지속적인 참여와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소통적 학습을 경험했다. 또한 이문화 적응 과정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재인식하고 이문화를 바라보는 자신의 내부 시각을 성찰할 수 있었다. 다른 업무, 다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역할에 대한 인식과 다양성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총체적인 전망을 키워나갔다. 연구 참여자들은 조직 내에서 경험한 다양한 문화 차이에 단순한 동화가 아닌 통합의 관점으로 적응하고 학습하며 글로벌 인적자원으로서 한 단계 더 성숙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ways foreign employees adapt to different culture and learn in the workplace. The following have been asked to see what kinds of different culture foreign employees experience and how they adjust and learn in workplace in Korea. First of all, what brought the foreign employees to work in Korea? Second, what kinds of cultural differences do foreign employees experience in their new workplace? Third, how they adjust and learn while they work in Korea? To analyze the adjustment and learning experiences of foreign employees in Korea, three foreign employees were selected. Through interviewing three foreign employees working in Korea, their experiences have been coll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terviewees have different background to come to Korea but have a thing in common. They came to Korea for personal reasons to have international career experiences. They have gained not only the knowledge and skills in their career but also have gained good relationships and the skills to adjust to new different culture. Secondly, they experience a variety of different culture while they are working in the workplace in Korea. Once is a business cultural difference such as an uncomfortable hierarchical social structure and business process and the other is non-business cultural disparity such as Korean' s affection culture and prejudice, alienation to foreign employees and communication distinction. Other than simple tasks and learning Korean language, the participants have understood the dissimilarity and led their life independently through an interaction with their colleagues and superiors. In addition, they insist that setting up organized management plans like characterized learning system and career development plan for foreign employees is essential. Also it is found that the management and development system will be led to their initial settlement smoothly in Korea and learning the cultural differences. Lastly, when they get used to the cultural differences at workplaces, the interaction with colleagues has led to learning. By working at their workplaces, they learn Korean language and enhance their work scopes and sense of belonging. The experience via introspective thought will be kept in their minds as knowledge. In other words, the foreign employees have acquired communicational learning going by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reciprocal action with other members. Furthermor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ey have recognized their roles again and taken some time for introspection with regards to their internal perception. By doing so, they develop their overall prospects in order to see their new roles and diversities. These factors which are limitation and agitation that the foreign employees felt within Korea's workplace become the growth element and they secure their career development on their own. They adapt themselves to the organization as a united standpoint not a simple assimilation and they grow to maturity as global human resources. Also this study brings significant implication in business perspective. The company that hires foreign employees should try to have better cross-cultural training, career development plans, and etc. for the better adjustment and learning for the foreign employees.

      • KCI등재

        대학생의 마음챙김 요가 과정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손강숙(Shon, Kang-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마음챙김 요가 과정 경험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마음챙김 요가 시작 시 경험은 어떠한 가? 둘째, 대학생의 마음챙김 요가 중간 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의 마음챙김 요가 이후 일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음 챙김 요가 경험이 있는 대학생 12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에 인터뷰를 실시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CQR)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대학생의 마음챙김 요가 경험의 과정과 관련하여 10개 영역, 29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마음챙김 요가 시작 시 경험에서 신체적 경험, 인지적 경험, 정서적 경험의 3개 영역과 10개 범주를 도출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마음챙김 요가 중기 경험에서 신체적 경험, 인지적 경험, 정서적 경험의 3 개 영역과 8개 범주를 도출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마음챙김 요가 경험이 일상에 미친 영향에서 신체적 영향, 인지적 영향, 정서적 영향, 일상에의 적용의 4개 영역과 11 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이 경험한 마음챙김 요가의 적용과 이를 활용한 상담 및 교육 지원에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mindfulness yoga process of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arly stage experience of mindfulness yoga in college students? Second, what is the mid-term experience of mindfulness yoga in college students? Third, what is the effect of daily life after college students mindfulness yog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mindfulness yoga in September 2018 , and data were analyzed by CQR.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there were 10 domains and 29 categories related to the process of mindfulness yoga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early stage experience of mindfulness yoga in college students, 3 domains(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experience) and 10 categories were derived. Second, from the mid-term experience of mindfulness yoga in college students, 3 domains(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experience) and 8 categories were derived. Third, from the effect of daily life after college students mindfulness yoga, 4 domains(physical, cognitive, emotional, and applications in daily life) and 11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apply mindfulness yoga to college student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counseling and education support using mindfulness yoga.

      • KCI등재

        출소자의 취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조희원,도광조 한국교정복지학회 2014 교정복지연구 Vol.- No.32

        본 연구는 출소자들을 사회적 약자로 인정하며, 그들을 취업취약계층으로 바라보고, 출소 후 사회적응과정과 취업과정에서 겪는 경험의 내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 복지적 실천과제를 고찰 하고자 시작되었다. 연구 목적은 출소자의 취업 경험을 통해 출소자로서 취업자의 특성과 노동시장에서의 경험, 사회적 역할 수행 과 대처를 포함한 총체적인 취업경험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향후 출소자들의 취업을 지원․유지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과 서비스계획을 모색 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출소자의 취업 경험은 어떠한가?’ 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사회 복지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소자 취업지원 전체과정에서 체계적인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출소자전문취업지원센터(가칭)을 설립하여 출소자의 취업 전체과정을 사례관리 할 수 있는 공공 전달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출소자 취업지원 전문 인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출소자를 재활 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전문화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보다 현실적인 직업훈련프로그램지원이다. 실 전에서 무용지물이 되어 버리는 자격증을 양적으로 많이 지원하기 보다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현장전문가 양성을 위한 현장교육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취업경험이 부족한 출소자들에게 가교역할을 할 수 있는 직장체 험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현재 협력업체라고 하는 아웃소싱업체와는 차별화된 방법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출소자 가족지원 사업이 필요하다. 가족들이 가교역할을 담당하여, 출소자들이 재범을 하 지 않고 조기 사회정착 할 수 있도록 출소자 가족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여섯째, 출소자에 대한 범사회적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정부차원에서 공익광고 영상물을 제작하여 대중매체를 통해 알림으로서 대국 민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 질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소자의 취업경험은 어떠한가? 출소자들에게 취업과 정은 단절되었던 사회와 경제적으로 절박한 현실을 인식하게 해준 계기이며, 불안한 고용과 특별한 신분 때문 에 다양한 양가감정이 교차 하지만, 취업을 통하여 새 출발의 기회를 엿 볼 수 있었고 변화된 삶의 주체로 미 래를 준비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6명의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경험에 의거 재구성한 질적 연구로서 모든 출소자들의 취업경험에 대한 일반화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향후, 출소자의 취업경험을 보다 다양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범죄의 유 형, 형기, 나이, 성별 등으로 좀 더 세분화 하여 출소자 취업 경험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출소자들의 취업을 지원․유지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과 서비스계획 을 모색하는데 기초연구로 활용될 것을 조심스럽게 기대한다. This study began as an effort to examine social welfare related practical tasks on the basis of the recognition of released prisoners as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the view of them as a poor employment clas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nal sides of their experiences in the course of social adjustment and employment after relea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eply investigate released prisoners’overall employment experiences including their characteristics, their experiences in labor market, and their performance of and coping with socialroles, and then to grope for political measures and service plans for supporting and maintaining their employment in future. The research question for attaining this goal is "how are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experiences?"The social welfare related implicatio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ystematic case management is necessary over the entire course of support for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It is necessary to found the Center Specialized for Supporting Released Prisoners (tentative name) for establishing a public delivery system that can case-manage the entire course of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Second, construction of a system of personnel specialized for released prisoners’employment is needed. A specialized therapeutic approach is needed with which released prisoners are taken to be subjects of rehabilitation. Third, more realistic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Rather than quantitatively numerous supports for licenses that would be useless in actual scenes, field-educational supports for fostering field experts in terms of ‘selection and focusing’ are needed.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leased prisoners having insufficient employment experiences with opportunities of on-the-job experiences that can play a bridge role for them. This should be executed in a discriminated way that the current outsourced agencies called cooperative agents are adopting. Fifth, supports for released prisoners’families are needed. Along with their families playing a bridge role, systematic supports are required to enable released prisoners’ early settlement without second conviction. Sixth, entire society’s change of attitude toward released prisoners is needed. The government needs to change people’s attitude toward released prisoners by producing public advertisement films and using mass media. The answer to the research question "how are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experiences?" is as follows. The course of their employment is a momentum for the released prisoners to recognize unconnected society and desperate economic reality. Though they had ambivalent feelings due to their unstable employment and special status, they were able to have potential chances of new beginning and be prepared for future as subjects of changed lives. As a qualitative study reconstructed from the experiences reported by the 6 participants, this study might have some limitations in the generalization of all the release prisoners’ employment experiences. In order to understand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experiences more diversely in future, subsequent research on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is needed to be carried out by more elaborate categorization of crime types, duration of imprisonment, age, gender etc. Lastly, I carefully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be used as a basis for groping for political measures and service plans with which released prisoners’employment can be supported and maintained.

      • KCI등재

        제품 및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평가 요소에 관한 실증적 비교 연구

        진윤호,조광수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2 No.3

        본 연구는 현대 소비자들이 물질적 소비에서 체험적 소비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소비자의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은 만족도, 충성도, 구전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기업의- 358 - 흥망성쇠에도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제품과 서비스의사용자 경험 과정이 다르다는 것을 쉽게 구별할 수 있지만, 정량적 방식으로 둘을 연구한 경우는 거의 없으며, 소수의 연구에서도 연구자들이 선택한 실증 비교 대상이매우 임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과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평가 요소의 구성을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우선 제품과 서비스의 각 방면의 차이를정성적으로 토론하고, 제품과 서비스가 사용자 경험의평가 요소의 중요성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그 후 PSS 개념이 도입되어 제품과 서비스간의 비교가 가능하다는 것을 정성적으로 논증한다. 다음으로 정량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각각 대표할 수 있는 실증적 자극물을 과학적으로 추출하여 향후 관련 연구자들에게 방법적 참고를 제공한다. 그 후 이론적 고찰과 해석적 뿌리 이론을 통해18개의 사용자 경험 요인을 정성적으로 추출하여 실증적 연구를 진행한다. 6그룹의 자극물에 대해 각각정량적인 차이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진행하여 묘사적 통계 결과와 결합하여 제품과 서비스의사용자 경험 요소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정된 세그룹의 제품과 서비스 비교 실증 연구에서, 완전히 차이가 없는 경험 요소는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가설이 지지되며, 즉 제품과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평가 요소의 중요성 인식에 차이가 존재합니다. 둘째, 환경, 편안함, 전문성, 기능성, 검색성 이 몇 가지 요소들은 세 개의 대비 그룹에서 공통적인 차이를 보였다. 세째, EFA 분석을 통해 검색성, 의존성, 성취감 등 3개의 부적절한 요소를 제거한 후, 제품 사용자 경험 요소는 향락 차원, 실용 차원, 체험 차원, 대화식 차원으로 집약되었고, 서비스 사용자 경험 요소는 감정 차원, 기술 전문성 차원, 도구성 차원, 유형 차원으로 집약되었다. 그 중 기능성요소는 제품 사용자 경험에 고유한 요소이며, 환경과 전문성은 서비스 사용자 경험에 고유한 요소입니다. 본 연구는 향후 연구를 위한 선행적 기초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는 제품-서비스를 비교그룹으로 하고, 사용자 경험을 인수변수로하여 소비자의 각도에서 참여도, 위험 인식, 재구매의지 등 방면의 차이점을 더욱 기대한다.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observation that modern consumers are shifting from material consumption to experiential consumption. The User Experience (UX) significantly impacts consumer satisfaction, loyalty, and word-of-mouth, which in turn influences the success or failure of companies. Although it's easy to distinguish between the UX processes of products and services, few studies have quantitatively investigated both, and in those few, the empirical comparison subjects chosen by researchers are often arbitra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UX evaluation factors for products and services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First, this paper qualitatively discusses the differences in various aspects of products and services and proposes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UX evaluation factors between products and services. The PSS (Product-Service System) concept is then introduced to qualitatively demonstrate that comparing products and services is feasible. Subsequently, a quantitative survey is conducted to scientifically extract empirical stimuli representative of products and services, providing methodological references for future researchers. Following this, 18 UX factors are qualitatively extract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interpretative grounded theory, leading to empirical research. Quantitative difference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re performed on six groups of stimuli, explaining the differences in UX factors between products and services by combining descriptive statistical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mpirical comparison study of the three selected groups of products and services, no experience factors were completely identical,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UX evaluation factors between products and services. Second, factors such as environment, comfort, expertise, functionality, and searchability showed common differences across the three comparison groups. Third, after removing three inappropriate factors—searchability, reliability, and sense of achievement—through EFA analysis, product UX factors were condensed into the dimensions of hedonism, practicality, experience, and interactivity, while service UX factors were condensed into the dimensions of emotion, technical expertise, instrumentality, and tangibility. Among these, functionality was a unique factor for product UX, while environment and expertise were unique factors for service UX. This study serves as a foundational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se findings, subsequent research is expected to further investigate differences in aspects such as consumer engagement, risk percep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using products and services as comparison groups and UX as a variable.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 게임 경험에 관한 연구

        김은아,박상욱 교육비평 2020 교육비평 Vol.- No.46

        본 연구는 초등학생 게임 경험에 관한 연구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 목적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게임 경험에 관한 구성요소와 이의 접근 배경변인과 재미경험 현상 및 경험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 현상에 대하여 면밀히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 게임 경험이 시작되는 초등학생의 게임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현상학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의 근본적 이유는 초등학생이 어떻게 게임 경험을 하는지가 외부에서 쉽게 발견되지 않은 민감한 주제이므로 경험세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실체적 이론을 고찰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결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게임 경험의 배경조건은 가정요인으로 게임접근의 수월성, 학교배경요인으로 학업의 흥미를 가지지 못함과 동료배경으로서는 친구와의 의사소통, 상호작용에의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게임 경험의 배경조건을 토대로, 연구 대상자는 게임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 대상자의 내·외면 즐거움을 경험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현재 시점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게임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게임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듀이의 ‘미적 경험’ 연구 동향 분석

        박선영(Seon-Young Park),김회용(Hoy-Yong Kim)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3 敎育思想硏究 Vol.37 No.2

        이 글은 최근 10여 년간 교육학 분야에서 발표된 듀이의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연구가 이론적 검토와 실천적 적용 면에서 어느 정도 진일보하였는지 반추(review)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양적 변화와 내용/방법상 발전 상황을 전체적으로 분석하고, 내용적 발전의 여부를 좀 더 깊이 포착하기 위해 세 가지 질문을 추가적으로 제시했다. 그 질문은 첫째, 질성의 의미를 좀 더 폭넓은 학문적 맥락 아래 규명하고 있는가? 둘째, 교육적 경험과 미적(질성적) 경험 간 논리적 정합성을 검토하였는가? 셋째, 경험의 내용(교과)에 따라 질성의 유형이나 수준(단계)이 생길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는가?이다. 이에 대하여 첫째, 질성은 미적 경험의 특성뿐 아니라 인간의 인식 과정 및 존재의 확장 과정까지 규명하는 개념으로 연구됨으로써 교육학적 토대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해석되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둘째, 미적 경험과 교육적 경험이 내적 가치와 수단적 가치 지향의 종합적 형태로 설명되어 두 경험 유형 간의 논리적 정합성을 추론하는 연구가 있었으며 셋째, 경험 내용에 따라 질성의 성격이 달라질 수는 있지만 수준이나 위계가 생기는 것은 아니라는 결론을 암시하는 연구가 있다는 사실로 요약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위 사실을 통해서 듀이의 미적 경험 개념에 대한 교육학 영역의 연구가 내용과 방법 면에서 점진적인 발전 과정에 있다고 유추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Dewey’s aesthetic experience in the field of pedagogy over the past decade (2014-2023) and briefly review the degree to which studies have evolved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oward this end, we first investigated the number, study content, and method and then presented three questions to infer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These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as the meaning of quality (qualitative thought) been identified under a broader academic context? Second, has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qualitative) experience and educational experience been reviewed? Third, can the content (subject) of experience shape the type or level (step) of quality?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quality (qualitative thought) was studied as a concept that identified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but also the possibility of human perception and the expansion process of existence, supporting the pedagogical foundation. Second, there were studies that suggested the presence of logical consistency between the two types of experience. They addressed the fact that the two types of experiences are similar in that the fullness (internal value) of the experience itself and its value (means value) are combined as support for the next experience. Third, there were studies that made it possible to infer that although the nature of quality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experience, there cannot be a level of hierarchy or superiority. Thus, it can be inferred that research in the field of pedagogy on Dewey's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is continuously developing and deepening.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지도하는 초등교사의 경험 재구성에 대한 연구: 편견을 중심으로

        김영순 ( Youngsoon Kim ),김창아 ( Changah Kim ),윤현희 ( Hyunhee Yoon ),최희 ( Hee Choi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지도하는 초등교사의 경험을 편견의 개념에 기대어 기술하고 해석하는 데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에 기초하여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 4인에 대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면담을 위한 주요 질문은 주관적 경험에 나타날 수 있는 편견에 대한 맥락적 이해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에 대한 경험을 중심으로 시간적 축을 구성하여 반구조화 된 질문을 제시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얻어낸 자료들 중 주관적 경험이 편견과 연결되는 186개의 의미단위를 추출하였다. 이중 중복되거나 유의성이 떨어지는 62개를 제외하고 124개의 의미단위를 통해 구성요소를 개념화였다. 이후 개념에 대해 해석을 하고 연구 참여자별로 1~3개의 ‘경험주제’를 통하여 이들의 경험을 재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체로 북한이탈주민의 자녀에 대해 막연하게 갖고 있던 생각이 경험을 통해 변화되고, 긍정적으로 발현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자녀가 처한 상황과 경험을 알게 됨으로써, 그들을 위한 배려와 책임의 필요성을 말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한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 과정과 교사연수 과정에 북한이탈주민과 그들의 자녀에 대한 실제 모습에 대한 이해와 경험의 과정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과정은 교육 방법에서 시뮬레이션, 상황극, 소수자로서 생활하기와 같은 경험학습을 포함하도록 한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자녀와 부모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적 지원이 요구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basis for prejud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towards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a case study, researchers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taught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A total of 186 semantic units containing subjective experiences connected with prejudice were identifi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From among these semantic units, 62 units were excluded as they were duplicated, which left 124 sematic units of prejudic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se sematic units of prejudice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mes for each of the participants. In each interview teachers recalled their experiences revealing different themes: Teacher A stated ‘as like their sister’; teacher B said ‘expectation and novelty ’ and ‘adaptation to pain’; C spoke out ‘others tongue’, ‘overcome through experience’ and ‘new recognition of manifestation’; and D presented ‘my past vestiges’, ‘one´s responsibility as an experienced hand’. Most interviewees had optimistically changed their idea on the refugee students through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As the teachers recognized the different conditions the children experience, they argued it is necessary to respect and support these students. According to this result, researchers stated followed suggestions for education of the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First, pre-teacher and teacher training may deal with the reality of the North Korean refugee residents and their children. Also, the training should be revised to include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like a simulation, theatre of situations and living as a minority), becau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Second, educational support should consider the needs of the North Korean refugee parents and children.

      • KCI등재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학생과 교사의 피드백 경험 예측요인 탐색

        박민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ajor variables that affect group classification on the teachers’ and students’ feedback experiences. To this end, first, teachers and students were divided into low-experience groups and high-experienc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feedback experience. After that, the random forests was used to examine major variables that influence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analysis, subjects were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2019 Daegu Longitudinal Research. In addition, students, home, teachers, school and community variables were consider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variables related to teacher instruction and evaluation play a major role in classifying groups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Specifically,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use of homework in a formative manner played a major role. In addition, in the case of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tudent learning influenced group classification. In the case of teachers, teachers' affective variables, such as school and student characteristics, etc. influenced group classific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feedback experience of students and teacher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학생과 교사의 피드백 경험에 따른 집단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을 탐색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학생과 교사를 피드백 경험 정도에 따라 저경험집단(저인식/ 저제공)과 고경험집단(고인식/고제공)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학생과 교사 각각의 집단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을 탐색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2019대구교육종단 연구 자료의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학생, 가정, 교사, 학교, 지역 사회 등과 관련된 변수들을 설명 변인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과 교사 모두 피드백 경험에 따른 집단을 분류하는 데 있어 교사의 수업 및 평가와 관련된 변인이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생 중심의 다양한 수업방식을 사용하는지, 평소 숙제를 형성적으로 활용하 였는지 등이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 외에도 학생의 경우 학생의 학습과 관련한 개인 특성이 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의 경우에는 교사의 정의적 변인, 학교 및 학생 특성 등이 집단분류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과 교사의 피드백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년 상담자의 박사과정 학업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고수현,신유하,김현수,박명옥,김종배,김지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목적 이 연구는 중년 상담자의 박사과정 학업경험을 이해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구체적으로 현재 학업을 수행 중인 학생의관점에서 박사과정 입학 동기, 박사과정 학업경험과 딜레마, 학업을 통한 삶의 변화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참여자 5명의 경험을 Clandinin & Connelly(2000/2007)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과정은현장에 존재하기, 현장에서 현장텍스트로, 현장텍스트 구성하기, 현장텍스트에서 연구텍스트로, 연구텍스트 작성하기의 5단계로진행하였다. 1인이 연구참여자로서 보고한 이야기를 토대로 다른 4명의 연구자가 의미를 종합하고 이 과정을 순환식으로 반복하여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 연구참여자에게 ‘중년’, ‘상담자’, ‘박사과정’의 경험이 주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의 위기를 극복하고 유연성과적응성을 발휘하며, 생애전환을 경험하였다. 둘째, 중년 ‘상담자’로서 가족의 생계 등 경제적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문제해결 과정에서 가족의 지지와 협력을 경험하였다. 셋째, 상담자로서 박사과정 학업경험을 통해서 발달을 꾀하고, 각자의 삶 안에서 소명을발견해나가고 있다. 결론 세 가지 결과를 통해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년, 상담자, 박사과정 중에 있는 연구참여자는 성장해 나가는 삶을 살아왔고, 그 삶을 유지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삶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이 연구의 연구자이며 연구참여자는 연구모임을 만들고박사과정을 유지하며, 서로의 조력을 통한 자기 치유로 자기 성장을 꾀하고,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함께 성장해가는 모습을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doctoral academic experience of middle-aged counselors. Specifically, we sought to explore the motivation for entering the doctoral program, the academic experiences and dilemmas of the doctoral program, and the experience of life change through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a student currently pursuing his or her studies. Methods The experiences of f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tudied using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method of Clandinin & Connelly (2000/2007). The research process was conducted in five stages: being in the field, moving from the field to field text, composing field text, from field text to research text, and writing research text. Based on the story reported by one person as a research participant, four other researchers synthesized the meaning and repeated this process in a circular manner to present the research results. Result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counselor’, and ‘doctoral student’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is as follows. First, they overcame the ‘midlife’ crisis, demonstrated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and experienced a life transition. Second, as a middle-aged ‘counselor’, I faced economic problems such as my family's livelihood, and experienced my family's support and cooperation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Third, as counselors, we seek to develop through academic experience in the doctoral program and discover our calling within our own lives. Conclusion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three results are as follows.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middle-aged, counselors, and doctoral students have lived lives of growth, are maintaining those lives, and are preparing for their future live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formed a research group, maintained a doctoral program, sought self-growth through self-healing through mutual assistance, and grew together by repeating this process.

      • KCI등재

        4학년 간호학생의 119구급대원 인턴십 경험

        강현임,김지현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4학년 간호학과 학생의 119구급대원 인턴십 경험의 의미와 구조를 탐색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방법: 참여자는 W대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학생으로 2주간의 119구급대원 인터십 경험이 있는 학생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2년 9월부터 12월까지 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참여자와 심층면담을 하였다. 면담은 개방형 질문으로 시작하여 모두 녹취 되었으며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소요되었다. 질적 연구방법인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119구급대원 인턴십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고자한다. 결과: 119구급대원 인턴십 경험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51개의 주제, 23개의 주제모음, 10개의 범주가 확인 되었다. 10개의 범주는 ‘임상 외에 새로운 직업을 탐색함’, ‘다양한 응급상황을 경험함’, ‘간호인으로서 마음가짐을 새로이 함’, ‘심신의 긴장으로 힘이 듦’, ‘응급상황에서 다양한 대처방법을 배움’, ‘응급처치시 스스로 부족함을 느낌’, ‘상황적 한계에 아쉬운 마음이 생김’, ‘동료로서 정을 느낌’, ‘구급대 직업에 대해 양가감정을 느낌’, ‘도전할 만한 직업임을 확인함’ 등이 도출되었다. 결론: 인턴십을 통해 119구급대의 간호사 업무를 확인하고 응급상황에 노출된 여러 가지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며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방법, 미래의 간호인으로서의 새로운 마음가짐을 다지게 된다. 그러나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스스로 부족함을 느끼고, 상황적 한계에 아쉬운 마음이 생긴다. 다양한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어려운 현장 상황 속에서 동료애를 느끼고 무척 힘이 드는 직업이지만 도전해 볼만한 직업이라고 생각하면서 119구급대 직업에 대해 양가감정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119구급대원 인턴십 경험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간호사직군으로 취업 가능한 119구급대 직업에 대한 이해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있으며, 졸업을 앞둔 간호학생의 향후 취업 지도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또한 실습지 부족으로 임상실습에 어려움이 있는 현 상황에서 의료 기관 외에 다양한 기관의 실습운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Having a job is primarily in order to realize the self and their livelihoods. Internship provides learning opportunities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planning to build their future careers. College period is the exploratory stage in the life long career. development stand poi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interns learn from their internship participation, and how their experience lead them to plan their careers. Purpose: Comprehending the meaning of fourth year nursing students’ 119 paramedic internship experiences, and to understand it in depth.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Nursing Students who Internship at the 119 Paramedic for two weeks.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used for data collection was reconstructed using the questions used in Colaizzi’s(1978) study. They were asked to record and describe diverse aspects of their 119 Paramedic Internship Experiences in the facilities. Collected data included the participants’ feelings and thoughts about their 119 Paramedic Internship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12 to December, 2012. With Colaizzi’s(1978)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essence of the 119 paramedic internship experience. Result: By carefully reading the in-depth interview data several times, 238 significant sentences and phras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Colaizzi’s analytic method. By analyzing the meaning of 119 paramedic internship experience, 51 subjects, 23 subject collections, 10categories were confirmed. The summary of the results discovered are as the following. For 10categories, `Searching for a new job in addition to clinical’, ‘Experiencing diverse emergency situations’, ‘Renewing in mental attitude as care givers’, ‘Laboriousness due to mental and physical tension’, ‘Learning various response measures in an emergency’, ‘Feeling inadequate in giving emergency treatment’, ‘Feeling sorry for situational limitations’, ‘Feeling affection as colleagues’, ‘Feeling ambivalence towards jobs’ and ‘Assuring the job is worth challenging’ were derived. Conclusion: Through internship, nursing students understand nurses works, have several different experiences expose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nd learn the ways how to deal with emergencies, which gives a new mind set as future care-givers. However, they feel inadequate themselves through the experience in the field and also feel sorry about situational limitations. In difficult situations which a variety of on-site emergency occurs in, they feel fellowship as a nurse and think it worth challenging work even though it is back-breaking job, and feel ambivalence towards paramedic jobs. Based on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119 paramedic internship experience,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data for vocational guidance and intends to help the future employment guidance.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a basic information for the practical operation of the various agencies in difficult situations of clinical practice due to the lack of field practice agencies. Based on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119 paramedic internship experience, this study was to introduce occupational diversity as a nurse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vocational gui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