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가로시설물의 조형 요소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

        강규범,조세환,Kang, Gui-Bum,Cho, Se-Hwan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4

        본 연구는 가로 시설물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 가로경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일산 신도시의 가로 공간 내 입지하고 있는 휴식, 위생, 조명, 정보, 판매, 교통, 조경 관련 다양한 가로시설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가로시설물 관련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이론을 고찰하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결과를 고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에서 '휴식시설'과 '정보시설', '조경시설' 등 3개 요소가 가로경관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휴식', '조경', '정보' 시설 순으로 경관 선호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휴식시설에는 각종 '의자 요소'가, 정보시설'에는 '사인보드'가, 조경시설에는 '조형물', '분수', '문주'등의 시설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형태, 색채, 질감, 스케일 등 조형요소가 가로시설물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휴식시설인 의자는 '질감', '형태', '스케일', '색채'의 순으로 조형디자인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색채' 요소가 다른 3개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관 선호도에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의자 등 편의시설에서는 질감, 형태, 스케일 등 기능적인 사항이 색채 등 시각적 것보다 선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었다. 조경시설 중 모뉴먼트와 관련된 시설은 경관 선호도에 있어 '색채', '형태', '질감', '스케일'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의자 등 편의시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색채, 형태등 시각적 요소가 오히려 경관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셋째, 특히, 사인보드 등 정보시설에 있어 경관 선호도와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부(否)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인보드가 경관 선호도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의미하고 있음인데, 디자인 조형요소와의 상관성은 '스케일', '색채', '질감'의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스케일' 즉 광고물의 '크기'와 '색채'가 경관 선호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가로 경관 요소로서 가로 시설물을 디자인하고자 할 경우,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조형 요소에 상대적으로 집중적 관심을 쏟아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로시설물을 분류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교과서적으로 분류해 온 '기능' 중심의 '계' 차원의 분류체계는 경관성과 관련하여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경관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할 경우, '계'보다는 '시설 종류' 차원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street furniture design elements and preference of street furnitu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various street furniture set on Ilsan new town street, which are rest, hygiene, light, information, sale, traffic, and landscape. This study has processed by analysing street furnitur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ory. First, for analysed effect of street furniture element, has been appear as element 'relaxation facilities', 'information facilities', landscape facilities' mainly effect on street. Specially, 'rest', 'landscape', 'information' in order had a major influence on scenery. Each kind of 'chair elements' in rest facilities, 'sign board' in information facilities, 'sculpture', 'fountain' in 'landscape facilities' has analyzed as the main elements in the landscape affinity property affecting factor. Second, the results of analyzed landscape elements (shape, colour, texture, scale) affect to the affinity of street furniture. chair which are included in rest facilities affect "texture", "form", "scale", "color" in the order of preference of the molding design elements that influence landscape. Particular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olour' element affecting the landscape preference than the other three elements. It means as the chair element which is rest facilities mainly affect on preferences, rather than texture, form, scale, colour. Monument in the landscape associated with a preference 'colour', 'shape', 'texture' 'scale' and appears to be in order of impact so we could get the consequence like chair and rest facilities show different aspects of the respectively. It means, visual element which are colour and shape significantly impact on landscape preferences. Third, information facilities such as signboard formative elements of landscape design preferences and correlation with negative showed that the correlation. That mean if the sign board is very negative influence on landscape preferences and the correlations of the design formative elements appear in order of 'scale', 'colour', 'texture'. It also means that the 'scale' namely the size of advertising material and colour are adversely affected in terms of landscape. As these results, when design street furniture as the street scene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shape element and need to focus on relative shape element according to the kind of facilities difference. Finally, so far as to clarify the street furniture, mainly 'function' and 'system' classification shows undesirable in outdoor scape. Thus, performed studies in relationship with landscape, classify 'kind of facilities' is more desirable than 'system'.

      • KCI등재

        청각선호도에 미치는 청각적 경관의 요소, 특징, 인상 요인과 계절의 상호작용 효과

        한명호,오양기,Han, Myung-Ho,Oh, Yang-Ki 한국음향학회 2007 韓國音響學會誌 Vol.26 No.7

        이 연구는 사운드스케이프라는 청각적 경관의 개념에 기초하여, 계절에 따라 도시 거리의 청각적 경관에서 나타나는 경관요소, 경관특징, 경관인상에 대한 한국인의 청각선호도를 조사하여, 청각적 경관의 구성요인과 계절의 요인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청각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캡션평가법이라는 환경심리 조사수법을 이용하여 45명의 대학생들이 4계절 동안 남원시의 거리를 걸으면서 듣고 느낀 청각적 경관에서 나타나는 경관요소, 경관특징, 경관인상의 요인과 계절의 상호작용 효과를 단순요인 분산분석과 비모수 일원배치 분산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각적 경관의 경관요소, 경관특징, 경관인상과 계절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으며, 각 경관의 구성요인들이 청각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요소의 계절별 선호도는 봄, 여름, 가을에는 자연음이, 겨울에는 사회음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경관특징의 계절별 선호도는 봄, 여름 및 겨울에는 양태가, 그리고 가을은 주변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관인상의 계절별 선호도는 봄과 겨울은 소리특성이, 그리고 여름과 가을은 거리의 분위기라는 경관인상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에 있어서 계절에 따라 어떠한 청각적 경관의 경관요소, 경관특징, 경관인상을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 그 양부를 판정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다. Based on a concept of soundscap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Koreans' preference for auditory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depending upon the season, and examine how these auditory factors of soundstape and season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attempt to discover their influence on people's auditory preferences. According to an environmental psychological approach called the caption evaluation method, 45 college students examined the soundscape of Namwon City while racing the streets in four seasons.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actions between seasons and such auditory factors as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it was conducted the GLM univariate analysis and the NPAR tests for independent sampl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there ar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seasons and auditory factors like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and that the auditory factors have an effect on auditory preference. Moreover, as for seasonal preference for auditory elements, it was found that people prefer natural sound in spring, summer, and fall while they prefer social sound in winter. Concerning seasonal preference for auditory features, people place a focus on the behaviors in spring, summer, and winter while they stress the surroundings in autumn, as for seasonal preference for auditory impressions, they make much of sound characteristics in spring and winter but they value the atmosphere of streets in summer and f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 utilized as useful data in determining which auditory factors among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to take into consideration in a soundscape design.

      • KCI등재후보

        운전자와 비운전자의 가로경관 선호도 분석- 남태령 가로경관을 사례로 -

        허한결,김호걸,길승호 (재) 인천연구원 2017 도시연구 Vol.- No.11

        Despite the fact that many studies on the street landscape have been made, there was insufficient researches on the preference of street landscape viewed from the driver 's point of view. We analyzed the preference of driver and non-driver for street landscape of road edge and the trees in the center of the road.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 of a basic measure for constructing and improving street landscape considering different preference between driver and non-driver. The photographs were taken while driving the vehicle in order to take the driver 's viewpoint.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1 drivers and 34 non-drivers. The photos used in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to include various landscape. For each photograph components, the naturalness, openness, safety, aesthetics, complexity, and preference were asked from respondents whether to be good or not for each landscape adjective. The categor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find landscape factors that affect street landscape prefer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adjectives was deriv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Also, the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between driver and non-driver were found through the paired t-test,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afety and complexity. Furthermore, as a result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driver prefer safe and low-complexity scenes. Therefore, in the later landscape composition, it is considered that safety and complexity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reflect driver's viewpoint. 가로경관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운전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가로경관 선호도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로 중앙의 조경 수목과 도로 가장자리의 가로경관에 대한 선호도를운전자와 비운전자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운전자와 비운전자의 경관선호도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고, 운전자의 선호도를 고려한 가로경관 조성 및 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진은 운전자의 시각을고려하기 위해 차량을 타고 운행하면서 촬영하였으며, 설문은 운전자 31 명, 비운전자 34명을 대상으로 촬영한 사진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시 사용된 사진은 다양한 경관구성요소를 포함하도록 선정하였으며, 각 사진별로 자연성, 개방감, 안전성, 심미성, 복잡성, 선호성을 조사하였다. 설문결과에 대하여 범주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관구성요소를 도출하였고, 경관형용사와 선호도 간의 관계를 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또한 운전자와 비운전자 간의 선호도에 있어서의 차이를 대응표본검정을 통해 파악한 결과, 안전성과 복잡성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경관형용사와 경관선호도에 대한 선형 회귀분석을 재실시한 결과, 운전자가 비운전자에 비하여 안전성이 높고 복잡성이 낮은 경관에 대하여 선호도가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추후 가로경관 조성에 있어서 운전자의 시각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안전성과 복잡성에 대한 고려가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고속도로 터널 경관요소에 대한 경관 선호도 분석 - 원통절개형 터널 입구 경관을 중심으로 -

        이송희 ( Lee Song-hee ),주신하 ( Joo Shin-ha ) 한국경관학회 2012 한국경관학회지 Vol.4 No.2

        본 연구는 고속도로의 터널에 초점을 맞추어 고속도로 터널 경관을 구성하는 4가지 요소를 도출하고, 각각의 요소가 고속도로 터널경관에 미치는 영향력과 상호 관련성 분석을 통하여 향후 터널 조성 시 경관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터널의 대표 경관사진을 촬영하고, 터널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24개의 시뮬레이션 사진 작성 후 대상경관에 대한 경관선호도를 설문하였다. 설문내용은 기술통계분석, t-test, 4 way-ANOVA를 활용하여 경관선호도에 미치는 요소의 복합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라이닝 두께에 따라서 경관선호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라이닝 두께를 아래쪽은 두껍고, 위쪽은 얇게 테이핑 기법을 적용하여 변형한 경관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닝 표면 디자인의 3가지 주요 요소에 따라서 경관선호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라이닝 표면 디자인을 도입하지 않은 원형보다 조각이나 색채 디자인을 도입한 터널경관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 영향 요소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4가지 요소에 대하여 4 way-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라이닝 표면 디자인과 입·출구 주변 식재 요인이 상호작용하였을 때 경관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복합적인 고려가 필요한 경관 대상에 대해서 경관 영향 요소들의 상관성을 분석하였으며, 경관 계획에 필요한 정량적인 자료와 분석방법을 도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 고속도로 터널 이외의 다양한 고속도로 시설물 경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경관적으로 우수한 고속도로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visual preference on highway tunnel landscape Component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s of the 4 items on tunnel landscape com- ponents by the photo-montage scenes, which were synthesized by computer graphic programs. Visual preference is used to survey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unnel,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test, t-test, descrip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ee main factors of visual landscape were contracted; Tunnel lining design, tunnel lining thickness, and combined with tunnel lining design and tunnel gates area vegetation. Especially,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tunnel lining thickness transformed into slim was the most preferred type among tunnel lining structure. And, tunnel lining color design was the most preferred type among tunnel lining design. Finally, the combined effects of tunnel lining color design and tunnel gates area single color vegetation were more notable than other combined effects. It is recommended to set the proper goal based on the current highway landscape condition and future improvements.

      • KCI등재

        단경간 강박스거더교의 교량형상계수별 경관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김락기,임성빈,금기정,양계승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andscape preference and define elements of difference in landscape preference of the 1-span Steel Box Girder Bridge by Bridge Shape Parameters(BSP) through Design of Experiments.Lately, the 1-span Steel Box Girder Bridge is dominationg much component ratio and the Steel Box Girder Bridge has strong points that is economically profitable and management has easy when construct. but landscape preference of the 1-span Steel Box Girder Bridge was evaluated low because impression of landscape is being surfeited and dulled. Do to consider optimization in design that give change to Bridge Shape Parameters(BSP) to supplement this shortcoming in this study.Therefore, this study changes Bridge Shape Parameters(BSP) and extract elements that influence in landscape preference of the 1-span Steel Box Girder Bridge, and based on the design that consider landscape preference of the 1-span Steel Box Girder Bridge, some essential guidelines for rational design of the 1-span Steel Box Girder Bridge suggested. 본 연구는 단경간 강박스거더교를 대상으로 교량의 형태적 특성인 교량형상계수를 변화시켜가며 3D- Simulation을 평가매체로 하여 경관선호도를 조사, 분석하고 경관선호도를 결정하는 시각적 선호인자와 물리적 선호인자를 분석하여 경관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경관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는 거더가 얇고 곡률이 많이 적용되며 교대를 내측으로 기울인 내측형 경사벽으로 구성된 경관으로 나타났고, 경관선호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는 거더가 가장 두껍고 곡률이 적용되지 않았으며 교대를 내측으로 기울인 내측형 경사벽으로 구성된 경관으로 나타났다. 경관선호도에 차이를 나타내는 시각적 선호인자는 높이에 관한 개방성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독특함에 관한 심미성에서 가장 작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경간 강박스거더교의 경관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추출한 결과 시각적 선호인자로는 심미성과 개방성이 추출되었으며, 물리적 선호인자인 교량형상계수로는 거더의 높이비, 거더의 곡률, 교대의 각도 모두가 경관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간주될 수 있었다.연구의 결과, 경관을 고려한 단경간 강박스거더교를 설계할 때는 거더의 높이를 구조적으로 안전한 수준범위내에서 가장 얇게 적용하고, 거더에 곡률을 안전한 수준범위내에서 최대값을 적용하며, 교대의 각도는 수직형 면벽보다 외측형 경사벽을 적용하는 것이 경관선호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수원시 월화원을 통해 본 중국 전통정원의 재현 특성

        수능비,서주환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5 No.1

        오늘날 전통의 계승과 보급은 인류 발전 과정에서 하나의 화두이자 주요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와 과학의 발전에 따라 경관 역시 많은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러한 세계화 물결의 배경 아래에서 전통문화는 현대화의 전방위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에 조성된 중국 전통정원의 재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초로 조성된 월화원을 대상으로 경관 형용사 분석에 의 한 경관이미지 특성을 도출하고, 경관이미지 특성과 선호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월화원의 경관이미지를 설명하는 인자는 심미성, 개방감, 특이성, 친근성, 전통성 등 총 5개의 인자군으로 공간이미지가 함축되어 분석되었다. 둘째, 전체 선호도 평균값은 4.64로 비교적 높게 나 타났으며, 전통재현경관요소와 자연적 경관요소의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경관은 월화원 주요 선호경 관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심미성이 월화원 경관이미지의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를 종합해 볼 때, 현대 도시공간에 조성된 중국 전통재현정 원의 유지·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도시에 중국 전통정원 조성 시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경관계획을 수립 시 기초재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day, the inheritance and popularization of tradition is not only a topic in the process of human development, but also the main focus of concern.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technology, a lot of changes have taken place in the landscape. Under the background of this globalization, traditional culture is facing the all-round challenges to modernization. Therefore, the research of this study set Wolhwawon as an object to look into landscape image characteristics and fou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scape image characteristics and visual preference in order to grasp the urban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traditional representing space.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re are 5 main factor groups which can explain the landscape image of Wolhwawon namely aesthetics, openness, specificity, friendliness, and tradition. Secondly, the mean of visual preference was 4.64, which is relatively high. The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landscape coordinated with the traditional representing landscape elements and the natural landscape elements are the main preference of the Wolhwawon landscape. Thirdly, according to the regression results for Visual preferences and landscape image factor scores, the aesthetics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visual preference of Wolhwawon landscape image. Consequently,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raditional Chinese gardens built in modern urban spac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ovide a basic material when establishing a landscape plan by referring to research results when creating a traditional Chinese garden in a city.

      • KCI등재

        계절별 가로 경관이미지 및 선호도 평가 - 벚나무류 가로를 대상으로 -

        신재윤,정성관,김경태,이우성,Shin, Jae-Yun,Jung, Sung-Gwan,Kim, Kyung-Tae,Lee, Woo-Sung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3

        본 연구는 3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가로경관 평가를 위해 경관 재현 정도를 높여 줄 수 있는 시뮬레이션 제작기법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사성 검증 및 계절별 가로경관의 이용자 심리변화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경관시뮬레이션의 자연물 중 수목은 근 중경의 경우 normal map 기법을 적용한 Low 기법을 사용하고, 원경은 Plane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형태적 유사성은 모든 지표가 4.50점 이상으로 평가되었으며, 심리적 유사성은 '질서없는-질서있는', '지저분한-깨끗한' 등의 지표를 제외한 대부분의 심리지표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절별 경관시뮬레이션을 분석한 결과, 봄의 가로경관은 '밝은', '이름다운', '정적인' 등의 지표가 높게 평가되었다. 여름의 가로경관은 '시원한', '상쾌한', '생기 있는'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을은 '따뜻한', '어두운' 등이 높게 분석되었다. 겨울은 '질서 있는'을 제외한 모든 형용사가 중간 값 보다 낮게 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가로경관에 대한 선호도는 여름과 봄의 선호도가 5.01, 4.98로 높게 나타났으며, 겨울이 3.48로 가장 낮았다. 계절별 선호요인을 분석한 결과, 봄의 가로경관은 심미성이 0.540으로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의 경우 정연성이 0.417로 영향력이 높게 분석되었으며, 가을은 다양성과 심미성이, 겨울은 다양성, 심미성, 정연성의 순서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경관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해 다양한 도시가로를 비교분석 한다면, 각각의 가로에 적합한 수목으로 공간계획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landscape image that considers the selection of techniques that can enhance landscape reproduction in streetscape evaluation using 3 dimensional simulations and to evaluate ways to verify similarities and the psychological changes on the part of users by season. In the comparison of technique, the Low(apply normal map) technique was selected for the natural representation of trees in a near and middle view and the Plane technique was selected for the distant view. As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all indicators of physical similarity were evaluated over 4.50 points and most indicators of psychological similarity were found to have no difference except for indicators of 'disordered orderly' and 'dirty - clea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andscape simulation by season, images of 'bright', 'beautiful', and 'static', etc., were evaluated high for the spring streetscape. The images of 'open', 'refresh', and 'animate' appeared high in summer and images of 'warm' and 'dark' were found to be high in fall. On the other hand, all images were evaluated as low except for the 'orderly' image. In the preference of streetscape by season, summer and spring were highly preferred at 5.01 and 4.98 with winter as the lowest at 3.48.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preference factor, the spring streetscape was found to be a major influence in preference by 0.540 in 'aesthetics'. In the case of summer, 'order' was found to be high at 0.417 while influences in preference included 'variety' and 'aesthetics' in fall and 'variety', 'aesthetics', and 'order' in winter. A determination of suitable spatial planning us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various city streets will be enabled through the methods of this study.

      • KCI등재

        경관 디자인 개선을 위한 서울 동물원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송병화(Song Byeong Hwa)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동물원에 대한 경관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분석을 통해 향후 동물원 특성에 맞는 경관환경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개선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향후 동물원의 시각적 질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동물원 계획 및 설계 시 동물원 경관환경을 좀 더 개선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배경이자 목적이다.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분석의 틀 제시, 동물원 경관환경 개선을 위한 시각적 선호도 조사 및 이를 통한 경관 디자인 대안제시로 구성되었다. 시각적 선호도 조사는 경관관련 전문가 50인으로 구성된 표본집단을 통해 경관형용사를 이용한 SD Scale 기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은 표본집단에 대해 경관사진 13장을 리커트(likert) 7점 척도를 이용하여 선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진 선정을 위한 주요 조망점은 정해 놓은 동선을 따라 대략 30~70m 간격을 두고 조망점을 선정하였으며, 사람이 많이 모이는 결절점은 필수로 선정했고, 입구광장, 근경, 중경, 원경이 혼합된 지점, 시각 구조적 측면에서 스카이라인이 형성된 조망점 등을 종합평가하여 주요 조망점 5곳에 대한 대표사진 13장을 시각적 선호도 분석에 활용하였다. 평가 결과를 토대로 한 대안 제시는 각 선호도 순위별로 문제점 도출 및 바람직한 경관 디자인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lan to implement the landscape environment desig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zoo through the evaluation of landscape images and preference analysis of the zoo and is to improve the visual quality of the zoo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better zoo landscape environment in zoo planning and design.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presenting the theoretical review and analysis framework, the visual preference for improving the landscape environment of the zoo, and it is composed of suggesting a landscape design alternative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of preference. In the visual preference survey, SD scale method using landscape adjective was used through a sampling group composed of 50 landscape experts and based on the questionnaire sampling, 13 landscape photographs were used to evaluate the preference using the likert scale 7 point scale. The main points of view for the selection of the photographs were selected from the viewpoints spaced about 30~70m apart along the designated lines. The viewpoints where many people gathered were selected as essential, and the entrance square, rhyme, 5 representative viewpoi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viewpoints of the skyline in terms of visual structure, and 13 representative photographs were us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visual pref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lternative suggestions were developed for each preference order and desirable landscape design improvement plan.

      • KCI등재

        고시촌 골목길 녹시율 증가에 따른 경관 인식 변화 연구

        이정화 ( Lee Jeong-hwa ),주신하 ( Joo Shin-ha ) 한국경관학회 2021 한국경관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2021 환경조경대전’ 설계 프로젝트의 후속으로 진행한 연구로 실제 설계안이 경관인식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에 관심을 두고 출발하였다. 녹지의 중요성에서부터 시작되어 녹시율 및 녹지 접근성 향상 방안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경관선호도 및 경관특성 변화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대상지 내 골목길을 선정한 뒤, 설계안에서 제안한 총 24개의 자투리 녹지 모듈을 현장 사진에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설계안이 경관 인식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젊은이들이 집중 거주하는 지역 특성에 따라 총 82명의 20대를 대상으로 설문이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경관선호도와 경관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경관형용사로 구성하였다. 추가로 전공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조경전공 여부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 번째, 녹시율 증가에 따른 경관선호도 평가를 확인했을 때 녹지 시뮬레이션 이후 사진에 대한 평가가 더 높게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녹시율의 증가가 경관선호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두 번째, 경관형용사를 활용해 경관특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자연적인’ 경관특성이 가장 크게 변화하였다. 이는 녹시율의 증가가 자연적인 경관특성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경관 인식 차이를 조사한 결과 전공자가 녹시율 증가에 더 선호도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 녹지에 좀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녹지 시뮬레이션 이후 사진에서 ‘안전한’, ‘살고싶은’, ‘조화로운’이 전공자의 점수가 더 높았다. 이는 전공자가 녹지 조성의 효과를 좀 더 폭넓게 이해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골목길에 녹지를 조성하는 것이 실제 골목길 자투리 공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연구 대상이 한정되어 보다 일반화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follow-up to the ‘2021 Environmental Landscaping Design Competition’, which I participated. Starting from the importance of green space, this study proposes a plan to improve the Index of Greenness and access to green space in alleyways, and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landscape preference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After selecting an alleyway in the site, greenery modules for the small spaces in the alleys implemented as simulations in the current photos.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 design proposal was effective in improving landscape percep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82 people in their 20’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here young people live intensivel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landscape preference and adjectives for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majors, it was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y majored in landscap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andscape preference increased as the Index of Greenness increased. It indicates that the increase of the Green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andscape beauty.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landscape characteristics using landscape adjectives, ‘na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changed the most.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of the Greenness greatly affects the na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Last, comparing landscape majors and non-majors subjects, it was found that landscape majors had a greater difference in landscape preference by the Index of Greenness. This result means that majors respond more sensitively to Greenness than non-majors. Also, in the simulation with more green areas, the scores of the landscape majors were higher in ‘safe’, ‘wanting to live’, and ‘harmonious’. It is interpreted that the landscape majors have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green spa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making more green space in the alleyway has a positive effect empirically.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survey site is limited for more generalization.

      • KCI등재

        서울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의 시각적 특성연구

        이원호 ( Won Ho Lee ),김재웅 ( Jae Ung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2

        본 논문은 성북동의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을 대상으로 경관 형용사 분석에 의한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 시각적 특성과 선호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성북동에 위치하고 있는 역사문화자원 주변 경관사진 30장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관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16개 형용사를 척도화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요인이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성북동 내 역사문화자원이 분포하고 있는 주변에 나타나는 경관에 대한 30장의 사진을 대상으로 16개의 형용사 어휘에 대한 선호도 평균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 평균치는 3.72로 분석되었는데, 이들 중 4.5점 이상의 사진은 VP8번, VP9번, VP10번, VP12번, VP15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높은 선호를 보인 곳은 마포 최사영 고택과 성락원 주변경관으로, 이는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대한 서울시 경관계획에 의해 고도를 제한함으로써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에서 문화재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북한산에서 북악산으로 이어지는 조망경관이 양호하게 확보되고 있는 것이 중요한 이유로 판단된다. 둘째,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에 대한 시각적 특성을 요인 분석한 결과, 요인 1(심미적 요인), 요인 2(문화적 요인), 요인 3(물리적 요인) 등 3가지 요인으로 요약되어 구분할 수 있었으며, 시각적 선호도와 이미지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및 분산분석 결과는 심리적 요인이 성북동의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에 대한 시각적 선호 이미지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조망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위치한 주거지역에 대한 심미적 요인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 것이다. 셋째, 역사문화자원 중 정비되지 않은 주거지역 주변경관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의 인자가 부각되고 있으며, 역사문화자원과 조화될수록 물리적, 문화적, 심미적 특성의 3가지 영역에서 긍정적인 측면의 인자가 높게 부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표출된 인자에 대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역사문화자원 주변의 경관관리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다각적 분석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Seongbuk-dong historical & cultural resources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were analyzed by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djective analysis. Research was investiga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and Research in the following way. Selecte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surrounding area are located in Seongbuk-dong 30 slices the survey was conducted. Landscape preference factors to identify the scale of 16 adjectives and the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Lastly,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last image factors on visual preferences. Firstl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fficer for 30 pictures appear in Seongbuk-dong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distributed around the target preference for the 16 adjectives analysis yielded an average result of overall preference were analyzed and that is a 3.72 average. In these photos, VP8, VP9, VP10, VP12, VP15; 4.5 points more than one order higher. The reason is limit of altitude by the Seoul landscape plan fo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ound. It also judged important reason that history and Culture ar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cultural property in the conservation area. Secondly, Important factors are factor 1(aesthetic factors), factor 2(cultural factors), factor 3(physical factors) and three factors could be identified. Results of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about factors for visual preference and image shows value of psychological factor is most significant to explain for nearby history &cultural resources of Seongbuk-dong of scenery around. As a result, the state can not view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analysis will be located in a residential area nea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aesthetic factors. Third, the negative side of the argument is a residential area which is not arranged surrounding landscap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s emerge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harmony with the phenomena of the physical, cultur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areas is a positive factor in the high incidence. Factors from that are expressed in this study by analyz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to derive a factor to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landscape around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