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라져가는 군사도시의 장소기억 : 강원도 원주시를 중심으로

        김대범(Kim Daebeo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6

        이 연구는 군사문화를 기억할 수 있는 원주의 군사시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장소성을 확보하고 군사도시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전쟁 이후 원주는 제1야전군 사령부가 이전해 오면서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군 시설과 군 문화시설이 생겨났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도시에 군이 전쟁피해 복구사업을 실시하면서 군에 의해 도시가 형성되었다. 미국으로부터 군사원조를 받아 대민지원이 지속되어 꾸준히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원주시가 불과 10여 년 만에 신흥도시로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했다. 또한 역대 대통령들의 원주시찰도 주목할 만하다. 국가적으로 중요성을 가진 장소를 시찰하는 대통령은 원주지역을 군사적 요충지이자 떠오르고 있는 신흥도시였기에 집권세력의 정치적 전략의 지역으로 생각했다. 원주는 제1야전군 사령부 및 예하부대는 물론 미군부대 캠프롱(Camp Long)이 주둔하면서 국가안보를 책임지고 있었기에 단순히 정치적 전략뿐 아니라 중요한 국가통치의 장소로 생각했던 것이다. 그렇게 1990년대까지 군인들을 위한 군사도시로 꾸준히 발전하였지만 2000년대 이후 원주에서 군 부대가 이전하게 되고, 새로운 도시개발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과거 원주를 있게 한 각종 군사시설은 사라지게 되었다. 과거 군사도시 원주의 사라져가는 장소를 기억하고 흔적을 발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은 원주의 도시 정체성 확보는 물론 미래 유산의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military facilities in Wonju that remember the military culture, to secure the location, and secure the identity of Wonju as a military city. After the Korean War, the headquarters of the first Field Army moved to Wonju, and military facilities representing Korea were created. Afterwards, a city was formed in Wonju, which was ruined by the war, and a war damage restoration project was carried out by the military. Wonju has been able to develop steadily until today because support for Wonju continued through U.S. military aid. This is the background of Wonju City, which was devastated by the war but developed into a new emerging city in little over a decade. Former presidents of South Korea have always visited Wonju-a military hub and a rising emerging city. However, it has been judged as a strategic political area. Wonju is home to the security of South Korea with the presence of the First Field Army Command, subordinate units and the U.S. Army s Camp Long; it was considered not only a strategic political area but also an important city for national governance. Wonju continued to develop as a military city for soldiers until the 1990s. However, after the 2000s, military units moved from Wonju to other areas, and new urban development policies began to be implemented. As various military facilities were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Wonju began to disappear.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e past of the disappearing military city of Wonju and recover traces and organize them systematically, as well as to secure the identity of the city of Wonju and preserve future heritage.

      • KCI등재

        구술로 본 강원도 원주의 도시기억 ― 군사문화를 중심으로

        김대범(Kim, Daebeom)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2 No.-

        이 연구는 강원도 원주의 지역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던 군사문화를 기반으로 군사문화의 도시 원주를 구술을 통해 기억하는 데 있다. 한국전쟁 이후 원주는 분단국가의 특수성을 반영하듯 군사문화의 도시로서 모습을 갖추었다. 그러나 2000년대의 원주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강원도 원주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군사문화의 도시였다는 사실은 원주지역 토박이거나 원주민들의 구술기록으로만 확인된다. 따라서 군사문화의 도시 원주 에 거주한 지역 원주민들의 기억과 구술기록을 통해서 과거 원주의 사라져 가는 기억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미군부대 식당종업원 박명한 씨, 1960~70년대 미군부대 구호물자를 사용한 박은희 씨, 1980년대 미군부대에서 막사철거 용역을 한 심재근 씨의 구술을 통해 ‘미군부대와 관련된 기억’을, 1960년대 어린 시절 군부대와 군인 밖에 없던 마을을 회상한 박은희, 심재근 씨, 미군으로부터 원조 받은 물자로 학교를 설립했다는 박종수, 서교하 씨, 교내 부대문화행사를 기획한 간의웅 씨, 군인들과 조기청소회를 한 이강록 씨, 군인전용 법당 법웅사 법회에 참여한 이승윤 씨를 통해 ‘군사문화의 정서를 느꼈던 기억’을 채록하였다. 또한 군인 아버지의 계급을 이야기 한 이강록 씨, 군인가족을 가정방문한 간의웅 씨, 군인간부 부인 꽃꽂이 선생님이었던 이승윤 씨, 군인 아파트에 거주한 유태준 씨의 구술로 ‘군인가족들과의 기억’을, 마지막으로 군인 회식의 유태준 씨, 군인월급날을 기억하는 이강록 씨, 부대 근처 식당을 운영하는 박은희, 이복순 씨의 구술기록을 통해 ‘군 관련 상업시설과 운영자의 기억’을 채록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military culture tha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onal identity in Wonju, Gangwon-do and is remembered as "Wonju, the city of military culture" through orality. Since the Korean War, Wonju has been shaped like a city of military culture, reflecting the uniqueness of the divided nation. However, Wonju faced new changes in the 2000s. The fact that Wonju, Gangwon-do was the representative city of military culture in Korea is confirmed only by native peoples or oral records of the natives. Therefore, this study would like to summarize the disappearance of Wonju through interviews, where the indigenous people, who lived in Wonju, share their memories. The following people dictated their stories on ‘The Memory related to the U.S.’, Park Myung-han, a former employee of the U.S. Army Corps Restaurant, Park Eun-hee, who used relief supplies during the 1960s and 1970s, and Shim Jae-geun, who worked as a demolition service for barracks in the United States Army in the 1980s. Also, Park Eun-hee and Shim Jae-geun recalled a village where only military troops and soldiers existed in the 1960s, and Park Jong-soo and Seo Kyo-ha remembered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ol with the aid of the U.S. military. Furthermore, ‘The Memory of military culture’ was recorded from Mr. Gan Woong. who organized a military event in the school, Lee Kang-rok. who worked with the soldiers for early cleaning, and Lee Seung-yoon, who participated in the Buddhism Court for the Soldiers. Additionally, Mr. Kang Rok talks about the ranks of military fathers, Mr. Gwan-woong used to visit the military family and tell them stories, Lee Seung-yun was the flower design instructor of the military officer"s wife, and Yoo Tae-jun lived in a military apartment, and these memories comprise the recordings about "The Memory with military families". Finally, ‘The Memory as an operator of military-related commercial facilities" were dictated by Yoo Tae-jun, who told the story of the soldiers" dinner, Lee Kang-rok, who told the story of the soldier"s payday, and Park Eun-hee and Lee Bok-soon, who ran a restaurant near the unit.

      • KCI등재

        1955년 원주읍의 시 승격에 관한 고찰

        장영민(Chang, Young-Min),김명환(Kim, Myeong-Hwan)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3 No.-

        1955년 9월 1일 원주읍은 원주시로 행정구역이 승격하였다. 본 연구는 내년에 맞는 원주시 승격 60주년을 기념하는 취지에서 수행하였다. 시 승격은 주민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형성하고, 강원도의 중추도시로서 발전을 적극적으로 도모하는 중요한 계기였다. 또한 당시에도 신흥도시라고 일컬어졌듯이, 시 승격 이후 행정, 정치,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급속하고 큰 변화가 일어났다. 본 연구는 원주읍이 원주시로 발전하게 된 배경과 요인, 승격에 필요한 조건과 그 충족을 위한 대책, 그리고 시 승격의 신청과 그에 대한 중앙정부와 국회의 논의와 의결과정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원주읍의 시 승격에서 가장 중요하였던 요인은 인구증가였고, 그 현상은 해방 직후부터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한국전쟁으로 많은 피난민들이 원주에 정착한 결과였다. 그리고 원주읍 인근지역의 동리를 편입함으로써 인구 5만 명 이상이라는 시 승격의 조건을 충족할 수 있었다. 한국전쟁으로 시가지가 거의 파괴되었으나, 강원도청과 UNCACK 등 행정과 구호 기관이 원주에 상주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전쟁피해를 복구하고 시가지를 재건할 수 있었다는 점도 중요하였다. 그리고 행정구역의 승격은 지역사회의 발전을 주도하려는 주민이 먼저 요구한 것이었으며, 사회경제적 변화가 야기한 행정상의 불합리성을 시정하려는 중앙정부와 국회 차원의 결정이기도 하였다.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Wonju-Eup was elevated to Wonju-Si in September 1, 1955. This study was initiated as an attempt to commemorate the 60th anniversary of the elevation of Wonju City. The rise in its status formed inhabitants’ identity and pride, and became a stepping stone in actively promoting development as a central city of the inland. Also the elevation brought drastic changes in many areas of administration, economics, society. The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background of the elevation, aspiration of the inhabitants, required conditions and preparations for the elevation, applying for the elevation, discussing and voting process at the government and the congres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in the elevation was a population which was noticeably rising since the 8ㆍ15 Emancipation, and which was increased due to a large number of refugees settling at Wonju area during the Korean War. However, the number of refugees was not very decisive, because satisfying the crucial condition of having over 50,000 population was possible by incorporating nearby tiny administrative units(Dongri) even without the refuge population. Another noteworthy point is that the provinci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nd aid agencies such as Gangwon-do provincial office, and UNCACK were located in Wonju, enabling the reestablishment of the city devastated by war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promo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as not only based on the demand of the inhabitants, but was a political determination of the government and congress in rectifying provincial administrative irrationality caused by large socio-economic changes.

      • KCI등재

        강원도 화교사회의 형성과 변화 : 1900년대∼1940년대를 중심으로

        이정희 ( Jung-hee Yi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7 翰林日本學 Vol.0 No.30

        본고는 190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약 50년에 걸친 근대시기 강원도 화교의 형성과 역사를 인구의 추이, 경제활동, 그리고 화교배척사건과 중일전쟁의 영향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이를 통해 분명히 밝혀진 것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화교의 강원도 정착은 대체로 1900년대에 이뤄졌으며 1920년대 타 지역에 비해 높은 인구 증가율을 보였다. 그러나 조선화교 전체에서 강원도 화교가 차지하는 비중은 1-3%에 불과, 화교의 거주가 희박한 지역의 하나였다. 강원도 화교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산동성 출신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둘째, 강원도 화교의 직업은 상인, 노동자, 농민이 중심이었으며, 타 지역에 비해 노동자의 비중이 높았다. 화상은 포목상점과 잡화점을 경영하여 각 군에서 상당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노동자는 수리조합, 철도, 도로공사의 노동자로 일했다. 농민은 상업 목적의 야채재배를 활발히 전개, 춘천의 경우 야채시장을 독점하는 지위를 차지했다. 또한 화교건축청부업자는 1910년대 풍수원성당, 용소막성당, 원주성당의 고딕식 붉은 벽돌 건물을 시공했다. 셋째, 강원도화교는 1931년 7월 발생한 화교배척사건으로 큰 인적, 물적 피해를 입었으며 타 지역보다 중국으로 귀국한 화교가 많았다. 그것은 강원도 화교 가운데 노동자의 비중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중일전쟁 때도 타 지역에 비해 많은 화교가 귀국하여 화교의 경제활동이 많이 위축되었다. 1938년 이후 인구가 점차 회복되었지만 이전의 인구를 완전히 회복하지 못한 채 해방을 맞이했다. This paper examined mainly on the population transition of Overseas Chinese , their economic activities and anti-Chinese movement in Gangwon Province during 50 years from the 1900`s through the 1940`s. The analysis give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overseas Chinese started to settle down in Gangwon Province in 1900s, their population increased rapidly compared with other regions in the 1920s. But, Gangwon Province was a lower density of population that accounted for only 1-3% in the population of overseas Chinese in Korea. They were mainly from Shantung Province in China. Secondly, their main job was merchants, workers, and farmers. Compared with other regions, worker`s share in their population was high. Chinese merchants managed dry-goods stores and general stores which formed influential force in respective areas in Gangwon Province. Chinese workers worked in the workplace of reservoirs, railroads, and roads as a coolie. Chinese farmers mainly cultivated vegetables and especially made a monopoly of supplying commercial vegetables in Chuncheon region. Chinese building contractors constructed religious building in the Gothic style with red bricks like this Pungsuwon, Yongsomak and Wonju Catholic Church in the 1910s. Thirdly, they were severely damaged by Korean rioters in anti-Chinese movement of 1931, and a great number returned home in china. The reason to have high ratio of returning home compared with other regions has relation to the high ratio of workers in their population. The Second Sino-Japanese War brought about much damage to weaken their economic activities. Their population started to recovery from 1938 according to their returning to Gangwon Province, but never amounted to their population of the previous war.

      • 자료소개: 『원주도회별진상(原州都會別進上)』

        김동우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2 동원학술논문집 Vol.13 No.-

        원주도회별진상은 강원도 각 지역의 진상 품목을 적은 일종의 물목(物目)이다. 필사된 관문서이며 표지를 포함하여 총 71면으로 선장(線裝)되어 있다. 크기는 세로 30.7cm, 가로 22.3cm이고, 펼쳤을 때의 가로 길이는 41.6cm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 2001년에 구입한 후, 국립춘천박물관으로 이관하여 소장품으로 등록하였다. 이 자료가 주목되는 이유는 두 가지인데 먼저, 별진상 5면에 “성화십이년원주도회령(成化十二年原州都會令)”이라 적혀있다는 점이다. 이 기록은 원주도회별진상이 조선 성종 7년, 즉 1476년의 자료임을 가리킨다. 해당 기록을 신빙할 때 별진상은 조선시대 진상 자료로서 비교적 이른 시기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원주·삼척·간성·양양·고성·강릉도회 등 각 지방 관아 명칭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는 각 도회가 지방에서 진상 업무를 관장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진상 실무에 대한 실증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원주도회별진상』 유물의 소장경위를 살펴보고 내용 및 형식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The Wonju City's List of Articles Offered to the King on an Irregular Basis became a registered relic of the Chuncheon National Museum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purchased it in 2001 (relic number: Chuncheon 95). This is a string-bound manuscript comprising a total of 71 pages, including the cover. It is 30.7cm in size, 22.3cm in width, and 41.6cm in width when fully unfolded. It is a kind of list detailing articles collected from each region of Gangwon-do. This document was created in 1476 and is a kind of data concerning the articles offered to the king in the relatively early Joseon Dynasty Period. In addition, it is precious in that it shows how offerings to the king had been collected from various cities, such as Wonju, Samcheok, Ganseong, Yangyang, Goseong, and Gangneung.

      • KCI등재

        부동산 가격영향요인이 주택매매가격지수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영서지역을 중심으로-

        한경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2

        This paper focuses on the influence of real estate pricing factors on house sales price index in western Gangwon-do. To achieve the goal, Won-ju and Chun-cheon are taken as sample cities and analyzed of reaction intensity to the change of real estate pricing factors. Regional GDP , Population Growth of Ganwon-do and House Rent Price Index of 1986 ~ 2008 are used as variables. The data are obtained from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Unit Root test was exercised to stabilize the time series data, and properly treated. Granger Casualty Test was adopted the define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test showed that Population Growth of Gangwon-do had a casual relationship to the House Sales Price Index of Won-ju and Regional GDP of Gangwon-do had a casual relationship to the House Sales Price Index of Chun-cheon. Vector Auto Regression analysis was practiced to define the function and relativity among the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the main factor of influence on house sales price index in Won-ju is population growth. And we observed the effect lasted 3 years. In Chun-cheon, regional GDP of Gangwon-do is the major factor affecting the House Sales Price Index. But that is not last long. 본 연구는 지역총생산, 인구변화 등 주택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이 실제 주택매매가격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실증적 연구대상으로 강원도 영서지역의 대표적 도시인 원주시와 춘천시를 선정하였고 1986년부터 2008년까지의 강원도 지역총생산, 인구변화 및 주택전세가격지수가 두 도시의 주택매매가격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VAR 분석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도시 모두 강원도 지역총생산과 인구변화에 3년 간 양(+)의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원주시의 경우에는 두 변수 중에서도 인구변화가 지속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전 기간에 걸쳐 예측오차 분산의 설명에서도 인구변화가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춘천의 경우에는 강원도 지역총생산과 춘천 지역의 주택매매가격지수 자신이 주택매매가격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그 영향력이나 영향을 미치는 기간이 짧고 예측오차 분산의 설명에서 모든 변수의 설명력이 비슷하게 나타나 특정한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결과는 지난 10여 년 사이 원주와 춘천 주택시장의 양극화로 인하여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원주의 주택매매가격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강원도 인구변화로 확인되었고 춘천의 경우에는 주택매매가격지수 자신으로 확인되었지만 그 영향력 및 기간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각각의 요인에 대한 관리와 향후 추이를 면밀히 분석하여 주택정책을 입안하고 운영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조선후기 관찰사의 수령 겸직과 판관의 역할

        고민정 연세사학연구회 2022 學林 Vol.50 No.-

        This study conducted a concrete examination on the process to implement Gyeommokje (adjunct governor inspector system to serve for the position of magistrate), in order to consider the structure and actual aspect of the local governance system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Age. First, there were constant disputes of pros and cons over the implementation of Gyeommokje, for a long period of time, during the mid-period of the 15th century. Those who advoca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tried to minimize the bad elements caused by going on a patrol and establish a stable governance system. In contrast, those who opposed the system took the issue with heavy work amount caused by additional position, the infringement of impartiality of Jeonchoe (affairs that governor inspector oversees the deeds of magistrate to report about them to king) and side effects caused by the minimizing role of patrol. But after the 17th century when governor inspector undertook the greater role as ruler rather than the role as patrol, the method for gradually expanding the implementation of Gyeommokje, according to each local circumstance was discussed. Second, in the case of Gangwondo, Gyeommokje had been entirely implemented only within the periods, from 1448 (30th year since King Sejong reigned) to 1454 (2nd year since King Danjong reigned), in the pre- and post- 1519 (14th year since King Jungjeong reigned) when Gimyosahwa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Jo Gwang-jo suffered massacre) took place, and in 1760 (36th year since King Yeongjo reigned). As Guimje and Solgwonje (the system to remain in office and have governor inspector’s families stay in the post) were implemented simultaneously, governor inspector carried out his work,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an average period. There occurred a change that life space for governor inspector and his family was arranged in provincial office. Lastly, the introduction of Gyeommokje made Gangwondo governor inspector serve for the position as Wonju Governor. Yet, the actual governance over Wonju governor officer was implemented by Wonju Pangwan. Accordingly, personal information about Wonju Pangwan was recorded in Local Officials on Wonju regions. There was a difference in government rank, between Wonju Governor and Wonju Pangwan, which made military and formal authorities given to Wonju Governor delegated to Hoenseong Magistrate. Wonju Pangwan took the place of only the administrative and judical authorities.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지방통치체제의 구조와 실상을 고찰하기 위하여 겸목제의 시행 논의와 과정을 파악한 뒤 강원도관찰사의 원주목사 겸직을 통해 구체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첫째, 15세기 중반에는 겸목제 시행을 둘러싼 찬반 논쟁이 상당 기간 지속되었다. 찬성하는 측에서는 순행으로 생기는 폐단을 최소화하고 안정적 통치체제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나, 반대하는 측에서는 겸직으로 인한 업무 과중, 전최의 중립성 훼손, 순행의 최소화로 인한 부작용을 문제 삼았다. 그러나 관찰사의 순찰사로서의 역할보다 통치자로서의 역할이 더 커지게 된 17세 이후에는 지역별 사정에 따라 겸목제의 시행을 점차 확대하는 방안이 논의되었다. 둘째, 관찰사제가 성립된 후 겸목제는 1448년(세종 30)부터 1454년(단종 2)까지,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 전후, 1760년(영조 36) 이후에 전면적으로 시행되었다. 강원도의 경우는 삼남지방과 달리 독자적으로 겸목제를 시행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위의 세 시기에만 관찰사의 목사 겸직이 이루어졌다. 또한 이 시기에는 구임·솔권제가 함께 시행되었기 때문에 관찰사의 평균 재임 기간이 전보다 길어지고 관찰사의 가족을 위한 생활공간이 감영 내에 조성되는 변화가 동반되었다. 셋째, 겸목제의 시행으로 강원도관찰사가 원주목사를 겸직하게 되었으나 원주목에 대한 실질적 통치는 원주판관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겸목제 시행 후 원주읍지 「선생안」에는 목사가 아닌 판관의 인적 정보가 기재되었다. 그러나 판관은 관품의 위계 차이로 인해 목사의 행정과 사법적 권한만 대신하였고 군사 및 의례적 권한은 횡성현감에게 이임되는 변화가 수반되기에 이르렀다.

      • 조선시대 原州 지역의 인쇄 문화 연구

        최경훈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보 Vol.0 No.40

        이 연구는 조선시대 강원감영의 소재지였던 원주에서 간행된 서적을 조사․분석하여 원주 지역의 고인쇄 문화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원주 간행 서적은 모두 57종이 조사되었다. 시기적으로 조선전기에는 29종, 조선 후기에는 28종으로 조사되었는데, 15세기 이전까지 원주는 경주, 전주, 평양, 진주와 함께 5대 판각처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16세기중반을 지나면서 출판 활동이 거의 중지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18세기 영․정조 연간에 왕명에 의한 감영으로서의 출판 기능을 수행하였고, 관찰사 등 지방관에 의한 선조의 문집과 족보 간행이 일부 이루어졌다. 그러나 다른 지역의 경우처럼 서원과 향교 등 재지 세력의 기반에 의한 출판 활동은 미약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old printing culture in WonJu, the site of the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of the Kangwon provinc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investigating, 29 titles were found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and 28 titles were found in the later half of Chosun dynasty. Won-Ju was big 5 publication site with Gyeongju, Jeonju, Pyongyang, and Jinju before mid-16th century. But after mid-16th century, the publication activities were nearly stopped. The publication activities was carried out again as the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in the 18th century, especially under the Reign of King Youngjo and Jungjo. But the publication activities by native facility like Seowon(書院) and hyanggyo(鄕校) was weak in comparison with those of another province.

      • KCI등재

        韓國史의 展開過程에서의 原州의 位相

        지배선(Ji, Bae-Sun),(토)최근영 백산학회 2008 白山學報 Vol.- No.80

        The year 2008 marks the 1331st year since the establishment of Buk-Won-Kyung (北原京). Around the mid 18th century, Yi Jungwhan described Wonju as the base for the distribution of goods. He stated, ‘There are fields in between the mountain valleys that make the place light and graceful, not closed up and threatening. Situated between Gyeonggi-do and Yeungnam, the fish, salts, ginseng and lumbar for the palace passing through developed the formation of a town.’ Wonju has geographic significance in being accessible from all directions, expressed as having “open ranges and large fields.” It also has a advantageous routes to Seoul, with the channel of the Namhan river and the development of the roads leading to Yeoju and Yangpyung. From old, Wonju has always been close to Seoul, and with mount Chiak and other mountains in the back, Wonju’s clan(氏姓) could maintain their indigenous life and go to Seoul to take up positions as officials. Thus, central culture of Seoul flowed into Wonju before any other region in Gangwondo. Because of its geographical proximity, Wonju is considered as having been unable to form or reveal its own identity. Its location as the center of the peninsula made Wonju a place ‘not to settle down in’ but to ‘pass by or stay a short while’. This fact is often pointed out in such chronicle records as the Bi-byun-sa-dung-rok(備邊司남錄). However, because of this, Wonju was able to have the merit of embracing and opening the way for diverse cultural phenomena. As Wonju was always open, it has a long history of many people coming and going. This has given the Wonju people wisdom in accepting without discrimination of background or culture, and in embracing and living harmoniously. Even today, people from elsewhere who have moved to Wonju say that ‘of all places, Wonju is the least discriminating and most open’. This feature wasn’t suddenly born but grown from old. Wonju, where the Gangwon-Gamyoung is established, has for the past 500 years been th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military center of Gangwon-do. Today, not only does it have a large population but it is leading Gangwon-do in every way.

      • KCI등재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Locality) -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

        위경혜 ( Gyeong Hae W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7 No.-

        이 글은 영화의 역사적 존재 방식을 살피는 것으로, 한국전쟁 이후 극장 설립 및 영화 상영을 둘러싼 담론과 문화적 실천(practices)을 살펴 영화가 개입한 지역 사회 역사를 규명하고 있다. 본 글은 한국전쟁 경험이 지역민 일상생활 주조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강원도 도시 지역-원주와 춘천 그리고 속초와 강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쟁 경험은 전후 강원도 지역 도시 성격을 규정하였다. 전후 원주와 춘천은 군부대 집결지이자 미군부대 주둔지가 되었으며 속초는 월남민 정착 수복 도시로 성장하였다. 반면, 강릉은 관동 지역 전통 도시를 대표하면서 식민지시기 형성된지역 엘리트의 사회적 영향력이 전후까지 지속·확장되는 모습을 보였다. 강원도 도시별 극장 문화는 반공의 사회 질서에 바탕을 둔 흥행장 논리와 미군부대 주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검증 그리고 지역 엘리트 집단의 권력 구조등 요인으로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도시별 극장 문화는 지역 간 유사성과 상이성이 혼재된 양상이었지만, 그럼에도 이들을 관통하고 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군부대 존재는 강원도 도시 극장 문화의 로컬리티를 발현시키는 절대적 요인이었다. 둘째, 지역 엘리트에게 있어서 극장 설립과 영화 상영은 지역 내 패권적 문화 권위를 생산하는 주요한 매개로 기능했다. 셋째, 영화 상영 주체들 - 극장, 문화원 그리고 官- 이 협동하여 전개한 지역 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한 영화 상영은 반공 이념의 문화 국가 건설에 일조하였다. This essay examines the historicity of cinema in the Locals during South Korea`s post-Korean War era, spanning from the mid 1950s to the 1960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ocality of the cultural practices surrounding foundation of movie theaters and the film exhibition, this work deals with the backdrop of the advent of the movie theaters in the Gangwon-do, focusing on the major cities whose characteristics were intensively shaped by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Considering that the narration of the historical experiences in the major cities in the Gangwon-do could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hole country, this work endeavors to declare the historicity of the discourse on foundation of movie theaters and the film exhibition practices, which was interlinked with the social changes of the cities followed by the Korean War. In response to the effort, this work brings about the following results. Due to their identities as the rear areas for military lines, the two cities such as Wonju and Chuncheon showed the prosperity of the Local movie theaters based on the rhetoric of the anti-Communism and pro-Americanization. And the film exhibition in the city of Sokcho was to exert its function as an effective means to verify the identity of the Local resident as the South Korean people because the great portion of the population in the city was composed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Meanwhile, the city of Gangneung displayed somewhat different film exhibition practices from those of the other cities. It is noticeable feature that the city of Gangneung represents the Local influentials` collaboration in its community, leading the film exhibition for both entertainment and propaganda by the members of the one`s own family. In conclusi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hanges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cities features prominently in the cultural practices - the discourse on foundation of movie theaters, the film exhibition practices, etc. - in four major cities in the Gwangwon-do. The residence of the American Army base was the fundamental element for producing the Locality of Cultural landscape surrounding movie theaters in the Gwangwon-do. The foundation of movie theaters and the film exhibition functioned as the way of seizing supremacy in the process of culture production for the Local elites in their Local communities. And the interlocking relationship among the leaders of the film exhibition such as movie theaters, the Culture Center and governmental foundations contributed the construction of Korean-ness based on the Anti-Commu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