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석심리학의 네 가지 유형론과 사상인의 마음작용

        최구원,임병학,오명진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0 No.65

        Sasang-philosophy discusses the mind practice of human with ‘four shapes’ and analytical psychology discusses the function of human mind with 'four typologies'. In this thesis, Sasang-philosophy and analytical psychology were compared with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and 'four typologies' of analytical psychology as a center. First, in Sasang-philosophy, Jangri(臟理) and Jangguk(臟局) are connected with oneself body and self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Jangri of Sasang-philosophy communicates with oneself body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Jangguk is communicating with self. Jangri that has a fundamental viewpoint of Sasang-philosophy is introversion, and Jangguk of phenomenal position is extroversion. Next, I examined the typology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through the all sorts of emotion, temperament of Sasangin and intuition, thought, sensation, and emotion. Taeyangin can do the thinking part well but the do not well in sensory part and Soeumin can do the sensible part well but do not well at thinking part and the Soyangin does the intuitive part well and is not good at the emotional part, Taeeumin is good at the emotional part and is not good at the intuitive part. In addition, when I look at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in the relation of the office work, friend relationship, Dangyeo and dweling and the intuition, the accent, the sense, and the emotion, Taeyangin is good at extrovert thinking but not good at extroversion, Soeumin is a good outward sense, but do not extrovert thinking well, Soyangin is good at extroversion intuition but not at extrovert feelings, Taeumin is good at extrovert feelings but not at extrovert intui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reveal that the Sasang-philosophy of Lee Je-Ma is beyond the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dimension, includ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mension. If Sasang-phlosophy and analytical psychology are studied and developed together, It will help not only to present the direction of life to many people who live in the world but also to healing the mind. 사상철학과 분석심리학은 ‘사상(四象)’과 ‘네 가지 유형론’으로 인간의 마음작용을 논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상인의 마음작용과 분석심리학의 네 가지 유형론을 중심으로 사상철학과 분석심리학을 비교 고찰하였다. 먼저 사상철학에서 장리(臟理)와 장국(臟局)은 분석심리학의 자기(自己)와 자아(自我)에 연결하여 고찰하였다. 사상철학의 장리는 분석심리학의 자기와, 장국은 자아의 의미가 서로 통하고 있다. 사상철학의 근원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장리는 내향성, 현상적 입장의 장국은 외향적 입장이 됨을 파악하였다. 다음 사상인의 애노희락과 직관⋅사고⋅감각⋅감정을 통해 사상인의 마음작용과 네 가지 유형론을 고찰하였다. 태양인은 사고적인 부분은 잘 할 수 있으나 감각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고, 소음인은 감각적인 부분은 잘 할 수 있으나 사고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고, 소양인은 직관적인 부분은 잘하고 감정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고, 태음인은 감정적인 부분은 잘하고 직관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는 것임을 알았다. 또한 인사유사(人事有四)인 사무⋅교우⋅당여⋅거처와 직관⋅사고⋅감각⋅감정의 관계에서 사상인의 마음작용을 보면, 태양인은 외향적 사고는 잘 하지만 외향적 감각은 잘하지 못하며, 소음인은 외향적 감각을 잘 하지만 외향적 사고는 잘하지 못하며, 소양인은 외향적 직관은 잘 하지만 외향적 감정은 잘하지 못하며, 태음인은 외향적 감정은 잘 하지만 외향적 직관은 잘하지 못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이제마의 사상철학이 생리적⋅병리적 차원을 넘어 심리적⋅정서적 차원을 모두 포함한 학문임을 밝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내면의 갈등 속에서 현대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삶의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마음 치유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분석심리학의 네 가지 유형론과 사상인의 마음작용

        최구원 ( Choi Ku-won ),임병학 ( Lim Byeong-hak ),오명진 ( Oh Myong-ji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 No.

        사상철학과 분석심리학은 ‘사상(四象)’과 ‘네 가지 유형론’으로 인간의 마음작용을 논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상인의 마음작용과 분석심리학의 네가지 유형론을 중심으로 사상철학과 분석심리학을 비교 고찰하였다. 먼저 사상철학에서 장리(臟理)와 장국(臟局)은 분석심리학의 자기(自己)와 자아(自我)에 연결하여 고찰하였다. 사상철학의 장리는 분석심리학의 자기와, 장국은 자아의 의미가 서로 통하고 있다. 사상철학의 근원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장리는 내향성, 현상적 입장의 장국은 외향적 입장이 됨을 파악하였다. 다음 사상인의 애노희락과 직관·사고·감각·감정을 통해 사상인의 마음 작용과 네 가지 유형론을 고찰하였다. 태양인은 사고적인 부분은 잘 할 수 있으나 감각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고, 소음인은 감각적인 부분은 잘 할 수 있으나 사고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고, 소양인은 직관적인 부분은 잘하고 감정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고, 태음인은 감정적인 부분은 잘하고 직관적인 부분은 잘하지 못하는 것임을 알았다. 또한 인사유사(人事有四)인 사무·교우·당여·거처와 직관·사고·감각·감정의 관계에서 사상인의 마음작용을 보면, 태양인은 외향적 사고는 잘 하지만 외향적 감각은 잘하지 못하며, 소음인은 외향적 감각을 잘 하지만 외향적 사고는 잘하지 못하며, 소양인은 외향적 직관은 잘 하지만 외향적 감정은 잘하지 못하며, 태음인은 외향적 감정은 잘 하지만 외향적 직관은 잘하지 못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이제마의 사상철학이 생리적·병리적 차원을 넘어 심리적·정서적 차원을 모두 포함한 학문임을 밝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내면의 갈등 속에서 현대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삶의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마음 치유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Sasang-philosophy discusses the mind practice of human with ‘four shapes’ and analytical psychology discusses the function of human mind with 'four typologies'. In this thesis, Sasang-philosophy and analytical psychology were compared with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and 'four typologies' of analytical psychology as a center. First, in Sasang-philosophy, Jangri(臟理) and Jangguk(臟局) are connected with oneself body and self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Jangri of Sasang-philosophy communicates with oneself body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Jangguk is communicating with self. Jangri that has a fundamental viewpoint of Sasang-philosophy is introversion, and Jangguk of phenomenal position is extroversion. Next, I examined the typology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through the all sorts of emotion, temperament of Sasangin and intuition, thought, sensation, and emotion. Taeyangin can do the thinking part well but the do not well in sensory part and Soeumin can do the sensible part well but do not well at thinking part and the Soyangin does the intuitive part well and is not good at the emotional part, Taeeumin is good at the emotional part and is not good at the intuitive part. In addition, when I look at the mind practice of Sasangin in the relation of the office work, friend relationship, Dangyeo and dweling and the intuition, the accent, the sense, and the emotion, Taeyangin is good at extrovert thinking but not good at extroversion, Soeumin is a good outward sense, but do not extrovert thinking well, Soyangin is good at extroversion intuition but not at extrovert feelings, Taeumin is good at extrovert feelings but not at extrovert intui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reveal that the Sasang-philosophy of Lee Je-Ma is beyond the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dimension, includ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mension. If Sasang-phlosophy and analytical psychology are studied and developed together, It will help not only to present the direction of life to many people who live in the world but also to healing the mind.

      • KCI등재

        고대 히브리사상과 헬레니즘에 비추어 본 ‘감정’의 세계

        차정식(Cha, Jung Sik) 한국신약학회 2015 신약논단 Vol.22 No.2

        이 연구는 신약성서의 감정 연구를 위한 배경사 고찰의 차원에서 고대 히브리전통과 헬레니즘 사조 속에 나타난 ‘감정’(pathos)에 대한 이해의 궤적을 포괄적으로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창세기의 창조기사와 구원사의 기록을 토대로 후회, 질투, 진노 등과 같은 신적인 감정을 비평적으로 검토하고, 시편과 예언서에 반영된 슬픔과 탄식 등의 인간 감정을 다루되 그것이 타락한 이스라엘의 당시 역사적 상태를 극복하는 자기 성찰적이고 자기전복적인 동력이란 관점에서 탐색한다. 나아가 헬레니즘의 관점에서는 인간 감정을 영혼의 질병으로 간주한 스토아 사상에 초점을 맞추어 특히 ‘무정념’(apatheia)이라는 개념에 조명을 가하되, 그것이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 어떻게 계몽적 각성의 도구와 수사학적 예술미학적 차원의 카타르시스 이론을 아우르는 예외적 관점과 병행하는지 살펴본다. 감정을 아예 제거할 수 없다면 부정적 감정을 즐거운 생의 에너지로 바꾸어야 한다는 목적론적 효용성이 부분적으로 긍정된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헬레니즘계통의 유대교에서도 나타나 필론과 마카비4서가 인간 감정을 철저한 통제와 ‘무정념’의 경지를 추구하는 극기의 차원에서 설파했다면, 잠언, 전도서, 집회서 등의 지혜문헌은 인간 감정을 하나님의 창조 결과로 수용하되 그것을 일상생활에서 선한 감정으로 조율하는 실용적인 관점이 일관되게 개입하고 있다. This study seeks to present a comprehensive trajectory of the cognitive perspectives on pathos in ancient Hebraism and Hellenism. It first brings the divine emotions into critical discussion, while analyzing the accounts of the creation story and salvation history with a focus on God’s emotional thrust such as regret, jealousy, and wrath. Then it moves on to investigate human emotions of some kinds (i.e. sorrow and lament) as reflected in the Psalms and prophetic literature, which shows a self-reflective and self-subversive momentum to overcome the status quo of Israel in depravity. In the Hellenistic context, this study starts from the Stoic idea of apatheia as the basic goal of understanding human emotions, which aims at a therapeutic control over what they consider a disease. Yet the Socratic exception occurs since his followers see an educational function in a particular emotional expression as it could awaken students from ignorance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the Aristotelian perspective on emotion also worked positively first in his rhetorical theory involving politics and judicial matters, and second in catharsis theory embedded in Greek tragedy, especially with a view to its teleological function. Finally, in the setting of the Hellenistic Judaism which covers the wisdom literature, Philo, and 4 Maccabees, traditional Hebraic perspectives on human emotions still persisted with an emphasis on their practical benefits in daily routine life in such a direction as boosting up ‘good emotions.’ However, in a metaphysical level, the Hellenistic ideal of apatheia was also introduced in a way to fulfill the Torah-based wisdom, sometimes in conjunction with ascetic practices and rigorous causes of martyrdom.

      • KCI등재

        바울의 감정 표현에 나타난 심리조율과 심리치유의 수사학

        차정식(Jung Sik Cha)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6 No.-

        이 논문은 바울 서신에 나타난 감정 언어와 감정 표현을 중심으로 바울이 선보인 심리조율과 심리치유의 역동적 특징을 조명하고자 한다. 바울은 자신의 풍성한 감정 수사학과 내면의 감정적 에너지를 매개로 얽히고설킨 기독공동체와의 역동적 관계를 조율해 나갔던 바, 이 연구는 그 일련의 추이를 서신별로 탐색하고 분석한다. 그 분석의 결과 바울은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감정을 매개로 논리적인 수사와 합리적인 설득을 강화하면서 복잡한 갈등의 상황을 헤쳐나간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바울 서신에 일관되고도 광범위하게 드러나는 중요한 감정 코드로서 ‘슬픔’ ‘고통’ ‘근심’ ‘우울’ 등으로 번역되는 ‘lypē’는 당시 스토아 철학의 감정지도에서 그 대립항이 없을 정도로 가공할 만한 부정적인 감정인데도, 바울은 특유의 신학적 연금술을 동원하여 그 부정성을 제어하고 그 긍정성을 옹호하면서 ‘회개케 하여 구원에 이르게 하는 슬픔’이라는 흥미로운 개념을 창출하였다. 그 개념은 다시 바울의 감정 언어로 옷이 입혀져 강력한 신학적 설득력을 수반한다. 그 결과 그리스도의 수난을 매개로 바울은 하나님의 구원사 가운데 더욱 더 많은 사람들을 포용하는 코이노니아의 열망을 실현해나갔다. 나아가 바울의 이러한 감정신학적 특징은 하나님의 이미지를 연민의 신으로 부각시켜 감정적 질곡이 심했던 당대의 대중들과 그 정서적 코드를 공유함으로써 선교의 저변을 확장해나가는 데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aul’s emotional languages in the context of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Paul and his Christian communities. In consequence, it is manifest that Paul was ardent with emotional expressions in various contexts, which leads to strengthen his rhetorical thrust in a more persuasive way. Out of diverse emotions which serve practical functions, lypē occupies a remarkable position for Paul, either negatively or positively. Being regarded as the most formidable emotion, lypē had no counterpart in the Stoic map of emotions. However, Paul draws on this emotion very frequently in such a way that, for example, highlights the creative dimension of one particular lypē which leads to salvation through remorse. Furthermore a significant part of Paul’s emotional theology lies in its association with Jesus’ passion through the crucifixion, thus motivating his congregations to be deeply committed to the koinonia with the suffering Christ. This perspective, along with the rediscovery of the image of the compassionate God, seems to have offered a communicative bridge with Paul’s contemporary people in terms of emotional solidarity.

      • KCI등재

        고대 유가의 악론에서 감정조절을 위한 음악치유론의 가능성 모색

        박정련(Park, Jeong-ryen) 한국양명학회 2012 陽明學 Vol.0 No.31

        이 글은 현재 서양의 사유를 근간으로 한치우 친음악 치료의 영역에서 벗어나 동아시아의 역사속에서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쳐온 유가(儒家)의 사상, 특히 유가의 악론(樂論)을 통해 음악치유의 접근과 모색의 가능성을 제언해 본 글이다. 그래서 유가의 악론이 집대성된?예기 악기를 중심으로 현재의 음악[Music]보다 세밀히 논의된 ‘성’ㆍ‘음’ㆍ‘악’이인간의 감정과 어떤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지 살피고, 더불어‘성’?‘음’?‘악’을 통해 음악 치유의 활용가능성이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소리[聲]는 사람의 마음이 외부의물(物)에 감응해 움직여 생기는 것으로 단조로운 듯하나 ‘간성’(姦聲)이나 ‘정성’(正聲)과 같은 성격의 소리가 있다. 또 다양한 인간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소리가 있는 것도 밝힌다. 또한 이글에서는 종성(鍾聲)ㆍ석성(石聲)ㆍ사성(絲聲)ㆍ죽성(竹聲)ㆍ고성(鼓聲)이나 비성(?聲) 등 실제적 소리를 통해 사람의 감정변화에 의미있는 변화를 일으킨다는 이론적 근거도 제시해 봄으로써 음악치유의 활용가능성을 언급하였다. 소리가 서로 응해 절주(節奏)를이루는‘음’(音)도 다양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치세(治世)의 음, 난세(亂世)의 음, 망국(亡國)의 음, 정음(鄭音)?송음(宋音)?위음(衛音)?제음(齊音)?상음(商音) 등을 통해 ‘음’이라는 것이 인간의 감정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음의 특징을 통해 부족하거나 넘치는 인간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다. 성음(聲音)과 몸의 동정(動靜)으로 표현 되어지는‘악’(樂)은 인간의 좋고 싫음의 감정을 공평하게 하는데, 이는 그 감정을 치우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악’은 서로의 동질감을 증대시키고, 친하고 화락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며, 동일한 ‘악’을 사용함으로써 서로의 간극과 긴장감을 부드럽고 화락한 분위기로 조성하기에 ‘악’ 또한 인간의 감정을 변화있게 생성하는 매개체였다. 이렇듯 성ㆍ음ㆍ악의특징을 통해 인간의 치우친 감정을 조절하는 치유의 가능성을 이 글에서 살펴보았다. This paper tried to suggest a possibility of music therapy in oriental Asia history which have been influenced very much by Confucian thought especially through confucian music theory out of Western music thought. So, the author reviewed the meaning of the sound, melody, and music in Lichi(禮記): record of courtesy?」?? 「Yuehchi(樂記): record of music」 which was concentrated to the music theory of Confucianism compare Sound[聲] might be monotonous but is a sense of human mind influenced by exterior materials but keeps the characteristics of ‘inconvenient giggling sound(姦聲)’ or ‘normal sound(正聲)’. Also, the Confucian theory describes various type of sounds to invoke human emotion. and this paper suggested a possibility of music therapy by analyzing the various kind of practical sounds such as Sound of Bell(鍾聲)ㆍSound of Stone(石聲)ㆍSound of Thread(絲聲)ㆍSound of Bamboo(竹聲)ㆍSound of Drum (鼓聲) or Sound of String(?) which have influenced meaningfully to human emotion. The harmony of the sounds which corresponds each other also invokeddynamic emotion of human. The sound of ruling age(治世), sound of tumbling age(亂世), sound of collapse(亡國), sound of Zheng(鄭音)ㆍsound of Sung(宋音)ㆍsound of Wi(衛音)ㆍsound of Je(齊音)ㆍsound of Sang(商音) can relate to human emotion of living closely and the sound can control excessive or short human emotion by the characteristics. The music which was controlled by sound music(聲音) or dynamic statistical or physical motion can equalize the human emotion expressing the abhor or affection of the mind. Also, ‘music’enhance the kindred spirit of people, and invoke harmony of mind, and release stress, which become a media to create human emotion in various states. This paper reviewed a possibility of Confucian music to cure human emotio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soundㆍmelody and music.

      • KCI등재

        공자사상에서 정서교육의 해법 찾기

        장승희 ( Seung Hee Jang )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1 No.-

        이 글의 목적은 이성 중심의 서구도덕교육이론에 근거한 도덕교육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공자의 감정·정서에 대한 관점을 파악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근대 이후 과학의 발달로 인지과학자·뇌과학자들은 과학으로 인간의 마음[정신]의 해명을 시도하고 있다. 과학이 인간의 마음[정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는 하지만, 인간다움의 본질은 과학으로만 해명될 수는 없는 철학의 영역이기도 하다. 동물과 구별되는 인간의 인간다움이 이성이라면, 인간 속에서의 인간다움의 본질은 감정·정서에서 찾을 수 있다. 불교, 도가, 성리학 등 동양사상에서는 감정·정서에 대해 그 기제인 마음 수양에 초점을 두고 부정적·소극적으로 파악하였다. 이에 비해, 공자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정서를 인정하고, 도덕적 정서로의 승화에 관심을 가졌다. `詩`와 `樂`에서 감정·정서가 어떻게 표현되고 조화되어야 하는지 파악하였고, `仁`과 `禮`를 도덕적 정서의 기준으로 삼았으며, 그 적절한 조절을 위해 `中庸`을, 도덕적 공감 능력으로 `恕`를 강조하였다. 공자사상에서 정서교육을 위한 방향을 찾는다면, 우선 감정·정서 표현의 사회적 기준의 설정, 도덕적 앎과 도덕적 정서의 조화, 중용의 체득과 정서 모델링의 설정을 들 수 있다.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는 인간의 감정과 정서를 자극하여 소비로 연결시키고자 한다. 공자사상에서 감정·정서 교육에 대한 방법은, 앞으로 도덕교육에서 바람직한 정서교육의 방향을 정립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This paper will suggest the meaning of emotional education from the problem of feelings and emotion in Confucius thoughts. The science development made us consider man`s minds as materials. In the philosophy of mind, spirits or minds merely have been understood chemical substances from brain. Therefore, some scientists are sure that the humanity, that is mind or spirit of human, must be elucidate by only science. But humanity is not only scientific problem but also philosophical problem that should to solve for ourself that mind`s substance of human. East philosophy or Buddhism, Taoism and Neo-confucianism take negative or passive attitude on the feelings and emotion of man.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mind how we can control. Confucius admitted human`s natural feeling and emotion. And he saw that they have to change moral sentiment. He was interested in feelings and emotion how to expressed or be harmonious among other people. He stressed the Poetry[詩] and the Music[樂] as a method, take seriously the benevolence[仁] the code of ceremonies[禮] as a standard of expression. He saw that the feeling and emotion should be controled by means of the Mean[中庸], sympathy grow up by the role change[恕]. These days of capitalism for emotional education we have to consider three point. First, to set up expression`s standard of society, second, harmony of moral knowing and moral emotion, third, experience of the Mean and setting up of the emotional modeling.

      • 도덕적 경제체제 모색 : 애덤 스미스 경제사상의 도덕적 한계와 공생주의적 대안

        양순석 통일사상학회 2022 통일사상연구 Vol.22 No.-

        필자는 자본주의의 사상적 원천이 애덤 스미스의 경제사상에 있는 것에 착안해 『도덕감정론』과 『국부론』을 중심으로 그의 경제사상의 도덕적 한계를 규명하고, 공 생주의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대안을 제시했다. 통일사상에 의하면, 사회는 인간과 구조적으로 상사성(相似性)을 띤다. 공생공영공의주의사회는 하나님을 중심하고 인 격을 완성한 인간에 의해 창조목적을 완성한 사회이므로 종교(생심)–정치(본심)–경 제(육심)의 구조이다. 애초에 애덤 스미스가 상정한 경제체제는 양심에 의해 자율적 으로 운영되는 자유방임적 자본주의이므로 종교(생심)–정치(양심)–경제(육심)의 구 조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종전의 중상주의 경제체제와 이기심을 제어하는데 실패 한 현대 자본주의는 종교(생심)–정치(사심)–경제(육심)의 구조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자본주의가 도덕적 경제체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인간의 모순된 마음을 바로잡고 뒤틀린 사회구조를 혁신해야 한다. 이를 위한 공생주의의 대안은 첫째, 양심을 본심 으로 전환할 수 있는 인성교육의 강화, 둘째, 공의주의 문화를 확산할 수 있는 실천 적 프로그램의 실시, 셋째, 정부의 경제조율 기능의 인정과 경제성장이 사회 전체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사회제도의 마련 등이다. I identify the moral limits of his economic thought and suggest alternative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it and the ideas of mutual prosperity. According to the Unification Thought, society is structurally similar to humans. Since the society of interdependence, mutual prosperity and universally values is a society centered on God and completed the purpose of creation by humans who have completed the character, it has a structure of religion(spirit mind)-politics(original mind)-economy(physical mind). Initially, Adam Smith's envisioned economic system is a laissez-faire capitalism that is autonomously operated by individual conscience, so it can be expressed as a structure of religion(spirit mind)-politics(conscience)-economy(physical mind). On the other hand, contemporary capitalism, which failed to control the previous mercantilist economic system and selfishness, can be said to be a structure of religion(spirit mind)-politics(evil mind)-economy(physical mind). In order for contemporary capitalism to move toward a moral economic system, it is necessary to correct human contradictory minds and innovate the twisted social structure. The alternatives based on the idea of interdependence are first, strengthening character education that can convert conscience into the original mind, second, implementing practical programs that can spread the culture of universal values, third, preparing a social system that can correct economic inequality, and fourth, establishing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the Heart.

      • KCI등재

        공자사상에서 정서교육의 해법 찾기『논어』에 대한 경영학적 해석

        장승희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1 No.-

        이 글의 목적은 이성 중심의 서구도덕교육이론에 근거한 도덕교육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공자의 감정⋅정서에 대한 관점을 파악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근대 이후 과학의 발달로 인지과학자⋅뇌과학자들은 과학으로 인간의 마음[정신]의 해명을 시도하고 있다. 과학이 인간의 마음[정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는 하지만, 인간다움의 본질은 과학으로만 해명될 수는 없는 철학의 영역이기도 하다. 동물과 구별되는 인간의 인간다움이 이성이라면, 인간 속에서의 인간다움의 본질은 감정⋅정서에서 찾을 수 있다. 불교, 도가, 성리학 등 동양사상에서는 감정⋅정서에 대해 그 기제인 마음 수양에 초점을 두고 부정적⋅소극적으로 파악하였다. 이에 비해, 공자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정서를 인정하고, 도덕적 정서로의 승화에 관심을 가졌다. ‘詩’와 ‘樂’에서 감정⋅정서가 어떻게 표현되고 조화되어야 하는지 파악하였고, ‘仁’과 ‘禮’를 도덕적 정서의 기준으로 삼았으며, 그 적절한 조절을 위해 ‘中庸’을, 도덕적 공감 능력으로 ‘恕’를 강조하였다. 공자사상에서 정서교육을 위한 방향을 찾는다면, 우선 감정⋅정서 표현의 사회적 기준의 설정, 도덕적 앎과 도덕적 정서의 조화, 중용의 체득과 정서 모델링의 설정을 들 수 있다.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는 인간의 감정과 정서를 자극하여 소비로 연결시키고자 한다. 공자사상에서 감정⋅정서 교육에 대한 방법은, 앞으로 도덕교육에서 바람직한 정서교육의 방향을 정립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This paper will suggest the meaning of emotional education from the problem of feelings and emotion in Confucius thoughts. The science development made us consider man's minds as materials. In the philosophy of mind, spirits or minds merely have been understood chemical substances from brain. Therefore, some scientists are sure that the humanity, that is mind or spirit of human, must be elucidate by only science. But humanity is not only scientific problem but also philosophical problem that should to solve for ourself that mind's substance of human. East philosophy or Buddhism, Taoism and Neo-confucianism take negative or passive attitude on the feelings and emotion of man.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mind how we can control. Confucius admitted human's natural feeling and emotion. And he saw that they have to change moral sentiment. He was interested in feelings and emotion how to expressed or be harmonious among other people. He stressed the Poetry[詩] and the Music[樂] as a method, take seriously the benevolence[仁] the code of ceremonies[禮] as a standard of expression. He saw that the feeling and emotion should be controled by means of the Mean[中庸], sympathy grow up by the role change[恕]. These days of capitalism for emotional education we have to consider three point. First, to set up expression's standard of society, second, harmony of moral knowing and moral emotion, third, experience of the Mean and setting up of the emotional modeling. Key words:

      • KCI등재

        러시아어 감정표현 메타포의 인지적 개념구조

        김군선(Kim Kun S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노어노문학 Vol.18 No.3

        본 논문은 러시아어 동사어구로 표현된 감정표현의 메타포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분석의 도구로는 Jackendoff가 원래 개념적 의미론자의 입장에서 개발한 모델을 필자가 러시아어 동사에 맞게 보완한 개념구조의 틀을 이용한다. 감정표현의 메타포는 기본적으로 내면적인 감정의 사건에 외부의 가시적인 공간적 사건의 형상을 상응하게 함으로써 감정 현상을 형상화하는 데 사용되는데, 이 메타포의 성격은 러시아어 동사어구에서 핵을 이룬다고 할 수 있는 PV(P는 접두사, V는 동사어간)의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감정 사건의 일반적 행위종류는 V 즉, 동사어간이 결정하고, 이 사건의 구체적 형상은 P즉, 접두사가 결정한다. 이를 본 논문에서 사용되는 개념구조도로 설명하면, 감정 사건의 성격은 V가 나타내고 P는 이 V의 시공간적 진행경로의 궤적을 조망하여 사건전체의 공간적 형상을 제공한다는 것이 된다. 이러한 메타포 분석의 메커니즘을 이용해, ‘에워싸다’, ‘멀리 끌고 가다’ 등과 같은 일반적 공간적 사건 진행의 예에서부터 보다 구체적인 파도의 범람, 무거운 짐의 중압, 고통, 감염의 병리적 형상, 식물의 형상, 자연의 색깔 등과 같은 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메타포를 분석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metaphoric expressions of emotions in Russian verbal phrases. In the investigation is applied a methodology of conceptual structure which, originally developed by the conceptual semanticist Jackendoff, has been adapt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ussian verbal structure by the present author. To elaborate into the theory, to focus on the center piece of Russian verbal phrases, prefixed verbs (from now on P V(P for prefix, V for verbal stem)) are structured to represent a spatial configuration of events where V characterizes a generic category of actional events and P specifies the path of the motion in process, imparting an overall spatial configuration to it. Now to introduce the formal theoretical framework, an event is conceptually represented by [event V ([THING<SUP>α</SUP>; FEELING], [path PREF TO [place P [THING<SUP>β</SUP>; CONTAINER of FEELING]]])] where the head is V(action), the agent THING<SUP>α</SUP>, the goal THING<SUP>β</SUP>, PREF prefix and P preposition. To paraphrase it in prose, an event occurs in a way that the agent takes action with regard to the goal with a spatial perspective of PREF and P. Then to proceed to the metaphoric representation of emotions, a mapping is made to correspond the entities in source domains to the entities in target domains so that in the formalism the former is put on the right in the entity bracket, whereas the latter on the left, e.g. [THING<SUP>α</SUP>; FEELING], [THING<SUP>β</SUP>; CONTAINER of FEELING]. With the methodology, our analysis of the metaphors starts with general actional events, then proceeds to more concrete metaphoric actions, i.e. waves, tooth pains, burden, infection, shapes of plants, and colors.

      • KCI등재

        퇴계 이황의 감정론으로 본 막스 베버사상의 수용에 관한 연구

        황상희 영남퇴계학연구원 2022 퇴계학논집 Vol.- No.31

        Commensurating with the title that what's Korean is what's global, Korean wave has been going with the worldwide flow. A person in Netflix said it's because K-contents are good at emotional descriptions.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also selected emotions as one of top ten cultural genes of Korea. Toegye is a person who made it enter the mainstream of Korea to reason the theory of emotions. The argument over Sadan Chiljeong was the ideology which led 300 years of Joseon dynasty. Max Weber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inkers in modern Korea. He was a scholar who explained the rationality of protestant morality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well. In Korea where Toegye's theory of emotions had been mainstreamed, Weber's ideology was accepted naturally because Toegye's idea of the mandate of heaven and Weber's sense of calling agreed with each other to some degree. Yet, Toegye's theory of emotions pursuing a warm individual came to create a cold, mechanical person with Weber's sense of calling for labor. Today, Korea is in internal pain. With the lowest birthrate and the highest suicide rate, it has become an implicit suicidal society. It might be because we want cold and mechanical human beings from the people who used to find the reason for existence in the precious warm emotions. What should Korea let go and what should it grab in the future? What our society needs is recovering the spiritual and religious sentiments which Toegye claimed for the publuc.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한류는 세계적 흐름을 타고 있다. 넷플릭스 관계자는 K-콘텐츠는 감정적 묘사에 능한 것이 이유라고 말한다. 한국국학진흥원도 감정을 한국의 10대 문화유전자로 선정하였다. 퇴계는 한국에 감정론의 사유를 주류로 올려 놓은 인물이다. 사단칠정 논쟁은 조선의 300년을 이끌어 가는 사상이었다. 막스 베버는 근대 한국에 영향을 가장 많이 끼친 사상가이다. 베버는 개신교 윤리의 합리성과 자본주의 정신을 잘 풀어낸 학자이다. 한국은 퇴계라는 감정론이 주류를 잡았던 사회에서 베버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러한 수용이 자연스러웠던 이유는 퇴계의 천명사상과 베버의 소명의식이 어느 정도 합치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퇴계의 따뜻한 인간을 추구한 감정론은 베버의 노동에 대한 소명의식으로 차가운 기계적 인간을 만들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은 내부적으로 고통 속에 있다. 출산율 최하위, 자살위 최상위로 암묵적 자살사회이다. 이러한 원인은 따뜻한 감정의 소중함에서 존재의 이유를 찾던 사람들에게 차가운 기계적 인간을 바라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은 미래에 무엇을 놓고 무엇을 잡아야 하는가?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은 퇴계가 주장한 공공을 위한 영적이며 종교적인 감정의 회복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