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 빅데이터를 활용한 가방(Bag)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이지연,정혜정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1

        Given the rapid changes of fashion bags’ trend phenomen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nsumer perceptions of bags based on associated words with bags using SNS big data which offer immediate and diversified comments from consumers. Text mining technique was used and the text data was collected from blogs, cafe, and Facebook from search engines (Naver, Daum, Google) containing the keyword of ‘bag’ with the period from Jan 1, 2018 to Dec. 31, 2019. The frequency and matrix data of words were extracted by TEXTOM, the social matrix program. NodeXL was used to fi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words and analyze the degree centrality. The network related to bags was visualized using the NetDraw program. The CONCOR analysis was performed to make a cluster of words based on their similarities. As results, the keyword ‘Price’ showed the highest rank of frequency and degree centrality followed by ‘Cross Bag’, ‘Good’, ‘Pretty’, ‘Backpack’, ‘Tote Bag’, ‘Travel Bag’, ‘Daily Bag’, ‘Purchase’, and ‘Boston Bag’ in the top 10 frequency rankings. Results looking at highly ranked 70 keywords indicated the categories of product attributes, items, brand, and TPO. The results of CONCOR analysis demonstrated four groups including ‘Luxury brand bag’, ‘Trend-seeking daily bag’, ‘Personal lifestyle bag’, and ‘Utility leisure bag’. This study extends the scope of research by using SNS big data and provides directions for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customer comments and opinions.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 가방 유행 현상으로 소비자의 즉각적이면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는 SNS 빅데이터인 인터넷 게시물을 기반으로 가방 관련 키워드를 수집하여 가방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네이버와 다음의 블로그와 카페, 구글 페이스북에서 가방을 키워드로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을 위해 소셜 매트릭스 프로그램인 텍스톰(TEXTOM)을 통해 빈도수과 매트릭스 자료를 도출하고 노드엑셀(NodeXL)을 사용하여 단어 간 연결 구조와 연결 정도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가방 키워드 간 네트워크 시각화를 위해 넷드로(NetDraw)를 실행하고 유사성을 가진 키워드들이 형성하는 군집을 도출하기 위해 CONCOR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방에 대한 텍스트가 총 4,045건 수집되었으며 이중 가방에 대한 연관어 빈도수를 기반으로 상위 70개의 주요 키워드를 도출했다. 가방 연관어로 ‘가격’이 가장 높은 빈도수와 연결 정도 중심성을 보였으며 그다음 빈도수가 높은 10개의 연관어로는 크로스백, 좋은, 예쁜, 백 팩, 토트백, 여행 가방, 데일리 백, 구매, 보스턴백으로 나타났다. 빈도수가 높은 가방 연관어 70개를 분석한 결과, 주요 이슈 카테고리로는 제품 속성, 아이템, 브랜드, 상황 등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유사성 있는 연관어들을 군집화한 결과, ‘럭셔리 브랜드 백’, ‘트렌드 추구 데일리 백’, ‘퍼스널 라이프스타일 가방’, ‘유틸리티 레저용 가방’ 등 총 4그룹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SNS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 연구범위를 확대하였으며 가방 브랜드 실무자들에게 고객 관점 상품 기획 및 마케팅 전략설정 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가변 형태의 노트북가방디자인 제안

        허병무,정유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3

        기술이 발달로 노트북 컴퓨터의 가격이 낮아지고, 무게가 가벼워지면서 사용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이에 노트북 컴퓨터를 보관하고 이동을 도와주는 노트북 가방도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초기 노트북가방은 노트북 컴퓨터를 보호하는 기능에만 집중되었고, 외부형태인 디자인 측면은 중요시되지 않았었다. 하지만, 소비자는 노트북 컴퓨터가 더 작고 가벼워지면서 노트북가방의 디자인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즉, 가방의 기본요소인 보관성을 포함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기능성과 미적 요소를 갖춘 형태를 추구하게 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트북가방 디자인을 제안 하였다. 노트북가방 사용자 326명에게 온라인 설문을 통해 특성별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타겟 시장은 20대후반의 전문직과 20대~30대의 사무기술직으로 정하였고, 특성별 선호도 조사결과는 캐주얼형 서류가방 형태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형태별 선호도 조사는 노트북컴퓨터 사용자 와 관련 디자이너를 포함한 총 15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형식으로 분석하여 보관성, 패션성, 기능성이 강한 가방과 별다른 특징이 없는 가방으로 구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차별화 된 기능인 펼치면 간이책상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심플하고 아름다운 형태의 파우치형 노트북가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변화하는 소비자 라이프스타일과 사용자 요구에 맞는 패션 액세서리로서의 노트북가방디자인에 가변 형태의 연구가 지속되어지길 바란다. Notebook compute are smaller and lighter, the user has increased drastically. Notebook bag is also becoming various. Early Notebook bag was focused on protects the notebook computer, the external shape design aspects were not important. However, the users interested in the design of notebook bag from notebook computer is smaller and lighter. In other words, they pursue a variety of changes, including the basic elements of the bag to keep pursuing the possible form with functionality and aesthetic element. In this study, we propose a laptop bag design. 326 notebook computer users carried out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eference in a online interview. As a result, the target market was defined in the peoples who have professional in late 20s and technical affairs in from 20s to 30s , the characteristics of preferences survey showed high level in casual briefcase-type. The form of preferences is divided into keeping, fashionable, functional and bland by analyzing interviews with a total of 15 people, including al laptop computer users and related designer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a pouch type computer bag design with differentiated features targeting on professional comsumer.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research is sustainable in the laptop bag as a fashion accessory designed to meet your needs.

      • KCI등재

        3D 가상 패션디자인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가방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 - 개인맞춤형 백팩 디자인 중심으로 -

        조운선,최철용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3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3 No.4

        고도화되는 디지털 환경은 가방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쳐 새로운 프로세스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 의 목적은 3D 가상 패션디자인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가방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으로 디자인 프로세스 관련 문헌 연구와 디자인 실증을 혼합한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피오나 디펜바허의 프로세스는 개인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에 적합하고, 칼 에스펠룬드의 디자인 프로세스는 팀워크의 디자인 정체성 확립, 데니스 앙투안의 디자인 프로세스는 맞춤형 디자인 솔루션에 적합 한 프로세스임을 분석하였다. 앙투안의 프로세스를 적용해 2D 가방 디자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를 수행함 으로써 개인맞춤형 백팩 디자인 프로세스로서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둘째, 우리는 3D 가상 시뮬레이션으 로 가방을 시각화함으로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며, 가방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3D 디자인 소프트 웨어의 활용은 디자인 개선 단계에서 효율적인 디자인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기존 실무에서 실행되는 가방 디자인 프로세스에 옵티텍스 3D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디자인 결정이 가능한 2D/3D를 활용한 가방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앞으로 가방 디자인의 가치를 높이는 연구 에 영향력을 주기 바라며 가방 디자인 시스템 구축에 기초가 되길 기대한다. The increasingly advanced digital environment is also affecting bag design, transforming it into a new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ag design process using 3D virtual fashion design software. We adopted a mixed method of design process literature research and design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Fiona Defenbacher's process is suitable for creative design development by individual designers, Carl Espelund's design process establishes the design identity of teamwork, and Dennis Antoine’s process is suitable for customized design solutions. By applying Antoine's process to carry out a project to develop 2D bag design, it proved its efficiency as a personalized backpack design process. Second, we confirmed that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s possible by visualizing the bag through 3D virtual simulation, and that the use of 3D design software in the bag design process is an efficient design tool in the design improvement stage. Third, we proposed a new bag design process using 2D/3D that enables fast and accurate design decisions by applying Optitex 3D software to the existing bag design process. The anticipated of impact of this research finding is to influence research that increases the value of bag design in the future, serving as the basis for building a bag design system.

      • KCI등재

        실종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가방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영유아 부모의 인식을 중심으로 -

        이미희 ( Lee Mi-hee ),이은정 ( Lee Eunj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7 No.-

        본 연구는 미아방지 끈과 미아방지 가방의 디자인결합을 통하여 미아방지 및 안전사고 방지의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한국형 미아방지 가방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영유아기의 특성과 미아발생 및 안전사고 발생의 사례 및 문헌 연구와 미아방지 끈과 가방에 관한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미아방지 끈과 가방의 디자인을 직접개발하고 제작하였다. 제안한 `한국형 미아방지 가방 디자인`은 미아방지 끈을 패션 가방에 통과시킨 형태의 디자인으로, 여기서 사용되는 패션 가방은 일반적인 가방과 달리 그 자체에 어깨끈이 부착되지 않고 미아방지 끈 부분의 등 패드를 통해 아이의 몸에 연결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패션가방 뒷부분에 스냅단추를 달아 패션가방과 미아방지 끈 부분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였다. 제안한 `한국형 미아방지 가방` 디자인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세부 디자인에 대한 부모들의 선호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부모들은 실종 및 안전사고의 발생에 대한 불안감을 매우 크게 느끼고 있었으며, 예방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았다. 이에 따라 미아방지 끈과 미아방지 가방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예상했던 바와 같이 미아방지 끈에 대해서는 `애완동물같아서` 부정적이라는 의견도 상당수 제시되었다. 설문 결과, 제안하는 `한국형 미아방지 가방`에 대해서는 기존의 미아방지 끈 및 가방보다 활용 희망도가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세부디자인에 대해 부모들은 착용형태는 `두줄형`을, 착용 시 고정방식은 `버클형`을, 끈 종류는 `탄력끈`을 가장 선호하였다. 패션 가방 디자인에 대해서는 `인기 캐릭터 디자인`과 `동물형상화 디자인`을 선호하였으며, 패션가방의 색상은 `옐로우`, 색상계열별로는 `레드계열`, `옐로우계열`, `블루계열`을 선호하였다. 패션가방의 소재는 천연섬유가 가장 선호되었다. A survey was conducted both to reconfirm the need for the proposed “New Child Safety Harness Bag Designs for Korean Caregivers” and to determine caregivers` preference for details in desig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caregivers are wary of possible child disappearance and accidents and they likewise expressed great interest in prevention, thus generating considerably large demand for related products. As expected, however, a number of respondents showed the negative bias that such products treat children like pets. In this sense, utilization preference for the proposed new designs have a bigger ratio than those of the existing strap harnesses and bags. For design functionality, Korean caregivers showed the strongest preference for the “two strap type” in terms of wearable form, the “buckle type” method for fixed wearing, and “elastic straps” for strap type. For design detail, “popular character designs” and “animal figure designs” on a background of primary colors were preferred, while natural fibers were the material of choice.

      • KCI등재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한 패션 가방디자인 연구

        김형주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4

        최근 패션 가방의 유행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소비자의 취향은 더 과감해지고 있어 소비자 니즈를반영한 디자인과 실용성을 모두 고려한 제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패션 가방 한 개가 제작되기까지는 여러 번의 샘플링과 테스트를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3D 프로그램을 활용한 패션 가방디자인 연구가 전무하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패션 가방 개발 시 샘플 제작 시간단축 그리고 재료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디자인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전문 서적, 학술논문, 기사와 뉴스, 인터넷 사이트 등을 통해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 프로그램으로 가방 패턴을 제작하고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하여 가상패션 가방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이를바탕으로 실물 패션 가방을 제작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CLO 3D 프로그램 특성과 이를활용한 2020년∼2022년 패션 제품디자인 사례를 조사하였다. 실증적 연구범위는 핸드폰백, 편지봉투백, 클러치백, 콘스탄스백, 박스백, 쇼퍼백의 6가지 가방으로선정하였다. 평면 또는 입체, 뚜껑의 유무, 지퍼의 유무, 스트랩과 핸들의 유무에 따른 다양한 패션 가방의형태 그리고 봉제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물리적인 특성과 내구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6가지 가상가방을 먼저 제작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물 가방으로 제작 및분석하여 실효성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다음과 같다. 이론적 연구 결과 CLO 3D 프로그램은 2D 패턴을텍스처와 물리적 특성을 적용해 실제와 유사한 3D 가상 의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으로 최근 패션시장에서 메타버스와 함께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브랜드에서 이를 이용하여 가상과 실물을 동시에 개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증적 연구결과로는 첫째, CLO 3D 가상 프로토타입 제작 시 미리 크기나 모양, 소재의 물성과 컬러를적용하여 최적화된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할 수 있었다. 둘째, 생산에 앞서 가상환경에서 패션 제품을 시뮬레이션하면 불필요한 제조 비용 발생과 시간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CLO 3D 가상가방을 기반으로 실물 가방을 제작해 본 결과 디자인 결과물이 가상가방과 유사하게 연출되어 여러 번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지 않아도 제품의 질을 높여주는 데 최적화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입체적이거나 뚜껑 또는 스트랩과 핸들이 있는 복잡한 형태는 최상의 디자인을 찾는 데 큰 도움을 주는 프로세스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상 프로토타입이 설계 프로세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향후 패션 제품개발에 중요한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앞으로메타버스(Metaverse) 세계와 함께 3D 디자인 프로그램을 활용한 디지털 패션 관련 서비스 및 브랜드 기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중국 신세대 여성의 패션 이미지에 따른 가방 착용 스타일 분석에 관한 연구

        오현아(Oh, Hyun A),배수정(Bae, Soo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시장의 경쟁 속에서 중국 신세대 여성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가방 디자인을 개발하도록 마케팅 전략의 기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중국시장 내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 있다. 현재 중국 내수 시장의 특징은 크게 젊은 세대와 여성 소비자가 시장을 지배하기에 이들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중국 가방 산업의 주요 소비 계층으로 신세대, 주링허우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중국 패션 소비시장을 이끌어 가고 있다. 본 연구의 경우 단순히 가방이라는 특정 아이템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보다는 가방의 착용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인 의복과의 연관성을 깊이 있게 살펴봄으로써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각종 문헌자료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의복과 가방의 형태를 분류한 후 정의된 의복과 가방 아이템 착용현황을 베이징 도시 여성 소비자의 중심지인 싼리툰, 왕징, 왕푸징에서 촬영된 사진 중심으로 하였다. 특히 삼성패션연구소에서 제시하는 유행을 선도하는 스트리트 패션 그룹의 사진 중에서 패션 아이템의 코디가 토털 코디네이션 된 사진만을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연도별 구분하고, 스트리트 촬영기관의 분류기준에 따라 구분한 후 무작위 추출법으로 각 75장씩 추출후 총 1,500장을 이미지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3년 봄부터 2017년 겨울까지 총 5년 동안 선호되는 패션 이미지는 액티브/스포티브 이미지가 높은 빈도로 선호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페미닌/로맨틱, 클래식, 매니쉬, 아방가르드, 에스닉, 기타의 순을 보였다. 다음으로 의복의 상의 색상에 있어서는 black의 민무늬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하의 색상에 있어서는 상의 색상과 같이 black의 민무늬가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수치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그 비중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원피스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복과 가방과의 배색 부분에 있어서는 이색유채색이 높게 빈도로 코디네이션 되었고, 가방 종류에 있어서는 2013년 봄부터 2014년 겨울까지는 숄더백이 주로 착용되었다면, 2015년 봄부터 2017년 겨울까지 점차 크로스백으로 선호 경향을 변화하고 있음을 높은 착용률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가방의 색상과 패턴은 의복과 동일하게 black, 민무늬로 높은 착용률을 보였다. 이를 통해 의복의 유행색이 가방의 유행색과 무관하지 않음을 생각할 수 있었다. 패션 이미지별로 살펴보면 페미닌/로맨틱 이미지의 경우 가방이 의복과의 배색에 있어 이색 유채색에 숄더백, black, 민무늬가 코디네이션 되고 있었고, 이는 아방가르드 이미지에서도 이색유채색, 숄더백, black, 민무늬 패턴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액티브/스포츠 이미지의 경우에는 이색유채색에 black, 민무늬는 동일하나 가방의 종류에 있어 크로스백을 착용함으로써 보다 활동성이 있는 아이템과 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매니쉬 이미지의 경우에는 동색무채색, 숄더백, black, 민무늬가 코디되고 있었고, 클래식의 경우는 이색유채색, 크로스, black, 민무늬가 매치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 소비시장 내에서 가방 아이템에 주력하고 있는 한국 패션기업에게 베이징 도시 여성을 위한 디자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to develop preferred bag designs by chinese new generation and to help obtain competitiveness in Chinese market.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young generation and women in China as they are the dominant consumers in the domestic market. They are called by various names such as young generations, Ju ling hou They are the main consumers of the Chinese bag industry and also leads the fashion industry. The study focuses not just on the bag as a specific item but also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es and bags. As for research methods, clothes and the shapes of the bags are classifi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the actual wearing conditions are mostly from photos taken from Sanlitun, Wangjing and Wangfujing. Street photos of total coordination with fashion items provided by Samsung fashion research centers were classified by year from 2013 to 2017. After the year classification, 75 photos from classification standards from Samsung Design Net were randomly selected making a total of 1,500 photo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The most frequent fashion images from spring 2013 to winter 2017 is active/sportive images followed by feminine/romantic images, classic images, mannish images, avant-garde images, ethnic images and others. Next, the most frequent color of top clothes is black with plain pattern and that of bottoms is the same. However, the frequency of bottoms is twice higher than that of top. The results of one-piece also showed similar tendency. The most frequent color arrangement of clothes and bags is different chromatic colors. While the most frequent bag type was shoulder bags from spring 2013 to winter 2014, there is an increasing preference of cross bags from spring 2015. The most frequent color and pattern of bags are black with plain patter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red colors of clothes and bags. According to fashion images, the most frequent coordination of clothes and bags in feminine/romantic images is shoulder bags of different chromatic colors and black with plain pattern. Avant-garde images also show the same coordination. In case of active/sportive images, the coordination of different chromatic colors and black with plain pattern is the same except for bag types, cross bags, which makes it more active. In case of mannish images, shoulder bags with same achromatic colors and black with plain patterns is the most frequent coordination. In case of classic images, cross bags with different chromatic colors and black with plain patterns is coordinated the most. This study gives basic inform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to Korean fashion companies focusing on bags in China and contribut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m.

      • KCI등재

        조각보 이미지를 응용한 가방 디자인 연구

        서옥경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6

        Jogakbo is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craft of Korea and uniquely features Korean aesthetic sense and symbolism. Meant to invoke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culture, this study applied the production methods of Jogakbo to bag designs. It first made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ed on literature and specimens and referred to analytical data of patterns of Joseon Jogakbo to reproduce Jogakbo imag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mphasize the formative aesthetics and artistry of traditional Korean craftworks and apply the craft techniques to bag designs to ultimately suggest ways in which traditional craft designs can be commercialized. This study reproduced seven types of Jogakbo by referring to the ways in which scraps are connected in Jogakbo, and applied the findings to bag designs. This study suggests seven bag designs that consider shapes and colors of bags and organic relevance of bags and Jogakbo according to the types and color combinations of Jogakb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renew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crafts and promote application of the formative aesthetics and color combinations of Jogakbo to bag designs. Efforts should be made to apply traditional craft techniques to a wider range of fashion items. 조각보는 우리의 독자적인 조형미와 상징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어 현재 재현되고 있는 우리 고유의 공예품들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공예품이라 할 수 있다. 정형화되지 않은 색채미와 차별화된 조형미로 다양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으며 탁월한 예술품으로서의 가치도 인정받고 있다. 또한 현대 여성들에게 가방은 물건의 보관과 이동수단 이상의 개인의 개성 표현은 물론 가치기준 및 사회적 지위까지도 대변하는 복식 아이템이다. 조각보의 원래 목적 또한 물건을 담는 보자기의 기능이었던 만큼 가방과 조각보의 동일한 기능을 연계하여 조각보의 독특한 조형적 특성을 현대 가방 디자인에 응용하는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조각보의 독창적인 공예기법을 패션 아이템 중 가방 디자인에 적용하여 실용적이면서도 독창적인 가방을 디자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은 우선 조각보의 유래 및 색상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우리나라 전통 디자인 소재를 가방 디자인에 적용시킨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에 있는 조선시대 조각보의 7가지 연결 방식에 따른 유형을 참고로 하여 전통 조각보의 형태를 그대로 재현 및 제작하였고, 이를 현대 가방 디자인에 적용시켜 가방을 제작하였다. 이 때 조각보의 유형과 색 조합에 따른 가방의 형태 및 색상, 가방과 조각보와의 유기적인 연관성을 고려하면서 가방 디자인 작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계기로 우리의 전통적인 공예작품에서 나타나는 조형미와 예술성을 재인식하고 독창적인 공예기법을 현대적인 패션 아이템에 적용시킴으로써 전통 공예 기법이 현대의 패션에 지속적으로 실용화 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소재유형에 따른 특성 연구

        왕경희(Kyung Hee W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자원을 보존하고 절약하기 위해 폐기된 제품의 소재를 가공하고 해체하여 다시 사용하는 재활용 제품개발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제작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업사이클링 제품을 좀 더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에 사용된 소재의 유형별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소재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국내 브랜드 10곳과 국외 브랜드 46곳의 유형별 소재를 분류하여 사례를 조사하고 특성을 분석하여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브랜드 선정은 전시와 다큐멘터리, 서적, 웹사이트를 조사, 검색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업사이클링 디자인 개념과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발생, 국내외 현황을 조사하였고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소재는 환경부 폐기물 분류기준을 참조하여 폐섬유류, 폐비닐류, 폐가죽류, 폐종이류, 폐타이어류로 분류하여 브랜드 사례를 조사하였다. 셋째, 사례를 종합하여 소재특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업사이클 가방디자인의 소재유형은 첫째, 폐섬유류로 주로 많이 제작되며 트럭 덮개, 현수막, 광고판, 자투리 천, 옷, 군복, 담요, 텐트, 낙하산, 소방호스, 안전벨트, 차 시트, 비행기좌석, 커피자루가 사용되고 있다. 둘째, 폐비닐류의 포장용 비닐과 비닐봉지가 주로 활용되고 있다. 셋째, 폐가죽류의 헌 가죽옷과 가죽신발을 제작하고 남은 자투리 가죽, 벨트, 차 시트, 폐가구, 체조기구를 활용하고 있다. 넷째, 폐종이류는 잡지와 카탈로그, 신문에 비닐코팅을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다섯째, 폐타이어류는 타이어 안쪽의 이너튜브와 특별히 가죽 같은 광택의 고품질 원단을 개발하여 이용하고 있다. 위의 소재유형으로 특성을 도출해 본 결과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은 첫째, 여러 소재의 혼합사용 둘째,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한 공예기법의 활용 셋째, 재료 공급의 한계로 인한 희소성 넷째, 폐기된 제품을 다시 사용할 수 있을 만큼의 내구성이 있다. 이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소재유형에 따른 특성연구를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활성화 방향을 모색해 보면 첫째, 업사이클링 가방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를 찾기 위해 많은 시도와 실험으로 소재의 다양화에 힘써야 한다. 둘째, 새로운 수공예적인 기법을 발굴하여 소재를 고급화해야 한다. 셋째, 개인의 고유한 감성을 담을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여 희소성 있는 차별적 가치의 제품을 창출해야 한다. 넷째, 기술개발과 투자를 통해 우수한 소재를 개발해야 한다. 이와 같은 활성화 방향은 아직 사회적 관심과 산업적인 기반이 미약한 우리나라 업사이클링 시장의 제품수준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향상시킬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Korea, a resource poor country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recycling products reusing waste materials through processing and disassembly to preserve and save resources.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to more actively develop upcycling things that are made into high value-added products and create new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cases by material types in the upcycling bag design, to deduce the attribute of materials. and then to suggest revitalization plans of the upcycling bag design in Korea. The scope of this research included the classification and case study of each material from 10 domestic brands and 46 foreign brands and finally suggested the revitalization plans of the upcycling bag design. The brands selection was based on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exhibitions, documents, books and web sites. The method of research is as follow. First, this study researched the upcycling concept, the advent of upcycling design, domestic, foreign present condition and the necessity of upcycling bag design. Second, for a brand case study, materials for an upcycling bag design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i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follows ; a type of waste textile, waste plastic, waste leather, waste paper, waste tire. Third, each material attribute was deduced after integrating all case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revitalization plans of an upcycling bag design in Kore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on the types of an upcycling bag design is as follows. First, a main type is waste textile, in addition, covers for a truck, placards, signboards, remnants of cloth, clothes, military uniforms, blankets, tents, parachutes, fire hoses, seat belts, car sheets, plane seats and sacks for coffee are used. Second, a type of waste plastic including doggie bags and plastic bags is mostly used. Third, a type of waste leather such as old leather garments, remnants of leather shoes, a belt, car sheets, waste furniture and gymnastic gears is utilized. Fourth, a type of waste paper such as magazines, catalogs, and coated newspapers is utilized. Fifth, a type of waste tire is utilized using inner tubes of a tire and is especially developed into glossy leathery fabrics with high quality. Based on these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an upcycling bag design are as follows. First, an upcycling bag design combines different materials. Second, it frequently uses crafts techniques. Third, it has scarcity value because of supply limit for materials. Fourth, it has durability to enable reuse by dismantling wasted goods. This study suggests the revitalization plan of an upcycling bag design in Korea from this research on the material type and attribute of an upcycling bag design.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materials for upcycling bags from many tries and experiments. Second, we need to gentrify materials with finding new handcraft techniques. Third, the differentiated value should be created by product development with individual unique sensibility. Fourth, high-quality materials should be found through developing new technologies and investment. This revitalization plan will be able to raise the status of products and create added value in the Korean upcycling market where social concern and industrial foundation are vulnerable.

      • KCI등재

        여성들의 계단내리기 시 계단높이와 가방무게 변화에 따른 지면반력 형태 비교분석

        현승현,류재청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1

        [INTRODUCTION]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round Reaction Force patterns according to the change of stairs heights & bag weights during downward stairs in women. [METHOD] Subjects were consisted of young and healthy women(n=9, mean age: 21.00±0.00yrs, mean height: 164.00±3.23cm, mean body mass: 55.04±4.68kg, BMI: 20.48±1.86kg/m2), and were divided into 3 bag weights(0kg, 1.5kg, 3kg) and downward stairs with 2 types of stairs heights(stairs, bus stairs). A one force-plate was used to collect GRF(AMTI OR6-7) data at a sampling rate of 1000Hz. The variables analyzed were consisted of the medial-lateral GRF, anterior-posterior GRF, vertical GRF and Center of Pressure(COPx, COPy) during downward stairs. [RESULT] 0kg load showed different patterns when compared with that of 1.5kg, 3kg of bag weights and height of stairs & bus stairs in medial-lateral GRF respectively. The anterior-posterior and vertical component of GRF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bag weights, but those of bus stairs showed the higher anterior posterior and vertical component of GRF than that in case of stairs height during downward stairs. The COPx and COPy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both the bag weights and stairs heights respectively. Also, The 3kg load of bag weight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at of 0kg, 1.5kg load of bag weights in both COPx and COPy during downward stairs. The vertical GRF showed similar correlation patterns with anterior-posterior GRF(r=.942, R2=88.64), with COPx(r=.823, R2=67.6%), with vertical GRF(r=.840, R2=70.49%), with COPx in stair(r=.928, R2=86.26%), with COPy in bus stairs(r=-.942, R2=88.64%) according to increase of stairs heights. [CONCLUSION] Considering the above, the capacity of dynamic balance was lowered relative to increase of bag weights at the COP displacement and different pathway. Also the degree of asymmetric load showed the higher level relative to increase of bag weights during bus downward stairs.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들의 계단내리기 시 계단의 높이와(일반계단, 버스계단) 가방무게(0kg, 1.5kg, 3kg) 변화에 따른 지면반력 형태를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성인 여성 9명(나이: 21.00±0.00세, 신장: 164.00±3.23cm, 체중: 55.04±4.68kg, 체질량지수: 20.48±1.86kg/m2)으로 젊고 건강한 여성들이었다. 분석변인은 지면반력의 좌·우(Fx), 전·후(Fy), 수직지면반력(Fz)과 압력중심의 좌·우(COPx), 전·후(COPy)변화를 분석하였고, 지면반력 패턴의 유사성을 비교하기 위해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좌·우지면반력은 가방무게 0kg이 가방무게 1.5kg, 3kg과 일반계단, 버스계단 내리기와 비교하여 다른 형태를 보였고, 전·후지면반력과 수직지면반력은 가방무게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일반계단 보다 버스계단에서 내리는 경우 더 큰 전·후, 수직지면반력을 보였다. COPx, COPy는 가방무게 증가와 계단높이 변화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COPx는 가방무게가 3kg인 경우 0kg, 1.5kg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패턴이 나타났고, COPy는 가방무게가 3kg인 경우 가장 큰 변화량을 나타냈다. 상관관계분석결과, 전·후지면반력은 계단높이가 증가할수록 수직지면반력의 형태와 유사하게 나타났고(r=.942, R2=88.64%), 수직지면반력이 가장 큰 버스계단 내리기와 계단내리기의 COPx 간(r=.823, R2=67.6%), 일반계단의 수직지면반력과(r=.840, R2=70.49%), 일반계단의 COPx(r=.928, R2=86.26%)와 높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버스계단의 COPy(r=-.942, R2=88.64%)와는 서로 상반되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결론] 연구결과, 가방무게가 증가할수록 압력중심이동은 다른 경로를 보여 보행안정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버스계단 내리기 시 가방무게가 증가할수록 일측성부하가 더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사용자 분석을 통한 기저귀가방 디자인 개발 방향 연구

        장윤진,최선영,이보배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2

        In spite of the fall in birthrate, recently, the baby products market is saturated and it is required to develop new alternatives and unique and differentiated idea products in the market.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gn development of diaper bags, which put emphasis on user experience. Especi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GI evaluation on the prototype in the design process, in order to suggest a proper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of diaper bags. This study is divided into four phases; a study on existing products - an analysis of products research and a summary - development of the prototype for user evaluation - an in-depth interview with users. Based on the market research, user-centered problems and receptive points of the existing products were reflected in the concept of the suggested diaper bag design. In the future, there will be a necessity for a diaper bag, which mixes diaper pads with a bag to find things quickly and install a space for a baby conveniently anywhere. Also,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iaper bag that provides three storage spaces to find things easily and the frequently used storage pocket should show a storage position clearly using a pictogram to promote user convenience.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design development of future diaper bags, based on a user survey on the prototype in the design proces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user experience-based diaper bag design will help in developing new products in the baby products market and improve user convenience. 최근 출산율 하락에도 불구하고 유아용품 시장은 포화상태이며 유아용품 산업의 새로운 대안점과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아이디어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유아용품 중 가장 사용자 경험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어야 하는 기저귀 가방에 대한 디자인의 상품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 본연구의 목적이다. 특히 디자인 과정에서 시제품을 대상으로 FGI평가를 통해 기저귀 가방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차별성이 있다. 연구방법은 크게 4단계로 나누어, 기존 제품조사 - 제품조사의 분석과 종합 - 사용자 평가용 시제품 개발 - 사용자 심층 인터뷰를 통한 평가로 진행하였다. 시장 조사를 토대로 기존 제품의 사용자 중심으로 문제점과 수용점을 반영하여 기저귀가방 디자인을 콘셉트를 제안하였다. 차후 연구 결과에 제안되어야 하는 기저귀 가방 개발 방향은 기저귀 패드와 가방이 결합된 형식으로 가방을 펼쳤을 때 물건들을 신속히 찾을 수 있고 어디서든지 간편하게 아이를 위한 공간을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용도에 따라 공간을 3파트의 수납공간으로 구분하여 물품을 간편하게 찾을 수 있으며, 사용빈도가 많은 수납 주머니에는 픽토그램을 이용하여 수납위치를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기저귀 가방이여야 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과정상, 시제품의 대상으로 진행된 사용자를 통하여 차기 기저귀가방의 디자인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사용자 경험 기반으로 한 기저귀 가방디자인 개발방향을 통하여 유아용품 시장의 신상품 제안과 사용자 편의성 도모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