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격교육 유형과 학습자 배경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의 실재감 지각 차이에 관한 연구

        신민철,박인우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4

        Due to COVID-19, Distance learning is applied as an official method of curriculum operation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aims to obtain clues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distance learn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rese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tance learning,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two factors.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Repeated Measures ANOVA based on the survey responses of 400 students who had distance learning experience in 2021.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res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tance learning was in the teaching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Seco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resence according to the learner's background variab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gende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grade group in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and the 5-6th graders perceived higher than the 3-4th graders.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the types of distance learning in the perception of presence, but there i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ade group and types of distance learning in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Through this study, We obtain clues about the perception of presence among elementary students in distance learning, and based on this, it will be possible to devise a learning design and method for distance learning that can lead to a high perception of presence. COVID-19 이후 원격교육은 공식적인 학사 운영의 한 방법으로 초등학교에 적용되고 있다. 실재감은 원격교육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원격교육 운영의 단서를 얻기 위해 실시간 및 비실시간 원격교육 유형과 성별 및 학년군으로 구성된 학습자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실재감 지각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원격교육 유형과 학습자 개인배경변인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원격교육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단서를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1학년도를 기준으로 원격교육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400명의 설문 응답을 바탕으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격교육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실재감 지각 차이는 교수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에서 있으며, 교수실재감에서는 실시간 원격교육 유형에서 더 높게 지각하고, 감성적 실재감에서는 비실시간 원격교육 유형에서 더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학습자 배경변인에 따라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실재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실재감 지각 차이는 모든 실재감의 유형에서 없었다. 반면, 학년군에 따른 실재감 차이는 교수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그리고 감성적 실재감에 있었으며 5-6학년군이 3-4학년군에 비해 각 실재감을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실재감에서 성별과 원격교육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으나, 학년군과 원격교육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는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에서는 있으며, 비실시간 원격교육 유형에서 5-6학년군 학생들이 3-4학년군 학생들에 비해 실재감을 더 크게 지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실재감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높은 실재감 지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원격교육 교수 설계 및 방법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원격교육연수 재개념화 및 쟁점 분석

        이재진(Jaejin Lee),전제상(Je Sang Jeon),서영석(Young Suhk Suh),엄문영(Moonyoung Eo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4

        코로나19 사태는 우리나라의 사회·경제·교육과 교직사회에까지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기존 면대면 중심으로 운영되던 집합연수가 사실상 불가능해졌으며, 비대면 원격교육연수를 중심으로 교원연수 방법이 새로운 연수목적과 형태를 중심으로 재구조화되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본 연구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교원 전문성 강화를 위한 대안적 방법으로써 원격교육연수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포스트코로나 시대 원격교육연수의 개념을 교수자와 연수자가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지만,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교수자, 학습자, 전달시스템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연수로 정의하였으며, 이를 위한 쟁점을 재개념화 측면, 운영 및 방법 측면, 평가 측면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원격교육연수의 원리는 자율성, 전문성, 책무성, 적응성,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현행 원격교육연수의 쟁점 과제로는 원격교육연수의 관련 법적 근거에 대한 재정립, 원격교육연수의 위상 재정립, 교원연수 방법에 대한 개념 재정립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과제 해결을 위해 연수 프로그램 다양화에 따른 심사기준 마련, 원격교육연수 내용 심사 대상의 확대, 최첨단 에듀테크를 포함한 원격연수원 운영 평가 항목의 재정비, 교원자격연수 평가 방식 해결을 주요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The Covid19 incident has had a huge impact on the social, economic, educational and teaching communities in this country. Due to the craze of Covid-19, collective training, which used to be operated mainly on face-to-face, has become virtually impossible, and the method of teacher training, focusing on non-face-to-face distance education, has to be newly reorganized around new training purposes and forms.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distance training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n alternative way to strengthen teacher expertise in the Post-Covid19 era. First of all, the concept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was defined a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operated freely either in real time or non-real time through interaction among instructors, learners, and delivery systems by means of diverse media, even though instructors and learners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issues regarding the distance teacher training were divided into re-conceptualization issue, operation and method issue, and evaluation issue and discussed respectively. The principles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for post-covid19 era were presented as autonomy, professionality, accountability, adaptability and efficiency. To resolve the current issues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redefinition of the legal basis for distance teacher training, improvement of the proportion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and redefinition of the concept of teacher training methods were suggested as the challenges for the future. In addition, the main solutions were proposed as follows: to prepare the criteria for evaluation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training programs, expand the scope of targets of evaluation for distance teacher training contents, expand the evaluation items including cutting-edge edutech for operation of the distanc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nd reform the evaluation method for teacher qualification.

      • KCI등재

        교원 역량 중심의 원격연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김은영,김현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교원연수의 일환으로 현재 원격교육연수원에서 운영되고 있는 연수과정의 주제를 교원 역량 신장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54개의 원격교육연수원(공인 원격교육연수원, 교육과학기술연수원, 시도교육연수원)에서 2011년 1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운영된 1430개의 원격연수과정을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원격연수과정은 ‘자기계발’, ‘교수학습실행’, ‘생활지도 및 상담’과 같은 특정 역량에 치우쳐 개발 · 운영되고 있었으며, 연수원의 유형에 따라 중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연수과정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원의 역량 신장을 위한 원격연수과정은 부족하게 운영된 연수주제에 대한 개발, 학교급의 특성에 맞춘 연수과정의 개발, 그리고 생애주기를 고려한 연수과정이 확대 운영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교원의 원격연수를 담당하는 전체 원격교육연수원의 연수현황을 이해하고, 교원 역량 신장을 위해 개발의 필요가 있는 연수과정을 인식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ining courses operated by distance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s for verifying which teacher competency is developed through the cour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distance training courses in government-authorized distance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s; National Training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city and province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s, operated form January 2011 to September 2012.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teacher competency model as an analyzing framework. As a result, the majority of the current distance educational courses for teachers focused on particular competencies such as ‘self-cultivation’, ‘teaching and learning implementation’, and ‘life advice and counseling’. The themes of courses tends to depend the type of the training institutes.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training courses to promote all teacher competencies in balance. Futhermore, training courses should be tailored in accordance with teachers’ school level and career ladder.

      • KCI등재

        원격 평생교육에서 학습자 인식을 통한 원격기반 학점은행제 현황 분석

        장선영 ( Sun Young Ch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1

        원격통신교육에서부터 시작한 원격교육은 이제 최신의 매체의 발달로 인해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원격대학이나 사이버대학, KOCW 등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고 스마트시대 라는 미래사회가 도래하면서 평생교육의 장에도 원격교육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격 평생교육인 원격기반 학점은행제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원격기반 교육에 대한 학습자 의 인식을 조사하여 출석기반과 구분되는 원격기반 학점은행제의 현황을 분석하고 나아가 학점은행제 향후 운영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주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첫째, 출석기반 학점은행제와 달리 학습시간 비구속성, 일과 학습 병행 용이성, 장소 무제한으로 인한 학습의 용이성이 중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중요한 운영요소는 시스템 측면인 LMS의 원활함과 사용용이성, 그리고 이를 다 루는 인간의 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의 동영상보다 동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강의슬라 이드가 가장 도움이 되는 학습내용이었다. 넷째, 모바일학습에 대비하는 기제를 마련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이러한 몇 가지 결과를 바탕으로 원격평생교육인 원격기반 학점은행제 향후 운영에 있어서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A distance education is now getting development because of developing the media recently. The importance of distance education that is changing into a cyber university, KOCW etc. facing the future society is growing more and more in life-long education, her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development plan for learner of Academic Credit Bank System based on distance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learners’ respon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3 important features are analyzed: non-limitation of learning time, easy to hold down a job and run learning at a same time, non-limitation of learning place. Second, the most important element is the service of tutor and faculty for learners, LMS without error and convenient usage of LMS. Third, Mobile learning device is to be prepared in the near future. In terms of these results the several development plans for teaching & learning are made

      • KCI등재

        대학원격교육지원센터(UDEC) 학습 콘텐츠 현황 분석 및 발전을 위한 제언

        최수이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4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8 No.2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도입된 대학원격교육지원센터는 권역별 주관대학을 선정한 후 한국교육학 술정보원에 의하여 운영되고 있다. 권역별 원격교육은 공동활용 학습관리시스템인 LMS를 통해 정규 수업으로 운 영되기도 하며, 권역별 대학의 수업을 들을 수 있는 등, 국가 고등교육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러한 대 학원격교육지원센터가 설립목적에 맞도록 운영되고 향후 보다 더 발전적인 형태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현 황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격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 나타난 정보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통해 운영 현황을 개관하고, 학습 콘텐츠 현황 분석과 발전을 위한 제언을 논의해 보았다. 그 결과 양질의 원격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요구에 따른 강좌개발이 필요하고 대학원격교육지원센터 원격교육에 적합한 운영 방법을 고려해야 하는 등의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UDEC, which was introduced after COVID-19, is operated by KERIS after selecting universities by power. Distance education by jurisdiction is operated as a regular class through joint use LMS. In addition, students can take classes at universities by power to help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al higher education. In order for UDEC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its purpose of establishment and become more developed afterwards, it must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seek improvements. In response, this study collected information on the website of the University distance education support center, reviewed the operation status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discussed suggestions for learning content status analysis and development. As a result,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distanc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course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social needs and that appropriate operation methods for distance education of the university remote education support center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충남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경험과 그 의미

        윤태성(Yoon Tae-sung),류수연(Ryu Su-yeon),임경원(Lim Kyoung-wo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대응으로 갑작스럽게 원격수업을 운영하게 된 특수교사의 경험을 들어봄으로써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 도움이 될 만한 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해 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충남지역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8명과 면담을 하였으며, 면담에서 얻어진 자료는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원격수업에 직면한 특수학교 교사의 경험은 ‘좌충우돌 원격수업의 준비’, ‘원격수업의 시작: 길을 만들어가다’, ‘개별화교육: 산 넘어 산’, ‘특수학교 원격수업의 의미: 비온 뒤 땅 굳듯이’의 4개 상위 범주와 19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먼저, ‘원격수업의 준비’는 스마트폰과 밴드를 중심 매체로 삼아 수업자료를 확보하고 가정방문을 통해 학생의 원격수업 준비를 점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리시가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었다. ‘원격수업의 시작’은 콘텐츠 제공 중심 수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업 내용, 수업 형태, 학생과 상호작용, 원격 수업의 효과성 등이 고려되었다. 이 부분에서는 학부모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개별화교육’에서는 원격수업 상황에서 개별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 큰 틀에서의 개별화교육, 작은 틀에서의 개별화교육에 관한 고려사항이 드러났다. ‘특수학교 원격수업의 의미’에서는 기본적으로 대면 수업의 대안적 성격을 지닌 수업이었으며, 원격수업의 초기에 많은 부정적 측면이 있었으나 점차 안정화되어 가면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현장실습, 사후지도, 생활지도 등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육부에서 개인 차원에 이르기까지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비상 상황에 대비해서 지속적인 준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특수학교에서 원격수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 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원격환경에 알맞은 교육 방법과 개별화교육을 실행해야 하며, 원격수업을 핵심으로 한 교육과정 운영 및 지원을 위한 학교 재구조화를 모색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n distance education in special school.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8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for the research was based on semi-structured Interviewing and analyzed with comprehensive analysis steps based on principle of practical compromise. The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listed as follows: Titles such as (1) Preparation of distance class (2) practice of distance class (3)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4) Meaning of distance class in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parations for distance classes were made through smartphone and Naver Band to secure class contents and check students preparation for distance classes through home visits. In this part, digital literacy was very important to practice it. Second, the practice of the distance class was conducted mainly by content provision, and the form of the class,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effectiveness of the distance were considered. In This part, parents served as support for classes, school work cooperation, and student life guidance. Third, in individualization education, new considerations for individualization have emerged in the context of distance classes. The distance class of special schools were basically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classes, and they revealed many negative aspects, but they also discovered new possibilities in field practice. In case of a possible recurrence of distance classes in the future, special schools need to seek and prepare for the restructuring of schools for the operation and support of curricula centered on distance classes.

      • KCI등재

        미국에 있어서 원격교육 관련 법제

        李光眞 법무부 2004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21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그 기반시설이 널리 확대되면서 원격교육에 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그리고 1999년 제정된 평생교육법이 제22조에서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전문대학 또는 대학졸업자와 동등한 학력·학위가 인정되는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의 설치를 허용함으로써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인에게 원격교육을 실시하거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평생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고, 同條에 근거하여 2001년 3월 8개의 전문대학 또는 졸업자와 동등한 학력·학위가 인정되는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의 설치가 인가되면서부터이다. 그로부터 3년이 지난 지금 총 16개의 원격대학이 운영되고 있고 일부 대학교의 경우에는 졸업생을 배출하는 단계에 와 있기도 하다. 이와 관련하여 고등교육법에 규정된 학교의 형태인 국립대학, 공립대학, 사립대학, 방송통신대학과 평생교육법상의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 등 다양한 형태의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정비의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의 경우는 원격대학과 관련한 별도의 법령을 두고 있지는 않다. 다만 특히 교육시설에 대한 것은 주정부에서, 교육품질에 대해서는 인증협회에서 담당하도록 하고 교육품질에 대한 인증을 받은 경우에만 학위를 수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에서의 원격대학을 포함하는 사립의 고등교육기관에 관한 설립 등의 권한과 교육품질의 인증에 관한 부분을 이원화하여 운영하고 있는 부분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사이버대학은 물론 기존의 일반대학교의 교육개방과 관련된 국제경쟁력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IT and the enlargement of its basic equipment, we are interested in distance education increasingly. 3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Lifelong Education Act, there are 16 distance university and some of them entered a phase to produce graduates. In relation to it, there are many arguments about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prescribed under the Higher Education Act - national, public, private University. Besides air and correspondence university - and under the Lifelong Education Act :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med of distance college. In U.S.A., they have separate statutes, but, they adopt dual system. So to speak, state government undertakes deucational equipments and DETC is in charge of educational quality. It is possible to grant degree on condition of accreditation. I think that this type of distance education in America gives us considerable suggestions in many respects.

      • 원격교육의 질에 관한 논의

        정인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5 평생학습사회 Vol.1 No.1

        질에 관한 논의는 원격교육 뿐만 아니라 전통적 교육에서도 핵심적인 주제이다. 지난 몇 년을 거치면서 원격교육과 사이버 교육이 범용화되고 또 다양한 테크놀러지에 기반한 이러닝이 등장하여 국경을 초월하여 교육을 제공하는 환경을 조성함으로 말미암아 세계화된 새로운 환경에서의 교육의 질적 수월성과 질에 관한 보증의 문제는 교육적 중요성과 아울러 경제적 문화적 중요성까지도 더하게 되었다. 이제 원격 교육의 질에 관한 국계적인 논의와 그 논의에 기반한 정책의 수립 및 수행은 전통적 오프라인 중심의, 국내의 교육환경을 중심으로 한 질 적 수월에 대한 정책수립이나 그에 따른 정책의 수행과는 상이한 방식으로 진행되어가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논문은 그간 연구되어 온 원격교육의 질에 관한 논의들을 분석하고 그 실제 적 의미들을 종합적으로 제시, 재해석함으로써 원격교육의 질과 관련된 새로운 정책적 지침과 연구 분야들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쓰여 졌다. 이를 위해 원격 교육의 질에 관한 논의는 교육의 기회와 관련된 논의, 교육공학적 원리의 도입과 관련된 논의, 그리고 교육의 결과와 관련된 논의로 구분되어 분석되었으며, 실제적인 정책지침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국가차원과 기관차원의 원격교육 질관리의 메커니즘 개발 사례들이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원격교육의 질과 관련된 정책방향으로 국제적 맥락에서의 질관리 체제 검토, 질관리의 조직 정비를 포함 하는 네가지의 방향이 제시되었으며 질에 관한 향후의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Quality is at the heart of education, including distance education. Over the past years, quality assurance in distance education has become even more important as distance education gains popularity and faces a period of borderless e-learning. We have begun to observ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quality assurance policies for distance education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for on- campus education, This paper is an effort to analyze important meanings of extensive research results in interpreting, integrating and evaluating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explore some selected distance education case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quality assurance mechanisms at the national and institutional levels, and finally suggest some future research area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quality assurance in distan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대학 CTL 전문가들의 원격교육 질 관리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인식 분석

        김경이,남민우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1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대학 교수학습센터(CTL)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원격교육의 질 관리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였다. 대학 CTL 전문가들은 원격교육 질 관리를 위해 인프라, CTL 교육지원, 제도 순으로 중요도와 실행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인프라 영역에서는 원격교육 담당업무 인력 확충, CTL 교육지원에서는 교수자 대상 온라인 강의 운영 교육 실시 확대, 제도에서는 원격교육을 위한 규정 개편이 질 관리를 위해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원격교육 질 관리 항목 중 가장 낮은 실행도를 보인 항목은 인프라 영역에서 원격교육 담당업무 인력 확충, CTL 교육지원에서 디지털 접근성 취약계층 학생 대상 스마트 기기 지원, 제도에서 원격교육 인증제 도입으로 나타났다. 대학 원격교육 질 관리 항목별 중요도-실행도의 IPA 분석 결과에서는 우선 중점개선 영역 항목으로 원격교육 담당 업무 인력 확충, 학습 격차 해소를 위한 학습 지원이, 점진적 개선대상 영역 항목은 원격교육 인증제 도입, 디지털 접근성 취약계층 학생 대상 스마트 기기 지원, 원격교육 관리위원회 학생 참여, 비대면 수업을 위한 대학 간 협업・공유 모델, 학점 교류 필요성, 원격교육 참여 학습 공간 지원 등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인프라, 제도, CTL 교육지원 측면의 원격교육 질 관리 항목들에 대해 중요도 인식 만큼 실제 현장에서의 실행도는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원격교육법제 정비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김수진,황준성,도재우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5

        Distance education was actively used in public education due to the online opening of school due to COVID-19, but rapid adaptation fo distance education without preparation, such as the legal system, has caused various problems. Based on this need,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have been reviewed and improved. However, as the improvement of a legal system for distance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is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takeholders who are directly affected by legislation related to dista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needs and perceptions of the improvement of the distance education legal system for direct stakeholders related to distance education. A total of 80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cluding 5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200 par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100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se implications were derived: confirming the public consensus on the need to improve the distance education legal system, improving the legal syst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upporting for narrowing the educational gap according to distance education, enhancing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and emphasizing protection of rights and obligations, and using negative regulatory principle. This results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a legal system for distance education based on the needs of direct stakeholders.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개학으로 학교교육에서 원격교육이 적극 활용되었으나, 원격교육에 대한 개념이나 법제가정립되지 못한 채 급격하게 이루어지면서 이에 따른 문제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디지털 기반의원격교육 활성화 기본법」 제정 등 관련 법령의 정비가 이뤄지고 있지만, 학교교육에서 원격교육 활용에 대한 법제적검토가 최초로 이뤄지는 만큼 코로나19 상황에서 교육 수요자들의 원격교육 경험과 인식을 법제 정비에 반영할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원격교육과 관계된 직접적인 수요자를 대상으로 원격교육법제 정비에 대한 요구와 인식을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대표성 확보를 위해 지역과 학교급을 고루 고려하여 표본을 선정하였고, 설문조사에는초·중·고 및 대학 교원 500명, 초·중등학생 학부모 200명, 대학생 100명, 총 800명이 참여하였다. 조사는 원격교육법제 정비 필요성, 원격교육법제 정비 방안에 대한 인식, 원격교육법제 정비 방향에 대한 요구에 대해 이루어졌다. 설문조사결과, 원격교육법제 정비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확인, 초·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의 특성을 고려한 법제 정비, 원격교육에 따른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 원격수업 질 제고 및 권리와 의무 보호의 강조, 네거티브 방식의 법제정비의 네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는 수요자들의 요구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원격교육법제정비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