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 몰입 및 철회와 우울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나세영,양재원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대학(원)생 94명을 대상으로 주의 판단 과제 및 우울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주의 편향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주의 판단 과제는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가 이동하는 것을 측정하는 것으로, 과제 지시에 따라 주의 몰입과 주의 철회로 구분되었다. 각각을 측정하기 위해 주의가 정서 자극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반응시간과 주의가 정서 자극에서 벗어나는데 걸리는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SPSS Process Macro 4를 이용하여 주의 편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 정서에 대한 주의 몰입은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우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긍정 정서에 대한 주의 몰입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경유하여 우울에 이르는 경로에서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우울한 사람들에게 긍정 정서에 대한 주의 몰입을 더욱 훈련하고,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도록 한다면, 우울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tentional bias to emotional stimuli on depression through mediation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 total of 9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attentional assessment task, and completed self-report scales on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rocess Macro 4.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engagement i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attending to positive emotions on the pathway from depression via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negatively significant. Therefore, we suggest that further training depressed individuals in engaging to positive emotions and using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ay reduce depression.

      • KCI등재

        주의 만찬에 대한 바울의 권면

        정복희(JEONG Bok-Hee)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3

        정류 이상근 박사는 고린도교회의 주의 만찬에 관한 본문(고전 11:17-34)을 주석하면서 사회-역사적 접근을 시도하면서도 조직신학적 접근을 보여준다. 이런 그의 접근 방법은 바울이 주의 만찬에서 보여준 권면의 사회적 맥락을 놓치게하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정류는 바울의 권면을 믿는 자들의 개인적 회개로 이해함으로써 본문의 내용을 제한시키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류가 주의 만찬에 관한 주석에서 성찬의 수평적, 수직적 교제에 대해 강조하고 이들이 서로 별개가 아니라고 주장한 것은 탁월한 해석이다. 바울은 고린도교회의 주의 만찬에서 발생한 분열은 교회를 부끄럽게 한 것이며 ‘주의 만찬’을 ‘자기의 만찬’으로 만든 것이라고 책망한다.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 간의 수평적 교제를 손상시킨 것은 주와의 수직적인 교제를 훼손한 것과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그러고 나서 바울은 주의 만찬에서 ‘가지지 않은 자들’과 ‘가진자들’의 수평적 교제와 고린도 교인들과 ‘주(主)’와의 수직적 교제를 회복하도록 권면한다. 그러므로 바울이 고린도 교인들을 향해 “자기를 살피고”, “서로 받아들이라”고 한 것은 주의 만찬에서 수평적 교제의 회복을 의미하는 동시에 ‘주(主)’와의 수직적 교제에 대한 회복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한국 교회와 교인들은 성찬을 “개인적이고 영적인 구원의 도구”로 이해하는 오류를 범하여왔다. 이런 시점에서 주의 만찬의 수직적 그리고 수평적 교제의 중요성을 강조한 정류의 주석은 오늘 한국 교회의 성찬의 의미를 회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In his commentary on the text of the Lord’s Supper (1 Cor 11:17-34), Dr. Sang-geun Lee takes both a systematic theological approach and a socio-historical one. This tendency may cause him to lose sight of the social context in which Paul addressed his advice at the Lord’s Supper. In addition, Dr. Lee tends to limit the text’s meaning by merely interpreting the Eucharist as the individual repentance of each believer. Despite those problems, Dr. Lee’s outstanding contribution lies in his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horizontal and vertical fellowship in the Lord’s Supper, and particularly in his explanation of the inseparability of the two dimensions. In the text, Paul points out that the problem of the Corinthian Church’s practices at the Lord’s Supper was that they despised God’s church by misunderstanding “the Lord’s Supper” as “his own supper.” Paul rebuked the idea that ruining the horizontal fellowship would harm the vertical fellowship with the Lord. Moreover,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Lord’s Supper, Paul exhorted the Corinthians to restore the horizontal fellowship between “those who have nothing” and “those who have,” and to recover the vertical fellowship between the Corinthians and the Lord. When Paul suggested to “examine oneself” and to “receive each other” at the Lord’s Supper, he was offering practical advice to resto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ellowships. In the context of Korean Christianity,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have traditionally understood the Eucharist as “individual and spiritual means of salvation.” Given this, Jeong-ryu’s interpretation of the Lord’s Supper proposes a solution for today’s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Stressing the importanc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ellowships in the Lord’s Supper, Jeong-ryu asks for the recovery of Ecclesiology and Christology in the Eucharist today.

      • KCI등재

        자극의 신호강도가 주의 깜박임 현상에 미치는 영향

        어강용,주성준,정상철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5 No.3

        The attentional blink (AB) is a high-level phenomenon that is known to occur due to capacity limitations in memory or limited resources in attention. Recent studies, however, have shown that low-level visual features such as the bottom-up saliency of a stimulus can also influence the AB.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an attentional cascade model whi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oth working memory and bottom-up saliency will influence the AB. More specifically, we manipulated the signal strength, one of low-level features, of the second target (T2) and investigated its effect on the AB. In Experiment 1, we were able to observe that a simple orientation detection task produced the AB, suggesting that the AB can occur even for simple orientation stimuli. In Experiment 2, it was observed that the amount of the AB was modulated by the signal strength of T2 both in the orientation detection task (Experiment 2-1) and in the digit detection task (Experiment 2-2).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AB can be regulated by the signal strength of T2. Furthermore, the result for which the effect of the AB varies depending on the signal strength of T2 supports the validity of the attentional cascade model. 주의 깜박임 현상은 기억 혹은 주의의 용량 제한 때문에 발생하는 상위 영역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주의 깜박임 연구들은 자극의 현저성과 같은 하위 영역 특징 또한 주의 깜박임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작업기억 용량 제한뿐만 아니라 자극의 하위 영역 특징도 주의 깜박임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의 단계 모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하위 영역의 특징들 중 T2의 신호 강도를 조절하여 주의 깜박임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는 단순한 방위 탐지 과제도 주의 깜박임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 2에서는 방위 탐지 과제(실험 2-1)와 숫자 탐지 과제(실험 2-2)를 사용하여 T2의 신호 강도가 주의 깜박임 정도를 변화시킴을 관찰하였다. T2의 신호 강도에 따라 주의 깜박임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하위 영역 특징도 주의 깜박임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의 단계 모델을 지지한다.

      • KCI등재

        주가 점프 발생 정보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에 대한 연구

        곽노걸 한국재무관리학회 2016 財務管理硏究 Vol.33 No.4

        In case of occurring a jump in stock prices which caused by a certain information, the effect of information will be expect to reflect on the stock price at once and in precise extent. If the market is inefficient, the information that caused stock price jump will be affecting stock price movement after the jump, and investors recognize the stock price jump as a new information for next trading.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stock price jumps as the information to the stock price in terms of behavioral finance using daily data.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or not the stock price overreaction existences. Stock price overreaction means that the stock price is reflecting an information over or under the degree that suggested by efficient market. Second,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whether or not the stock price show the negativity effect. Negativity effect means the asymmetric effect that investors overreact to the negative information (downward stock price jump) and underreact to the positive information (upward stock price jump). The main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s stock price overreaction strongly in downward jump, but scarcely in upward jump. Second, investors show the evidences of the negativity effect that overreact to the downward stock price jump rather than the upward. 어떠한 정보에 의해 주가 점프가 발생할 경우, 시장이 효율적이면 주가 점프 발생 정보는 주가에 즉시 그리고 정확히 반영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만약 시장이 비효율적이라면 주가 점프를 야기한 정보는 점프 발생 이후에도 주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경우 투자자는 주가 점프 발생을 후속 투자 의사결정에 필요한 하나의 새로운 정보로 인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일간 자료를 이용하여 주가 점프 발생 정보가 주식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행동재무론적 관점에서 투자자의 심리학적 편의(bias)를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 점프 정보의 주가 과민반응현상(overreaction)의 존재 여부를 분석하였다. 주가과민반응 현상은 주가가 어떠한 정보에 대해 시장 효율성에서 제시하는 것 이상으로 과다하게 또는 미온적으로 반응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둘째 주가 점프 정보가 부정적 효과(negativity effect)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부정적 효과는 투자자들이 긍정적인 정보(주가 상승 점프) 보다 부정적인 정보(주가 하락 점프)에 과잉반응 한다는 정보의 비대칭적 영향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 하락 점프 정보에 대해서 강한 주가 과민반응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주가 상승 점프 정보에 대하여는 주가 과민반응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투자자들은 주가 상승 점프 정보 보다 주가 하락 점프 정보에 비대칭적으로 더 크게 반응하는 부정적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기존 연구에서는 발견하지 못했던 것으로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 주가 점프 발생 정보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에 대한 연구

        곽노걸 한국경영학회 2016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8

        어떠한 정보에 의해 주가 점프가 발생할 경우, 시장이 효율적이면 발생 정보는 주가에 즉시 그리고 정확히 반영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만약 시장이 비효율적이라면 주가 점프를 야기한 정보는 점프 발생 이후에도 주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경우 투자자는 주가점프 발생을 후속 투자 의사결정에 필요한 하나의 새로운 정보로 인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일간 자료를 이용하여 주가 점프 발생 정보가 주식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행동재무론적 관점에서 투자자의 심리학적 편의(bias)를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 점프 정보의 주가 과민반응현상(overreaction)의 존재 여부를 분석하였다. 주가과민반응 현상은 주가가 어떠한 정보에 대해 시장 효율성에서 제시하는 것 이상으로 과다하게 또는 미온적으로 반응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둘째 주가 점프 정보가 부정적 효과(negativity effect)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부정적 효과는 투자자들이 긍정적인 정보(주가 상승 점프) 보다 부정적인 정보(주가 하락 점프)에 과잉반응 한다는 정보의 비대칭적 영향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 하락 점프정보에 대해서 강한 주가 과민반응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주가 상승 점프 정보에 대하여는 주가 과민반응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투자자들은 주가 상승 점프 정보 보다 주가 하락 점프 정보에 비대칭적으로 더 크게 반응하는 부정적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기존 연구에서는 발견하지 못했던 것으로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미국 회사법의 최근 동향

        김성진(Sung-Jin Kim) 한국기업법학회 2015 企業法硏究 Vol.29 No.2

        델라웨어주는 미국에서 면적과 인구라는 측면에서는 매우 작은 주이지만, 현재 미국 회사법에 있어서 가장 우월한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일부의 사람들은 단지 회사가 익명성을 유지한 상태로 쉽게 설립될 수 있다는 단순한 이유 때문에 델라웨어주를 회사의 천국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델라웨어주가 기업들에게 선호의 대상이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신속한 입법과 기업친화적인 회사법 채택; 둘째, 회사법에 정통한 판사 및 전문가들을 활용하여 기업분쟁을 해결하는 사법제도의 운용; 셋째, 회사를 설립하기에 용이한 독특한 지역인 델라웨어주 그 자체가 회사법 분야에 있어서 브랜드 명칭으로 발전된 명성이다. 델라웨어주의 성공을 쫓아 캔사스주와 오클라호마주와 같은 다른 주들이 델라웨어주 일반회사법 거의 모든 규정을 모방하여 회사법을 제정하였지만 그 노력에 비해 성과는 저조하였고 델라웨어주의 인기는 중단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미국의 다른 주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델라웨어주 일반회사법의 개정사항들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며 이를 자국의 회사법 개정에 반영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델라웨어주 일반회사법에 초점을 두고 2012년 이후에 개정된 사항들 중에서 주요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비교법적으로 논의하여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를 검토한다. 이러한 2012년 이후에 개정된 사항들 중에서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가장 큰 개정사항은 2013년에 신설되고 2014년의 개정으로 보완된 §251(h)에서 허용하는 주주총회의 승인없는 백엔드 합병 제도이다. 델라웨어주 일반회사법은 2013년 개정을 통하여 90% 이상이라는 탑업선택권의 문턱을 넘을 수 없는 자본구조를 가진 회사들에게도 백엔드 합병을 실시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기 위해 §251(h)를 신설하였고, 2014년 개정을 통하여 §251(h)에서 제시하는 주주총회의 승인 없는 백엔드 합병을 거래당사회사들이 이용하기 더욱 용이하도록 개정하였다. 우리나라도 델라웨어주가 새롭게 마련한 간이합병제도의 도입을 적극 고려하여 합병절차의 간소화로 기업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Delaware state has become the first state of U.S. corporations in despite of being one of the smallest states in terms of territory and populations. Some people regard Delaware as the heaven for corporation merely owing to anonymity with which a corporation can be easily formed in Delaware. However, the reason is not that simple, and the three factors of Delaware’s success in corporate law are as follows. First, Delaware has developed extraordinarily well-developed and management-friendly law of corporations. Second, Delaware has maintained the efficient court system that has unparalleled expertise resolving business disputes. Third, Delaware has facilitated the brand name it has developed along with its reputation as a uniquely favorable place for incorporation. To attract businesses to the state like Delaware, Kansas and Oklahoma adopted statutory regimes almost identical to the Delaware General Corporation Law(DGCL). However, compared to these efforts, Kansas and Oklahoma could not induce huge migration of businesses from other states. They were not able to stop Delaware"s dominance in the world of corporate law. Therefore, many states and countries are concerning and following the amendment of DGCL for developing their own corporate law. This article firstly reviews history and view of Delaware’s corporate law, and then addresses the amended sections of DGCL since 2012 which hav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corporate law of South Korea by comparative legal analysis.

      • KCI등재

        고린도전서 11:17-34에 나타난 주의 만찬의 성서적 근거와 교회 전승

        최선범(Choi, Sun-Bum J.) 한국신약학회 2020 신약논단 Vol.27 No.1

        본 논문은 고린도전서 11:17-34에 나타난 주의 만찬의 성서적 근거를 찾음으로 신약시대에 거행되었던 주의 만찬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후대 교회들이 서로 다른 전승의 발전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필자는 고린도 교인들이 “떡을 떼는 형식, 또는 애찬의 형식, 또는 떡과 포도주를 강조하는 형식을 포함한 포괄적인 주의 만찬을 시행하였다고 전제한다. 고린도교회 안에 발생한 부한 자들과 가난한 자들 간의 계층갈등이 주의 만찬 과정에 표면화되자, 바울은 질서 있게 주의 만찬을 진행하기 위하여 최후의 만찬에서 선언된 예수의 제정명령의 전승을 전달하는 동시에 새로운 시행령을 첨부하여 정형화된 주의 만찬을 만들었다. 그는 떡과 포도주에 집중하여 그리스도의 죽음과 연결되는 주의 만찬의 시행령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그리스도인들 간의 연합을 나타내는 주의 만찬의 의미를 강조했다(고전 10:21; 11:23-27). 바울 이전의 만찬이 떡을 떼는 것과 애찬의 형식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주의 만찬이었다면 바울이 새롭게 제정하여 시행한 주의 만찬은 과거의 그리스도의 죽음 사건을 기념하고 미래에 그리스도의 종말론적 왕국을 기대하는 이중적 구조로 구성했다. 후대 교회 역사를 살펴보면, 서방교회 전통이 바울 전승에 기초한 떡과 포도주에 집중한 그리스도의 죽음을 강조했다면, 동방교회 전통은 바울 이전에 포괄적으로 시행되었던 주의 만찬 전승의 한 부류를 전승으로 받아들여 그리스도의 부활과 종말론적 소망을 담은 축제로서의 주의 만찬을 시행했다. In this paper, I focus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in the New Testament and its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different traditions by finding its Biblical basis in 1 Corinthians 11:17-34. I presuppose that the Corinthian church had a comprehensive celebration of the Lord’s Supper, including “breaking the bread, the form of agape meal, or the emphasis on bread and wine.” When the conflict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the Corinthian church surfaced in the process of the Lord’s Supper, Paul utilized the enactment order of Jesus declared at the Last Supper. Paul established a new ordinance of the Lord’s supper in order to set up the process of Christian worship in orderly manner. He emphasized the meaning of the Lord’s Supper in order to express the unity with the Christ and the unity of Christians by focusing on bread and wine, which is connected to Christ’s death (1 Cor. 10:21; 11:23-27). Before Paul formalized the Lord’s Supper, it was performed variously including the breaking of bread and the form of agape meal. But Paul set up the Lord’s supper focusing on a double-minded celebration of Christ’s death in the past and anticipation of Christ’s eschatological kingdom in the future. In later church history, the Western church emphasized Christ’s death focusing on bread and wine based on Paul’s tradition, while the Eastern church was a type of the Lord’s Supper tradition that was comprehensively carried out before Paul.

      • 주가 점프 정보를 이용한 시장 효율성 비교 연구

        곽노걸 한국재무학회 2018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5

        새로운 정보로 인해 주가 점프가 발생할 경우, 시장이 효율적이면 발생 정보는 즉시 주가에 완전히 반영되나, 시장이 비효율적이면 주가 점프를 야기한 정보는 점프 발생 시점 이후에도 주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주요 6개국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주가 점프 정보를 이용하여 시장 효율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첫째 주가 점프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주가 과민반응(overreaction) 또는 과소반응(underreaction) 현상 존재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부정적 정보(주가하락 점프)와 긍정적 정보(주가상승 점프)가 주식 투자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크기가 비 대칭적인 지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가격제한폭 제도 시행 여부가 주가 점프 발생 정보에 대한 시장 비효율성의 국가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분석 대상 대부분 국가의 주식시장에서 다음과 같은 비효율성의 증거가 발견되었다. 첫째 미국을 제외한 국가들 중 한국, 일본, 중국 및 독일 시장에서는 주가하락 점프 발생 정보에 대해, 브라질의 경우는 주가상승 점프 발생 정보에 대해 주가 과민반응 현상을 보였다. 또한 한국, 일본, 중국 및 미국 시장에서 주가상승 기간에 발생한 주가상승 점프 발생 정보에 대해 주가 과소반응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한국, 일본, 중국 및 독일 시장에서는 부정적(negative) 효과가, 브라질과 미국 시장에서는 긍정적(역의 부정적) 효과가 발견되었다. 셋째 가격제한폭 제도를 시행하는 국가 그룹에서는 부정적 효과가, 가격제한폭 제도를 시행하지 않는 국가 그룹에서는 긍정적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는 가격제한폭 제도 시행 여부가 시장 비효율성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주가 점프 발생 정보를 토대로 행동재무론적 관점에서 주가 과민 또는 과소 반응 현상 및 부정적 또는 긍정적 효과 여부를 주요국 별로 분석하고, 가격제한폭 시행 여부를 기준으로 국가별 주식 시장 효율성을 비교 제시한 연구는 아직 없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의 국제정치관

        김태운(Kim Tae Woon) 한국정치정보학회 2005 정치정보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신현실주의(neo-realism)’와 ‘신자유주의(neo-liberalism)’ 국제정치 이론에 대한 주요 가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 것이나. 두 이론은 기본적으로 자유민주주의 정치질서와 자본주의 시장경제 질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현존의 국제질서를 옹호하는 성격이 강하다. 또한 급격한 국제변화에 대해 적절한 설명과 처방을 내리지 못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국가를 유일한 행위자로 간주하며, 국제체제의 무정부적 상태에 대해서도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 특히 개별국가들은 국제사회의 무정부적 특성으로 인해 국제정치에서 도덕이나 보편적인 이성 보다는 현실적인 국가 이익을 더 우선시 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 한편, 신현실주의’는 무정부 상태를 국가의 안보 및 생존에 대한 중대한 위험으로 간주하고 있는 반면, ‘신자유주의’는 이를 약속이행의 불확실성 문제로 간주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또한 국가간 협력가능성과 관련해서, ‘신현실주의’는 ‘신자유주의’에 비해 다소 비관적이다. 또한 이론적인 관심 영역에서 ‘신현실주의’가 국제안보와 같은 상위정치(high politics) 분야에 초점을 두는 반면, ‘신자유주의’는 환경, 인권 문제등 주로 하위정치(low politics) 분야에 초점을 두고 있다. 외교정책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신자유주의’는 이를 국가간 상호의존 관계하의 복합적인 과정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신현실주의’는 국가안보와 생존에 관련된 문제로 인식하고, 대외정책에 대한 초점도 여기에 둘 것을 강조한다. 국제제도와 국제레짐의 역할에 대해서 ‘신자유주의’와 ‘신현실주의’는 근본적인 차이를 드러낸다. ‘신현실주의’는 국제제도나 국제레짐이 자국에게 절대적 이익이 되는 경우에만 이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common and different points in the major hypotheses on international political views of 'neo-realism' and 'neo-liberalism', both of which are fundamentally based on the political order of liberal democracy and the market economy order of capitalism. The two theories commonly have a strong character of advocating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and do not give any explanation and solution suitable for sharp international change. Also, they see a nation as an only actor and sympathize with the anarchic state of international system. In particular, individual nations consider themselves compelled to prioritize the actual national interest rather than moral or universal reason in international politics due to the anarchic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system. However, any difference is found in that 'neo-realism' recognizes the state of anarchy as an important menace to national security and survival. whereas 'neo-liberalism' recognizes it as a problem of promise fulfillment uncertainty. Also with regard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neo-realism' is somewhat pessimistic. compared to 'neo-liberalism' : with regard to areas of interest, the former generally focuses on the field of high politics such as international security, whereas the latter focuses mostly on that of low politics such as environment, human rights. etc.: the former recognizes and stresses a foreign policy as a problem directly connected to national security and survival, whereas the latter understands it as a composite process under the international interdependence. 'Neo-liberalism' and 'Neo-realism' reveal fundamental differences in the roles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regimes, which are supported by neo-realism. only if they serve their absolute national interest.

      • KCI등재

        신해체주의 패션의 디자인 특성 연구 - 베트멍과 마르케스 알메이다의 비교 -

        김정연,박은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2 No.1

        최근 신해체주의 패션은 타 브랜드를 비롯하여 패션 산업에 큰 영향을 주면서 성장하고 있다. 이에 주목하여 학술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주로 제한된 브랜드의 일부 사례 고찰을 통해 전반적인 특성을 논의한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신해체주의 패션의 대표 브랜드인 베트멍과 마르케스 알메이다의 모든 컬렉션을 대상으로 디자인 특성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신해체주의 패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해체주의 패션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신해체주의 패션의 미적 가치 범주를 재분류하였다. 셋째, 미적 가치 범주에 근거해서 두 브랜드 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고 논의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신해체주의 패션에 관한 고찰은 관련 자료를 통한 문헌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각 브랜드의 첫 컬렉션부터 2021 FW까지의 컬렉션 작품 사진을 수집하여 디자인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사진 자료는 패션 전문 매체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수집하였고 분석 시 디자이너의 인터뷰 및 관련 기사, 패션 전문 매체의 리뷰를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두 브랜드는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 가치 범주에 따른 표현에 있어 공통점이 있으나 브랜드의 이념, 디자인 방향, 소비자와의 소통 방식 등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또한 두 브랜드는 소비자 집단과 함께 동시대 사회의 여러 이슈나 운동에 동참하여 의식 있는 패션 브랜드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해체주의 패션에 대한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국내 패션 브랜드의 디자인 기획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