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소설 형성기 번안소설 삽화의 구성 원리 연구 — 『매일신보』에 연재된 조일재의 번안소설 삽화를 중심으로

        공성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1 No.-

        An illustration represents a story. In other words, an illustration functions as anarrative text and also as a meta-text of the story. Naturally, an illustration is similarto how a story is told in many ways. They share a lot of narrative elements suchas character, event, setting, style, discourse and even narrative desire. Particularly, the illustration in the adapted novel of the early 1910s is very importantbecause of i ts historical meaning. The 1910s was the period when the modern novelwas beginning to form in Korea. Adapted novels from Japan were very popularat that time and they instantly replaced former narrative stories. The reason whyit was possible is that adapted novels had a different storytelling style that attractedthe readers. The illustration played a vital role in such change. It reflected the special styleand communicative method of the adapted novels and prepared the readers tounderstand such material. Therefore studying the illustration will help us understandnot only adapted novels but also the readers of the 1910s. 소설 삽화란 소설가가 생산한 텍스트에 대한 최초의 독해이면서, 동시에 원 텍스트를 재해석한 새로운 판본으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삽화 이미지가 소설에 관한메타텍스트로서의 성격을 부여받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 지도 모른다. 삽화는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그것이 재현하고 있는 소설 텍스트의 특별한 성격을 공유하고, 소설 텍스트가 서사적으로 소통하는 방식을 닮아있으며, 또 종종 소설 텍스트의 무의식적인 욕망마저도 재현한다. 본고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1910년대 중반의 번안소설 삽화의 경우,공교롭게도 그것의 발생은 근대적 소설 장르의 모색기와 겹쳐진다. 신소설의 쇠퇴와새로운 읽을거리를 원하는 독서대중의 변화하는 취향, 연극공연예술의 유행, 그리고무엇보다도 일본에서 재수입되어 번안된 서구 소설들의 대중적 성공에 이르기까지,그야말로 유래 없는 문화적 실험 시대의 한 가운데에 번안소설과 번안소설 삽화가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번안소설 삽화의 연구는 바로 그런 시기에 근대적 독서 텍스트를 지향했던 번안소설의 내면을 연구하는 셈이 된다. 사실, 번안소설 삽화는 이전의 삽화와는 전혀 다른 문학적・미학적 지향점을가지고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이야기의 줄거리나 사건의 얼개를 재현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일종의 ‘스토리 가이드’로서 존재했던 신소설의 삽화와 달리, 번안소설삽화는 독자들에게 끊임없이 새로운 질문을 던짐으로써 스스로 해석되기를 기다리는 하나의 기호처럼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번안소설 삽화는 독자들이 적극적으로 서사적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고안되는, 일종의 ‘극적 연출물’로 간주될 필요가 있다. 삽화가 단순히 소설을 재현하는 데에서 멈추지 않고, 오히려 소설과 공존함으로써 보다 풍요로운 서사적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은 삽화의 변화가 결국에는 소설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독자에게 일방적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텍스트로부터, 독자들이 능동적으로 향유하고 즐기는 텍스트로 변화하고자 하는 소설의 욕망을 우리는 삽화 안에서 함께 발견하게 된다. 확실히, 번안소설 삽화에서 나타나는 수많은변화들은 근대적 독서 텍스트를 지향했던 번안소설의 특수한 성격과 함께 연관시켜 설명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장면의 극적 연출과 미장센에 대한 증가하는 관심,공간을 구성하는 다양한 회화적 표현들과 장면을 은유하는 풍경의 이미지들에 이르기까지, 번안소설 삽화의 많은 특징들이 결론적으로는 번안소설의 특징 그 자체와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삽화를 단순히 회화 연구의 대상이 아니라, 문학적 연구의 대상으로도 함께 보아야만 하는 이유, 요컨대 삽화가 가진 문학사적 의미를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다.

      • KCI등재

        ‘소설’의 임계 — ‘장편소설(掌篇小說)’이라는 관념과 양식적 규정이라는 문제

        송민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1

        본 논문은 ‘장편소설(掌篇小說)’로 명명되어온 단형의 서사물에 대한 장르적 관념이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언제 처음 시작되었는가 하는문제를 다룬다. 1장 정도의 분량으로 된 짧은 서사물에 대한 창작이 이시기에 처음 시작된 것은 아니다. 그 기원을 찾는다면 물론, 문자문화정착기에서 그 기원을 찾아야 할 것이며, 가까이는 개화기 언론에 등장했던 수많은 단형서사들의 예를 보더라도 마찬가지 ‘장편소설’이라 명명될 만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기원이란 이러한 단형의 서사들이 ‘장편소설’ 혹은 ‘엽편소설’ 이라는 명명을 통해 소설사 내부로 편입되는 계기를 가리키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이 ‘장편소설’이라는 양식과 관념은 소설의 임계에 해당하는것이 된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조선일보』에서 1929년 3월 1일부터 31일까지 거의 매일 문단의 좌우 17명 정도의 작가가 참여하여 연속 연재했던 ‘장편소설’들을 식민지 조선에서 최초로 ‘장편소설’이 등장한 계기로 파악하고 있다. 이 기획은 그해 2월 말 조선일보사가 열었던 제1회 문인좌담회와 맞물려 있는 것이었다. 이 시기에 등장했던 ‘장편소설’이라는 관념은 당연히 일본 내에서 가와바타 야스나리 등 이 양식에 관심을 갖고 있던 문학가들의 그것으로부터 온 것이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이 ‘장편소설’을 시에서의 ‘하이쿠’와 함께, 가장 일본적인 소설 양식으로 규정하면서, 이 양식을 소설사 내부로 안착시키는 데기여하였다. 문제는 이 ‘장편소설’의 기획에 참여한 작가들의 면면이 당시 문단의 좌우 경향을 망라했던 것에서 비롯된다. ‘최독견’으로 대표되는 이제 막 성장하기 시작하는 대중문학계와 ‘박영희’, ‘김기진’, ‘이기영’으로 대표되는 카프의 문학적 경향은 이 ‘장편소설’이라는 독특한 소설양식을 두고 미묘한 배치에 놓이게 되었던 것이다. 문제는 카프 내에서도 이 ‘장편소설’이라는 양식이 갖고 있는 유용성에 공감했던 여러 논자들이 존재했다는 사실이다. 특히 한설야의 경우에는 이 ‘콩트’, 즉‘장편소설’의 계급문학적 가능성을 논하는 글을 통해 ‘장편소설’이라는관념을 나름대로 전유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언론계 내부에서는 이‘장편소설’의 기획은 연작소설 등 보다 대중적인 소설 창작 기획으로발전되어 나갔다. 즉 20년대 말기에 도래한 ‘장편소설’이라는 생소한관념은 단지 한 달간의 해프닝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이후 소설이라는 것의 관념의 경계를 구획할 만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는 현상이었던 셈이다. This article addresses the issue of when the ‘jangpyun novel’(掌篇小說, very short stories) or ‘conte’ was first introduced i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was not the first time that short narratives of about one page had been produced; their origins can be found in the era that literate culture was first established. There are also many types of short narratives that appeared in newspapers around the 1900s. However, the origins to be discussed in this article refer to the way in which these short narratives were transferred into the tradition and history of novels through the naming of the ‘jangpyun novel’ or ‘yuppyun novel (葉篇小說)’. This point is relevant to the issue of what should be regarded as the border of a ‘novel’. I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irst example of a ‘jangpyun novel’ is represented by a series of short stories written by 17 novel writers of various political positions in the literary circles of the time, and published from March 1 to March 31, 1929 in the Newspaper Chosunilbo (朝鮮日報). This project was associated with the first literary conference that had been hosted by Chosunilbo at the end of February of that year. The then notion of jangpyun novel that emerged during this period came from the literary people who were interested in styles such as that of Kawabata Yasunari (川端康成) of Japan. Kawabata defined the jangpyun novel as the most Japanese narrative style, just as haiku was the most Japanese poem. The problem is that the writers who participated in the jangpyun novel serialization of the time had included the leftists and the rightists of the literary circle. The popular literary group represented by Choi Dokgyun and the KAPF group by Park Younghee (朴英熙), Kim Kijin (金基鎭), and Lee Kiyoung (李箕永) arrived at a dedicate arrangement through the specific genre, jangpyun novel. There were several members of KAPF who sympathized with the usefulness of the jangpyun novel. Especially, Han Sulyah, who was associated with KAPF, tried to appropriate the concept of the jangpyun novel for Proletarian use. In other words, the project relating to the jangpyun novel developed into a more mass and popular relay novel project in popular literary groups and the newspaper media. Thus, the unfamiliar notion of the ‘jangpyun novel’ was not just a monthlong happening, but a phenomenon containing important meaning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boundaries for the notion of the novel.

      • KCI등재

        생태소설 교육 방안 고찰 - 한강 소설을 중심으로 -

        나선혜 ( Na Seon-hye )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4 No.-

        생태문학은 생태위기를 초래한 근대적 세계관에 내재된 파괴성을 비판하고 성찰하며, 생태의식과 가치를 드러내는 문학으로서 이에 대한 교육은 생태사회를 전망해 내는 데 필요하다. 특히 생태소설을 통한 문학교육은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생태계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 생활양식 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자연을 공생과 친화라는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모든 생명체가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생태학적 인식을 갖게 도와야 한다. 이는 무엇보다 생태의식이 반영된 작품들을 꼼꼼하게 읽고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성취될 수 있다. 학습자는 생태의식이 소설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 되어 있는지 고찰함으로써 생태위기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하는 유의미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자신의 위상을 점검하고 인식을 재고하면서 자아 성찰을 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전일성의 관점에서 세계를 재조명함으로써 파괴된 생태계 복원의 당위성과 모든 생명체가 더불어 사는 공존의 삶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생태소설의 수용 경험은 자아와 현실에 대해 비판적 인식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생태계 안에서 살아가는 하나의 주체인 인간으로서 바람직한 자아관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준다. 이러한 생태소설 교육의 장에서 유용한 텍스트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 바로 한강의 소설이다. 한강은 초기 작품에서부터 『채식주의자』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작가 자신의 생태적 사유를 보여준다. 그의 소설에 담긴 여성성과 생태의식은 생태위기를 초래한 근대적 세계관에 담긴 파괴성을 비판하고 근본적인 인식의 해체와 변화를 꾀하며 논의의 중심에 서 있다. 한강의 작품속 인물들은 자신이 속한 실재적 세계를 넘어 이상향인 자연적 공간으로 나아가고자 하며, 타자와의 관계에서 상처를 입지만 그들을 이해하고 포용함으로써 그 상처를 치유하고자 한다. 학습자들은 이와 같은 입체적이고 개성적인 인물들과 공간적 배경에 대한 해석을 통해 작품 속에 내재된 생태의식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태적 상상력 속에서 나타난 변신 모티프와 같은 환상성은 학습자에게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한강 소설을 활용하여 생태소설 읽기 교육의 한 방법으로 상호텍스트성 읽기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학습자는 서로 관련 있는 문학 작품을 엮어서 감상하는 과정을 통해 텍스트에 대한 해석을 보다 명료하게 하고 심화할 수 있다. 나아가 주어진 두 텍스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뚜렷한 관련성이 보이지 않는 텍스트들 간에서도 스스로 연관성을 발견하고 능동적으로 탐색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호텍스트성 읽기는 글쓰기와 토의수업으로 연계될 수 있다. 개별적 행위로서의 텍스트 이해와 해석은 다른 학습자와의 토의나 대화 등을 통해 보다 타당한 것으로 결정되며 이를 구체적인 쓰기로 표현함으로써 수동적인 소설 읽기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소설 읽기를 수행할 수 있다. 토의나 글쓰기와 같은 수용과 창작 활동은 문학적 감수성과 상상력을 함양하는 실천적 모형이 되므로 교수 학습 과정에서 그 필요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Ecological literature criticizes and reflects on the destructive nature inherent in the modern world views that have caused the ecological crisis and reveals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values. Education on ecological literature is needed for the prospect of an ecological society.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ecological novels, in particular, have a task of changing fundamentally the attitudes, values, and lifestyles of learners toward the ecosystem. Specifically, the education should help learners look at nature from the perspectives of symbiosis and affinity and develop the ecological awareness that all living things are connected together. It can be achieved by reading thoroughly works reflecting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reconstructing them critically. Learners can have significant experiences of understanding and sympathizing with the ecological crisis by looking into the ways that ecological consciousness is embodied in novels. In addition, they will be able to check their status and reflect on their awareness, achieving self-examination. Furthermore, they will shed new light on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wholeness, thus recognizing the legitimacy of restoring the destroyed ecosystem and the need for the life of coexistence with all living things. The experiences of accepting ecological novels not only enable the critical awareness of one’s ego and reality, but also have impacts on the desirable view of his or her ego as an independent human being living in the ecosystem. Han Kang’s novels can serve as useful texts in the field of education based on ecological novels. The writer has been consistent to show her ecological thinking from her early works to The Vegetarian. The femininity and ecological consciousness found in her novels criticize the destructive nature of the modern world views that have caused the ecological crisis and promote the fundamental deconstruction and change of consciousness, thus being at the center of discussions. In her works, the characters try to go into an ideal natural space beyond the real world where they belong. Although they get hurt in their relations with others, they understand and embrace them and try to heal their wounds. Learners can make an inference about ecological consciousness inherent in her works by interpreting her three-dimensional and characteristic characters and spatial backgrounds. In addition, fantasy such as the metamorphosis motif in her ecological imagination will cause different reactions in learners. The study proposed a plan of reading intertextuality as a method of reading education for ecological novels. Learners can interpret a text more clearly and deepen its meanings in an appreciation process of putting together relevant literary works. Furthermore, they can not only figure out relations between two given texts, but also develop an attitude of discovering and exploring connections between texts with no explicit connections in a voluntary and active manner. This plan of reading intertextuality can lead to writing and discussion lessons. Tex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s individual acts are determined to be more valid through discussions and conversations with other learners. When this is expressed in concrete writing, learners will be able to engage in active reading of novels beyond passive reading of novels. Such acceptance and creation activities as discussions and writing can be a practical model to cultivate learners’ literary sensitivity and imagination, thus holding a huge ne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 KCI등재

        풍속소설의 가능성과 한계 - 「하늘의 다리」론

        정영훈(Jeong, Young Hoon)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2

        이 논문은 「하늘의 다리」를 작가 자신이 이론적 모색과 비평 작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문제 삼아 온 풍속소설에 대한 작가적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읽고자 하였다. 최인훈은 동시대의 풍속을 효과적으로 포착해 낼 수 있는 양식을 창조하는 것을 작가의 주요 과제로 보았고, 풍속소설을 우리 소설이 도달해야 할 주요한 목표 가운데 하나로 보았다. 하지만 그 자신이 쓴 본격적인 의미의 풍속소설은 찾아보기가 쉽지 않은데, 이는 최인훈이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제대로된 풍속소설을 쓰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했고 이에 따라 전통적인 방식과는 다른 소설적 양식을 통해 이 문제에 도전하려 했기 때문이다. 「하늘의 다리」가 이례적인 이유는 이런 최인훈이 풍속소설 양식에 직접 도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하늘의 다리」의 양식적 특징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풍속 재현이라는 문제가 작중인물인 준구와 한명기를 통해 어떻게 실천되고 한계에 부딪치게 되는지, 이러한 한계 이면에 자리하고 있는 작가 최인훈의 문제의식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하늘의 다리」의 미학적 성취 수준은 높지 않다. 풍속소설에 관한 최인훈 자신의 문학적 입장을 생각할 때 「하늘의 다리」는 시작 시점부터 실패가 예견되어 있었던 작품이다. 어떤 의미에서 「하늘의 다리」는 그 자신의 실패를 통해 풍속소설의 불가능성을 입증하도록 기획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하늘의 다리라는 환각이 알려주고 있듯이, 금기가 존재하고 이 금기가 풍속을 탐구할 수 있는 충분한 만큼의 자유를 허락하지 않을 때 제대로 된 풍속소설은 쓰일수가 없다. 이런 의미에서 「하늘의 다리」는 풍속소설이 실패할 수밖에 없는 원인에 대한 보고서이고, 음화의 방식으로 표현된 풍속소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Choi In-hoon has been exploring deeply about manners and customs through his theoretical search and literary criticism, and The Leg on the Sky is the result of its practice. Choi viewed the creation of a style capturing contemporary customs effectively as the author’s main task, but he himself did not enjoy writing customs novels. The Leg on the Sky was very exceptional, because it was written in the style of customs novels. To be honest, this work did not show any outstanding achievements aesthetically. When considering Choi’s own literary stance on customs novels, The Leg on the Sky was predicted to fail from the beginning. In a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Leg on the Sky was designed to prove the impossibility of customs novels through his own failure. As the hallucination of the leg on the sky indicates, a proper customs novel cannot be written when a taboo exists and it does not allow enough freedom to explore the customs. In this sense, The Leg on the Sky is a report on the cause of the failure of customs novel,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ustoms novel expressed in a negative way.

      • KCI등재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 小考

        유수민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中國小說論叢 Vol.50 No.-

        This study regards Gangtaegongjeon(姜太公傳) as an adaptation from Fengshenyanyi(封神演義) and examines the adaptation aspect. The novel readers in late Joseon had a strong tendency to share Chinese novels which were not original texts but rather adaptations, being gone through their own ‘appropriation’ process. Gangtaegongjeon was one of them as wel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perspectives. Firstly, I discussed the form. I argued that the author of Gangtaegongjeon had attempted to follow the typical narrative structure of Joseon heroic novels including a biography of the one hero. I also investigated that the author had tried to provide convenience for Joseon readers by contracting the original text, resulting in popularization of the text. Secondly, I considered the content. I indicated that the author had attempted to minimize the fictional element and to make the readers have realistic political nature. I also examined that the author had tried not to be against the ideological principle, ‘filial piety(忠孝).’ Thirdly, I investigated the aspects of female readers’ influence to the text. I discussed that Gangtaegongjeon showed the female moral which advised readers to do good and to assist their husband well by means of borrowing the contrastive structure of Korean long piece novels, “legal wife-the good” and “concubine-the evil” and emphasizing on the story of Mrs. Ma(馬). I also indicated that it not only carried the female moral, but also reflected their resentment, resulting in alleviating the chagrin of them. Gangtaegongjeon reorganized Fengshenyanyi by ‘rewriting’ and created a new meaning. I tried to figure out how Joseon readers had actually shared the Chinese classical novels, by investigating the ‘manipulation’ which had been occurred while they had adapted the original text. I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enhancement of mutual understanding about classical novel culture between Korea and China. 본 연구는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을 중국 명대 神魔小說 《封神演義》의 번안소설로 보고,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을 ‘전유(appropriation)’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함으로써 번안 메커니즘의 일면을 밝히고 한중 양국의 고소설문화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선의 소설독자들은 많은 중국소설들을 원작 그대로가 아니라 자국소설인 양 번안하여 ‘전유’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강태공전》도 그러한 작품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을 형식적 전유의 측면, 내용적 전유의 측면, 그리고 여성독자층의 영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형식적 측면의 전유 양상은 다음의 두 가지로 파악되었다. 첫째, 작자는 《封神演義》를 영웅 일대기적 서사구조로 재구성함으로써 조선 영웅소설의 문법을 따르고자 하였다. 둘째, 작자는 축약 번안을 통해 작품 독해의 대중성과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다음으로 내용적 측면의 전유 양상은 다음의 두 가지를 논의하였다. 첫째, 작자는 원작의 환상적 요소들을 축소시키고, 독자들의 역사의식 고취를 통해 현실적인 정치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둘째, 작자는 번안에 있어 충효 이데올로기의 원칙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독자층의 영향에 대해 다음의 두 가지 측면을 고찰하였다. 첫째, 《강태공전》은 장편국문소설의 정실(선)-첩(악) 대비구조 차용 및 마씨 고사의 강조를 통해 여성독자들에게 선과 내조의 덕목을 권하고자 하였다. 둘째, 소설의 주요독자층이었던 규방 여성들의 분노심을 투사하여 雪冤의 효과를 거두고자 하였다. 조선의 《강태공전》은 중국의 《封神演義》를 ‘다시쓰기(rewriting)’함으로써 원작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였다. 중국소설이 조선에 전파된 후 번역 및 번안되어 조선독자들에게 실질적으로 향유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의 지점들에 대한 궁금증에 착안하여 진행된 본고의 연구가, 비슷한 듯 하면서 엄연히 다른 한중 양국의 고소설문화에 대한 상호 이해의 증진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문학 사회사적 측면에서 본 15∼16세기 소설독서문화 연구

        김미정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7

        본고에서는 15∼16세기 조선에서 소설이 창작, 유통된 사실에 주목하여 소설을 대상으로 한 독서문화가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가는 구체적 실태와 문학 사회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설 독서문화의 형성기인 15∼16세기는 제한된 계층 내에서 지적 향유의 목적에서 소설이 생산⋅유통⋅소비되었다. 조선 전기 소설의 간행과 유통은 당시 문학 담당층의 지적 취향에 부합되고 사회질서유지와 민생안정의 수단으로 효용적 가치가 인정되는 선에서 허용되었다. 그러나 지식인들 내부에는 주류 독서문화의 경계로부터 벗어난 비공식적 독서토론문화가 존재했고, 그들의 공간에서 새로운 글쓰기가 실험⋅창작되어 비공식적으로 향유되었다. 그들의 사회적 의사소통의 결과 창작된 소설이 바로 <<금오신화>>, <설공찬전>, <<기재기이>>, <수성지>와 같은 작품들이다. 소설 향유자들은 현실에서 느끼는 갈등과 내적 욕망을 ‘환상성’에 의지하여 표출하였으며, 독서를 통해 억눌린 욕망을 충족하면서 소설 독서문화를 음성적으로 퍼뜨렸다. 비공식적이고 비상업적인 방식으로 소설 독서문화의 기반을 조성했다는 점에서 15-16세기 소설 독서의 문학사적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기득권을 갖고 있던 보수층에서 소설의 한글 번역과 유통을 검열하고, 국가차원에서 교화를 위해 서적 정책을 펼쳤음에도 암암리에 소설의 번역과 유포는 한글 문해층의 증가, 사회경제구조의 변화와 함께 16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확산되었다. 그러나 당시 소설 향유자들은 한문학과 국문학적 소양을 지닌 지식인들이었고, 어느 정도 사회경제적 기반을 소유한 계층에 속해있었다. 새롭게 등장한 한글 독자층 중에서 문화권의 주변부에 위치한 사람들이 존재했으리라 짐작되지만 그 세력이 미약하고 기록된 바가 없어 추정만 가능하다. 따라서 소설 독서문화가 대중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사회문화적 환경이 조성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독자의 수요와 작가의 공급이 상업적 유통망과 연결되지 못하고, 제한적 범위에서 음성적으로 실현되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소설 독서 문화의 조성은 당대의 사회문화적 구조와 변동을 담지한 행위이자 ‘소외되고 주변적인 대상’의 존재 가치에 관심을 유발한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 또 통시적으로 볼 때 17세기에 보다 현실적인 내용으로 다양한 유형의 소설이 창작⋅향유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paper, we focussed on the fact that novels were created and circulated in the 15th and 16th century Joseon Dynasty and tri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and literary socio-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novel-reading culture that formed amongst intellectuals.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which was the formative period of the novel-reading culture, novels were produced, circulated and consumed for the purpose of intellectual enjoyment within a limited social class. The publication and circulation of novels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were permitted as long as it conformed to the intellectual tastes of the literary class in charge at that time and recognized utilitarian value as a means of maintaining social order and stabilizing public life. But amongst the intellectuals, there also existed an informal reading and debate culture that deviated from the boundaries of mainstream reading culture, and a new form of writing was experimentally created and informally enjoyed in their own spaces. The novels created as a result of their social communication are works such as "Keumosinhwa", "Seolgongchanjeon", “Kijaekiyi”, and “Suseongji”. Fans of the novels expressed the conflicts and internal desires they faced in reality by relying on 'fantasy' and secretly spread the novel-reading culture while satisfying their repressed desire through reading.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of novel reading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can be found in that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a novel-reading culture in an informal, non-commercial way. Despite the censorship of Korean translation and distribution of novels by the conservative class with vested rights and the publication policy for enlightenment at the national level, the tacit transla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novels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hose literate in the Korean writing system (Hangeul), which continued to spread throughout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along with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structure. However, fans of novels at that time were intellectuals refined in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who belonged to a social class with a certain socioeconomic foundation. It is assumed that there were people in the periphery of the cultural area among the newly appeared Korean literature readers, but it is only possible to assume this as their presence is weak and there are no written records. Therefore, despite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which made it possible for the novel-reading culture to become mainstream, was being established, there existed a limitation in that both the reader demand and the writer supply were not connected with the commercial distribution network and were tacitly realized in a limited scope.

      • KCI등재

        고소설 권선징악론 비판 -수용미학의 관점에서-

        이정원(Lee, Jeong-w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7

        이 논문은 고소설 권선징악론을 검토하고 수용미학의 관점에서 이를 비판하고자 하였다. 선을 권장하고 악을 징벌한다는 의미의 권선징악은 오랫동안 고소설을 설명하는 중요한 특징으로 간주되었다. 그 세부 내용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고소설은 구성이 권선징악으로 천편일률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고소설은 주제가 권선징악으로 천박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 기존 논의에서는 권선징악의 보편성으로써 반박이 있었다. 즉, 권선징악은 인류 보편적 가치이므로 이에 대한 예술적 추구가 비판될 수 없고, 또한 권선징악은 비단 고소설뿐만 아니라 계몽적 성격을 띠는 다른 소설에서도 발견되므로 고소설에 대한 비판은 부당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반박은 고소설 권선징 악론이 소설사에서 고소설로부터 근현대소설이 분기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편협한 판단이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여전히 고소설이 권선징악의 특징을 지녔다는 주장과 그것이 고소설의 예술적 가치를 떨어뜨린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분명한 반박을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 논문은 이에 대해 소설의 구성과 주제, 나아가 예술적 가치는 작가 중심적관점이나 형식주의 관점이 아니라 수용미학의 관점에서 판단할 문제라고 관점의 전환을 시도하였다. 그 세부 내용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수용을 중시하는 관점에서 볼 때, 작가의 의도와 작품의 형상화 사이의 관계는 매우 불안정하다. 둘째, 독자의 수용 체험에 의해 작품이 완성된다는 관점에서 볼 때, 고소설의 구성과 주제가 권선징악이라는 주장은 작품에서 선험적인 구조를 가정 하여 독자의 체험을 무시하는 해석적 독재이다. 셋째, 소설에 대한 독자의 수용은 자신과 세계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의 심화를 지향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고소설 권선징악론은 소설 텍스트의 수용을 도덕적 범주로 획일화한다. 이는 텍스트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독서 체험을 왜곡한다는 점에서 진실이 아니다. In this study, I want to criticize the insistence on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in Old Korean Novel.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is regarded as a important feature of Old Korean Novel. The issues of this insistence are two. The first is that Old Korean Novel is always composed of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And the second is that the theme of Old Korean Novel is always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so that it can’t reflect the real world. There were some articles that refuted this insistence with the universality of this morality in art. According to these articles,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has always been a universal theme of art so that it is unfair to criticize the moral feature of Old Korean Novel. These articles show that the insistence on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in Old Korean Novel originated in the attempt of building new history of modern novel. But these articles could not refute the existence of the moral fact and the unfair evalua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novel about Old Korean Novel. In this paper, I tried to shift the perspective of this matter. Because the plot or theme and more the value of novel could be evaluated in reception aesthetics not in authorial purpose or formalism. The new issues of this are three. First, from the point of view that reception of reader about t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ial purpose and the embodiment of text is very unstable. Secon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ext can be completed to work only by the reception of reader, the insistence that the plot and theme of Old Korean Novel is always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assume a transcendental structure in disregard of reader’s reception. So this insistence is a kind of dictatorship of interpretation. Thir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reader usually aspire to explore the higher understanding about the self and the world, this insistence do not admit the diversity of reader’s reception but only moral enlightenment. And this is not true because the aim of actual reading can not restricted within morality.

      • KCI등재

        주요 중국소설사의 서술관점 분석

        이등연 한국중국소설학회 2002 中國小說論叢 Vol.15 No.-

        編寫中國小說史的學者不能避免有關小說槪念和範疇的種種複雜問題, 引起這問題的主要原因, 可以說就是從魯迅『中國小說史略』開始的. 5ㆍ4文化運動的大潮流, 實際上以白話文運動爲主, 在當時這種風氣之下所刊出的魯迅『史略』, 已被評爲是最初有體系的, 後代小說史之典範. 但是, 當時小說槪念上有“同名異實”現象, 就是晩晴以來西勢東漸, 小說有傳統的和新興的兩種不同槪念. 有些人認爲用當時新槪念來看以前文學史, 就沒有“眞正的小說”. 如果考慮這種複雜現狀, 作爲一個小說史家應注意有關問題, 魯迅則基本上依據“以古論古”的史觀, 採用廣範的小說槪念來編寫『史略』, 正如他自己所說“後世衆說, 彌復紛운, 今不具論, 而徵之史: 緣自來論斷藝文, 本亦史官之職也.” 此後刊出的20多種小說史大部分都踏襲其軌了. 『史略』的體制和篇目, 若以文言和白話區分, 有關文言小說部分有第3、 4、 5、 6、 7、 8、 9、 10、 11、 22篇等共10篇, 有關白話小說部分有第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3、 24、 25、 26、 27、 28篇等共16篇; 從各時代來看, 第3、 4篇是漢代小說, 第5、 6、 7篇是六朝小說, 第8、 9、 10篇是唐代小說, 第11、 12、 13篇是宋代小說, 第(13)、 (14)、 (15)篇的部分內容是元代小說, 第14、 15、 16、 17、 18、 19、 20、 21篇是明代小說, 第22、 23、 24、 25、 26、 27、 28篇是淸代小說. 這樣的篇幅按排, 是考慮由文言到白話, 由簡單體制到複雜體制, 由少數作品到多量作品演變的歷史大勢. 『史略』指稱小說“細部文類”方式, 有幾種: 繼承前人固有名稱, 如志怪、 傳奇文、 話本(擬話本)、 講史、 公案等; 附加具體說明方式, 如‘明之擬宋市人小說’、 ‘淸之以小說見才學者’等; 附加特定文類(○○小說)方式, 如漢人小說、 神魔小說、 人情小說、 市人小說、 諷刺小說、 狹邪小說、 俠義小說、 譴責小說等. 金台俊『朝鮮小說史』(1939修訂本), 如中國魯迅『史略』, 是朝鮮最初具有體系的小說史. 與魯迅『史略』比較, 兩者有不同點: 分期上, 『史略』至淸代爲止; 『朝鮮小說史』結合古、 今, 涉及到當時小說. 小說槪念上, 『史略』如上述基本上採擇廣範的傳統方式; 『朝鮮小說史』雖考慮傳統時期小說槪念的駁雜現象, 實際內容較注重朝鮮時期(明淸時期), 朝鮮以前作品歸屬於“說話、 傳說”範圍. 趙東一『韓國小說的理論』(1977)曾提出獨特的文類理論, 近來在韓國引起廣範的反響, 其要點在於: 作爲一種“敍事”文類, 小說的文類特徵是“自我”和“世界”在相互優位關係上的對決來追求“小說的眞實性”的文學, 這種小說世界文學史上在“從中世到近代的過渡時期”才出現. 他認爲: 綜觀中、 韓、 日三國歷代認識“小說”槪念的演變, 可歸納爲以下幾種: ⓐ“小家珍說”; ⓑ記錄的敍事文學; ⓒ經過修飾整理, 已成爲“作品”的記錄敍事文學; ⓓ“自我”和“世界”在相互優位關係上的對決來追求“小說的眞實性”的創作文學作品; ⓔ上述“ⓓ類”中, 具體表現“現實認識”的作品. ⓐ是小說的原來槪念, 後來變成ⓑ; 屬於ⓑ類中, 中國較重視ⓒ, 因此中國小說史大都認定ⓑ和ⓒ就是“小說”. ⓓ是19世紀初在韓國已提出過的, 韓國小說史大都認定ⓓ就是“小說”. ⓔ是19世紀末在日本出現的, 日本硏究者大部分認爲ⓔ才是“眞正的”小說. 以上5種觀點中, ⓐ是不必再論的古老說法, ⓑ和ⓒ或範圍太大, 或不能具體明示小說固有的文類特徵, ⓔ是從西方進來的觀點, 有削足適履的限界, 所以ⓓ才是最適合的基準. 依據這種理論觀點, 眞正的小說在中國是12世紀南宋時期才出現的. 這種理論視角, 筆者認爲흔値得注意, 但關鍵在於通過具體分析作品, 證明此理論的普遍適用的可能性.

      • KCI등재

        중국현대소설과 《紅樓夢》

        高旼喜 한국중국소설학회 2014 中國小說論叢 Vol.44 No.-

        중국고전소설의 최고봉이라고 일컬어지는 《紅樓夢》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그 예를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후세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紅樓夢》이 중국현대작가와 작품에 미친 영향은 가히 血緣關係에 있다고 할 만큼 밀접하다. 중국현대문학사를 記述하거나 작품을 비평하는 학자들이 이 점에 주목하고 있음은 물론이요, 작가 자신들이 직접 《紅樓夢》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밝히고 있기도 하다. 그러한 밀접한 영향관계로 인하여 몇몇 작가들의 작품은 ‘20세기의 紅樓夢’ㆍ‘民國紅樓夢’ㆍ‘現代紅樓夢’이라고 칭해지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紅樓夢》과 중국현대소설의 계승관계 및 동질성에 관심을 기울여, 그 양상을 ‘소설 유형과의 관계’ㆍ‘소설 주제와의 관계’ㆍ‘서사기법과의 관계’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소설 유형과의 관계’에서는 가족소설이라는 유형상의 동질성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주제와의 관계’에서는 ‘反封建’ㆍ‘개성해방’ㆍ‘비극의식’으로 나누어 《紅樓夢》의 작가 조설근과 중국현대소설의 작가들 간의 공통된 작가의식ㆍ현실인식ㆍ지향점 등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으며, ‘서사기법과의 관계’에서는 ‘구성’과 ‘인물묘사’에 있어서의 영향과 모방 등에 대하여 다루었다. 요컨대 본고는 시대를 초월하는 작가들의 공통된 문제의식, 계승과 발전, 모방과 創新등에 초점을 맞춰 논술하였다고 할 수 있으며, 본고의 논의를 통하여 중국현대소설과 《紅樓夢》간의 창작상의 연관관계가 어느 정도 究明될 수 있으리라 본다. 아울러 그 결과는 중국현대소설사와 紅學史라는 두 줄기 흐름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有效할 수 있을 것이다. Recofnized as a masterpiece of ancient Chinese novels, A Dream of red Mansions, has exerted unprecedented influence on following generations. It’s influence on modern chinese novel and authors in particular is an intimately interwoven relationship. Researchers/scholars who describe or critique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novel have focused on this relationship. Furthermore, many authors themselves have claimed that their works were greatly influenced by A Dream of red Mansions. Due to this intimate tie, some authors’ works have been referred to as ‘A Dream of red Mansions in the 20th century’, ‘A Dream of red Mansions during the period of Republic of China.’ or ‘Modern ADream of red Mansions.’This paper notes A Dream of red Mansions’s relationship with modern Chinese novels, its inheritance and homogeneity and examines those aspects in terms of its type, theme, and narrative technique. First I will focus on similarities commonly found in the type of family novels. Second, the themes of anti-feudalism, liberation of individuality, and consciousness of tragedy, and how they are analyzed in terms of authorial consciousness, recognition of reality, and their aiming direction by Cao, Xue-Qin, the author of A Dream of red Mansions and modern chinese novelists will be examined. Finally, A Dream of red Mansions’s influence on narrative technique and how modern authors’ imitate it in both construction and character description will be discussed. In conclusion, this paper examines the ahtuor homogeneity that exists regardless of time period in terms of problem recognition, inheritance and development, and imitation and creation, a discussion that will contribute to illuminat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 Dream of red Mansions and modern Chinese novels. As a result, it will ultimately help us understand two flows of history in modern Chinese novels and the history of Redology more in depth.

      • KCI등재

        소설가 소설과 ‘구보형 소설’의 계보

        나은진(Rah, Eun Jean) 구보학회 2006 구보학보 Vol.1 No.-

        박태원의 소설 「小說家仇甫氏의 一日」은 소설가 소설이다. 소설가 소설은 소설과 현실의 경계선이나 소설의 존재의의, 문학 일반론, 작가의 삶 등의 주제에 쉽게 접근하도록 해 주므로, 소설의 자기반영성과 메타픽션적 특징을 통해 소설의 소통양식, 시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등을 드러내기에 유리한 양식이라는 의미에서 우리 소설문학사에 독보적인 존재로서 자리매김 된다. 나아가 “구보형 소설”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소설가 소설의 계보에서 뚜렷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30년대 박태원의 소설에 뒤이어 1970년대 최인훈의 15편 연작소설 󰡔小說家丘甫氏의 一日󰡕과 1990년대 주인석의 5편 연작소설 󰡔검은 상처의 블루스: 소설가 구보씨의 하루󰡕가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 작품들은 소설가가 주인공으로서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여건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소설가의 역할 탐색과 소설쓰기의 의미를 진지하게 고찰하고 소설가의 정체성 확인과 자기반성을 소설쓰기의 형식을 통해 드러낸 작품들이다. 고현학으로서 시대의 인식을 창작기법화한 박태원, 시대에 대한 담론공간을 창작의 원리이자 정체성으로 확보했던 최인훈, 현실의 이면을 과거로부터 탐색하는 주인훈은 각각 소설가 ‘구보(仇甫)’와 ‘구보(丘甫)’, ‘구보’라는 소설속 인물인 소설가로부터 비롯된다. 박태원, 최인훈, 주인석 세 작가의 차이는 바로 그들이 위치했던 시대, 그 시공간성의 차이이며, 각각 자신의 시대에서 사회와 문학의 위기에 대한 문학적 응수이자 대안제시의 한 방법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적 예술가 소설의 하위갈래로서 구보형 소설가 소설은 박태원 이래 현재까지 맥을 이어 창작되고 하나의 계보를 형성할 힘을 얻을 수 있었다고 본다. 다른 소설가 소설들과 달리 한국 현대소설에서 ‘소설가 구보’형 소설들은 특정 시공간성에 대한 편력을 중심으로 자성적 자기반성과 소설가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고 특유의 기법실험과 함께 새로운 소설 세계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특유의 소설작법과 서사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앞으로도 생산적인 소설 창작의 원형이 되어 창작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상호텍스트성의 근원이 됨과 동시에 능동적 힘을 지닌 모티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보형 소설가 소설들은 소설의 위기론에 대한 소설적 대안으로서 항상 한국 소설의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해 왔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one of novels by Park Tae-Won, is a novelist novel. Since the novelist novel allows us to easily approach to the boundary between a novel and reality, existence meaning of a novel, general considerations on novel or life of the writer, it has been positioned as an unique existence of our history of novel literature in such a sense that it is an advantageous form to unveil communication style of novel and recognition on era and society through features of novel such as self-reflection and metafiction. Moreover, it has occupied a distinctive position in a genealogy of artist novel to the extent that it is called as “Gubo-Style Novel”, since it has constituted a stream from a novel of Park Tae-Won in 1930s, to 15 volumes of novel cycle,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by Choi In-Hoon in 1970s and 5 volumes of novel cycle, 󰡔Blues of Black Wound: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by Joo In-Seok in 1990s. These literary works of which heros are novelists look for the roles of novelist, seriously consider the meaning of writing a novel based on their recognition on the individual,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and unveil their identity confirmation and self-examina- tion through a form of writing a novel. The three novelists including Park Tae-Won who had made the recognition on the era with modernologie into a creation technique, Choi In-Hoon who had secure a discussion space on the era as a creation principle and identity, and Joo In-Seok who had searched the other side of reality from the past have arisen from the novelists ‘Gubo(仇甫)’, ‘Gubo(丘甫)’, and ‘Gubo’ respectively. The dif- ferences between these three novelists are exactly same as those from eras when they were located, so to speak space time differences, and also a kind of literary countermove against social and literary crisis at each own era and one of the methods to suggest alternatives. Hence, it is con- sidered that the Gubo-style novelist novel has been created with keeping up spirits from Park Tae-Won through the current and got the strength to form a genealogy as a subordinate branch of Korean artist novel. Contrary to the other novelist novels, the ‘Novelist Gubo’ style novels of the Korean modern novels have constituted an unique novel writing technique and epic structure in the respect that they have confirmed a reflective self- examination and own identity as a novelist laying stress on the pilgrimage for a certain time and space and sought a new world of novel with a peculiar technique experiment. This means that it may be a root of inter- text to be able to make effect on creation as an original form of produc- tive novel creation and a motive with an active power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hat the Gubo-style novelist novels have contributed to always expand the horizon of Korean novels as the novel alternatives against crisis argument of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