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赤池를 읊은 七言古風 3편의 形象性

        여운필 국문학회 2013 국문학연구 Vol.0 No.27

        “Jeokjiga” written by Samyeon Kim Chang-heup is a long piece seven letters archaistic poem which has an old fashioned and new style looks together. The stroke of the whole work is experienced and robust, but has a not excellent appearance requiring for its style and material. By the reason of several demerits it can not be regarded as an excellent piece. “Jeokjiga” written by Yaksan O Kwang-woon is also a long piece seven letters archaistic poem that has an older fashioned than Samyeon's and a new fashioned appearance at the same time. It has surpass looks not only in contents but also in sprit and rhetoric thoroughly. Its special merit is in the description by adjusting the focus on specific situation by leaving out narrative plots partly, and has excellent stroke with variation of spirit and tone of the work. “Saryongdae” written by Yigye Hong Yangho is also a long piece seven letters archaistic poem that is sought after a new style on the whole. The merits of this work are a excellent narration of body, variation of stroke and rhethoric magnificence. Yigye's work is slightly openhearted appearance than Yaksan's, has better variation of stroke and magnificence of literary embellishments than Samyeon's. 入聲陌韻의 一韻到底底格 장편 7언고풍인 김창흡의 <적지가>는 평측상으로는 예스런 고풍, 黏對․대장의 측면에서는 신식고풍의 면모를 지닌 작품이다. 몇 가지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老健한 미덕이 발휘되어 있으나, 필세의 완만함, 포서의 안이성, 結構의 느슨함, 특히 본단의 필세와 文彩가 보인 약점으로 인하여 7언고풍에 요구되는 미덕들을 잘 갖춘 작품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특이한 역사적 제재를 가장 먼저 편폭이 큰 고풍으로 형상화하면서 대가적 노련미를 발휘한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역시 입성맥운의 일운도저격 장편 7언고풍인 오광운의 <적지가>는 평측상 삼연보다는 예스런 고풍, 점대․대장의 측면에서는 삼연과 유사하게 신식고풍의 면모를 지닌 시편으로서, 내용적 측면뿐 아니라 기상․필세․수사 등에서 두루 빼어난 장점을 지닌 수작이다. 전설의 줄거리를 서술하기보다는 백룡․흑룡의 싸움에 초점을 맞추어 묘사하고 본단을 이원적 서술시각으로 포서한 점과 독자적 史實解釋을 동반한 점이 형상성을 크게 높인 요소라 할 수 있으며, 호방․웅혼한 氣象․情調의 剛健․華靡함과 풍격의 典雅․重厚함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필세 또한 뛰어난 풍격을 지니게 하였다. 上平聲東韻 主韻, 冬韻을 從韻으로 한 主從通韻型 장편 7언고풍인 홍양호의 <사룡대>는 평측과 점대․대장 모두 예스러움보다는 새로움을 추구한 작품이다. 서술과 묘사 모두 창의성을 발휘한 본단의 포서가 적절할 뿐 아니라, 정조의 기복, 필세의 변화, 수사의 화려함 등도 장편가행에 요구되는 미덕을 대체로 지녔다. 호방과 전중이 조화된 기상․정조와 堅剛과 平直의 균형이 이루어진 필세 또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약산의 <적지가>보다는 호방․웅혼한 풍격이 미약하지만, 삼연의 <적지가>에 비해서는 필세․정조의 변화․기복과 文彩의 화려함이 앞선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3편의 장시는 특성과 우열의 차이를 지녔지만, 7언고풍, 조선적 한시, 서사적 영사시로서 갖춘 우수한 형상성을 통해 18세기 한시사의 성취에 작게나마 기여한 점을 인정할 수 있다.

      • KCI등재

        김삿갓 한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심경호 ( Sim Kyung Ho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1 No.-

        오늘날 김삿갓으로 총칭되는 인물은 복수이다. 19세기를 방랑하던 김삿갓은 한 사람이 아니었다. 심지어, 1930년대 말까지 어떤 김삿갓은 생존해 있었다고도 할 수 있다. 1920년대 후반부터 많은 사람들이 사회 제도에 복종하지 않고 여로에서 ‘비참과 불평과 울분’으로 마쳐 버린 김삿갓의 시에서 민족예술의 역사적 기원을 증명하고 민족사상의 발전을 예증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김삿갓은 김병연이라는 한 인물을 중핵으로 하면서 과객(科客)과 방랑시인들을 망라하는 특수한 지칭이다. 그 지칭은 출판과 우편의 발달과 더불어 ‘조선의 대시호’요 ‘무산자의 일인’으로서 생명력을 부여받았다. 『몽유야담(夢遊野談)』(1852년경)에 나오는 김병연(金炳淵), 『대동시선(大東詩選)』 (1917) 수록 영립(詠笠) 의 작가, 『대동기문(大東奇聞)』(1926)에 일화를 남긴 김립, 황오(黃五) 『녹차집(綠此集)』(1932)에 수록된 김사립전(金莎笠傳) 의 김사립은 같은 사람인듯하다. 하지만 19세기에 ‘김삿갓’이라는 별명으로 널리 알려진 또 다른 인물로 김난(金鸞)이 있다. 신석우(申錫愚)의 기김대립사(記金籉笠事) 에 따르면 ‘김대립=김난’은 ‘광주(廣州)의 향품’으로, 소론계 문장가 안응수(安膺壽)의 식객으로 지냈다. 향품이란 사실이 알려져 안응수의 배척을 받은 뒤로는 “장옥(과장)에 드나들며 혹은 시를 수십 편을 짓기도 하고 혹은 한 편도 짓지 않고 나오기도 하였다.” 『몽유야담』에 따르면 김병연은 자신의 성명을 반드시 밝혔다고 했으므로 김난을 김병연과 동일 인물로 볼 수는 없다. 한편 조선 고종, 일제강점기 초 여규형(呂圭亨)의 시에서 과시(科詩) 작가 김초모(金草帽)를 언급하였는데, 그는 어느 인물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1926년에 천도교 잡지 『개벽(開闢)』의 문예부는 김삿갓의 시문과 전기 자료를 대대적으로 수집하기 시작했다. 1926년 7월 1일 발행 『개벽』 제71호에는 사고를 실어, 문예부에서 모집하여 오던 김립 시문과 기타 전기의 원고가 산같이 쌓인 데다가 아직도 투고가 끊이지 않아 편집 종료 기일을 1개월 간 연기한다고 공고했다. 하지만 이후 『개벽』은 일제에 의해 일단 폐간되었다. 『개벽』이 폐간되자 김삿갓의 시들은 편집자 차상찬(車相瓚, 1887 1946)이 보관하다가, 이응수(李應洙)에게 승계되었던 듯하다. 이응수는 1939년 『김립시집』을 초간하고 1941년 대증보판을 출판했으며, 1956년 평양 국립출판사에서 정선본이라고 할 『풍자시인 김삿갓』을 간행했다. 김삿갓 시의 자료로는 수록 작품이 많은 대증보판을 활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 책에는 오식도 있고 교정 잘못도 있다. 게다가 이응수 자신이 고백하듯이, 편집자이자 주해자인 그가 한시의 여러 형식들을 잘 분별하지 못했다. 김삿갓의 실제 인물로 주로 간주되는 김병연(金炳淵)은 향시에서 과시(科詩)로 장원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이응수는 그것을 김병연의 작이 아니라 하면서도 대증보판에 ‘과시’로 실어두었다. 하지만 이 18연시는 과시가 아니다. 정약용이 『아언각비』에서 말한 대고풍(大古風)이다. 김삿갓 작이라고 필사되어 전하는 ‘동시(東詩)’ 가운데는 과시가 아니라 대고풍도 섞여 있다. ‘동시’란 조선의 과거에서 사용되는 과시(과체시, 공령시, 행시)와 조선의 민간에서 유행한 대고풍을 합한 개념이다. 그 양식을 우리 문학사에서 일정한 의미를 지닐 수 있도록 만든 장본인이 바로 김삿갓이다. 우리가 볼 수 있는 김삿갓 시는 여섯 가지 부류이다. 첫째 평측과 압운 등 외재율을 엄격하게 지킨 한시, 둘째 한시의 온전한 한 편을 이루지 못한 단구(斷句)나 연구(聯句), 셋째 한시의 형식에서 파생되어 나온 희작이나 파격의 시, 넷째 조선 민간에서 유행한 고풍(소고풍과 대고풍), 다섯째 우리말과 한자를 직조한 육담풍월(언문풍월), 여섯째 과거시험에서 부과되는 형식의 과시(科詩) 등. 이응수는 초판본과 대증보판 『김립시집』에서는 과시에 중점을 두었다가 평양본에서는 둘째, 셋째, 다섯째 유형의 시에 중점을 두었다. 사실상 김병연 등 복수의 김삿갓은 방랑 과객(科客)으로서 민간의 독서층에게 과시를 가르쳐 주던 인물이었을 것이므로, 김삿갓의 한시는 과시가 본령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김삿갓의 이름 뒤에는 많은 ‘무보상(無報償)의 시인’들이 있어서 그들이 남긴 단율과 연구, 파격의 시, 육담풍월, 고풍의 시들이 지금도 광채를 발하 있다. Today, the person who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Kim Sat-gat is plural. Kim Sat-gat, who wandered the nineteenth century, was not a single person. Even by the end of the 1930s, it could be said that some Kim Sat-gat was still alive. Since the late 1920s, many people expected to demonstrate the historical origins of national art and to exemplify the development of ethnic ideology in poetry of Kim Sat-gat, who had not obeyed with social systems and had ended his life in ‘misery and grievance’ on a road. Kim Sat-gat is a special term that encompasses passers-by and wandering poets while making a person named Kim Byeong-yeon as the core.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publishing and postal services, Kim Sat-gat was given the vitality as ‘the great poet of Joseon Dynasty’ and ‘one of the proletarian.’ Kim Byeong-yeon in < Mongyuyadam >(near 1852), the author of < yeongnip > in < Daedongsiseon >(1917), Kim Rip, who left a story in < Daedonggimun >(1926), Kim Sa-rip in < Kimsaripjeon >, which is included in Hwang O’s < Nokchajip > are likely to be an identical person. However, there was another person name Kim Nan, who was widely known as his nickname ‘Kim Sat-gat’ in 19th century. According to Sin Seok-u’s < Gikimdaeripsa >, ‘Kim Dae-rip=Kim Nan’ was ‘a regional petty official of Gwangju’, who lived as a parasitic houseguest of Soron writer An Eung-su. After being found out that he is a petty official and being excluded by An Eung-su, he “came in and out Gwajang(examination site), writing dozens of poetry or coming out with no poetry at all.” According to < Mongyuyadam >, Kim Byeong-yeon was sure to reveal his name thus it is hard to say that Kim Nan and Kim Byeong-yeon are same person. Meanwhie, from the reign of Joseon Gojong to Japanese colonial era, in Yeo Gyu-hyeong’s poem, an author of examination poetry Kim Mo-cho was mentioned, but his identity is unknown. In 1926, the literary department of the Chondogyo magazine < Gaebyeok > began to collect large volumes of poems and biographies of Kim Sat-gat. In the 71th volume of < Gaebyeok >, published on July 1, 1926, informed poems, proses and biographic manuscripts of Kim Sat-gat that literary department had been collecting are stockpiled like mountain, and keep being submitted, so extends editing deadline for one month. However, < Gaebyeok > was once closed by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When it was closed, Kim Sat-gat’s poems seemed to have been taken over by Lee Eung-su from the editor Cha Sang-chan (1886-1946) who kept it. In 1939, Lee Eung-su published his first edition of < Kimripsijip(The Selected poetry of Kim Rip) >, and in 1941 published a supplementary edition of the book. In 1956, he published refined edition < Pungjasiinkimsatgat(The Satirical poet Kim Sat-gat) > in Pyongyang national publishing company. It is common to use the supplementary edition as a reference to poetry of Kim Sat-gat. But this edition contains errors and proofreading mistakes. Furthermore, as Lee Eung-su confessed, he could not distinguish various form of Sinic poetry well, although he was an editor and an annotator. It is told that Kim Byeong-yeon, who is believed to be the real Kim Sat-gat got first place in a local preliminary exam with examinational poem. Lee Eung-su included such poem in the supplementary edition, while assuming it was not his composition. However, this 18 sequence poem is not an examinational poem, but it is a genre of Daegopung, which Jeong Yak-yong explained in < Aeongakbi >. Some of ‘Dongsi(The Eastern poem)’, those are transcribed as works of Kim Sat-gat are not only an examinational poem but also Daegopung. Dongsi is an concept that combined popular Daegopung with official examinational poem in Joseon. Kim Sat-gat is the one who made the concept has true meaning in Korean literary tradition. Kim Sat-gat’s poetry that we can see now is divided in six categories. First, Sinic poems that are following strict rules of prosody such as tonal patterns and rhyme. Second, phrases or pair of phrases cannot form a complete structure. Third, light literary works and irregular poems derived from form of Sinic poems. Fourth, archaistic poems those are popular among common folks. Fifth, licentious and humorful poems combines vernacular words with classical Sinic words. Sixth, examinational poems charged in official exam. Lee Eung-su focused on examinational poems in first edition and supplement edition at first, later he focus on poems from second, third fifth categories in Pyongyang edition. As a matter of fact, plural Kim Sat-gat, including Kim Byeong-yeon, are people who taught examinational poems for ordinary folks as a wandering poet, so it is possible to say that examinational poem was the true province in his poetry. However, there are many ‘non-reward poets’ behind Kim Sat-gat’s name, thus phrases, pair of phrases, irregular poems, humorful poems and archaistic poems which are left by them still casting a glow.

      • KCI등재

        正祖 활쏘기와 古風

        장을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규장각 Vol.51 No.-

        조선 제22대 왕 정조의 활쏘기 기록은, 그 규모의 방대함과 내용의 상세함이라는 측면에서 역대 왕들과 비교가 무색할 정도이다. 그러나 그동안 이 기록을 종합정리하려는 시도가 없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정조 활쏘기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실록 등의 관찬사료는 물론이고 각 처 박물관이나 개인 소장 자료를 조사․분석하여 정조 활쏘기의 전체적인 면모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정조의 활쏘기 기록은 12개 년(1787~1798)에 걸쳐 262건에 달하는데, 많은 건수가 ‘古風紙’라는 낱장문서이다. 고풍지는 ‘古風’이라는 왕의 활쏘기 풍습에서 생산된 문서로, 정조대에 성행하다가 급격히 사라졌다. 고풍지는 활쏘기 내역 외에도 정조가 신하에게 주는 하사품과 이를 지급한 관청의 인장, 정조의 手決(sign)이 포함된 활쏘기 현장의 생생한 현장자료이다. 이 외에도 비석이나 현판, 이를 인출한 탁본첩 등 다양한 형태로 남아 있다. 본고에서 시도한 정조 활쏘기 기록의 정리․분석과 문헌학적 측면의 고찰은 군사학이나 체육학 등 타 학문분야 관점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새로운 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조선조 문인의 陶淵明 四言詩 수용 양상 연구

        이훈 한국한문고전학회 2018 漢文古典硏究 Vol.37 No.1

        본고는 陶淵明의 四言詩를 和作한 조선조 문인의 작품을 ‘和陶四言詩’로 명명하고, 도연명 사언시를 수용한 양상을 구명하면서 수용의 내부적 발전 정도와 문학사적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삼은 조선조 ‘화도사언시’ 문인은 김시습⋅신흠⋅유계⋅김수항⋅김창협⋅조유수․⋅조종진⋅이만수 등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도연명의 사언시는 형식과 수사적 측면에서 의식적으로 『詩經』의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 復古 내지 尙古的인 성향을 지닌다. 이에 대한 조선조 ‘화도사언시’는 창작 과정에 古風을 추구하고자 하는 문학적 지향이 내포되어 있지만, 한편으로는 문인별 문학성의 차이로 인해 古風 추구 인식에 편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조선조 ‘화도사언시’는 詩題와 형식에서부터 다채로운 양상을 보이는데, 화도사언시 문인들은 도연명 사언시의 체제를 그대로 수용하는 한편 자신만의 개성으로 변주하기도 하였다. 개인별 창작 시기는 대체적으로 중년 이후이며 작가가 처한 상황은 심적인 고뇌를 겪던 시기였다. 이러한 양상은 도연명의 사언시가 言志와 述懷에 특장이 있음을 반증한다. 아울러 조선조 ‘화도사언시’의 창작 연대가 17세기에 집중된 것은 특기할 점으로, 이는 17세기에 들어와 古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는 한시사의 흐름과 밀접한 연관을 맺는다. 도연명 사언시와 조선조 ‘화도사언시’ 간에는 韻字에 차이가 있다. 조종진과 이만수의 경우는 마지막 운자를 原詩의 운자와 동일한 韻目에 속한 다른 글자로 전환하는 依韻의 방식을 구사하여 주제의식의 내면화를 구현하였다. 김창협의 경우는 도연명의 사언시가 지닌 주제의식에 부합하여 和作하되 和韻하는 방식으로 창작하지 않았다. 조선조 ‘화도사언시’에 있어서 가장 특색 있는 부분은 수사적 측면이다. 김시습의 경우는 도연명 사언시의 모든 수사적 특징을 함유한다. 그러나 17세기 신흠․유계․김수항․김창협의 경우에는 수용과 변주에 편차가 있다. 18세기 조유수의 경우에는 수용의 정도가 희박해졌으며, 19세기 전반기 조종진과 이만수의 경우에는 수용의 정도가 다시 높아졌다. 김창협이 도연명의 詩題를 활용하지 않은 점과 和韻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그의 작품은 조선조 ‘화도사언시’의 역사적 轉變 과정에서 전환점이 된다고 평가할 수 있다. 김창협은 17세기에 대두한 복고주의 시풍에 비판을 가했고, 이로 인해 18세기는 개성주의가 주된 문풍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8세기 조유수의 작품이 수사적 측면에서 도연명의 사언시를 수용한 정도가 낮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한 정조의 문체반정과 詩選集 편찬 사업에 영향을 받은 19세기 전반기 관료문인들은 복고주의 내지 상고주의를 표방하였는데, 이것이 19세기 전반기 조종진과 이만수의 작품에 도연명의 사언시를 수용한 정도가 다시 높아진 이유이다. 이와 같이 조선조 ‘화도사언시’는 도연명의 사언시가 지닌 제특성을 시대별 문풍과 작가별 문학적 지향으로 재구성하는 내면화의 轉變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조선조 ‘화도사언시’의 창작 방식은 압운과 詩意의 수용 양상에 따라 ‘和韻和意’ 유형, ‘和意不和韻’ 유형, ‘和韻和意’와 ‘和韻不和意’ 결합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和韻和意’의 유형은 도연명 原詩의 韻字를 재사용하고 詩意를 수용하여 내면화한 것으로... This study named the works by the literati in the Joseon Dynasty as 'He Tao Si Yan Shi(和陶四言詩)' which were written to a given set of rhymes of Tao Yuan-ming(陶淵明)'s four words poems(四言詩), and explored the level of internal development and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while examining the acceptance patterns of Tao Yuan-ming's poetry. In this study, several writers were selected as the literati of 'He Tao Si Yan Shi' in the Joseon Dynasty: Kim Si-seup(金時習), Shin Hum(申欽), Yu Gye(兪棨), Kim Su-hang(金壽恒), Kim Chang-hyeop(金昌協), Jo Yu-su(趙裕壽), Jo Jong-jin(趙琮鎭), Lee Man-su(李晩秀), et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ao Yuan-ming's four words poems, in terms of form and rhetoric, consciously inherited the style of『Shi Jing(詩經)』, which had an inclination to restoration or tended towards classicism, that is to say the worship of ancient. In comparison 'He Tao Si Yan Shi' showed literary intentions to pursue the archaism, but on the other hand, there's a deviation in the perception of archaism due to the difference in individual literary inclinations. Hence 'He Tao Si Yan Shi' displayed varied aspects in the title and form, some writers accepted Tao Yuan-ming's format while others made some variations on it with their own personalities. The year in which poems were created generally coincided with the time when the writers suffered after middle age; this proves that Tao Yuan-ming's poems were effective in expressing one's personal feelings and intentions.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creation period of 'He Tao Si Yan Shi' was concentrated in the 17th century. There seem to be observable differences in the rhyming words(韻字) between 'He Tao Si Yan Shi' of the Joseon Dynasty and Tao Yuan-ming's four words poems. Jo Jong-jin and Lee Man-su mainly changed their last rhyming words into different words which were in the same rhyme group(韻目) of the original poems, in order to realize the internalization of thematic consciousness. Kim Chang-hyeop wrote poems in accordance with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ao Yuan-ming's four words poems, but he did not create poems in the way of bouts-rimes(和韻詩).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He Tao Si Yan Shi' in the Joseon Dynasty is the rhetorical aspect. Kim Si-seup embraced every rhetorical expression technique of Tao Yuan-ming. In the 17th century, however, Shin-Hum, Yu-Gye, Kim Su-hang and Kim Chang-hyeop had different ways of accepting and making variations of it. Jo Yu-su, in the 18th century, accepted it at a very low level, but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Jo Jong-jin and Lee Man-su absorbed it again at a high level. Considering that Kim Chang-hyeop did not use any title of Tao Yuan-ming's poems and even avoided the way of bouts-rimes, his works can be estimated to be located at a inflection point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He Tao Si Yan Shi'. Kim Chang-hyeop criticized the restoration in poetry of the 17th century, which made it possible for individualism to become a main literary trend of the 18th century. That's the reason why Jo Yu-su's acceptance level of Tao Yuan-ming's four words poems in the 18th century was so low in terms of rhetoric. Furthermore,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government official-literary men who were influenced by Munchebanjeong(文體反正) of King Jeongjo(正祖) claimed to support restoration or classicism. That's why the level of acceptance of Tao Yuan-ming's four words poems in the works of Jo Jong-jin and Lee Man-su was increased again. As such, 'He Tao Si Yan Shi' experienced a process of transformation that was internalized by reconstructing the poetic qualities of Tao Yuan-ming's four words poems according to the periodical writing style and individual literary intention. Therefore the composition methods of 'He Tao Si Yan Shi' in the Joseon Dynast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 r...

      • KCI등재

        조지훈의 등단 추천작과 그 시적 전개

        최동호(Choi Dong-ho) 한국시학회 2010 한국시학연구 Vol.- No.28

        Jo Ji Hwoon was born in Jooshil village, Ilwon-myeon, Yeongyang-gun, Kyongsangbook-do in January 1921 (in December 1920 of the lunar calendar) and died in May 1968. Ji Hwoon who learned Chinese classics in his youth from his grandfather, Jo In Suk graduated from Yeongyang elementary school in 1928. Then he entered Haewha college in 1938 and studied liberal arts there. While in college, he started his literary career in 1939 at the recommendation of the literary magazine, Moonjang (The Sentence). The recommendation was completed over a total of three times. The poems recommended include “Gopoongeysang” (“Antique Clothing”) in April 1931, “Seungmu” (“A Buddhist Dance”) in December 1939 and “Bongwhangsu” (“In Contemplation of an Oriental Phoenix”) and “Whyangmun” (“A Fragrant Pattern”) in February 1930. According to him, the secondly recommended poem, “Seungmu” was created through his resolute efforts over a span of almost one year, eleven months after he first got the idea of it, and seven months after he started to write it. It means that he got the idea of “Seungmu” before “Gopoongeysang”, but he completed “Seungmu” after “Gopoongeysang”. It proves that “Seungmu” is really a piece of work which cost him painstaking efforts. Chung Ji Yong who recommended the poems said, “Bongwhangsu”, the third recommended poem, was excellent enough to pass the strictly fair evaluation of a fastidious mother-in-law. “Bongwhangsu”, as Ji Yong mentioned, overcame such problems as life and age, which “Gopoongeysang” and “Seungmu” lack. The process through which Ji Hwoon started his literary career was itself that of ordeal, which was considered almost as the prime example for the younger poets. Looking back on the process of his making the debut as a poe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literary circumstances in which poets easily make a debut on the literary world and easily disappear from it, it seems to be really a good example in the sense that Ji Hwoon exerted himself in another poem over almost one year even after he was first recommended. Furthermore, the advice and encouragement that Ji Yong as a recommending poet showed in the process of recommendation is also a great example that the later recommending writers should follow.

      • KCI등재

        윤이상(尹伊桑) Ⅰ

        신인선 민족음악학회 2004 음악과 민족 Vol.28 No.-

        Isang Yun(1917-1995) ist bekannt als ein Komponist des 20. Jahrhunderts, der seine eigene Musikwelt in Europa gefunden hat. Er hat u¨ber 100 Werke komponiert, in denen Ostasiatisches mit Westeuropa¨ischem, internationale Moderne mit nationaler Tradition veschmolzen erscheinen, und von diesem Kompositionsstil wurden viele ju¨ngere Komponisten beeinfluβt. Ihnen war es aber von Anfang an evident, daβ die Schaffensart diesel repra¨sentativen Komponists der Avantgarde und Postmoderne von der zeitgeno¨ssischen koreanischen Komponisten zu unterscheiden ist. Nun kann man in einigen Kompositionen und Artikeln, die Yun relativ fru¨h vero¨ffentlichte, seinen aktiven und logischen Gedanken u¨ber die abendla¨ndische sowie koreanische traditionelle Musik erkennen. In der vorliegenden Studie wurde ein Lied "Gopungeuisang" als Yuns Fru¨hwerk eingehend analysiert und mit seinen underen Liedern verglichen. Er versuchte in diesem Lied ein neues koreanisches harmonisches System zu entwickeln und gleichzeitig fu¨r eine traditionelle Darstellung 'Sigimsae', 'Melodie' und 'Rhythm' aktiv aufzunehmen. Yun hat in seinen Liedern sowohl koreanische, als auch westeuropa¨ische Elemente verwendet, die durch ihre Wechselwirkung den Ho¨rer erleichtert, die Musik zu verstehen. Wenn man betrachtet, wie die Skala und Harmonie in seinen Liedern verwendet werden, erkennt man die Tatsache, daβ das Lied 'Brief' europa¨ischer ist als 'Gopungeuisang' und 'Chucheon'. In den Melodien von 'Brief' sind aber viele 'Sigimsae' zu finden. So stellt man fest, daβ dieses Lied mehr volkstumliche Gefu¨hle in sich hat als tonale und liedma¨βige Charaktere. In einem Stuck von 3/4-Takt kann der Rhythmus 'punktiertes Viertel-Achtel-Viertel' die traditionelle Rhythmik vertreten. Aber dieser Rhythmus ist in 'Dalmuri' und 'Chungmuga' kaum zu sehen. Die Lieder von Yun zeigen oft vielfa¨ltige tonale Charaktere wie zum Beispiel 'Dalmuri', in dem eine besondere Art von 'Sigimsae' verwendet wurde, oder vielfa¨ltige harmonische Darstelleungen wie 'Chungmuga'. Diese Beispiele fu¨hren zum Schluβ, daβ in Liedern von Yun die 'Sigimsae', die Melodiefu¨hrung und die Harmonik bei der Darstellung der koreanischen traditionellen Musik noch gro¨βere Bedeutung hat als der Rhythmus.

      • KCI등재

        藕船 李尙迪 詩書의 儒家美學的 고찰

        이필숙 한국동양예술학회 2022 동양예술 Vol.57 No.-

        藕船은 譯官으로 시인이자, 秋史의 제자이다. 그가 중국을 오가며 구축한 인적 네트워크는 문화교류의 통로가 되어 朝ㆍ淸 양국의 문헌과 금석, 서화가 유통되었고 학풍이나 서화의 풍조까지 조성하였다. 따라서 작가의 개성과 자아의 표현이라는 秋史的 性靈論과 동기창 서화론의 저변화, 그리고 四王吳惲으로 대표되는 정통파 서화풍 등은 藕船의 학문과 예술적 인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藕船의 예술세계는 부단한 학문적 사유 활동으로 다져진 꿋꿋한 기개의 선비정신과 고상한 기풍의 맑고 고아한 미학 정신으로 전개된다. 이런 점은 <歲寒圖>를 둘러싼 청나라 문사들의 발문과 秋史와 서찰을 주고받는 등 일련의 과정에서 잘 드러난다. 이들 일련의 사건들은 <세한도>의 가치를 더욱 상승시켰을 뿐만 아니라, 朝ㆍ淸간 묵연의 깊이를 말해주는 문학적 미학적 담론들이 수놓아져 있다. 또한 秋史가 북청 유배시에 발견한 돌화살촉을 고증하여 <石砮詩>를 짓자, 藕船은 그 시를 보고 <肅愼石砮>라는 제시를 지어 하나는 스승 秋史에게 다른 하나는 제자 오경석에게 전수한다. 이른바『論語』「學而」의 ‘전수받은 것을 제대로 전하지 못한 점은 없었는지[傳不習乎]’에 대한 유가적 실천이었다. 이러한 사유를 바탕으로 전개된 藕船 詩書美學의 특징 또한 고아한 아취와 굳센 골기를 지닌 유가적 사유로 일관된다. 이는 행서 작품 <湯盤翡翠>에 드러나듯이 慺, 傴, 俯를 마음에 새긴 敬의 정신과 서예의 골기를 중시한 점획과 결자, 장법 상의 음양 관계와 묵운의 농담 및 풍격의 고금 등 제반 변증법적 관계가 뚜렷하고 조화롭게 구현되고 있다. 또한 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그림들은 흥미로운 문화적 담론을 형성하고 있다. 藕船의 이러한 審美 활동은 감성 속의 美德이 美行으로 나타나는 격조 있는 아름다움과 인간다움의 실현으로 연계된다. 따라서 藕船의 詩ㆍ書ㆍ畵 활동은 그림과 서화론 뿐 아니라 그림과 글씨를 쓰는 사람, 그리고 제화시를 짓는 사람에 대한 관심과 정을 논하는 부분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결국 藕船의 심미의식은 진정한 성령활동에 의해 순연한 淸氣와 雅趣로 유동하면서 맑고 고아한 미감으로 구현되어 儒家에서 말하는 소위 仁의 구체적인 體認 활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향풍범패의 장르적 규명과 실체

        윤소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9

        We have a Korean style Hyanpung Beompae just as the Chinese have a Aeosan Beompae. The lyrics for the Hwahgpung Beompae were written by a Korean venerable, whilst the melody is syllabic and the rhythm is traditionally Korean. Meanwhile we have also taken an interest in the Aeosan Beompae, which we call Dangpung. It’s meaning derives influence from the Chinese Tang dynasty. The tradition of Buddhist ritual undertaking was interrupted during the Josun dynasty and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dictatorship. But following this, by 1960, a re-interest had taken root. The unique and unusual vocalic melisma melody of the Aeosan Beompae as sung by professional musician monks caught people’s interest. At this time the number of academic studies has accumulated, we should know that three lineages have been established. Beompung originates from India, and was written in Sanskrit; Dangpung hails from China; whilst the third lineage is the Korean native style Hyangpung. These days, some Hyanpung Beompae are still chanted during the temple rituals or in daily life, whilst others are sung as folk or shaman songs. They were openly used during funeral ceremonies, because the Josun Dynasty’s Confucianist public policy did not sufficiently attend to the people’s yearning for a connection with the afterlife. So instead they turned to Amita Buddhism and the Jeongto Yembul. During That time some Buddhist priests returned to secular life, becoming Geollibpae, a kind of wandering musician group. Beollibpae managed their livelihoods through the performance of Buddhist ritual songs, accompanied by the beating of temple percussion instruments. Among the temple songs, some became folk songs whilst others became professional songs. Certain Sangyeo sori were used during a funeral ceremony march or during shaman rituals. So much traditional vocal music has thus originated from the Buddhist chant, the Hyangpung Beompae. At the result, we are able to still hear the same lyrics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Bolyeom, a famous folk song in Jeolla province used during prayer chanting in Buddhist rituals. Additionally, the Yeombul and Sanyeombul, which are common folk songs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Gaesung capital territory of the Goryo dynasty, are very similar to the Jeongto yeombul in the Buddhist temples. The Hangpung Beompae is easy and popular, so Hyangpung Beompae CDs are commonly found in markets, whilst the Dangpung gets attention mostly from professionals. This is a very worthy research field, since the Hyangpung Beompae has a deep relationship with most Korean traditional musics: folk, court, and religious. 중국에 어산 범패가 있듯이 한국에는 향풍범패가 있다. 한국 승려들에 의한 經文纂鈔, 축원 및 기타 여러 게송과 사설들이 향토적 선율과 리듬절주로 민중 속에 향유되어 왔는데도 그간 향풍범패의 존재에 대해 간과해 왔다. 원효대사가 부른 무애가와 민중들의 나무아미타불 후렴구와 장엄염불, 의상대사의 법성게, 월명사의 향가와 연결되는 향풍범패는 일상의 신행과 염불 및 시다림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율조이다. 무박절에 모음을 길게 늘여 짓는 당풍범패는 전문직승에 의한 장인굴곡의 율조인데 비하여 향풍 범패는 일자일음에 한국적 리듬절주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향풍범패는 누구나 함께 할 수 있어 민중의 신행에 깊이 스며들고 사찰 및 불교음반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음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 향풍범패의 면모를 보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천수경, 장엄염불, 법성게를 비롯한 다양한 경문찬초는 조선의 억불을 맞아 걸립패나 탁발승의 노래로 불리다가 巫歌 내지는 상여소리가 되기도 하고, 소리꾼들의 노래로 인기를 누리기도 하였지만 사찰 신행에 그대로 남아 일반 신도들의 신행 속에 살아있는 것이 많다. 향풍범패는 창자의 성향에 따라 자유로이 선율을 지으므로 음악적 변화의 폭이 크지만 이러한 가운데도 일관된 맥락과 율조유형이 있다. 법성게는 2소박 패턴, 장엄염불은 2소박․3소박․빠른 2소박의 3부분 형식, 천수경과 육자염불은 긴․자진 틀이 있고, 빠른 율조는 2소박, 느린 율조는 3소박의 공통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향풍 범패는 궁중음악을 비롯하여 한국전통음악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해 왔으므로 앞으로 불교음악과 한국전통음악의 관계 규명에도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