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유자본 『周易傳義大全』의 간행과 교정

        장원연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59 No.-

        This study is about proofreading the typeset in Korea’s metal type printing techniques. In publishing books, proofreading can be largely divided into proofreading the manuscript before printing and proofreading in the process of printing. And the proofreading of printing is the part that particularly demands the technical skills of master craftsmen, especially Gyunjajang in charge of typesetting. The best way to understand proofreading at printing is to examine the proof sheet marking the proofreading after the trial printing ; however, once the proof sheet is printed out, most of them get to be discarded or reused for another usage, so it is not easy to find a proof sheet that is complete. Fortunately, however, the recently found two volumes of proof sheet edition of Juyeokjeonuidaejeon published in Jeongyuja in 1793 provide crucial data that allow u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roofreading the metal type printing during late Chosun. The proof sheet edition of Juyeokjeonuidaejeon is a volume collecting all the printed pap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ewing of Juyeokjeonuidaejeon issued in Jeongyuja in 1793. They correspond to the first (Vol. 1~2) to the thirteenth book (Vol. 23~24) among total 23 volumes and 14 books. And each page refers to proofreading with red color.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n the aspects of proofreading the typeset based on the 1,600 cases of proofreading marked in Vol. 1, those proofread for the uneven height or horizon of the type are 825 cases which form over 50% of the total proofreading. And those ordered to be proofread for the letters leaning towards left and right are 513 cases (32%) which form the second most. Other than these, there are also cases of proofreading for misprinted, omitted, or blurred letters. If we suppose that this book ordered proofreading equivalent to the level of Vol. 1 including total 24 volumes and 1 complete catalogue, we can estimate that only on the second viewing of Juyeokjeonuidaejeon there must have been proofreading for up to 40,000 or so letters. And since at the first viewing, there must have been much more corrections than this, so we can assume the difficulty of typesetting in metal type printing. In the typesetting of the metal type, setting the type evenly is the most difficult and important task to do. Also, it has been learned that typesetting is influenced by the shape of the type most greatly. Therefore, they tried to standardize the shape of the type during late Chosun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rinting. 이 연구는 한국의 금속활자인쇄기술에 있어서 조판교정에 관한 것이다. 서책 간행시 교정은 인출 전 원고의 교정과 인출과정에서의 교정으로 크게 구분을 할 수 있는데, 인출교정은 匠人들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활자의 조판을 담당하는 균자장의 기술적인 능력이 많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인출시 교정에 관해서는 시험 인출해서 교정을 표시한 교정쇄를 보면 가장 잘 알 수 있으나, 교정쇄는 인출이 끝나면 대체로 폐기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활용 되어 완전한 모습을 갖춘 교정쇄를 찾기란 쉽지 않다. 다행히 최근에 발견된 1793년 정유자로 간행한 『周易傳義大全』의 교정쇄본 두 책은 인출시 교정내용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서 조선후기 금속활자 인쇄의 교정수준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게 되었다. 교정쇄본 『주역전의대전』은 1793년 정유자로 간행한 『주역전의대전』의 再見에 해당하는 인출지를 모두 모아 책으로 엮은 것으로, 전체 23권 14책 중 제1책(권1~2)과 제13책(권23~24)에 해당하며, 매장마다 붉은 색으로 교정을 지시하고 있다. 권1에 표시된 1,600건의 교정내용에 근거하여 조판교정의 양상을 살펴보면, 활자의 높이와 수평이 고르지 않아 교정된 것이 825회로 전체 교정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글자가 좌우로 기울어져서 교정을 지시한 것이 513회(32%)로 두 번째로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외에도 오자, 탈자, 흔들려 인쇄된 글자 등의 교정내용이 확인된다. 이 책이 전체 24권과 총목 1책을 포함해서 권1과 비슷한 수준의 교정이 지시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주역전의대전』의 再見에만 무려 40,000여 자에 대한 교정이 있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고, 초견에서는 이보다 훨씬 많은 횟수의 수정이 있었을 것이므로, 금속활자인쇄에서 조판의 어려움을 대략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활자의 조판은 활자를 고르게 조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작업이었으며, 또한 조판은 활자의 모양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때문에 조선후기로 갈수록 활자의 모양을 규격화하여 인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 KCI등재

        조선후기 금속활자인쇄 교정의 실증적 연구 - 戊申字本 「明紀編年」을 중심으로 -

        장원연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4 No.-

        This study put a focus on the proofreading of poems published within the newly found Mu-sin letter-style myeong gi pyeon nyeon (明紀編年) in order to study the proofreading practices for metal type pr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es. myeong gi pyeon nyeon a Chinese history book that summarizes the ups and downs of the Ming Dynasty, began to be taught in the reign of Yeongjo of the Joseon period and was published multiple times for elementary students. This study looked into the first version of myeong gi pyeon nyeon which consists of 12 fascicles and 6 volumes in perfect condition. The marking and contents of proofreading in the proofread version seem similar to the proofread version of other metal type pr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Right- or left-leaning letters(5,517 times, 43.1%) and blurred letters(4,540 times, 35.4%) were most frequently pointed out, which are attributable to the irregular shapes of types. It makes up 78.5% of total number of proofreading. It means the regularization of type standard can save printing time. In fact, Jeongnija types were casted to fix the problem during the reign of Jeongjo of Joseon.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common practices of metal type setting and proofread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by analyzing the proofreading method and the frequency of each correction type based on myeong gi pyeon nyeon, and supplementing with the examples of other proofread publications. In the process, the exquisite quality of proofreading and elaborate efforts for metal type print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have been demonstrated. 이 연구는 조선후기 금속활자인쇄 교정에 대한 전반적인 모습을 고찰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 발견된 무신자본 「明紀編年」 간행시의 교정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명기편년」은 明의 흥망성쇠를 簡要하게 기술한 중국 역사서로, 조선에서는 영조 때부터 강연되어 초학용으로 여러 차례 간행된바 있다. 본 「명기편년」은 초견본으로 12권 6책이 온전하게 남아 있다. 이 교정쇄본의 교정표기 방식과 교정내용은 조선후기 다른 금속활자 교정쇄본과 유사한 모습이다. 가장 많은 교정은 좌우로 기울어진 글자(5,517회, 43.1%)와 흐린 글자(4,540회, 35.4%)에 대해 이루어졌으며, 이 두 가지는 활자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것이 주원인으로 전체 교정에 78.5%를 차지하고 있다. 즉, 활자 규격의 정형화로 인쇄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실제로 정조연간에 이를 개선하여 정리자활자를 주조하기도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명기편년」의 교정표기 방법과 교정내용별 교정횟수 등을 분석하고, 다른 교정쇄본의 교정 사례를 보완하여, 조선후기 중앙의 금속활자인쇄의 조판과 교정의 일반적인 모습을 유추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금속활자인쇄 교정의 정교함과 이를 위해 쏟은 공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주역절중(周易折中)』에 대한 정조(正祖)와 조선후기 실학파의 반응 양상

        서근식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5

        In this thesis, after Zhouyizhezhong周易折中 was complied by Li Guang-Di李光地 and others, the reactions of Zhengzu正祖 and Positive school實學派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o it were examined. Zhouyizhezhong周易折中 took Zhu Xi朱熹’s Zhouyibenyi周易本義 as the original text, was bound with Cheng Yi程頤’s Chengshiyichuan程氏易傳, and included Zhu Xi朱熹’s Yixueqimeng易學啟蒙. In addition, Qimengfuiun啓蒙附論 where Li Guang-Di李光地 studied the meanings of Yixueqimeng易學啟蒙 geometrically was also attached to Yixueqimeng易學啟蒙. To Zhengzu(正祖),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was an exemplary book. Zhouyizhezhong(『周易折中』) considered as an example by Zhengzu(正祖) was written in support of Zhu Xi(朱熹)’s position as it was also revealed in his Yijing(『易經』) of Jingshijianyi(『經史講義』). Yet, while Zhengzu(正祖) regarded Neo-Confucianism as the right study, he also opened a way for scholars to study other theories. Those who took a positive view of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later came to face a new situation when it came out into the open that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hadn’t succeeded Neo-Confucianism faithfully, but had been written just by a royal order. Positive school(實學派)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had a negative attitude to Li Guang-Di(李光地)’s opinion because, most of all, he was one of representative figures of Diantanglixuepai(殿堂理學派) and accepted Yangmingxue(陽明學). 이 논문은 이광지(李光地) 등이 편찬한 『주역절중(周易折中)』이 성립된 후 조선의 정조(正祖)와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반응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주역절중』은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를 원본으로 하고 정이(程頤)의 『정씨역전(程氏易傳)』을 합본한 책이며, 주희의 『역학계몽(易學啟蒙)』까지 함께 실려 있다. 그리고 이광지가 『역학계몽』의 의미를 기하학적으로 연구한 『계몽부론(啓蒙附論)』도 『역학계몽』 뒤에 첨부되어 있다. 정조에게 있어서 이광지의 『주역절중』은 모범이 되는 서적이었다. 정조가 『주역절중』을 모범으로 삼았다는 점은 그의 『경사강의(經史講義)』 『역경』에서도 드러나 있듯이 주희의 입장을 옹호하여 서술된 책이다. 그러나 정조는 주자학을 정학(正學)으로 여기면서도 학자들에게 다른 학설도 공부할 길을 열어 놓았다. 이광지의 『주역절중』에 긍정적이었던 인물들은 후에 이광지의 『주역절중』이 주자학을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지 못하고, 단순히 칙명(勅命)에 의해 『주역절중』을 저술했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부정적으로 돌아서게 된다. 조선후기 실학자들이 이광지의 견해에 부정적이었던 결정적 이유는 그가 전당리학파(殿堂理學派)의 대표 가운데 한 사람이고 양명학을 수용했다는 점이다.

      • KCI등재

        규장각 소장 易學 관련 도서의 현황과 의미

        김영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한국문화 Vol.7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ching(易學) related books housed in Kyujanggak and to identify its development aspects in the history of I-ching in Joseon era focusing on the catalogue of book collection and bibliographical notes of Kyujanggak. I-ching related books housed in Kyujanggak are about 80 classifications including 37 classifications from Korea and 38 classifications from China, which is small in scale contrary to the expectations. Of 37 classifications from Korea, those written by Korean scholars are 26. The rest 11 classifications from Korea are originally written by Chinese scholars and republished in Korea, most of which are written by Cheng‐Yi and Zhuxi centered on Jeongju (程朱) I-ching (易學). It can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Zhouyizhuanyi (周易傳義大全), a single volume edited by Huguang in Ming from the combination of Cheng‐Yi’s Yizhuan (易傳) and Zhuxi’s Zhouyi Benyi (周易本義) is the majority of I-ching related books housed in Kyujanggak in this study. 38 classifications from China are mostly written by scholars in Qing era. Though some of them are written before Qing, the period of publications is still in Qing era. Of I-ching related books from China, the largest number of their publications is Zhuxi’s Zhouyi Benyi (周易本義) named as Gambonyeokgyeong (監本易經).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publication year of Gambonyeokgyeong is 1886, there is difficulty in identifying regular trend of I-ching related books in the late Joseon through this book.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in I-ching related books from China is the fact that there are three classifications written by Lai Zhide (來知德). Lai Zhide together with Mao Qiling are the scholars who affected significantly the I-ching (易學) world in the late Joseon, and it can be of some interest to see there are a few works written by Lai Zhide while there are no I-ching related works written by Mao Qiling. Through this study, we managed to draw a layout on the size and content of I-ching related books housed in Kyujanggak. However, since this study is only limited to independent volumes related with I-ching housed in Kyujanggak, there is a given limitation in this study. To ge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I-ching in Joseon era, it is necessary to do the research in depth of the history of I-ching in Joseon as well as to examine I-ching related works printed in individual collections housed in Kyujanggak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金濤 『周易淺說』의 義理易學 연구

        김영우(Young Woo Kim)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2

        본 논문은 조선 중기 학자 金濤(1580~1646)의 『주역천설』의 의리적 역 해석에 관해 연구한 것이다. 『주역천설』은 六十四卦의 「大象傳」만을 대상으로 그에 대한 저자 자신의 해석을 서술한 저술이다. 공자 십익 가운데 하나인 「대상전」은 군자의 도덕 수양과 정치적 실천의 내용을 주로 담고 있어, 주자의 『근사록』, 남명의 『학기유편』, 율곡의 『성학집요』의 경우처럼 유학자들의 저술에서 전거로서 자주 인용되었다. 『주역천설』은 유학자들이 자기 사상을 피력하기 위한 전거로 주로 인용하던 「대상전」만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저술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그런데 김도는 『주역천설』을 편찬하면서 「대상전」의 원문 자체에 대한 주석이나 정확한 해석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주로 그 자신이 읽고 터득한 내용을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주역천설』은 「대상전」의 내용을 빌려 김도 자신의 사상을 피력하고 있는 저술인 것이다. 이러한 김도의 서술 방식은 『주역천설』이 상수나 점서로서의 관심이 아니라 역을 통해 의리를 말하고자 하는 의리적 관심에서 저술되었음을 의미한다. 김도의 『주역천설』이 「대상전」의 내용에 대한 충실한 해석을 목표하기보다 그 자신이 터득한 의리를 말하는 수단으로 저술되었다는 점에서 그 내용에 있어서도 기존의 주석들과는 다른 김도만의 독자적인 해석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군주의 의무가 養民에 있다는 井卦의 해석이나, 국가의 창업기에 있어서는 세자의 교육이 중요하다는 屯卦의 해석, 그리고 공부론에 있어 점진주의를 강조하는 등의 해석은 김도의 개인적 경험과 그의 독자적인 사상이 반영된 해석이라 하겠다. 조선시대 『주역』연구의 주류적 입장과는 일정한 거리가 있지만 『주역천설』은 조선 시대 의리역 해석의 한 단면을 살필 수 있는 저술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h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Kim Do's (1580~1646) Juyeokcheonseo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ook of Changes in terms of morality. Juyeokcheonseol is Kim Do's interpretation limited to Daesangjeon of the 64-hexagrams. Daesangjeon, which is one of Confucius' Ten Wings, carries contents related to virtuous men's moral cultivation and political practices, and along with Zhu Xi's Geunsarok, Nam Myeong's Hakgiyupyeon, and Yulgok's Seonghakjipyo, it was quoted often as an authority by Confucian scholars in their writings. Juyeokcheonseol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book in the Joseon Dynasty that focused only on Daesangjeon, which had been quoted as an authority by Confucian scholars for expressing their thoughts. In writing Juyeokcheonseol, however, Kim Do described what he read and realized rather than taking interest in accurate annotation or interpretation of the texts of Daesangjeon. Accordingly, Juyeokcheonseol is rather the expression of Kim Do's own thoughts based on the contents of Daesangjeon. Kim Do's way of description as such means that he wrote Juyeokcheonseol not out of his interest in Xiangshu or divination but out of his interest in morality, intending to discuss morality through the Book of Changes. In that Kim Do's Juyeokcheonseol did not aim at faithful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s of Daesangjeon but he wrote it as a means to explain morality of which he had gained understanding, the book shows Kim Do's original interpretation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commentaries. In particular, his interpretation of Jeonggwei that the king's obligations are to people, interpretation of Dungwei that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is important during the foundational period of a nation, and emphasis on gradualism in the Gongbu Theory reflect Kim Do's personal experiences and his original thoughts. Although his writing deviated some distance from the mainstream of Zhouyi (The Book of Changes) research in the Joseon Dynasty, Juyeokcheonseol is considered to give us a glimpse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Changes in terms of morality in th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