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30년대 어린이 독본(讀本) 연구 - 잡지 『새벗』과 새벗사 『어린이 독본』을 중심으로 -

        구자황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5 No.-

        이 글의 주된 연구 대상은 새벗사의 어린이 독본 (1928.7)이다. 새벗사가 발행한 어린이 잡지 새벗 (1925.11~1933.3)에 수록했던 글은 물론, 내부 필진이었거나 외부 필자로 참여한 이들의 글을 엮어 만든 독본 텍스트이다. 아직 새벗 의 전체 면모를 온전히 파악기에는 제한이 있으나 이글에서는 현재까지의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새벗 의 서지 목록을 최초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새벗 을 만든 ‘새벗회’의 실체와 필진을 실증하고, 동시대 비슷한 성격의 잡지 및 단체와 비교하였다. 아울러 어린이 독본 의 수록 작품 및 필진 분석을 통해 잡지 새벗 이 교류와 연대의 개방성을 기초로 하였다는 점, 새벗사의 어린이 독본 이 민족적 문예 기획을 수행하였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새벗사 어린이 독본 은 당대 아동문화운동의 장에서 대립과 경쟁을 넘어 공존과 연대를 선취한 귀한 사례다. 방정환과 잡지 어린이 는 천도교-개벽사-소년회-색동회로 이어지는 배후를 중심으로 1920년대 아동문화운동의 융성기를 선도하였다. 잡지 어린이 에 연재했던 글 가운데 방정환이 선별해서 엮은 「어린이 독본」은 ‘자립적 도덕 주체’를 강조하면서 잡지 어린이 가 주창한 아동중심주의와 천사동심주의 어린이상을 보여주었다. 이에 비해 동인회 수준의 새벗회가 만든 잡지 새벗 은 새벗회-꽃별회-별탑회를 위요하는 교류와 연대를 기초로 새벗사 어린이 독본 을 출판하였는바, 이 독본 텍스트는 식민지 당대 교육과 계몽을 위한 ‘민족적 문예 주체’로 어린이를 형상화하는 경로, 즉 어린이 문예 독본을 기획하였다는 점에서 독본문화사적 의미를 가진다. The main research object of this article is new friends publisher Children’s Reading Books (1928.7). It is an original text that weaves together the writings of internal and external writers as well as the writings of the children’s magazine New Friends (1925.11~1933.3) published by the company. While there are still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full scope of New Friends , this article collects and organizes the data to date and constructs the first bibliography of New Friend . It also demonstrates the existence and contents of New Friends and compares it to similar magazines and organizations of the same nature.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and writings contained in Children’s Reading Books , it was argued that the magazine New Friends was based on the openness of exchange and solidarity, and that new friend publisher Children’s Reading Books carried out ethnic literary planning. The magazine Children’s Reading Books is a valuable example of coexistence and solidarity beyond confrontation and competition in the children’s cultural movement of the time. Bang Jeong-hwan and the magazine Child led the children’s cultural movement in the 1920s, centered on the background of Ch’ŏndogyo, Gaebaeksa, Boys’ Association, and Sect. Among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magazine Child , Bang Jeong-hwan’s selected “Children’s Readings” emphasized “self-reliant moral subjects” and showed the child-centeredness and angelic image of children advocated by the magazine Child In comparison, the magazine New Friend created by the Donginhoe-level Saebyeol Society published the Saebyeol Society Children’s Reading Books on the basis of exchange and solidarity between the Saebyeol Society, Flower Society, and Star Pagoda Society, and this reading text has a unique cultural history significance in that it was designed as a pathway to shape children as “national literary subjects” for education and enlightenm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i.e., a children’s literary reading.

      • KCI등재

        근대 독본에 나타난 ‘어린이상(像)’과 유아 교육적 함의 - 새벗사의「어린이 독본」과 신문·잡지의 어린이(아동)용 독본을 중심으로 -

        양미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0 No.2

        This study is aimed to reveal the recognition of children’s existence including of the modern private reading books for children and the implication of modern children’s image in terms of early childhood pedagogy. It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children’s reading books produced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s. Afterward, the meaning of children’s image contained in the books was considered.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reading books were children-centered, and the subjective modern image of children engendered the image of children in the 2019 National Nuri-Curriculum play. 본 연구는 근대 민간 어린이용 독본에 내재된 어린이 존재에 대한 인식과 근대가 기대하는 ‘어린이상’에 담긴 의미를 유아 교육학적 측면에서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일제 강점기에 편찬된 독본 중에서 새벗사(1928)의 「어린이 독본(讀本)」과 신문과 잡지에 실린 어린이 독본의 구성 및 내용을 분석하여 독본에 담긴 어린이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당대 아동문학 형식을 취한 어린이 독본은 아동중심을 그 바탕에 두고 있었으며, 어린이 독본에 담긴 근대가 기대하는 주체자로서 ‘어린이상’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를 주체적인 존재로서 바라보는 ‘어린이상’과 그 의미가 면면히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근대에 어린이 존중 교육이 시작되었음을 발견하게 된 것은 ‘유아 중심’을 추구하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

        근대 어린이 독본의 담론 구조 양상과 매커니즘 연구

        장영미 ( Young Mi Ja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3 동화와 번역 Vol.26 No.-

        1920년대는 3·1운동 이후 일제가 문화통치를 표방하면서 식민지 정책을 노골화 한 시기이다. 일제의 노골적인 식민화는 오히려 식민지 조선의 어린이들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다. 즉, 식민지 조선의 어린이 양성만이 희망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일제의 압박 속에서 어린이의 인권과 인격 존중을 갈구는 근대 어린이의 발견과 탄생이라는 변화를 맞게 된다. 당대 각개 각층의 각선각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어린이의 존재 인식은 어린이의 인권과 인격 존중뿐 아니라, 어린이에게 읽을거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계몽하게 된다. 이러한 자리에 『어린이讀本』을 놓을 수 있다. 『어린이讀本』은 화려한 필진 구성으로, 식민지 어린이들에게 현재가 아닌 미래를 보여 주었다. 권선징악이라는 고래하지만 영원불변의 인성을 기본 바탕으로 위인들의 모습처럼 용맹하고 지혜로우며, 의지 강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며, 미래를 내다보는, 즉 선견지명을 갖고 사는 인물상을 그렸다. 다시 말해 다양한 문종을 수록하면서 근대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세계를 보여 주고 있다. 결국 어린이讀本의 다양한 장르의 수록은 근대적 글쓰기 형성의 포문을 열어 주었으며, 이는 나아가 근대 아동문학 형성의 일정 정도 기여한 것이다. During the 1920s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Empire claims to cultural ruling and does conspicuous a colonial policy. Rather flagrant colonization of Japanese becomes more aware of Korean children. In other words, people finally recognize that training Korean children is the only way to find hope. Therefore, even at Japanese coercion, longing for children`s human rights and respect their personality face the change of modern child`s discovery and birth. Making a child`s presence by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is not only respect to child`s human being and personality but also enlighten to provide books. I can put reading books for children in this part. Reading books for children shows colony child not present but future in well organized. Didactic morality, however, it sincerely hopes not only all children become brave and wise but also it describes a person of a man of strong will and a man of foresight like images of a great man based on the character of it`s unchangeable eternity. In other words, it shows various worlds to modern times child by containing varied script. Eventually, including various genres in Reading Books for Children opens the formation of modern writing. Furthermore, it partly contributes to development of juvenile literature.

      • KCI등재

        1960년대 어린이 문학 독본과 ‘학교 밖’ 전문가들 :강소천 편 『어린이세계문학독본』 (계몽사, 1961)을 중심으로

        조은숙 ( Cho Eun-sook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1 No.-

        1950년대 말에 막을 올려 197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린 소위 ‘전집 출판의 시대’에는 각종 전집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거나, 어린이들을 위한 독서 자료나 글쓰기 교재 집필에 참여하는 하는 아동문학 작가가 상당수 등장했다. 이 글은 이러한 작가들을 ‘학교 밖’ 아동문학교육 전문가로 명명하고 이들의 활동 중 하나로 1960년대 어린이 독본 편찬을 주목하였다. 특히 당시에 편찬된 어린이교양 독본의 대표적인 사례로 강소천이 엮은 계몽사의 _어린이세계문학독본_(1961~1962, 총 6권)을 분석하였는데, 이 독본은 어린이 독자의 수준을 고려한 학년별 체제와 제재 배치 방식을 보여주며, 해방 후 아동문학 작가들이 아동잡지 및 전집 편찬의 경험을 통해 얻은 세계문학에 대한 교양 지식과, 교과서 편찬이나 아동문학 강의 등의 교육 활동에 참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아동문학교육 전문가로 성장해 간 과정을 보여준다. 이 시기 어린이 문학 독본 편찬에 대한 연구는 학교 울타리 바깥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전개되었던 아동문학 교육의 실천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학문적 시야와 연구 범주를 확장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적지 않다. From the end of the 1950’s up to the 1970’s, we had so-called ‘the golden days of publishing complete series’. Although there were a lot of writers of children’s literature who worked as editors for all sorts of complete series, there were also a number of writers participating in writing reading materials or textbooks for writing targeting children. This study names those writers as experts of education for children’s literature ‘outside schools’ in the era of publishing complete series, and as one of their activities, this author pays attention to the compilation of children’s readers. Particularly, this author here analyzes Gang Socheon’s _Readers for Children’s World Literature_ (1961~1962, 6 Vol.) published by Kemongsa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cases of children’s educational readers compiled then. These readers are interesting because they are equipped with the grade-based system as well as the arrangement of topics reflecting the level of young readers. Also, they tell us about the details of a journey of writers for children’s literature after the emancipation growing as experts of education for children’s literature grounded on their educational knowledge about world literature gained through their experience of compiling children’s magazine or complete series and their career of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activities, for example, compiling textbooks or giving lectures about children’s literature. Research on the compilation of readers for children’s literature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us with opportunity to look into a variety of practices of education for children’s literature developed as exerting enormous influence outside schools and also broadens academic horizons and extends research categories as well.

      • KCI등재후보

        유아 대상 ‘동화구연’ 활동의 인성교육적 방안 연구* -어린이독본(방정환) 교재 활용을 중심으로-

        유애순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2022 방정환연구 Vol.7 No.-

        본고는 방정환의 어린이독본 교재로 활용한 ‘동화구연’의 인성적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방정환이 어린이를 위해 집필한 교과서 어린이독본을 연구 대상 으로 하여 먼저, 수록된 20과의 인성교육적 가치를 분석한 뒤, ‘정직’의 덕목으로하는 제 20과 「정직」을 활용하여 유아 대상 인성교육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렇게 설계한 지도안을 마련하여 소그룹형 유아 대상 인성교육을 실제 수 행해 보고 그 결과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실제의 인성교육 수업 전후 유아의 인성 덕목에 대한 인식 변화가 있었는지, 나아가 인성교육 마지막 단계인 ‘요구하기’(Demandness)를 적용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윤리적 규준에 대한 요구가 유아에게 가 능한지 논의해 볼 것이다. 연구 결과, 수업 활동 전후 인성 인식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질의한 결과, 유아들은 수업 전에는 ‘농부 집에 와서 암탉이 알을 낳았다’라는 부분만을 인지하고 ‘농부집 알이 다’라고 인식하였지만, 수업 후에는 유아들의 응답이 ‘이웃집 알이다’라고 인식하는 데 로 변화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추가로 본 연구는 유아에게 ‘요구하기(Demandness)’를 적용하여 높은 행동 수준을 제 시하는 단계의 질문을 시도해 보았으며, 그 응답에서도 유아들은 공통적으로 ‘남이 보이 는 곳이든, 남이 보이지 않는 곳이든 정직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정 직과 부정직의 구분을 유아들이 명확하게 할 수는 없으나 ‘다른 사람이 보지 않아도 정 직해야 한다’는 높은 수준의 인성 인식이 유아에게도 충분히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 었다.

      • KCI등재후보

        1940년대 박영종 동요ㆍ동시론의 의미

        박영기(Park, Young-Gi) 한국아동문학학회 2015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9

        박영종은 1930년대에 많은 동요, 동시를 창작하고 1940년대에는 이를 바탕으로 《아희생활》, 《주간소학생》, 《소학생》, 《어린이다이제스트》 등에 동요ㆍ동시론을 발표하였다. 그가 등단한 1930년대는 프롤레타리아 동요ㆍ동시론이 활발히 전개되는 시기였지만 이 시기의 동요ㆍ동시론 대부분이 일본의 사이조 야소, 노구치 우죠, 기타하라 하쿠슈 등이 전개한 이론을 소개하고 이에 이념적 견해를 덧붙이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실질적인 의미에서 한국적 동요ㆍ동시론의 전개가 미미했던 시기였다. 이때 1940년 《아희생활》에 수록된 박영종의 「동시독본」은 초보적인 형태이지만 ‘동시’의 본령에 접근하기 쉽게 동시 창작의 길을 보여준 글이다. 박영종의 동시론은 동시의 소재에 대해 다양한 방면으로 접근하고 관찰, 추론할 수 있도록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이끌어낸 후, 이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동시를 쓰도록 유도하는 구체적인 창작법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동 시기에 거의 만나볼 수 없었던 것이다. 광복이 된 후에는 어린이들이 일제의 잔재에서 벗어나 한글로 자신의 감정을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동시보다 친근한 동요로 회귀하였다. 《주간소학생》과 《소학생》에 「동요 짓는 법」과 「동요 맛보기」를 연재하여 외국 아동문학이론가의 영향을 받지 않은 독특한 스타일의 동요론을 내놓았다. 한국의 전래동요와 창작동요를 예시로 하였기 때문에 한국의 좋은 동요 작품을 소개하게 하는 의미도 함께 지닌다. 「동요 짓는 법」은 ‘동요작법’의 성격을 띠고 있었으며, 「동요 맛보기」는 ‘동요감상법’의 성격을 띠고 있다. 「동요 맛보기」는 다양한 방면에서 동요를 감상할 수 있도록 여러 동요를 소개하고 작품을 해설하였다. 비록 그가 1950년대 이후 저서에서 ‘동요보다는 동시’를 쓰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그것은 동요가 가진 자수율이 어린이들의 동요 창작을 방해할까봐 염려하는 마음에서 나온 것이었다. 그에게 동요와 동시의 구분은 그리 중요한 것은 아니었다. 박영종은 그만의 독특한 방식, 즉 이미지를 극대화하여 동화적 상상력으로 동요와 동시의 감수성을 포착하고 이를 표현하도록 하는 동요ㆍ동시론을 전개하였다. 이는 박영종이 추구하는 시세계의 궁극적 이상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Park, Young-Jong composed children’s songs and children’s poems in 1930’s and hepublished theory of children’s song and children’s poem in 《Ahuisaenghwal》, 《Sohaksaeng》, 《Children digest》 in 1940’s. In 1940’s, Park, Young-Jong’s reading book of children’s poem which was included in 《Ahuisaenghwal》 was start of the Korean style children poem theory. Although it was rudimentary form, it opened the way to compose children’s poem to approach easily to the children poem’s characteristic. Park, Young-Jong drawed out children’s imagination and he induced children to compose children’s poem. There was no these kinds of approach at that period. After our independence, he tried to help the children to escape from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o express their emotion in Hangul. To do these, he returned to children’s song which is more friendly than children’s poem. By publishing 「how to compose children’s song」 and 「foretaste of children’s poem」 serially in 《Jugan Sohaksaeng》 and 《Sohaksaeng》, he presented his unique theory of children’s son which was unaffected by the foreign children’s literature theorist. Park, Young-Jong developed his theory of children’s song and children’s poem by his own unique way. His unique way is to catch the impression ability of children’s song and poem by image maximizing and to express them. This is the way to express his eventual ideals that he pursue with children’s song and children’s poem.

      • KCI등재후보

        시대상에서 살펴본 소파문학의 형성과정

        신정아 ( Jung A Shin )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3 한국문화기술 Vol.15 No.-

        Pre-researchers who studied about Bang Jeong-hwan focused on analysis of his literature which gives children pleasure on the basis of Bang Jeong-hwan’s love for children. However, I focused on Bang Jeong-hwan’s love for children from his children’s song and educational efficiency of children’s story in my research. Sopa Bang Jeong-hwan chooses literature way which feeling children’s sadness together. At that time, children do not have their motherland song. Bang Jeong-hwan has few creative nursery rhymes, but they have rhythmical elements which makes children easy to sing along such as 「Old Dragonfly」. 「Old dragonfly」also represents Joseon-era people who suffer from Japanese Colonization. There are also many literatures which overcome a national sadness in Sofa’s children’s song. One of them is 「Mother」. The 「Mother」is seen as sympathy about sadness of oppressed nation and maltreated children. Sofa is also produced Gorae children’s story, not only, of course, adapted a foreign children’s story but also adapted an old story. There was no children’s literature development if we do not work on finding a Gorae children’s story or import a foreign children’s story even if it is an inevitable consequence. Bang Jeong-hwan put children’s story needs to give pleasure to children before children’s story is read by children only for educational purposes. For this reason, Sofa’s children’s literature is focused on contents than formalism. However, the meaning of pleasure at this time is not just for pleasure it also teaches the children. Bang Jeong-hwan considered three important things as his children’s story writing methods; first of all, makes story easy for children; second, makes children happy; third, consider educational meaning so do not exclude educational usefulness. Sofa also showed these things through his literature. A representative children’s story, Catching a Bear by Father and Sons in 1930s is storied by One of our proverb, Seeming like father and two sons catch a bear. Like a meaning of proverb; everything could be achieved if sticky power of blood band together; if our people stand together, we could do everything although our people live under the pressure of Japanese Colonization. This story was red widely which giving hope and brave to children in hard reality. Furthermore, the Prince character from one of the Bang Jeonghwan’s famous foreign children’s story; 「Prince and Swallow」, is similar to Sofa’s character. Sofa’s image is overlapped with the Prince who died after he had given everything what he has to disadvantaged children. In addition, every fact about Prince is known to people, so the statue of Prince is remade with all jewels. When Sofa wrote his literature lively, our country is suffered from Japanese Colonization. It’s natural that Bang Jeong-hwan’s literature person is never smooth. The most noticeable from his literature is 「Literature of Tears」that even though the character has obstacle, he never give up and do his endeavor. Although a child has superb display of talent, he is surrounded by a secluded mountain because of his poor conditions. As Bang Jeong-hwan wrote 「Literature of Tears」, he said about sadness of Joseon’s children. Sofa was always thought how to make Joseon’s children in great state and grow correctly. Most of Joseon’s children are poor themselves, even though no more their parents bully their children. Like a Sofa’s word, The power of extending children is dried up and reduced, it was time that country and word are dispossessed. Sofa always said that not scold and bully children but understand and treat them with compliments. These make children have confident and brave. There are lots of poor people in Sofa’s story adaptation or creative children’s story, and these people are described who excellently pass through their crisis. What Bang Jeong-hwan always wanted to say to children is overcome the difficulties with hope and brave. Like this, Bang Jeong-hwan’s literature is connected to educational undertone of Joeson reality recognition. Bang Jeong-hwan always regarded work for children is as a pleasure and what he has to do. The regrettable thing is Bang Jeonghwan made a poor living, but even he did not get a time for curing his disease. Bang Jeong-hwan worried only children when he fought with death until the very end. Even though Sofa passed away at the age of 30, his reputation is still diffused over the eighty years. Sofa’s billow will never dry up forever, and saturated to children’s mind.

      • KCI등재

        일제말기 『國語讀本』의 교화로 변용된 ‘어린이’

        박경수 일본어문학회 2011 일본어문학 Vol.55 No.-

        本論文は、日帝強占期の1920年代、天から授かった一つの人格体としてばかりでなく、朝鮮の未来像の核として、特別な意味を持って再発見されていた朝鮮児童が日帝の植民地教育政策によって、どのように変容されつつあったのかを考察することにその目的がある。朝鮮人を‘忠良なる皇国臣民’に育てようとした日本帝国の植民地教育政策は、一番大事にした国民科の核心である『國語讀本』によって成し遂げられていった。特に<第3次朝鮮教育令>によって改編された教科書の内容は、皇民化のためのイデオロギー教育と植民地朝鮮の若い人的資源を侵略戦争の兵力に活用するための叙事で貫かれていたことが把握された。さらに「戦争ごっこ」や「防空訓練」、「グライダー日本号」などのように具体的に細分化され組織的な役割の分担と実際の戦争を思わせる「戦争ごっこ」というセクションが1年生のカリキュラムに編成されたのは、戦争の勃発された有事の際に朝鮮の児童を未来の兵力補充のタネと考慮して、素早く戦争に適応させるための意図であったとおもわれる。これは当然習得すべき自然人としての考え方の総合的な訓練と問題に直面して批判力や解決能力を習得、培養すべきであるにもかかわらず、朝鮮の児童を天皇を頂点にした帝国主義集団のイデオロギーのロボットにされる教育の装置であったとおもわれる。植民地朝鮮の‘子供’が帝国主義の論理の犠牲となったのは、『國語讀本』のような教科書に貫かれた初等教育の結果だったといえよう。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