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학사와 학술사의 쟁점으로 본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의 특징 -경부(經部)의 역류(易類)와 서류(書類)를 중심으로

        신정근 ( Jeong Geun Sh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5 No.-

        이 글은 『四庫全書總目提要』(이하 『제요』로 약칭함)에 나타난 경학사과 학술사의 특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종래 『四庫全書』와 『제요』의 편찬은 소수의 滿洲族이 다수의 漢族을 안정적으로 통치하기 위해서 사상과 문화 탄압을 실현하려는 맥락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四庫全書』의 편찬을 현실의 정치 논리로 완전히 환원하여 설명할 수 없다는 가정 위에 서있다. 나아가 건륭제는 『사고전서』의 편찬을 稽古右文의 啓蒙的 군주의 과업으로 이해했고 학자들은 학술적 자율성에 따라 편찬 작업에 참여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밝히기 위해서 이글에서는 학문 외적 요소보다 『제요』의 내용 분석이라는 내적 요소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그리하여 『제요』가 시대적 제약을 받았을지라도 大公과 實用의 평가 기준에 입각해서 明體達用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했다는 점을 입증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imed to uncover the characteristic of Sikuquanshuzongmutiyao (『四庫全書總目提要』, the compendium of the total catalogue of Sikuquanshu) from the confucian and academic point of view. So far, Sikuquanshu(四庫全書, the Complete Library of the Four Treasure) and Sikuquanshuzongmutiyao have been regarded as the suppression of thought and culture for the Manchu race of the few to rule over the Han race of the many. The underlying assumption of this article is that When we want to explain the purpose of Sikuquanshu,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ir compilation to the logic of political reality. Moreover, we want to explain that emperor Qianlong treat the compilation of Sikuquanshu as the essential project of enlightened despot, scholar-bureaucrat look upon it as performance of the mission under autonomous scholarship. For this, we are focused on internal evidence as text analysis rather external problem as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s. Therefore Sikuquanshuzongmutiyao was aimed at realization of the value of ``understanding the essence to achieve use(明體達用)`` that made emphasis upon perfect justice and pragmatism.

      • KCI등재

        논문(論文) : ≪사고전서(四庫全書)≫와 ≪존목(存目)≫에 수록(收錄)된 한국인(韓國人) 저작(著作)과 그 문화의의(文化意義)

        김호 ( Ho Kim ) 한국중문학회 2010 中國文學硏究 Vol.40 No.-

        目前爲止, 國內有關≪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的韓國人著作的數量問題, 沒有得到一致的看法。而且國外學者亦對於此問題的看法, 因爲篇幅的關係, 難免有所簡略, 加上學界對於≪四庫各省採進書目≫收錄的韓國人著作問題、≪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的韓國人著作之文化內涵等, 均沒有進行討論。鑑於前人硏究的不足, 本文擬要對這些問題, 進行一番探討。本文經過一番討論,得到以下幾點結論: 第一、當編纂≪四庫全書≫時,向中央政府進程的韓國人著作共有五種, 就是≪朝鮮史略≫、≪朝鮮志≫、≪高麗世系≫、≪朝鮮國志≫、≪徐花潭集≫。第二、≪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的韓國人著作共有六種: ≪朝鮮史略≫、≪朝鮮志≫和≪武英殿聚珍版程式≫三種收錄於≪四庫全書≫; ≪高麗史≫、≪朝鮮國志≫和≪徐花潭集≫三種收錄於≪存目≫。第三、≪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韓國人著作的原則, 可分爲「以資參考」、「以資考證」、「取技能」和「表彰儒術」等。第四、≪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韓國人著作有其獨特的文化內涵。首先,幾種韓國人著作收錄於≪四庫全書≫的事實可證明韓、中兩國的書籍交流倂不是只從中國流入韓國的單方面的,而是雙方面的。其次, 幾種韓國人著作收錄於≪四庫全書≫及其≪存目≫,這意味著幾種韓國人的著作引起傳統中國知識分子的關注,這種現象甚値得予以重視。

      • KCI등재

        「사고전서」의 검색과 활용에 대한 연구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3 No.-

        Sahgojeonseo is a series of books which was made by royal order in the year of Keonryung of Ching days. For the purpose of search and utilization of Sahgojeonseo, the publication, storage, and maintenance of Sahgojeonseo was generally examined and the following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study. Firstly, in the case of the 18-9th centuries of search and utilization of Sahgojeonseo,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istinction between 1) Sahgojeonseo catalogues 2) withdrawal and supplementation of books listed in Sahgojeonseo 3) unlisted book catalogue of Sahgojeonseo. Secondly, in case of the 20th century-the present time of search and utilization of Sahgojeonseo,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istinction between printed media, electronic media and search and utilization of Korea's search and utilization of Sahgojeonseo. In the case of printed media,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istinction between 1) explanation of Sahgojeonseo, 2) revision to Jaeyo, 3) study on catalog, 4) study on historical research and kinds of books, 5) catalogues of prohibited books and titles and 6) source of information search. In case of electronic media,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electronic media. 「사고전서(四庫全書)」는 중국 청대 건륭(乾隆) 연간에 칙명에 의해 만들어진 대규모 총서(叢書)이다. 본 연구는 「사고전서」의 검색 및 활용 고찰을 목적으로 「사고전서」 간행과 보관 및 보존을 개괄적으로 살피고, 다음과 같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첫째, 18-9세기의 「사고전서」 검색과 활용의 경우 1) 「사고전서」 목록류, 2) 「사고전서」 수록서적의 철훼와 보완, 3) 「사고전서」 미수서적 목록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20세기-현재의 「사고전서」 검색과 활용의 경우 인쇄매체와 전자매체 및 한국의 「사고전서」 검색과 활용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인쇄매체의 경우 1) 사고전서의 개술, 2) 제요의 보정, 3) 목록의 연구, 4) 고증과 판본연구, 5) 금훼와 존목서목, 6) 검색정보원 등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으며, 전자매체의 경우 오프라인 전자매체와 온라인 전자매체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의 편찬과 청초 학술사조의 변화 양상 -『사고제요(四庫提要)』 「경부(經部)」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동민 ( Dong Min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7 No.-

        『사고제요(四庫提要)』는 『사고전서(四庫全書)』의 해제 형식으로 편찬된 일종의 해제 자료집이다. 이 책의 편찬은 청초 학술의 성격 변화와 한학(漢學) 존중의 기풍을 추동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학술사적 의의를 지닌다. 즉 『사고제요』의 편찬이라는 사건은 훈고와 고증 중심의 한학(漢學)의 부흥과 발전이라는 청대의 학술사조 형성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은 『사고제요』에 기록된 송학(宋學)과 한학(漢學)의 대립에 대한 관점, 그리고 한학 중심의 연구방법을 지향하는 『사고제요』의 논리를 밝힘으로써 청대 학술에 끼친 『사고제요』의 역할과 학술사적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사고제요』를 분석해보면, 이 책은 단순한 해제의 성격을 뛰어넘어 그 속에 편찬자의 학문관이나 사상적 주장을 강하게 투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가 하나의 학술적 논문의 성격을 띤다. 이 책에서는 한학(漢學)의 존숭과 송학(宋學)의 경시라는 자세와 한학의 연구방법이 경전의 이해와 독해를 위한 최선의 방법이라는 학문관을 강하게 주장한다. 이러한 학문관은 국가권력의 후원과 절대적인 지지 하에 청대 학술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강력한 힘으로 작용하였다. 그 결과 『사고제요』의연구방법은 학술 분야 전반에 파급됨으로써 청대 학술은 한학 중심의 실증적이고 고증적인 학문이 핵심적인 학술사조로 자리잡게 되었다. SaGoJeonSeoChongMokJeYo (四庫全書總目提要) is a kind of guide book, which was compiled in guiding form of SaGoJeonSeo (四庫全書). Compilation of this book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academic history at the point that it promoted the change of academic character and the stream of respecting the Study of Han early in Ching dynasty. That is, the event of compilation of SaGoJeYo played a key role in formation of the academic stream of Ching dynasty that was revival and improvement of the Study of Han focusing on exposition and study of ancient documents.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out the role and academic historical meaning of SaGoJeYo that influenced the academic stream in the era of Ching by looking into the viewpoints on the opposition between the Study of Song and the Study of Han recorded in SaGoJeYo and the logic of SaGoJeYo that was toward the study method focusing on the Study of Han. Analysis of SaGoJeYo indicates that it strongly reflects its compilator`s viewpoint of learning and ideological arguments in itself beyond simple character of guidance, so that it looks like an academic article itself. That is, SaGoJeYo strongly claims the viewpoint of learning that the study method in the Study of Han must be the best way to understand and comprehend the scriptures showing the attitude of respecting the Study of Han and neglecting the Study of Song. Such viewpoints of learning played a strong power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academic stream during the era of Ching under the sponsorship and absolute support of government power. As a result, the study method of SaGoJeYo spread entirely in the academic field and then the academic stream was made mainly of practical and ancient documents study learning focusing on the Study of Han during the era of Ching.

      • KCI등재

        『사고전서』에 실린 서경덕 시의 격률에 관하여

        허경진,劉暢 동양한문학회 2012 동양한문학연구 Vol.34 No.-

        서경덕(徐敬德, 1489~1546)의 『화담집(花潭集)』은 『사고전서(四庫全書)』별집류(別集類)에 편입된 유일한 조선의 시문집이다. 그런데 박지원은 서경덕의 시를 “볼 만한 것이 없다.”고 평가했으며, 『사고전서』 역시 『화담집』에 대하여 “그 나라의 방음(方音)이 많이 섞였다.(多襍其國方音)”고 기록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본고에서는 서경덕 시의 성률을 분석해봄으로써, 중국어를 문어(文語)로 배운 조선인 한시의 한계점을 생각해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한시가 『사고전서』에 실리게 된 연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시를 짓는 데 있어 '운서(韻書)'는 필수도구였다. 서경덕이 살던 시기에는, 명나라 태조(太祖) 때에 반포된 『홍무정운(洪武正韻)』과 명나라·청나라를 거쳐 지금까지 시인들이 준용하는 『평수운(平水韻)』이 실용성을 갖는 주요 운서였으며, 이 중 서경덕이 채택한 것은 『평수운』이었다. 같은 시대의 인물 허종(許琮) 역시 명나라 사신들과의 창수에서 『평수운』을 사용했음이 『황화집(皇華集)』을 통해 나타난다. 그런데 서경덕의 『화담선생문집』에 실린 시 96수를 분석해보면 상당히 많은 작품에서 평측에 맞지 않는 글자와 압운(押韻)의 오류가 나타난다. 중국의 음으로는 구별되나 우리 음으로는 구별되지 않는 가(歌)와 마(麻) 운을 통압(通押)하는가 하면, 고체시에서 상·거·입(上去入) 삼성(三聲)의 구분을 어기는 착오가 나타나기도 한다. 서경덕의 시가 격률에 부합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는 『사고전서』에 실린 유일한 조선의 시가 되었다. 중국은 『사고전서』를 통해 외국 여러 나라들이 황제의 교화를 입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어야 했고, 『사고전서』에 글을 수록하는 가장 큰 기준이 “사람의 재능을 논하지 그 글을 논하지 않는다.”는 것이었으므로 “염락관민(濓洛關閩)의 학설로 뛰어나게 사람들을 가르친” 서경덕의 글을 실었던 것이다. Seo, Kyung-deok(徐敬德, 1489~1546)'s Hwadamjip(花潭集) is the only Joseon collection of poetry included in The Four Treasuries[四庫全書] 別集類 section. However, Park, Ji Won devaluated Seo, Kyung-deok's poems saying "nothing to see in his poem” and such comment about Hwadamjip as “many dialects(方音) of that nation are mixed in writings(多襍其國方音)” were also found in The Four Treasuries. Based on these, this study will consider the limitation of Joseon poem written in Chinese character-Hanshi(漢詩) whose writter learned Chinese as written language(文語) and will examine the reason why his Hanshi could contain in The Four Treasuries in spite of such limitation by analyzing the rhyme of Seo, Kyung-deok's poems. 'The book for rhyme(韻書)' was essential for writing Hanshi. In the Seo, Kyung-deok's period, Hongmujeongwun(洪武正韻) published in Ming dynasty, the reign of king 太祖 and Pyungsuwun(平水韻) used by poets from Ming to Qing dynasty were practical book for rhyme, among these Seo, Kyung-deok selected Pyungsuwun. It can be known in Hwanghwajip that Heo, Jong(許琮) who lived in the same period also used Pyungsuwun in exchanging Hanshi with Ming envoys. By the way, when Seo Kyung-deok's ninety-six poems included in Hwadam- seonsaengmunjip(花潭先生文集) are examined, wrong characters were found such as not following the rule of 平仄-selecting the different tones in which characters are pronounced in Chinese or having false of the rhyme, rhyme in so many poems.; he circulated in case of rhyme of 歌 and 麻 each of which is distinguished in Chinese pronunciation, but cannot be in Korean pronunciation and did not select right character not considering the three hight of pronunciation of 上·去·入 in writing free verse(古體詩). Although Seo, Kyung-deok having not follow the rule of rhyme and rhythm, his poems were the only Joseon ones which could be contained in The Four Treasuries. Because by The Four Treasuries, China intended to show the fact that various foreign nations were being civilized by the emperor and the best important principle to select writings which can be included in The Four Treasuries was “consider one's talent, not one's writings.” Therefore, Seo, Kyung-deok's poems can be selected for The Four Treasuries.

      • KCI등재

        『四庫全書總目提要』의 편찬과 청초 학술사조의 변화 양상 - 『四庫提要』「經部」의 분석을 중심으로 —

        김동민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7 No.-

        『사고제요(四庫提要)』는 『사고전서(四庫全書)』의 해제 형식으로 편찬된 일종의 해제 자료집이다. 이 책의 편찬은 청초 학술의 성격 변화와 한학(漢學) 존중의 기풍을 추동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학술사적 의의를 지닌다. 즉 『사고제요』의 편찬이라는 사건은 훈고와 고증 중심의 한학(漢學)의 부흥과 발전이라는 청대의 학술사조 형성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은 『사고제요』에 기록된 송학(宋學)과 한학(漢學)의 대립에 대한 관점, 그리고 한학 중심의 연구방법을 지향하는 『사고제요』의 논리를 밝힘으로써 청대 학술에 끼친 『사고제요』의 역할과 학술사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사고제요』를 분석해보면, 이 책은 단순한 해제의 성격을 뛰어넘어 그 속에 편찬자의 학문관이나 사상적 주장을 강하게 투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가 하나의 학술적 논문의 성격을 띤다. 이 책에서는 한학(漢學)의 존숭과 송학(宋學)의 경시라는 자세와 한학의 연구방법이 경전의 이해와 독해를 위한 최선의 방법이라는 학문관을 강하게 주장한다. 이러한 학문관은 국가권력의 후원과 절대적인 지지 하에 청대 학술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강력한 힘으로 작용하였다. 그 결과 『사고제요』의 연구방법은 학술 분야 전반에 파급됨으로써 청대 학술은 한학 중심의 실증적이고 고증적인 학문이 핵심적인 학술사조로 자리잡게 되었다. SaGoJeonSeoChongMokJeYo (四庫全書總目提要) is a kind of guide book, which was compiled in guiding form of SaGoJeonSeo (四庫全書). Compilation of this book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academic history at the point that it promoted the change of academic character and the stream of respecting the Study of Han early in Ching dynasty. That is, the event of compilation of SaGoJeYo played a key role in formation of the academic stream of Ching dynasty that was revival and improvement of the Study of Han focusing on exposition and study of ancient documents.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out the role and academic historical meaning of SaGoJeYo that influenced the academic stream in the era of Ching by looking into the viewpoints on the opposition between the Study of Song and the Study of Han recorded in SaGoJeYo and the logic of SaGoJeYo that was toward the study method focusing on the Study of Han. Analysis of SaGoJeYo indicates that it strongly reflects its compilator's viewpoint of learning and ideological arguments in itself beyond simple character of guidance, so that it looks like an academic article itself. That is, SaGoJeYo strongly claims the viewpoint of learning that the study method in the Study of Han must be the best way to understand and comprehend the scriptures showing the attitude of respecting the Study of Han and neglecting the Study of Song. Such viewpoints of learning played a strong power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academic stream during the era of Ching under the sponsorship and absolute support of government power. As a result, the study method of SaGoJeYo spread entirely in the academic field and then the academic stream was made mainly of practical and ancient documents study learning focusing on the Study of Han during the era of Ching.

      • KCI등재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와 『四庫全書』 經部 易類 비교

        임재규 ( Im¸ Jae Kyu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1 東方學 Vol.0 No.44

        본 연구는 중국 역학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료 집성으로 평가되는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經籍典易經部와 『四庫全書』 經部易類에 대해 판본 문제, 분류 체재, 서목 비교, 易經部總論과 提要 비교, 『古今圖書集成』 易經部易學別傳과 『四庫全書』 術數類 비교 등의 다섯 가지의 소주제로 나눠 초보적이며 문헌적인 고찰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필자는 대략 다음과 같은 성과와 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古今圖書集成』 易經部彙考2-12와 『四庫全書』 易類의 서목의 비교를 통해 두 문헌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문헌 총 47부의 중요 문헌의 목록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이는 『四庫全書』 易類의 158부 역학서보다 더 중요한 역학서로 볼 수 있으며, 『古今圖書集成』 易經部彙考2-12의 약 326부의 역학서보다도 더 중요한 역학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위에 정리한 이 47부의 역학 저서에 대한 연구가 학계에서 가장 기초적이며 시급한 과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필자는 『古今圖書集成』 易經部總論과 『四庫全書』 提要의 비교를 통해 『四庫全書』의 주요한 학술적 가치가 제요에 있는 것과 같이 『古今圖書集成』 易經部의 가장 중요한 학술적 가치로 평가되는 것은 易經部總論임을 확인했다. 『四庫全書』의 주요한 학술적 가치가 제요에 있기 때문에 사고관신이 『四庫全書』의 편찬과 더불어 『四庫全書總目』을 편찬하였듯이, 오늘날 학계에서는 『古今圖書集成』 易經部의 가장 중요한 학술적 가치로 평가되는 易經部總論 만을 따로 분리하여 독립적인 책을 간행할 필요가 있다. 물론 우리 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번역 작업도 동시에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주역』이라는 문헌의 본질 및 가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만 이루어져도 우리 학계에서는 매우 소중한 성과로 평가될 것이 분명하다. I attempted a rudimentary and literary review of the Yijing Bu(易經部) of Gujin Tushu Jicheng(古今圖書集成) and Yilei(易類) of Siku Quanshu(四庫全書) by dividing it into five sub-themes: edition problem, classification format, book title comparison,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and Tiyao(提要), and Yijing Bu Yixuebiezhuan(易經部易學別傳) and Shushulei(術數類). Through this, I was able to derive the following achievements and task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book titles of Yijing Bu Huikao(易經部彙考) of Gujin Tushu Jicheng and Yilei of Siku Quanshu, a list of 47 volumes of literatures that are commonly included in the two documents could be derived. This list can be seen as a more important than the book list of the Yilei of Siku Quanshu. And also it can be seen as a more important than the book list of the Yijing Bu Huikao of Gujin Tushu Jicheng. Therefore, the study of this 47 books summarized above is the most basic and urgent task in our academia. In addition, through comparison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of Gujin Tushu Jichengand Tiyao of Siku Quanshu, I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t academic value of the Yijing Bu of Gujin Tushu Jichengis the Yijing Bu Zonglun. As the main academic value of Siku Quanshu is in the Tiyao, scholars of Siku Quanshu compiled Siku Quanshu Zongmu along with the compilation of Siku Quanshu. For the same reason, In today's academia, it is necessary to publish the Yijing Bu Zonglunseparately, which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academic value of the Yijing Bu of Gujin Tushu Jicheng. Of course, in our academia,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this book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gai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value of the Zhouyi(周易). If this work is done, it is clear that it will be evaluated as a very valuable achievement in our academic community.

      • KCI등재

        『사고전서총목제요』 역류(易類)에 반영된 청초 역학관 고찰 ‒『제요』 편찬자의 포폄을 중심으로-

        이시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5

        This study looks at the compiler’s viewpoint of study on I Ching based on the compiler’s assessment and comment on the book published in Catalogues of I Ching of Siku quanshu zongmu jiwei. Furthermore, based on this, we examine closely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early Qing’s study on I Ching. Siku quanshu zongmu jiwei is a manual of Siku quanshu. It keeps summaries and contents of the books in Siku Jinshu in order. So without this manual the purpose of Siku quanshu compilation cannot be achieved would fail to work. This research is conducted in two main point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compilation background of the Siku quanshu zongmu jiwei, which is the total settlement of cultural policy in the Qian-long Emperor, in the light of the academic change pattern of early Qing, the link between politics and knowledge, jiguyouwen, and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power. In other words, we look through the cultural policies and backgrounds of Early Qing that the compilation of Siku quanshu zongmu jiwei is a result of the compiler’s academic pursuit will and the Qian-long emperor’s cultural power being cross-crossed and influenced. Second, we analyze the compliers through the examples of assessments and a short preface of what standards they have carried out in compiling and evaluating catalogs of I Ching of Siku quanshu zongmu jiwei under these cultural policies and backgrounds. Through this, we have ma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on I Ching in early Qing, and revealed that the compliers tried to convey the truth of study on I Ching while maintaining objectivity through the method of compromise and epoche(judgment suspension) even under the limitations of the times when knowledge is compiled by the power of king. 이 논문은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 역류(易類)에 실린 책에 대한 편찬자의 포폄(褒貶)과 코멘트[案語]의 내용을 토대로 편찬자의 역학관을 살펴보고 나아가 이것을 바탕으로 청초(淸初) 역학의 특징과경향을 살펴본다. 『사고전서총목제요』는 『사고전서』에 실린 책들의 개요와 목차를 정리한 목록학 저작물로서, 『사고전서』의안내서라 할 수 있다. 이 안내서가 없었다면 『사고전서』 편찬의 목적은 결코 이루어질 수 없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본론을 크게 둘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로 건륭제(乾隆帝) 때 문화정책의 총결산인 『사고전서총목제요』의 편찬 배경을 청초의 학술변화 양상, 정치와 지식의 연계, 계고우문, 그리고 문화권력의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선행적으로 검토한다. 즉 『사고전서총목제요』의 편찬은 편찬자의 학문 추구와 건륭제의 문화권력 행사가 상호 교차하며 영향을주고받는 다면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성과라는 것을 청초의 문화적 정책과 배경을 통해 살펴본다. 둘째로 우리는 편찬자들이 이러한 문화정책과 배경 속에서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역류를 편찬하고 평가할때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진행했는지에 대해 소서(小序)와 포폄의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청초 역학의 특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황제의 절대 권력에 의해 지식이 편집되는 왕조시대의 한계 속에서도편찬자들이 나름대로 절충(折衷)과 판단유보[闕疑]의 방식으로 객관성을 유지하며 역학의 진실을 전하려고 노력한 점을 밝혔다.

      • KCI등재

        「四庫全書」는 실제로 ‘全書’인가?

        신정근(Shin, Jeong-geun)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5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사고전서 사부 분류 체제의 기원과 특징, 그리고 經ㆍ史ㆍ子ㆍ集 四部(四庫)의 편제에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고자 했다. 그 결과 『사고전서』는 明體達用, 通經適用이라는 기준에 의해 철저하게 관철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明體와 通經은 유가의 중심성을 철저하게 구현하는 것인 반면 유가에 대립되는 도교와 불교를 이단으로 배척하는 것이다. 이때 유가는 『사고전서』가 딛고 서 있는 가치의 총체[體ㆍ經]를 가리키고 당시 사람들은 그것을 분명하게 알아야 하고 통달해야 했다[明ㆍ通]. 達用과 適用은 明體와 通經이 순수한 추상의 세계나 신과의 단독 소통으로 나아가지 않고 방향을 현실 세계로 선회하도록 만든다. 즉 명체와 통경이 현실의 실용에 의해서 자신이 수행해야 할 목표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體와 用, 經과 用이 절연되지 않고 끊임없이 선순환하여 세계에 질서가 가득차고 삶의 질이 높아지게 할 수 있었다. I intended to analyze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 of classification system of Sikuquanshu(四庫全書), distinct feature of Sikuquanshu four part(四部), that is to say classic part(經部), historical part(史部), philosophical part(子部), literature part(集部). There is absolute standard, namely understanding the essence to achieve practical use(明體達用) or grasping meaning of sacred book to apply(通經適用) practical use within Sikuquanshu. It is criterion to select the book that are providing continuously in all parts of the country. Mingti(明體) and Tongjing(通經) is to realize thoroughly the centrism of confucianism, and to get rid of strictly Buddhism and Taoism opposing to confucianism. Confucianism indicated the embodiment of values within Sikuquanshu. At that time, everyone has to know clearly and understand thoroughly the meaning of confucian documents. And Dayong(達用) and Shiyong(適用) is not to make Mingti(明體) and Tongjing(通經) communicate with abstract world and God, to make them communicate with real world or everyday life. Thanks to practicality of concrete world, Mingti(明體) and Tongjing(通經) is accomplish their purpose. Due to balance of Ti and Yong, Jing and Yong, order will be restored to the world and the quality of life will be improved enormously.

      • KCI등재

        『사고전서(四庫全書)』의 편찬 및 건가(乾嘉) 학풍의 확립 ― `환파(晥派)`를 중심으로

        서도빈 ( Xu Daobin ),유나(번역) 퇴계학연구원 2016 退溪學報 Vol.140 No.-

        건륭ㆍ가경시기(이하 건가시기)의 漢學者들은 청대의 `儒藏`인 『사고전서』를 성공적으로 편찬한 중심적 역할을 했다. 특히 `완파`가 중요한 담당자였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四庫館 안에서 `완파` 학자들이 가지고 있던 근면과 경쟁, 공헌과 영향 역시 후세 학자들이 흥미진진하게 이야기하는 화제였다. 본문은 시대적 학풍과 지역 문화, 문인들의 사상과 학자들의 노력 등의 방면에서 건가시기의 `완파` 학자들이『사고전서』를 편찬하는데 들인 어려움과 그들이 건가시기의 학풍을 확립하는데 이바지한 공헌을 드러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고전서 편찬의 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18세기 중국의 정치와 학술 환경 및 지식인의 역사적 운명을 살펴보기로 한다. For the successful compilation of “Collection Warehouse of Confucian”(“儒藏”)or"Si ku quan shu"(《四庫全書》)in Qing Dynasty, the research scholars of Qian Jia(“乾嘉學派”) were definitely the backbones, and especially "Wan school" (“晥派”)was the main undertaker. The diligence and struggle, contribution and influence of "Wan school" scholars in Si ku Official Museum, had become the favourite topic of later scholars. This paper tried to show the hardships of "Wan school" scholars in the compilation of "Si Ku Quan Shu" and their contribu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Qian Jia`s Style of study (乾嘉學風) in era academic atmosphere and regional culture, literati thought and academic skills and other aspects. By investigating the compiling process of "Si Ku Quan Shu", this paper explored China`s political and academic ecology and the intellectuals` historical fortune in eighteen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