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유학의 의미와 문제 - 대동, 소강설을 중심으로

        이연도 한국중국학회 2009 중국학보 Vol.60 No.-

        目前中國大陸提昌構建社會主義和諧社會, 而此‘和諧’一詞的槪念和其理論根據實際上來源於儒學思想: 比如傳統儒家所提出的‘大同’槪念和思想. 本文主要探討大同小康說的政治理想和其意義, 並且從政治儒學的視角, 加以分析其核心理論的內容. 大同思想是東方理想社會論的核心, 可以說是在儒家政治哲學方面上很有重要意義和價値. 目前爲止, 有關政治儒學的硏究仍然處於初步階段. 改革開放以來, 中國政府、 學界、 社會、 敎育界都很重視傳統儒學思想. 在這種“復興儒學”的情況下, 硏究政治儒學無疑是很有現實意義的工作. 中國學者蔣慶曾提出, 政治儒學和心性儒學的不同之處就在其目的: 心性儒學的目的是爲了實現儒家的道德理想, 而政治儒學的目的在於建立一套具體政治秩序和制度. 據他的觀點, 政治儒學的目標主要有四個方面. 第一, 如何建立合法政治秩序. 第二, 如何實現政治權力的合法化. 第三, 如何改革政治制度而轉換政治權力. 第四, 如何爲新政治制度提供理論根據. 但政治儒學本身存在着一些潛在性危險. 因爲政治儒學的指向就在現實世界, 它常有世俗化的可能性. 對於現實世界的過度關心容易導致外在化的傾向. 其結果是容易流於保守化的趨勢. 此時, 政治儒學爲統治集團而服務‘意識形態’工作(卽御用的工具), 所以我們應該注意政治儒學與政治化的儒學之區分. 對這一點上, 本論文是可以作爲對今天在中國所進行的儒學復興運動的借鑒.

      • KCI등재

        연구논문 : 21세기 중국 "정치유학"의 이념과 쟁점

        송인재 ( In Jae S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5 儒學硏究 Vol.33 No.-

        오늘날 중국 유학계에서는 유학의 정치적 전변을 통해 유학의 현실 개입성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형성되고 있다. ‘정치유학’으로 지칭되는 이 경향은 단순한 학술의 혁신을 넘어 ‘중국 굴기’ 시대에 중국식 정치모델을 구축하고자 하는 욕망을 발산하고 있다. 정치유학을 주창하는 장칭, 야오중추, 간춘쑹은 기존의 현대 신유학이 현실과 괴리되어 있다고 비판하고 이를 ‘심성유학’, ‘박물관화/철학사’, ‘관념사’ 등으로 규정한다. 그 대안으로 ‘정치유학’, ‘인민유학’, ‘제도유학’ 등을 제시한다. 이들은 ‘정치유학’을 서양 근대성을 극복하는 동시에 홍콩/대만의 현대 신유학과 구별 정립되는 이념으로 위치 지운다. 2015년에는 현대 신유학의 계승자인 리밍후이가 정치유학을 비판하면서 정치유학 논쟁이 일어났다. 이 논쟁은 현대 신유학에 대한 양자의 인식 차이와 양자가 처한 정치사회적 환경의 차이를 드러낸다. 더 나아가 서양의 근대 정치이론과 그것의 영향력 하에 진행된 신문화운동, 그 이후 중국근대사에 대한 인식에까지 연루된다. 여기서 대륙의 유학자들은 리밍후이의 비판이 대륙의 현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 비판하고, 대륙의 신유학이 중국의 현실에 대응한 산물임을 강변한다. 정치유학의 등장과 논쟁은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유학이 현실 개입성 강화를 꾀하면서 자기발전을 수행한 결과물이다. 현실개입이라는 목적의식 하에 정치유학은 향후 중국의 행보를 논하는 중요한 담론으로 자리 잡고 있다. In the times of ‘The rise of China’, ‘Political Confucianism’ has raised as the new Ideal type for reinforcing the influence of Confucian values. Through persisting Political Confucianism, Chinese Neo-confucianists intend to construct the unique political model of China, beyond the scientific innovation. Jiang Qing(蔣慶), Yao Zhongqiu(姚中秋), Gan Chunsong(干春松), the representative exponents of Political Confucianism, criticize that Neo-confucianism, producted by Taiwan Neo-confucianists, do not concern the reality of China, just concentrates on the academic research, so call them ‘Mind Confucianism’, ‘the exhibit of museum’, ‘the history of philosophy’, ‘Ideal history’. Their alternative type to existing Confucianism, proposed by them, is so called ‘Political Confucianism’, ‘People’s Confucianism’, ‘Institutional Confucianism’. Their argument is connected to the idea of searching for Chinese model in the times of ‘The rise of China’. Neo-Confucianists in Chinese continent orient their Confucianism as the idea to overcome Western modernity and have difference to the Neo-Confucianism in Hong Kong and Taiwan. In January of 2015 Li Minghuei(李明輝), the successor of Neo-Confucianism in Taiwan, criticized the argument of Political Confucianism. His criticism cause the debate between the Confucianists of Chinese continent and Taiwan. Their debate revealed the difference of the view on the Neo-Confucianism and social context of both sides. Furthermore it is relevant to the view on modern Western political theories, Chinese modern history since New Culture Movement, based on pursuing Western modernity. The main point in criticizing Li Minghuei is that Li cannot understand the situation of China, insist that their Confucianism is the result of dealing with the Chinese situation. The hole process of argument and debates on Political Confucianism reveal that Chinese Confucianism have continued to develop, through searching for reinforcing its influence on Chinese reality.

      • KCI등재

        程頤의 정치참여의식에서 도덕의 위상

        주광호(朱光鎬) 한국동양철학회 2009 동양철학 Vol.0 No.32

        유가사상에 대한 우리사회의 일반적인 선입견은 너무 이상적이어서 현실성이 없고 심지어 고리타분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이러한 인식이 과거에도 여전했다는 것이다. 유자들이 仁義의 정치를 논할 때 거의 모든 현실정치가들은 그것이 ‘迂遠’하다고 지적한다. ‘도덕주의’라고 명명할 수 있는 유가의 정치사상이 아름답다고는 할 수 있을지언정 진정 현실에 안착할 수 없는 이상주의란 말인가? 대표적인 도학자인 程頤는 황제와 더불어 사대부가 정치의 한 축을 담당해야 한다는 북송대 지식계의 ‘共治天下’의 이념 하에, 황제는 사대부의 도움을 받아야 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사대부에게 정치를 위임하고 이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황제의 자의적 정치를 극복할 수 있는 이성과 합리를 담지한 것이 바로 사대부 계층이기 때문이다. 정이는 이성과 합리를 침탈하는 정치현실의 부조리로서 개혁해야 할 대상을 크게 세 가지로 보았다. 황제, 소인, 그리고 자신의 이기적 욕망이 그것이다. 이 모든 것은 私欲과 私意에서 출발한 자의성의 소산이라는 공통점을 보인다.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衆論尊重과 정치적 반대파에 대한 소통과 수렴 그리고 점진적 개혁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 대안들의 바탕에는 대화와 타협을 통한 中正 즉 균형과 조화라는 덕목이 전제한다. 정치의 주체는 이러한 덕목을 바탕으로 대화와 타협을 통해 소통과 수렴의 정치를 펼쳐야 한다는 것이 그의 정치사상의 요체이다. 따라서 정이 정치사상의 전제인 도덕은 현실을 이끌어가는 강령이자 지침이라고 할 수 있다. 과정과 원칙을 존중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상대를 포용하자는 것이 정이를 비롯한 유학의 메시지라면, 이것은 결코 새로운 것도 신비한 그 무엇도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것이기에, 무슨 ‘대안’일 수 없다. 그것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오래된 상식일 뿐이다. 그것은 현실을 외면하고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현실을 지탱해주는 버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近代化以后好像儒學等一切傳统的东西不太受欢迎。有的人說傳統的东西乃是“旧物”所以牠不再說明當代現實。甚至, 有的人把傳統的東西看作爲不能跟随現實變化的過去遗物, 所以應该尽快尽弃。不過, 很有趣的是在傳統時代的儒學亦受同样評价的历史事實, 即“迂遠”。此指包括皇帝大部分的現實政治主體觉得儒家以仁義爲主的政治理論確實太大, 却不能反映任何現實具體情況。自孔子开创至今已經兩千五百余年的历史中无數的儒家所說的仁義之治, 真的无用之物吗? 宋初皇室保持“恢复与重建和识, 思想與信仰世界的有效性, 以敎育和考试培养阶層化的知識集团, 建立制度化的文化支持系統, 以重建确立思想秩序”的原則。這种氣氛之下宋代知識集團即士大夫把自己积极地插入于政治执掌者的范围中。這表明爲皇帝和士大夫的“共定國是”的理念。不管二程兄弟的政治立場如何, 他們的历史認識也不出于此。 程頤試圖以理性的框架來捆缚皇帝的恣意性。故他主张皇帝必须听命于保持理性的士大夫。他說“众人所是 理之至當也。”(《程氏易传》益卦, 初九) 當然, 這里所說的众人是以士大夫爲中心的社會論。皇帝一定遵從理之至當, 至少尊重知識集團的公論。由于他重视知識集團的公論, 他主張逐渐變革。我是你非之朋党的終局乃是玉石俱焚的惨剧。知識集團制约皇权的文化運動以及重建秩序的活動, 已經變成自爆自灭的相战。作爲洛黨的领袖, 程頤自身經歷過激烈朋黨激浪。如果堅持我是你非的绝對態度, 則與皇帝的随意性別无差別。君臣相互需要對方的合作結构, 必然引导知識集團內部的和谐原則。通過與相尊重, 审稽公論而慢慢寻找理之至當, 而逐渐變革則最后达到圓满的成果, 這就是程頤提出的第三条路。 他堅持的中正之道乃是作爲社會宪刚的价値趋向。以中正之道爲中心的价値趋向并不能爲某一個人或某一個阶级工作。其价値趋向當然是爲社會群體的。因此, 他主張益得失的依据應當是百姓, 倂不能是知識集團, 更不能是皇帝。儒家可以說是思想主義。但其“理想”乃是保护現實的“理性”也是给社會指南的“价値趋向”。任何人間社會決無完美無缺的。每天的生活世界中我們目睹暴力以及非理。程頤提出的, 也是今天我們必保持的, 就是克服現實的理性或合理的工具。程頤命名此爲“中正”之道。

      • KCI등재

        당대 중국대륙 유학연구의 특징에 관한 탐구와 분석

        石玉平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5 No.-

        당대 중국에서의 유학연구는 한창 발전 중에 있으며, 특히 유학의 문헌정리와 연구를 바탕으로 하는 연구방식이 다양한 학술방향을 낳게 했다는 점에서 여러 가지 주목할 만한 결실을 성취했다. 우선, 유학 문헌정리의 측면에서, 연구자들은 주로 문헌연구에 입각하여 ‘유장儒藏’과 ‘유학중대기초연구儒學重大基礎硏究’, 그리고 지역적인 차원에서의 문헌편찬 등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왔다. 또한 유학 사상연구의 측면에서는 연구의 철학화哲學化, 경학화經學化, 정치화政治化 등 학술연구 방향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중국대륙 학자들이 전통유학에 관한 연구에서 나타나는 정치-사회적 관심사를 드러낼 뿐만 아니라, 현실문제에 대한 그들의 해결책을 여실히 보여줌으로써 깊이 있는 유학연구의 발전에 기여했다. The studies of Confucianism in mainland China are in the ascendant with many important achievements that are mainly based on arranging the literature on Confucianism and studying Confucianism in the different academic perspectives. As far as arranging the literature on Confucianism is concerned, it focuses on analysis of classic documents and successively carried out the following projects like Ruzang(儒藏),the important basic research on Confucianism and local compilation and study of Confucianism; meanwhile the study of thoughts of Confucianism is more philosophical, textuary and political etc. ,which shows the various social and political concerns and some present solutions,and as well promotes the modern development of Confucianism.

      • KCI등재

        현대신유학 내부의 충돌과 분열 - 장경(蔣慶) 유교헌정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정종모 ( Jung Jong-m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9 No.-

        주지하듯이 21세기 들어 대륙신유가 진영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유교헌정론을 주장하는 장경(蔣慶)의 활약은 괄목할 만하다. 그는 정치유학, 제도유학의 차원에서 기존 홍콩대만신유가의 심성유학, 생명유학 전통을 비판한다. 그리고 중국 나름의 헌정질서체계를 의회삼원제(議會三院制)란 이름으로 구상한 뒤, 서구민주주의를 극복할 대안으로 중국고유의 유교헌정론을 제시한다. 한편, 모종삼(牟宗三), 서복관(徐復觀), 당군의(唐君毅) 등을 주축으로 한 홍콩대만신유가 노선을 계승하는 대만학자 이명휘(李明輝)는 장경의 유교헌정론 구상을 비판하는데, 최근 몇 년 사이 이들 사이의 논쟁은 대륙신유가와 홍콩대만신유가 간의 이론적 논쟁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명휘의 관점의 연원으로서 모종삼의 입장을 소개한다. 모종삼은 유학이 비록 서구민주주의에 상응하는 제도를 구현하지는 못했지만, 유학의 이념이 서구민주주의와 배치되지 않으며, 도덕주체에 대한 강조를 지성주체로 일부 전환함으로써 민주주의의 수용과 토착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양지자아감함설). 이처럼 이명휘는 모종삼의 이른바 `개출설(종자설)`을 받아들여, 내성외왕(內聖外王)의 연속성을 긍정하고, 내성에 입각한 정치유학 혹은 민주주의의 발전과 내면화가 가능하다는 이론을 고수하면서, 장경의 입장과 날카롭게 대립한다. 이상의 논쟁을 일별하고, 그 연원과 맥락을 분석함으로써 본 논문은 21세기 현대신유학의 현황의 일단을 살피고자 한다. The growth of Contemporary Neo-Confucianism in China this century is amazing. Especially, Jiang Qing(蔣慶) became a very important Confucian thinker in Chinese philosophical world. In view of the `political Confucianism(政治儒學)` and `Confucian constitutionalism(儒敎憲政論)`, he criticized the stream of `moral Confucianism(心性儒學)` in HongKong and Taiwan. In the middle part of the 20th century, Mou Zongsan(牟宗三), Xu Fuguan(徐復觀) and Tang Junyi(唐君毅) devoted themselves faithfully to creative interpretations of Confucianism, and established contemporary Neo-Confucianism in HongKong and Taiwan. Li Minghui(李明輝) is in succession to this school of thought, and insists that `moral Confucianism` is not at odds with the democracies of the modern West. On the other hand, Jiang says that China`s political future and political system have to be based on Chinese heritage and Confucian tradition. For example, in a Western democracy, political legitimacy is based on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But in Jjiang`s system, there are three kinds of legitimacy. They come from way of heaven(天道), way of earth(地道) and way of human(人道). In this paper, we can see the main issue and context of the debate between Jiang and Li.

      • KCI등재

        정치 : 한국정치사상 연구의 동향과 전망

        배병삼(Bae Byung-sam) 한국국학진흥원 2003 국학연구 Vol.3 No.-

        이 글은 사회과학 분과인 정치학계에서 형성된 한국정치사상 연구분야의 성과를 연대기별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유학사상대계』의 ‘정치사상’ 분야 집필을 위한 제언을 하려는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그간 국학(문학ㆍ역사ㆍ철학) 분야와 거의 소통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된 정치학계의 한국정치사상사 연구의 실태를 살핌으로써 국학계와 정치학계의 소통을 도모하는데 조그만 기여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첫째, 한국정치사상 연구사를 검토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동향의 특징과 그 문제점들을 지적해 보고자 한다. 둘째, 대계의 정치사상 분야 집필에 따른 유의점을 나름대로 개진하고자 한다. 셋째 정치학계에서 제출된 저서와 논문들을 주제별로 개괄하여, 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차후 집필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자한다(〈참고문헌〉 처리). 다만 각 연구 성과에 대한 비평과 문제점 제시는 거의 생략된 단점을 갖고 있다. 차후 국학계의 연구 성과와 아울러서, 보다 깊은 ‘학제간’ 연구사 검토가 따르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by studying on chronicle basis, recent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Korean Political Thoughts which has been formulated by the political scientists, in a subdivision of the Social Science Group, to provide suggestions for writing the 'Political Thoughts' section of "The Series of Korean Confucian Thoughts". By outlin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n political thoughts, which has been made without 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Korea Study in such fields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this paper could help promote the understanding between the academic circles of Korea Study and Political Science. Firstly, the history of Korean political thoughts study shall be examin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 trend and issues of the study. Secondly, the issues to be considered in writing the Political Thoughts section of "The Series of Korean Confucian Thoughts" will be suggested. Thirdly, by classifying and summarizing the books and writings from the academic circle of politics, necessary research materials shall be provided for the authors (See Appendix).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criticism and discussion of issues of the specific writings were not made. It is expected that fruitful accomplishments in Korea Study and profound interdisciplinary study shall follow.

      • KCI등재후보

        붕당정치와 조선조 유교정치체제의 지배구조 변동양상

        강광식(Kang Kwang-Shick)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09 OUGHTOPIA Vol.24 No.1

        조선조 유교정치체제에서는 이른바 ‘군도’(君道)와 ‘신도’(臣道)로 대별되는 도학정치의 역할분한관계가 중요시되었고, 따라서 군신간 및 신료집단 상호간의 세력관계가 미묘한 부침 양상을 보여주게 되었다. 그리하여 조선조에서는 이러한 세력관계를 반영하는 정치과정으로서 이른바 ‘붕당정치’(朋黨政治)라는 매우 독특한 정치현상을 보여주게 되었다. 이 논문은 조선조 유교정치체제의 특징적 운영 방식에 해당하는 붕당정치 현상에 주목하여 지배구조의 변천과정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붕당정치의 전개과정에서 군왕을 매개로 형성되는 지배연합의 동태성에 주목, 그 변동양상을 시대별로 차례로 고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ariations of governing structure in Chosun Dynasty, taking notice of the 'Bungdang' Politics corresponding to the distinctive operating ways of Confucian Political System. For this purpose here it will be analysed the dynamics of ruling coalitions being constituted through the medium of the king among the political subjects.

      • KCI등재

        程頤의 정치참여의식에서 도덕의 위상 -- 『程氏易傳』을 중심으로

        주광호 한국동양철학회 2009 동양철학 Vol.0 No.32

        유가사상에 대한 우리사회의 일반적인 선입견은 너무 이상적이어서 현실성이 없고 심지어 고리타분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이러한 인식이 과거에도 여전했다는 것이다. 유자들이 仁義의 정치를 논할 때 거의 모든 현실정치가들은 그것이 ‘迂遠’하다고 지적한다. ‘도덕주의’라고 명명할 수 있는 유가의 정치사상이 아름답다고는 할 수 있을지언정 진정 현실에 안착할 수 없는 이상주의란 말인가? 대표적인 도학자인 程頤는 황제와 더불어 사대부가 정치의 한 축을 담당해야 한다는 북송대 지식계의 ‘共治天下’의 이념 하에, 황제는 사대부의 도움을 받아야 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사대부에게 정치를 위임하고 이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황제의 자의적 정치를 극복할 수 있는 이성과 합리를 담지한 것이 바로 사대부 계층이기 때문이다. 정이는 이성과 합리를 침탈하는 정치현실의 부조리로서 개혁해야 할 대상을 크게 세 가지로 보았다. 황제, 소인, 그리고 자신의 이기적 욕망이 그것이다. 이 모든 것은 私欲과 私意에서 출발한 자의성의 소산이라는 공통점을 보인다.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衆論尊重과 정치적 반대파에 대한 소통과 수렴 그리고 점진적 개혁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 대안들의 바탕에는 대화와 타협을 통한 中正 즉 균형과 조화라는 덕목이 전제한다. 정치의 주체는 이러한 덕목을 바탕으로 대화와 타협을 통해 소통과 수렴의 정치를 펼쳐야 한다는 것이 그의 정치사상의 요체이다. 따라서 정이 정치사상의 전제인 도덕은 현실을 이끌어가는 강령이자 지침이라고 할 수 있다. 과정과 원칙을 존중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상대를 포용하자는 것이 정이를 비롯한 유학의 메시지라면, 이것은 결코 새로운 것도 신비한 그 무엇도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것이기에, 무슨 ‘대안’일 수 없다. 그것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오래된 상식일 뿐이다. 그것은 현실을 외면하고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현실을 지탱해주는 버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패권(군주)제 사회질서와 정파언론-그 현실과 기원

        박승관(Sung Gwan Par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7 언론과 사회 Vol.25 No.4

        현대 한국의 정치와 언론이 그 외양적 성과와는 달리, 심층적 측면에서 노정하고 있는 부실과 실패의 현실을 최근의 대통령 선거 국면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한국 정치와 언론의 실패는 조선조 이래 한국 사회에 뿌리내려 온, “패권(군주)제적 사회질서”를 중핵으로 하는 “(신)유학적 관습질서”에서 유래된 폐단과 한국 지성계 전반의 실패의 결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관점에서 현대 한국 정치와 언론의 파행성은 조선조 언론·공론정치·당쟁정치의 연장·복제·재현이며, 이들 양자는 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을 공유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결국, 한국에서 조선 정치와 언론은 현대 정치와 언론의 “본적지”이며, 역으로 현대 정치와 언론은 과거 조선 정치의 “현주소”로서 이들 양자는 하나의 “동일 호적부”, 즉 “신유학적 관습질서”라는 거시적 문명체제에 통합·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론화하였다. 이러한 문명적 쇠철창을 극복·혁파해 나갈 수 있는 대안적 신문명의 길로서 정치계, 언론계, 학계, 법조계 등 지성계 전반의 “신념윤리”의 극복과 “책임윤리”의 구현, 전문직업주의 언론과 가치자유 언론의 실현을 주창하였다. South Korea recently has witnessed a major political transition after the impeachment and imprisonment of the former President Geun-Hye Park and the election of Mr. Jae-In Moon as the 19th President. This shift of power, which was propelled by a series of candlelight rallies attended by millions of South Korean citizens, is being acknowledged as the opening of a new chapter in the democratization process of the nation. Despite the seeming progress, the nature of the political, social, and intellectual conditions have not changed much to a satisfactory degree. The present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Korean politics and media, tracing “the origin of the failure” to the imperialistic social order rooted in the Neo-Confucian customs. Specifically,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contemporary Korean politics and media “inherit” the problems of the political factionalism (Bungdang) of the middle and late Chosun Dynasty. Guided by Max Weber"s distinction between the ethic of conviction and the ethic of responsibility, this paper posits that the “iron cage” of the imperial social order that dominates Korean society could be overcome when the political, social, and intellectual agents of the society prioritize the ethic of responsibility over the ethic of conviction. This paper also calls for media practitioners" efforts in committing themselves to pursuing professionalism and value-free journalism.

      • KCI등재

        조선 초기 관료유학자의 정치사상 연구 -정도전(鄭道傳)과 변계량(卞季良)을 중심으로-

        정성희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4 철학·사상·문화 Vol.- No.45

        고려와 조선의 왕조교체를 흔히 ‘역성(易姓)혁명’으로 명명하지만 왕조교체의 본질은 ‘역이념(易理念)혁명’이다. 조선 초기는 개국이념인 도학적 정치이념과 체제를정립해가는 시기였고 그것을 주도한 것은 학자관료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창업기와 수성기의 정치사상을 대표하는 관료유학자를 정도전과 변계량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조선 초 정치사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태종의 역할에도 주목하였다. 태종은 임금이기 이전에 유학자로서 확고한 정치적 지향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조명(朝明) 관계가 이 시기 조선의 정치지형에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폈다. 정도전은 조선의 개국을 주도하였으며, 조선의 국가체제 정비에 결정적 역할을 한 관료유학자였다. 그러므로 정도전의 정치사상은 도학적 근본주의의 성격이 강했다. 그는 벽이단론으로 조선 창업의 정당성에 이념적 근거를 제공하고, 민본(民本) 정치를 추구하였다. 그러나 정도전은 수성기로의 전환에는 실패하였다. 그렇지만 정도전이 구상한 국가체제는 태종과 세종대를 거치며 많은부분 조선의 정치체제에 반영되었다. 변계량 역시 고려 말에 성리학을 익힌 사대부였다. 그는 조선의 창업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변계량은 태종에게 중용되었는데, 정도전과는 달리 불교와 도교에 관용적이었으며, 그것의 현실적 역할을 인정하였다. 그는 뛰어난 문재(文才)와 현실감각으로 소강(小康)을 지향하는 태종과 세종을 성공적으로 보필한, 조선 초 수성기의 핵심적인 관료유학자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조선 초기의 정치사상을 대내외적인 정세의 흐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방식은 정치사상을 시대 속에서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It is common to describe the dynasty change from Goryeo to Chosun as a ‘surname change revolution(易姓革命)’. The essence of the Goryeo-Chosun dynasty change is an ‘revolution of ideological change(易理念革命)’. In other words, the country’s political orientation completely changed from Buddhism to Confucianism. Therefore, the early Chosun Dynasty was a time to establish Confucianism as the founding ideology of Chosun, and especially moralistic political ideology and system. The people who led politics and scholarship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ere scholar-officials. In this study, Jeong Do-Jeon and Pyon Kye-Ryang were identified as two people who represented the political thoughts of the early Chosun Dynasty. Along with these, attention was also paid to the role of King Taejong, who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political thoughts of the early Chosun Dynasty. This is because Taejong was also a Confucian scholar who studied Neo-Confucianism before becoming king, and he had a firm political orien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how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Ming(明) Dynasty, which had a tributary relationship with Chosun and had great influence on Chosun politics, were involved in the political landscape of Chosun during this period. Jeong Do-Jeon was a person who played a decisive role in leading the founding process of Joseon and reorganizing the early system. His political thoughts had a strong fundamentalist character, faithful to the realization of a moralistic ideal state. Therefore, he was thoroughly against heresy. Jeong Do-Jeon succeeded in establishing a dynasty, but was purged by Lee Bang-won, who sought to strengthen the royal power. However, much of the national system he pursued was reflected in the political system of Chosun through the reigns of King Taejong and King Sejong. Pyon Kye-Ryang was also a nobleman who learned Neo-Confucianism in the late Goryeo Dynasty. He did not participate in the founding process of Chosun. Pyon Kye-Ryang began to be used with great importance after the 7th year of King Taejong’s reign. The reason King Taejong entrusted important positions to Pyon Kye-Ryang because he needed a bureaucrat who could realize his political beliefs. He was a key scholar-official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ho successfully assisted King Taejong and King Sejong.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olitical thoughts of the Chosun Dynasty from its founding period to conservation period in the context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This is because you can understand the political thoughts of this period in a three-dimensional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