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 및 두 학자의 논문 분석 ― 제1집에서 제55집까지 ―

        황광욱 ( Hwang Kwang-oo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본 논문은 ‘한국철학사연구회’의 발족 30주년을 맞이하여, 그 학술지인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와 연구회의 대표적인 학자 두 명의 논문 주제와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철학논집』은 1991년 제1집을 부터 2017년 11월 현재까지 총 제55집까지 발간했고, 총 582편의 논문을 소개했다. 582편 가운데 297편의 논문이 한국철학을, 174편의 논문이 중국철학을 다루었다. 한국철학 논문 가운데 198편, 중국철학 논문 가운데 125편이 성리학을 주제로 한 연구이다. 한국철학자 가운데는 정약용이, 중철학자 가운데는 주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한국철학논집』에 참여한 필자는 모두 203명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이상익이 28편, 최영성이 23편을 게재 하였다. 이상익의 논문 28편에 기초해보면 이상익은 철두철미한 성리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성리학의 성리설과 경세론을 두 축으로 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의 성리설을 정립하고 여타 성리설을 비평하고 있으며, 또 자신의 경세 이론을 정립하고 여타 경세 이론을 비평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이론적 제안을 하고 있다. 최영성의 논문 23편에 기초해보면 최영성은 한국유학사상사 분야의 최고 연구자이다. 그의 연구는 그간의 한국유학사상사에 있어 잘못된 인식이나 서술을 바로 잡고, 미진하게 개진된 부분을 계발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또한 사상사의 연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상사를 접근하는 철학적 토대 정립을 위해 최치원의 철학 사상을 깊이 연구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철학논집』과 게재된 논문은 명실상부하며 양적, 질적인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한국철학논집』과 ‘한국철학사연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훌륭한 학자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의 소생이 반드시 필요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thesis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and the subject and characteristics of two representative scholars of the Research Society in commemo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Research Society'.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was published from the 1st edition in 1991 to the 55th edition until November, 2017, and introduced a total of 582 papers. In the meantime,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Research Society' became a registered place after being nomina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mong the 582 chapters, 297 papers deal directly with Korean philosophy, and 174 papers on Chinese philosophy. Among the Korean philosophical theses, the most popular one was the 198th issue, and the Chinese philosophical thesis was the most popular with the subject of theology. Among the Korean philosophers, Chung Yak - Yong and Chinese philosophers Chu Shi were the most studied. Among the write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203 were all of them. Among them, Lee Sang Ik published the most articles with 28, and Choi Young Sung was the second with 23. Based on Lee Sang Ik 's thesis 28, Lee Sang Ik is a well - known neo - Confucianism scholar. His research is based on the theory of neo - 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secularism. On the one hand, he establishes his own moral theories and criticizes other moral theories. On the other hand he establishes his own governing theory and criticizes other governing theories. And theoretical proposals on various problems in modern society Based on Choi Young Sung 's thesis, 23, Choi Young Sung is the best researcher in the field of studying in Korea. His research focuses on correcting mistaken perceptions and descriptions in the history of study abroad in Korea, and developing the undeveloped parts. In addition, I am looking for a new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studying in Korea. In addition, he has been studying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Choi Chih Won in order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approaching the history of thought rather than just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ought.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has been advanced in quantity and quality, and has develop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vitalization of the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n Philosophy Department is indispensable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Korean Philosophy Journal" and 'Korean Philosophy History Study Society' and to create excellent scholars.

      • KCI등재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 및 두 학자의 논문 분석 - 제1집에서 제55집까지 -

        황광욱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본 논문은 ‘한국철학사연구회’의 발족 30주년을 맞이하여, 그 학술지인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와 연구회의 대표적인 학자 두 명의 논문 주제와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철학논집』은 1991년 제1집을 부터 2017년 11월 현재까지 총 제55집까지 발간했고, 총 582편의 논문을 소개했다. 582편 가운데 297편의 논문이 한국철학을, 174편의 논문이 중국철학을 다루었다. 한국철학 논문 가운데 198편, 중국철학 논문 가운데 125편이 성리학을 주제로 한 연구이다. 한국철학자 가운데는 정약용이, 중철학자 가운데는 주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한국철학논집』에 참여한 필자는 모두 203명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이상익이 28편, 최영성이 23편을 게재하였다. 이상익의 논문 28편에 기초해보면 이상익은 철두철미한 성리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성리학의 성리설과 경세론을 두 축으로 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의 성리설을 정립하고 여타 성리설을 비평하고 있으며, 또 자신의 경세 이론을 정립하고 여타 경세 이론을 비평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이론적 제안을 하고 있다. 최영성의 논문 23편에 기초해보면 최영성은 한국유학사상사 분야의 최고 연구자이다. 그의 연구는 그간의 한국유학사상사에 있어 잘못된 인식이나 서술을 바로 잡고, 미진하게 개진된 부분을 계발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또한 사상사의 연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상사를 접근하는 철학적 토대 정립을 위해 최치원의 철학 사상을 깊이 연구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철학논집』과 게재된 논문은 명실상부하며 양적, 질적인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한국철학논집』과 ‘한국철학사연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훌륭한 학자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의 소생이 반드시 필요하다.

      • KCI등재

        철학원전 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현대 - 개화기부터 1953년 이전까지 ; 근대 한국 사회에서 서양 중세 철학의 수용과 번역의 문제: 개화기부터 1953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정준영 ( Jeong Jun Yeong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2

        서양 중세 철학은 주제의 성격상 종교적 관심사 속에서 근대 한국에 유입되었으며, 종파별로도 다른 경향을 보인다. 가톨릭은 주로 프랑스인과의 접촉을 통해, 개신교는 대개 미국인과의 접촉을 통해 기독교와 서양 중세 철학을 받아들였다. 그런데 번역의 상황은 서양 철학의 다른 분야에 비하더라도 아주 열악한 것이 사실 이다. 1953년까지는 라틴어 원전 번역은커녕 아우구스티누스의 Confessiones에 대한 중역본 1종만이 있을 뿐이고, 게다가 중세 철학과 관련된 문헌도 드문 편이다. 개신교 쪽의 잡지들에 실린 글들은 일반적인 소갯글에 지나지 않으며, 가톨릭 계통의 잡지 가운데는 덕원신학교의 교지 ≪신우≫가 스콜라 철학을 다루는 몇 편의 중요한 글을 남기고 있다. 번역본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번역어를 추적하기는 쉽지 않은데, 그 중에서 1891년 파리외방전교회가 발간한 ≪羅鮮小辭典≫과 1936년 윤을수 신부가 편찬한 ≪羅鮮字典≫을 보면 흥미로운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전자는 한자 표기를 전혀 하고 있지 않으며 순한글의 표현을 주로 사용하는 데 반해, 후자는 한자어에 대해서는 모두 한문 표기를 하고 있고 순한글 표기가 가능한 낱말에 대해서까지도 한자어를 선호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한자어는 거의 모두가 당시의 일본 문화권의 용어 사용법과 일치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한국이 일제에 편입되면서 주체적 번역의 가능성이 소실되고 말았다는 추정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원전 번역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 그리고 일제의 영향권에 귀속되어 있었다는 것은 서양 중세 철학에 대한 수용 과정이 순탄치 못했음을 보여주는데, 내부적으로는 성경무오설과 같은 개신교의 보수주의적 신학과 가톨릭 쪽의 교제주의(敎制主 義)가 번역에 대한 관심을 약화시켰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리고 서양 철학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주된 역할을 한 당시의 한국 철학도들은 서양 중세 철학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태도를 견지했고, 이 때문에 중세 철학에 대한 번역의 동기가 학계에 자리 잡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translational history of the western medieval philosophy in modern Korea; this paper`s arguments are the followings. 1) The western medieval philosophy was introduced into modern Korean because of their religious concern. The Korean Catholics took in it mainly through French missionaries, while the Korean Protestants through American missionaries. 2) From the enlightened age to 1953 there is no translation of original texts. In 1953, only one book was retranslated from English by JungJune-Kim, of Augustinus` Confessiones. 3) We can rarely find professional articles, if any. Among them Shin-Woo(Deokwon theological seminary`s school magazine) is drawn attention to us. It included in some articles which discussed medieval Scholasticism. 4) Then in relation to translated terms, two Latin-Korean dictionaries is worth noticing: the one is Parvum Vocabularium Latino-Coreanum (Honkong,1891), the other Dictionarium Latino-Coreanum(authored by P. Laurentio Yun,1936). The one inclined to attempt to translate Latin`s terms into pure Korean language(Hangu˘l), while the other having borrowed from modern Japanese translation-languages applied it to Hangu˘l. Perhaps this negative tendency was caused by Japanese imperialist oppression of modern Korea. 5) Therefore, Why was there no translation of original texts in modern Korea may be that modern Korean independent criticism-culture has checked by Japanese imperialism.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modern Korean Christianity`s extreme radicalism and conservatism have weakened sensitivity of translation. Finally, The academic world of those days had no interest in the western medieval philosophy. Due to these, no translation of original Latin-texts carried out in modern Korea.

      • KCI등재

        철학원전 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현대 - 개화기부터 1953년 이전까지 ; 50년대까지 영미철학의 수용과 용어의 번역

        황필홍 ( Hwang Pil Hong ),이병수 ( Lee Byeong Su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2

        영국의 고전경험론과 분석철학, 실용주의를 포함하는 영미철학이 이 땅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것은 60년대부터다. 그 전까지 영미철학은 독일철학과 구분되는 철학적 사조로서 주목받지 못했다. 이 글은 50년대까지 영미철학적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 철학자를 중심으로 그들의 철학적 입장과 그들이 사용한 주요 철학용어를 고찰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 글에서 다룬 철학자는 한치진, 박종홍, 김준섭이다. 초창기 철학자들이 일본어 번역에 의존하여 서양철학적 개념을 이해했다는 사실은 번역 과정에서 야기될 수밖에 없는 서양철학적 개념어에 대한 진지한 반성과 사상적 고투가 그들에게 생략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식민지 근대화와 철학적 사유의 초기 상황의 제약아래서도, 초창기 철학자들은 자신이 설정한 철학적 과제와 밀접한 철학적 개념어에 관한 한, 분명한 자각을 가지고 있었다. 초창기 철학자들은 일본어 번역에 의지하여 철학했음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범위 내에서 주체적 번역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해방 후 실용주의, 과학철학과 기호논리학 등 영미철학 관련 용어가 철학자마다 다양하게 번역되고 있는데, 이는 번역되는 철학사상이 완전히 소화되지 못한 초기적 단계에 있음을 말해주고 있음과 동시에 해방 이후 서양철학과 직접 접하면서 나름대로 적합한 번역어를 모색한 노력과도 맞닿아 있다. In 1960`s, British and American Philosophy including british classic empiricism, analytic philosophy, pragmatism fully began to spread to Korea. And before that time, British and American Philosophy wasn`t paid attention such a philosophical current as was different from German Philosophy. In this paper, I focussed on the philosophical asserts and terms of early Korean philosophers who had discussed British and American Philosophy from colonization period of Japan Empire to 1950,s. They were Han Chi-Jin, Park Song-Hong and Kim Jun-Sub. The early Korean philosophers approached to and comprehended western philosophical terms through translation of Japanese language. It meant that they lacked sincere reflection and strenuous efforts towards philosophical terms inevitably caused by the process of translation. However, even under the colonial modernization and early situation of philosophical thinking, the early Korean philosophers were sharply conscious of such philosophical terms as deeply concerned with their own philosophical task. Saying in other words, though studying western philosophy through translation of Japanese language, they held subjective attitude about translation within restricted extent.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 Empire, The terms of British and American Philosophy concerned with pragmatism, philosophy of science, symbolic logic, were variously translated into Korean by every philosopher. This showed that their early reception of British and American Philosophy resulted in insufficient comprehension of translated philosophical thoughts, and that they came into direct contact with western philosophy, not through translation of Japanese language, groped for adequate translation.

      • KCI등재

        논문 : 서양 정치철학의 형성과 배리 -H. Arendt의 서양철학의 "전통"과 "정치철학" 형성에 기초하여-

        이정은 ( Jeong Eun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2 시대와 철학 Vol.23 No.1

        이 글에서는 정치인과 대중의 갈등, 제도권과 비제도권의 갈등이 산재하는 현대 사회에서, 양자의 갈등을 해소하는 정치적 대안 및 그것의 철학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아렌트 논의를 통해서, 철학자가 어떤 목소리를 낼 수 있는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그 과정에서 서양 정치철학의 기원 안에 이미 정치행위의 소외 내지 정치의 실종이 담겨있다는 것이 드러나는데, 그러한 소외와 실종을 극복할 철학적 대안을 찾는 데로 나아갈 것이다. 아렌트는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중요한 조건을 행위, 정치 행위로 간주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역사는 모든 것이 경제 행위로 환원되는 과정이었고, 결과적으로 정치 행위가 실종되었다. 그래서 아렌트는 정치 행위의 가능 성을 철학 및 형이상학 차원에서 마련하기 위해, 서양 철학의 사상적 근간과 정치철학의 시초로 거슬러 간다. 시작은 탈레스이지만, 서양 철학을 지배하는 철학적 전통의 시작은 플라톤이며, 그가 만든 사유의 의미와 지평은 지속되어 왔다. 정치철학도 사정은 마찬가지이다. 정치철학의 출발 또한 플라톤인데, 그 배경과 근원을 살펴보면, 정치철학은 시작에서부터 정치 행위의 가능성을 말살하는 배리를 안 고 있다. 서양 철학에서 사유의 전통으로 간주되는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와의 연 장선에서 해석된다. 그러나 아렌트는 플라톤을 소크라테스에 대한 배반으로 평가한다. 소크라테스는 진리와 의견의 대립, 변증술과 수사술의 구분이라는 플라톤의 이원론과 달리, 의견 가운데서 진리로 나아가고, 변증술도 의견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의견을 진실하게 드러냄으로써 진리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물론 이것은 아렌트가 소크라테스를 하이데거, 니체 식으로 변형한 것이지만, 그 해석에 따르면 소크라테스에게 의견의 다수성은 진리의 다양한 드러남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에 반해 플라톤은 진리와 의견의 대립, 변증술과 수사술의 대립이라 는 이원론 속에서, 진리가 의견을 지배하고, 진리를 파악하는 철학자가 대중을 지배하는 정치철학, 즉 철인왕을 구상한다. 그러므로 정치철학이 만들어지는 순간, 철학자와 대중의 위계, 철학자와 정치인의 위계가 만들어지며, 희랍의 자유로운 말하기 전통에서 나타나는 대화 구조는 상실된다. 플라톤의 정치철학은 자유로운 말하기 전통과 단절되는 것인데, 이것은 소크라테스가 지닌 입장 내지 태도와는 배치된다. 그 배치는 맑스로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전통을 반전시키려면, 소크라테스의 무모순성 원리에 담겨있는 자기 사유, 즉 자기와의 대화, 자기와 대화하기 위한 반성 구조, 그러한 반성 구조를 타인과의 상호 주관적 구조로 살려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소크라테스의 무모순성 공리는 복수성을 견지하기 때문이다. 자기 내면에서 자기와 무모순적으로 대화하는 자는 이미 자기 이중화를 단행하고 있고, 이중화 된 자기의 자리에 다른 자기를 내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자기와의 무모순적 대화는 타인과의 무모순적 대화라는 복수성을 지닌다. 그러나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복수성을 배반하고서 단수성, 위계적 정치철학을 만들었고, 정치철학의 배리를 낳은 것이다. 그러므로 정치 행위를 가능케 하려면 자유, 자유로운 대화, 자기 반성, 상호 주관성을 구축해야 하고, 서양 철학의 말하기 전통을 지니는 소크라테스의 무모순성 원리를 삶의 기반으로, 삶을 비판하는 정신으로 견인해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This essay aim to seek after the formation of western political philosophy and the irrationality that was originated in the first political philosophy, specially in Platon`s philosophy. The theoretical authority of this argument is Arendt`s philosophy. Arendt assert that political action was lost in modern society. But simultaneously with advancing Platon`s political philosophy made up such loss and such elimination of political action and he gets handed down those problems. Judging from Arendt`s assertion, Platon`s philosophical viewpoint and actions go against his master, Socrates, that is, Platon theorize the dualism between truth and opinion, between dialectics and rhetorics against the Socrates viewpoint of opinion and the theory of noncontradiction. Platon`s philosophy come to a conclusion of the loss of speech-tradition. The possibility of free conversation, free communication and reciprocal subjectivity is lost. Therefore we should be restored to the viewpoint and critic of Socrates.

      • KCI등재

        철학의 기능과 이념 -1980년대 이후의 한국 사회철학에 대한 반성-

        문성원 ( Sung Won Moo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시대와 철학 Vol.20 No.3

        이 글은 198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사회에서 이른바 진보를 지향하는 철학이 보여준 모습과 기능을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그 바탕 위에서 한국 사회철학에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를 생각해 본다. 1980년대 이후 우리의 사회철학은 시대를 부분적으로 반영하고 추수(追隨)해 왔다. 이 과정의 두드러지는 특색은, 서구 철학을 수입하고 답습하는 가운데 철학이 다루는 주요 영역이 `경제→정치→문화`로 변화하는 추이를 보였다는 점이다. 한국의 산업화 과정과 민주화 과정, 문화의 전개 과정이 서구가 밟아온 역사를 압축적으로 되풀이한 것이라고 볼 수 있듯이, 사상적인 면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다. 시대를 선도하고자 했던 사회철학은 서구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뚜렷한 목표를 제시하지 못하는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다. 그러나 철학은 그 실제의 기능이 다 채우지 못하는 이념을 모색하는 데서 생명력을 얻는다. 전체론적 기획에 대한 반성으로 부각된 탈이념의 경향조차 그 탈이념을 내세우는 이념성을 벗어나기 어렵다. 근래에 수입되어 주목을 받은 철학 사조들에서는 상대주의적 관점과 해체적 지향이 새로움에 대한 갈구와 얽혀 있다. 안과 밖, 그리고 경계에 대한 문제의식도 근대성을 넘어서는 새로움에 대한 이념적 지향을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특히, 아감벤, 데리다 등과 함께 뒤늦게 부각된 벤야민의 사유에 주목한다. 어울러 이 글은 이제 서구의 철학을 수입하여 이용하는 것 이상의 독자적인 철학적 노력이 착근될 수 있는 조건이 무엇인가를 조심스럽게 다시 묻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s and functions of social progressive philosophy in Korea since 1980`s and to try to present what efforts are needed for the new creative social philosophy in Korea. The social thoughts in Korea since 1980`s have reflected and followed the experiences in Korea, importing the corresponding western philosophies. It seems worthy to note that the main field of philosophical focus has changed in the pattern of <economics→politics→culture>. The thoughts in Korea have repeated the western experiences in contraction in such a similarity as the processes of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have shown. Now social philosophy in Korea as well as in western world finds itself in a difficult situation where it cannot present a clear and persuasive social model. However, it is from the ideal that the philosophy gets its life, though it could not function as such in reality. Even the philosophy for post-ideality has its own ideal. We can observe in the contemporary relativism or deconstructionism the ideal orientation for a new which aims at the overcoming of limits of modernity. Recently, the thoughts of Gorgio Agamben, Jacques Derrida, and especially Walter Benjamin have come in the limelight in Korea. In addition to sharing this critical mind for the outside of modernity, this paper inquires the conditions for the autogenous philosophy in Korea.

      • KCI등재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촛불 시위와 4차 산업혁명

        김광식(Kim, Kwangsi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7 사회와 철학 Vol.0 No.33

        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요구하는 촛불 시위가 연인원 1500만 명을 넘어섰다. 인공지능 알파고가 세계 최고의 바둑기사들을 상대로 60판 연승을 거두었다. 이는 인공지능 주도의 자동화를 핵심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의 예고편이다. 이 글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둔 시점에서 촛불 시위의 의미 또는 역할이 무엇인지, 더 나아가 그 철학적 의미 또는 철학자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인지문화철학1 )의 관점에서 찾고자 하였다. 촛불 시위는 시대를 진단하고 주요 문제를 성찰하고 해결책을 찾는 기회다. 지금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둔 시대이며, 일자리 문제가 주요 문제다.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10년 안에 지금 일자리의 절반이 대체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따라서 촛불 시위는 일자리를 청구할 노동 청구권을 요구해야 한다. 또한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한 저항 의지를 기르기 위해 광장 정치를 제도화하고 일상화해야 한다. 철학자는 그것을 철학적으로 정당화해야 한다. 인간에게 노동은 생존 수단을 넘어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실현하는, 인간다움의 본질적 조건이다. 마뚜라나의 인지철학에 따르면 인식은 한 생물이 특정한 환경 안에서 자기 세계를 만듦으로써, 그 생물이 그 환경 안에서 계속 살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 있는 행위다. 내가 누구라는 인식, 곧 자아정체성은 특정한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그 환경 안에서 계속 살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 있는 특정한 행위 방식이나 경향성이다.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그 환경 안에서 계속 살 수 있도록 하는 효과 있는 대표적 행위가 바로 노동 행위다. 거듭된 노동 행위를 통해 몸에 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특정한 행위 방식이나 경향성이야말로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광장 정치의 제도화 및 일상화는 저항 의지를 몸에 배게 할 수 있다. 마뚜라나의 자기생산체계이론에 따르면 사람을 포함한 생명체의 행위를 결정하는 것은 머릿속 앎이기보다는 생명체의 몸에 밴 행위 방식이나 태도다. 행위 방식이나 태도를 몸에 배게 하려면 거듭 되풀이하여 특정한 방식의 행위를 해야 한다. 생명체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상호작용 행위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상호작용 행위 생산 방식도 생산한다. 이렇게 거듭 되풀이되는 상호작용 행위 생산 방식의 생산을 통해 특정한 상호작용 행위 생산 방식이나 경향 또는 태도가 몸에 배게 된다. 따라서 광장 정치의 제도화 및 일상화는 거듭된 저항 행위를 통해 저항의지를 몸에 배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철학적 정당화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더 깊고 다양한 철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철학자는 연구에 그치지 말고 그 연구 결과로 대중을 설득하는 작업도 해야 한다. The candlelight demonstrators, who demanded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exceeded 15 million. Artificial Intelligence Alpha Go has won the 60th straight victory against the best players of the world. This is the trailer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re of which is the artificial intelligence-driven automation. T his article searched for the meaning and role of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s at the tim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lso the philosophical meaning or the role of the philosopher on the ground of the cognitive-culture philosophy. Candlelight demonstrations are an opportunity to diagnose the times, to reflect on major problem sand to find solutions. It is now ahea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ssue of jobs is a major problem. Experts expect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 ill replace half of jobs in ten years. Therefore, candlelight demonstrations should demand the right to claim jobs. Also, w e should institutionalize and regularize the square politics in order to raise the w ill to resist. Philosophers must philosophically justify it. Labor is an essential condition of hum an nature, which form s and realizes self identity beyond the means of survival. According to Maturana"s cognitive philosophy, cognition is an effective act that allows a living system to live in its environment by creating a world in a particular environment. The perception of who I am, self identity, is a specific way of acting or a tendency that is effective in enabling me to live in that environment while interacting with it. It is labor practice that is an typical effective act that enables people to continue to live in the environment while interacting with it. The specific way of acting or tendency that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which is embodied through the repeated labor ac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nd realizing self identity. On the other hand, the will of resistance can be embodied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regularization of the square politics. According to Maturana’s theory of autopoietic systems, it is the manner or attitude of the act, which is embodied, rather than the know ledge in the head to determine the act. If you w ant to keep the way of behavior or attitude embodied, you have to do it again and again in a certain w ay. In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 a living system produces not only its own interactive behaviors, but also its own w ay to produce interactive behaviors. Through this repeated production of its own ways to produce interactive behaviors is its own way, tendency or attitude to produce interactive behaviors embodied. Therefore, if the square politics is institutionalized and normalized, the will of resistance can be embodied through the repeated act of resistance. This philosophical justification is only an example, and a deeper and diverse philosophical study is needed. However, philosophers should not only research but also persuade the public with the result of the research.

      • KCI등재후보

        自山 安廓 哲學思想의 韓國 哲學史的 意義 : On The Meaning of An Hwak`s Philosophy in the Korean History

        朴洪植 동양철학연구회 2003 東洋哲學硏究 Vol.33 No.-

        본 논문은 自山 安廓(1886~1946) 哲學 思想의 韓國哲學史的 意義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安廓의 哲學 관련 저술인 「自覺論」『朝鮮哲學思想槪論』『儒敎의 進化와 新儒』「안유의 道學과 後儒」 등을 중심 자료로 삼아 哲學觀, 性理學的 思惟體系와의 相異點, 傳統的 儒學觀, 다른 開化思想家의 비교, 梁啓超등 安廓의 哲學思想 形成에 影響을 끼친 내용 등을 分析하여 그의 韓國哲學史的 意義를 도출하였다. 특히 傳統과 開化라는 觀點에 注目하여 그의 思想이 傳統的 思惟體系로부터 近代的 思惟體系로 轉換되었음을 밝혔다. 安廓은 理性과 自覺, 天道와 人道, 哲學과 倫理라는 槪念에 注目하면서 近代的 學問觀에 입각하여 韓國人의 意識과 韓國哲學을 自主的 主體的으로 構成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 내용이 最初로 쓰여진 <한글 哲學書>를 저술하였다는 점에서 韓國哲學史의 새로운 地平을 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An Hwak's(Jasan, 1886-1946) philosophical backgrounds were traditional ideas and Western modern ideas. Even though An Hwak criticized Confucianism which was dominant traditional ideas of the Choseon Period, he tried to inherit tradition in an independent position and reform Choseon modernly. It is possible to know that both An Hwak's theory of tradition inheritance and theory of reform have a strong trend in public directivity and nationalism. An Hwak can be regarded as a man of advanced knowledge who accommodatedWestern modern ideas based on national identity. An Hwak's philosophical ideas' characteristics can be said that they were under influence of 20소 century's advanced intellectuals like Yiang CH'i-ch'ao' and Western modern ideas' universal outlook on the world. However when we keep this particular situation, the current of Korean thought, in our mind the achievements that An Hwak's philosophical ideas accomplished can be evaluated that they were more than just movement of patriotic enlightenment. They presented the conversion from traditional speculation to modern speculation.

      • KCI등재

        일반 논문 : 번역된 “철학” 개념의 수용과 전유

        이행훈 ( Haeng Hoon Lee )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4 No.-

        본고는 근대 전환기 철학 개념 수용과 전유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20세기 전후 중국과 일본을 경유하여 수용된 서양 학술과 개념은 한국 근대 학문 형성의 밑거름이었다. 수용 초기 철학에 대한 개념 규정은 전통 학술용어에 의지했고 서양철학에 대한 이해도 전통 사유방식 안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格致’, ‘窮理’, ‘性理’, ‘理學’, ‘儒學’, ‘道學’ 등과 같이 유학의 다양한 학술용어들이 철학의 초기 번역어로 혼용된 사실이 이를 반증한다. 1900년 이전에도 ‘철학’을 소개하고 정의한 사례가 있지만, 이 당시 ‘철학’은 보편학이라기보다는 서양의 특수한 학술 가운데 하나였다. 한국에서 유교를 철학 즉 근대 분과학문의 하나이자 근대 지식체계의 일환으로서 사유하기 시작한 것은 1910년을 전후해서이다. 장지연이 철학을 정의하고 소개하는 데 머물렀다면 최두선은 제학문과 구분되는 철학의 특성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이정직이나 이인재처럼 서양철학 수용 초기에는 대체로 유교의 사유지평에서 철학을 이해했지만 점차 서양철학의 개념과 형식으로 유교와 전통철학을 재해석하는 데로 나아갔다. 강춘산의 『동양도학의 체계여하』는 국내 최초로 편찬 소개된 ‘동양철학사’로서 통사적 체계로 제자백가 사상을 고루 기술했다. 철학 개념을 이끌어 조선사상사를 개괄한 안확의 『조선철학사상개관』도 수신자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서양을 추수하는 학문풍토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도 많았지만 수입상 철학이란 현실은 좀처럼 바뀌지 않고 있다. 근 백년에 걸쳐 각인되고 고정된 우리의 시선을 바꾸는 일이 쉽지 않은 탓이다. ‘현재의 과거’에 노정된 철학의 길항을 해소하기 위해 ‘과거의 현재’를 재구하는 한국 근대 철학의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이 그래서 필요하다. 발신자에서 수신자로 관점을 전환하면 일종의 격의나 왜곡으로 비춰졌던 근대 전환기 학술사상의 전모에 좀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consider the aspects of the process in which Korea accepted and appropriated the concept of philosophy in its modern transition period. Modern learning in Korea was formed by Western learning and concepts which were accepted via China and Japan before and after the 20th century. This new system of knowledge, however, could not confine the traditional Confucian system of knowledge entirely to the past. At the beginning of the acceptance,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philosophy was obliged to rely on the traditional academic terms, and the understanding of Western philosophy could not but be conducted within the traditional mode of thought. This is evident in the fact that Western philosophy was described as Western Confucianism and a variety of Confucian academic terms were used to translate the concept of philosophy. Traditional terms like ‘Gyeokchi(格致)’, ‘Gungri(窮理)’, ‘Seongri(性理)’, ‘Yihak(理學)’, ‘Yuhak(儒學)’, ‘Dohak(道學)’ and others were used to translate the term of philosophy. For this point, we can consult the article of philosophy in a bilingual dictionary published at the early part of the modern times. Until the concept of ``philosophy`` was established, its description and definition had depended mostly upon the traditional system of knowledge. Although a few examples existed in which ``philosophy`` was introduced and defined before 1900, they considered it not as universal learning but as a special learning which had developed in the West. It was around 1910 that Confucianism was conceived as one branch of modern learning and part of modern system of knowledge. Jang Ji-yeon was content just with defining and introducing philosophy, while Choi Du-seon analyzed, from various angles, the nature of philosoph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disciplines. At the beginning of the acceptance of Western philosophy, it was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thought as in Lee Jeong-jik and Lee In-jae`s understanding, but gradually, its understanding advanced towards re-interpreting Confucianism and traditional philosophy through the concept and mode of Western Philosophy. This development makes us pay more attention to the addresser`s activeness and independence in the structure of addresser and addressee. Gang Chun-san`s『東洋道學의 體系如何』(Genealogy of Oriental Knowledge System) was the first ``history of Eastern philosophy``, which described equally Hundred Scholars of Thought(諸子百家) in a syntactic frame. Positive aspects of the addressee are evident in An Hwak`s『朝鮮哲學思想槪觀』(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which makes a general survey of Korean history of thought. The reality of ``importer philosophy`` has hardly changed, though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loud call for self-examination against the academic climate in which many bow to the West. It is not easy to change our perspective which has been stamped and fixed for over a hundred years. The traditional philosophy also has not found any possible point of communication with modern philosophy, and its discontinuous continuity was endured. To dissolve the antagonism of philosophy exposed to ``the past of the present`` like this, it is more than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present of the past``. Furthermore, we will be able to conceive the whole story of Korean thought in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beyond a kind of estrangement and distortion which appeared in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philosophy only when our focus is placed not on the viewpoint of the addresser but on the activeness of the addressee.

      • KCI등재

        니체와 용수(龍樹): '영원회귀'에 대한 고찰

        진은영 철학연구회 2004 哲學硏究 Vol.0 No.66

        문】니체의 영원회귀 사상은 신 개념과 근대 과학에 내재한 실체론을 극복하기 위한 반실체론적 기획이다. 영원회귀라는 개념은 제일원인인 신 개념의 실체성을 거부할 뿐만 아니라, 근대 과학의 선형적 인과성이 지닌 실체성도 비판한다. 본 논문은 니체의 시적이고 암시적인 단편들 속에 표현된 영원회귀의 반실체론적 면모를 밝히기 위해 용수의 중론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중론에서 용수는 아비달마 불교의 대표적 일파인 설일체유부의 인과적 연기론을 비판하며 인과의 상호의존성을 의미하는 공(空) 사상을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공(인과의 상호의존성)의 관점에서 시간을 고찰할 때 우리는 시간에 대한 근대과학의 실체론적 이해를 벗어난 새로운 이해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영원회귀가 반복의 원리이면서 동시에 변화와 생성의 원리라는 니체의 역설적인 주장에 담긴 반실체론적 함축을 이해할 수 있다.Ⅰ. 서론: 니체와 용수의 비교의의니체는 초기에는 불교를 ‘데카당스한 종교’(비극의 탄생)로 비판하였지만 안티크리스트와 같은 후기저작에서는 제한적이나마 불교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불교는 기독교와 달리 “원한감정을 가지지 않고” “정신적 섭생”을 관리하고 통제함으로써 고통을 제거하는 위생학적 측면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평가해볼 때 그의 불교 이해는 19세기 유럽지식인의 일천한 이해 수준과 제한된 견해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니체의 철학은 그러한 제한과 오해를 넘어 불교적 사유와 그 자신이 의도하지 않았던 만남을 가지게 된다. 이 두 사유의 빛은 ‘차이와 생성의 긍정’이라는 초점으로 모이고 다시 그 초점을 지나쳐 상이한 방향으로 분광한다.본 논문은 이들 사유가 분광하는 측면보다는 일단 서로 상이한 시공간을 거쳐 생성철학의 문제의식 속에서 철학적 사유의 초점을 형성하는 과정을 검토하는 것으로 그 목적을 제한할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선택된 불교사상가는 A.D. 2세기 인도의 승려철학자 용수이다. 그의 중론에 나타난 공 사상은 차이와 생성을 긍정한다는 점에서 니체의 철학과 깊은 친화성을 지녔다. 중론은 일종의 논파서로서 동일성의 철학과 실체론의 옹호자들에 대항하여 생성, 차이를 긍정하려는 철학이 해명해야 할 지점들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중론의 이러한 스타일은 니체의 시적이고 문학적인 스타일 속에서 모호하게 남아있거나 자주 오해되곤 하는 니체 철학의 핵심개념들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도구들을 제공한다.攀니체와 불교의 친화성 연구는 불교에 대한 통속적 오해를 제거하는데도 역시 큰 역할을 한다. 불교를 비롯한 아시아적 사유에 대한 허무주의적 오해를 제거하기 위해 니체철학을 사용하는 생산적 독법의 가능성이 이미 제기된 바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고할 것. 이진우, 니체와 아시아적 사유, 철학연구 제53집, 철학연구회, 220쪽.攀攀특히 중론은 인과론(因果論)에 대한 정확하고 강력한 비판을 통해서 니체철학의 이해에 기여한다. 인과론은 니체가 근대적 니힐리즘의 가장 전형적 현상으로 파악하는 과학적 사유의 토대라는 점에서 인과론 비판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리는 그 비판의 과정에서 니체 철학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 중 하나인 영원회귀가 실체론적 인과성을 거부하는 사유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근대적 니힐리즘을 극복할 수 있는 새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