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학교육의 효과와 그 비용 부담 -실태 및 정책 방향-

        이차영 ( Cha You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문화연구 Vol.19 No.2

        대학교육에 드는 비용을 누가 어느 정도로 부담하는 것이 합당하가 하는 문제는 사회적 논쟁거리이고 중요한 학술적 주제이지만, 그간 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추적하는 작업은 취약하였다. 이 문제의식에 따라, 이 연구는 실증적 자료를 토대로 대학교육의 비용-효과 실태 분석을 시도하였다. 남성의 경우 대졸자가누리는 개인적 효과의 비중에 비해 그가 부담하는 사부담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고등교육비의 공부담 비중에 비해 공적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설립유형에 따라서는, 국공립대 학생들이 사립대학 학생에 비해 등록금 대비 교육 서비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불균형의 해소를 위해, 고등교육의 공/사 효과와 공부담/사부담의 연동, 고등교육비의 설립자 부담 및 수익자 부담 비율의 설립유형별 연동, 학생 1인당 교육비와 학생 1인당 등록금의 연동이라는 주요 원칙에 입각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roblem that who should load the cost of university education in what degree has been a hot social topic and academic issue. There have been many subjective assertions about the problem with simple sense of justice. This study starts with the notion that academic discussion about the problem should be based on objective data and theoretical rationality. In accordance with this notion, this study searched and examined the statistical data concerning the cost and benefit of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 Data shows that the ratio of private cost of university education exceeds the ratio of private benefit from university graduation in case of man. Whereas, the ratio of public benefit from university graduation is lower than the ratio of public cost of university education in case of woman. In the type of university foundation, public university student receives as much educational services from his/her university as private university student at the relatively lower tuition fee. In order to recover these disparities, deliberate policies are proposed in this study on the following principles; linkage of the public/private cost ratio of university to the public/private benefit ratio from university graduation, linkage of the founder/benefit-recipient load ratio of public university expenditure to that of private university expenditure, and linkage of the tuition fee level per capita to the educational expenditure per capita.

      • KCI등재

        일반논문 : 교사의 자기연구(Self-Study) 필요성 탐색

        이혁규 ( Hyug Kyu Lee ),심영택 ( Young Taek Shim ),김남수 ( Nam Soo Kim ),이현명 ( Hyun Myou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문화연구 Vol.18 No.2

        오늘날 교육자의 교육 실천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자기 연구(self-study)가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K교대 교육연구원의 연구팀들이 자기연구에 대한 연구물들을 독해하는 과정에서 어떤 질문을 제기하고 무엇을 배웠으며 어떤 이해를 생성해 가고 있는지를 드러내는 글이다. 글의 전체 구조는 <만남> - <탐색> -<전망>으로 되어 있다. 첫 번째 <만남>에서는 상이한 교수및 연구 경험을 지니고 있는 우리들이 어떻게 자기연구라는 공부와 인연을 맺게 되었는지를 주로 개인적 내러티브 형태로 기술하였다. <탐색>에서는 K교대 교육연구원에서 매주 열리는 공부 모임에서 자기연구(self-study)에 대한 연구물을 읽으면서 함께 경험한 일종의 개인적이고 공동체적인 독해의 과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망>에서는 자기연구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실천이 심화될 경우 교사 교육자로서의 우리의 실천 및 K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의 현장 개선을 위한 연구 프로젝트에 어떤 새로운 모색이나 변화가 일어날지를 전망해보았다. 교사의 교육 실천의 변화를 위해서 시작한 자기연구는 대학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또 다른 교사로서의 우리의 실천에 대해서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자기연구에 대한 글을 읽는 과정은 다른 사람의 교육 실천의 변화를 촉진하기 이전에 우리 자신의 교육 실천을 돌아보도록 요구받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즉, 자기연구에 대한 글들을 통해서 우리는 교사로서, 예비 교사 교육자로서, 교사 교육자로서, 대학 연구자로 우리 자신과 우리가 변화를 촉진코자 하는 학교 현장과의 관계에 대해서 다각도로 성찰하게 되었다. One of the most interesting emerging research methods in teacher education is self-study as a means of improving the practice of teaching. This study was about the process of interpreting professional literatures related to self-study by research team members in K university of education.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what questions were raised, what was learned, and what was understood. This study consists of ``meeting-inquiring-prospecting``. First, ``meeting`` was about a description with a narrative form of how we who had the widely different experiences of teaching and research were able to engage in self-study. Second, ``inquiring`` was addressing interpreting processes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experiences in a study group of K university of Education in a every week. Last, ``prospecting`` was searching for new ways or changes in our research project, improving the practice of teaching if our understanding and practice were deepened in self-study. Self-study initiated in the change of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s offered us whom we taught in colleges of education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our own practice of teaching. During reading professional literatures of self-study, we realized that we were required reflecting on our educational practices, prior to facilitating changing others` educational practices. In other words, we as teacher, pre-service teacher educator, teacher educator, and educational researcher were necessary to reconsider relationships with schools that we were trying to facilitate their changes and to reeducate ourselves through reading professional literatures related to self-study.

      • KCI등재

        교과-비교과 연계 교육과정(Co-Curriculum)이 학생의 전공역량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D대학교 공과대학 ‘일반수학2’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정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3

        In recent college education, the importance of informal curricular activities in addition to formal curricular has been emphasized. Differences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are gradually disappearing as extra-curriculum are activated. Accordingly, the concept of informal curricular activities is expanding from the concept of extra-curriculum that means a curriculum other than a formal curriculum, to the concept of co-curriculum, which is a curriculum that cooperates with formal curriculum. Therefore, in order to cultivate students’ competency for future society,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college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design and operate the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so that they can be interconnect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showing the effect of coopera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through specific practices. I analyzed the case of coopera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at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pursue the effective cooperation between the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some active linkage methods were introduced, such as close dialogu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master lecturers, compulsory participation in the informal curriculum, and reflection of the results of participation in the informal curriculum in student’s credit. This is different from the findings reported in most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r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students' major competency growth. The knowledge utilization competency, logical thinking competen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o-curriculum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t was also found that the clas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o-curriculum was very high. 역량중심 교육의 강조에 따라 대학 교육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비교과 프로그램이대학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있다. 비교과 프로그램의 활성화에 따라 점차적으로 정규 교육과정과 비정규교육과정 간 차이가 축소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념이 교과활동 이외의 과정이란 의미의Extra-Curriculum 개념에서 정규 교과교육과 함께 하는 교육과정 즉 Co-Curriculum의 개념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대학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미래형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정규 교육과정과 비교과 교육과정이 상호 연계성을가질 수 있도록 설계하고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공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의 연계 사례를 분석하여제시함으로써, 연계 교육의 중요성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소재 D대학교에서 최근에 실시한 교과-비교과연계 형태의 수업 성과를 분석하였다. 교과 담당자와 비교과 담당자 간의 긴밀한 대화와 협력, 전공 교과 수강생의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강제, 비교과 참여 결과의 전공 학점 반영 등 적극적 연계 방식을 도입하였다는 점에서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사례들과는 차별성이 있다. 분석 결과 교과-비교과 연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전공역량성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지식활용역량, 논리적사고역량, 창의적문제해결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비교과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분석 연구: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강경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teaching capacity of professor based on the paradigm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focusing on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lifelong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First,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and the university ed 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re closely related to the education system, the education subject, and the curriculum. Second,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re as follows. The space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in connection with online space and offline space. The university education in transition, commutator period to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to revitalize the learning using MOOC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nd the activation of the blended learning lecture for strengthening lifelong educ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The subjects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in various generations from adolescence to old age. The university education in transition, commutator period to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 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as activ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nd activation of the generation community for strengt hening lifelong educ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The types of learning of university ed ucation in the fourth ind 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the fusion compound learning of formal leaning and formal learning, formal learning and non-formal learning. The university ed ucation in transition, commutator period to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a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fusion compound class related to major class, liberal arts class and non-formal class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fusion compound class related to university and local authority for activation of lifelong learning. Third, the capacity of professor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re as follow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teaching capacity of professor appeared as the teaching capacity of blended learning class, counseling capacity and development capacity of the fusion compound class(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teaching capacity of the professor based on the paradigm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토대로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 평생교육, 대학교육과 관련된 문헌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과 대학교육 패러다임은 교육제도, 교육주체, 교육과정에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공간은 온라인 공간과 오프라인 공간의 연계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과도기, 전환기의 대학교육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MOOC활용 학습의 활성화, 대학교육의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 강좌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대상은 청소년기부터 노년기까지의 다양한 세대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과도기, 전환기의 대학교육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활성화, 대학교육의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세대공동체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학습 유형은 형식 학습과 형식 학습, 형식 학습과 비형식 학습의 융복합 학습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과도기, 전환기의 대학교육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전공 강좌, 교양 강좌, 비교과 강좌 연계 융복합 강좌 개발․운영, 대학교육의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대학과 지역 기관 연계 융복합 강좌 개발․운영으로 나타났다. 셋째, 4차 산업혁명시대에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기의 대학교육에서 요구하는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은 블렌디드 러닝 강좌의 강의 역량, 상담 역량, 융복합 강좌(프로그램) 개발 역량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토대로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문・이과 통합 및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최정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e study examin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scien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impact of these two systems on university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in several ways. First, the overall understanding level of teachers about integrated education of the literature and science in high school was high.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teachers' understanding on the purpose and contents of "integrated society" and "integrated science" newly established is relatively low. Second,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responded negatively or reservedly rather than positively to the questions which ask whether integration will be successful. As for the possibility of success, teachers who are working in autonomous high schools are more positive than those in general high schools. Third, the overall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is system,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core contents were both high. Nevertheless, teachers who showed negative attitudes about the possibility of institutional settlement were more likely than teachers who showed positive attitudes. Fourth, high school teachers did not consider linking with university education in performing educational activities. Nevertheless, the need to link high school education with college education was highly recognized. Fifth, many teachers answered that the university education will be influenced by the integrated education of the literature and science in high school. It was expected that the integrated education would affect both the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majo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Teachers raised the necessity that the contents of the newly established subjects like "integrated society" and "integrated science" should be linked to university education. Finally, many teachers thought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ould also affect college education, which they recognized as having a greater impact on major education than on liberal arts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about the influence of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n university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e velop policies for linking high school educa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이 논문은 최근에 도입된 고등학교 문·이과 통합교육과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그리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가 대학 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부 지정 연구학교와 선도학교 29개교에 재직 중인 교사 6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사들은 문·이과 통합 교육에 대해서는 5점 만점에 3.90점 수준으로, 고교학점제에 대해서는 3.86점 수준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이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두 제도의 정착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이거나 유보적인 태도를 보인 교사가 문·이과 통합의 경우 64.9%, 고교학점제의 경우 78.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교육성과와 대학 교육과의 연계성에 관한 질문에 대해 교사들은 그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그것을 고려하여 교육 활동을 하고 있지는 않았다. 문·이과 통합교육과 고교학점제 가 대학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는 다수의 교사가 긍정적으로 응답함으로써 우리나라 대학의 교육과정 개혁에서 두 가지 제도가 가져올 영향력에 유의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대학의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또한 우리나라에서 그 동안 학문적 관심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었던 고교-대학 교육의 연계 문제가 갖는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양과목으로서 비사범계 대학생들의 교육학 수업 수강 경험과 의미: A대학교 <인간삶과 교육>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임고운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non-education major students experience in Education class as the liberal arts, an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class as the liberal arts. Regardless of their major, college students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the exploration of education in their curriculum as a first step towards becoming lifelong learners. In this study, the “human life and education” class, operated as a key liberal arts course by University A in Chungcheong Province, was selected as an exampl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20, 44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class. The students wrote 10 reflection journals according to the topic, and seven applicants engaged in personal or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of this study, non-education major students’ experiences in Education class as the liberal arts were categorized as "integrating knowledge and practice on learning", "asking ‘why’ questions about things they were not interested in”, "imagining educational alternatives", and "exchanging empathy and differences”. Furtherm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ducation studies for them can be defined as "discovery of true purpose of learning", "critical acceptance of negative self-awareness", "solidarity for educational change", and "confidence in expressing subjective opinions on educational phenomena”.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과목으로서 비사범계 대학생들이 교육학 수업 수강을 통해 경험하는 것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육학 수업의 교양교육적 의의와 발전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대학생들은 평생학습자로 나아가는 첫 단계로 전공 분야와 상관없이 누구나 교육에 대한 탐구가 교육과정 안에서 충분히 경험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권 소재 4년제 A대학교에서 핵심교양과목으로 운영하고 있는 <인간삶과 교육> 교과목 수업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2020년도 2학기에 해당 과목을 수강한 비사범계열 1~4학년 대학생 44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이들이 총 10회에 걸쳐 작성한 성찰저널과 이중 면담에 동의한 7명의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양과목으로서 비사범계 대학생들의 교육학 수업 수강 경험으로는 ‘학습에 관한 지식과 실천 통합하기’, ‘무관심했던 것에 ‘왜’ 질문하기’, ‘교육적 대안 상상하기’, ‘공감과 차이 주고받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범주화되었다. 그리고 비사범계 대학생들이 인식한 교양과목으로서 교육학 수업 수강 경험의 의미로는 ‘진정한 배움의 목적 발견’, ‘부정적 자아인식의 비판적 수용’, ‘교육 변화를 위한 연대의식’, ‘교육 현상에 관한 주관적 의견 표현의 자신감’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교양과목으로서 교육학 수업이 비사범계열 대학생들에게 스스로 사고하는 힘을 기르는 지적 성장 도모, 교육 경험을 해석하는 개념적 수단 제공, 교육 문제해결을 위한 민주적 소통의 장이라는 교육적 의의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교양과목으로서 교육학 수업에 대한 후속 연구과제와 대학에서의 실천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의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재학생과 교원의 인식 비교 연구: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명화 ( Jin Myunghwa ),이형주 ( Lee Hyeung 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효성 있는 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대학의 융합교육을 고찰하고 재학생과 교원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여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9년 8월-9월 중 약 한달 간 A대학 재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융합교육에 대한 설문조사와 FGI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재학생 1,732명, 교수 187명의 응답지를 확보하였으며,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FGI는 학생과 교원 총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FGI 내용은 전사하여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융합교육에 대한 고찰, 교원과 재학생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대학에서의 융합교육에 대한 요구도 등으로 수렴된다. 본 연구는 대학의 융합교육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융합교육이 원활히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교육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to explore ways to promote convergence education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professors on convergence education to conduct effective convergence education at universities. FGI and survey on convergence education were conducted for a month in 2019. 1,732 students and 187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32 participants including professors and students in total participated in FGI,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consideration about convergence education, comparis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convergence eduaction, demand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fundamental research that presents directions for convergence education reflecting on the needs of university stakeholders.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대학몰입과 학습참여가 교양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소영,정연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one attempt to improve of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and to provide college freshmen with the most required educational experience,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llege freshmen’s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student engagement on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o do so, from 20th May 2019 to 31st May 2019, 465 freshmen enrolled in I College(4-year-course college) located in Incheon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student engagement’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personal variable were compared, and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 field’, and that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involved in the engineering and other fields was higher than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involved in the humanities field. Secondly, it was found that not only ‘institutional commitment’, but also ‘student engagement’,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irdly, it was found that 38% of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as explained by not only ‘institutional commitment’, but also ‘effective teaching’ and ‘integrative learning’, sub-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a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lative contribution, it was found that ‘effective teaching’ had the highest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and that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having the second and the 'integrative learning' having the third highest influences on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의 질적 제고를 도모하고, 신입생에게 가장 필요한 교육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시도로,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몰입과 학습참여가 교양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2019년 5월 20일부터 2019년 5월 31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 대학의 신입생 기초필수교과목 수강자 중자발적 참여자 465명을 대상으로 대학몰입과 학습참여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교양교육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하여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 비교를 위해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서는 교양교육 만족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에 따라서는 교양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학계열과 기타계열의 교양교육 만족도가 인문계열의 교양교육 만족도보다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몰입과 학습참여는 교양교육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교육 만족도의 38%를 대학몰입과 효과적 교수, 통합적 학습이 설명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기여도를 확인한 결과 효과적 교수, 대학몰입, 통합적 학습 순으로 교양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차봉은,손민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that check the operation of medical school curriculum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of medical school education.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from Sept. 18, 2018 to April 5, 2019. The initial questions were based on the ASK2019 certification standard from the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Medical Curriculum, and the questions were sorted out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the evaluation model of education program (curriculum). According to the Delphi survey, the context evaluation, the first stag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may include two factors: demand analysis and goal setting, and 11 assessment questions, while the second stage, Input evaluation, was evaluated with 29 questions and three factors: education operation planning and organization, education support system and learning environment. The third stage, Process Evaluation, was organized into three factors: curriculum operation, education operation support, and 22 assessment questions, and the final stage, Product Evaluation, was compiled into three factors: student’s capacity, Professor’s capacity, and reflux system, and 13 assessment questions. 본 연구는 의과대학 교육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을 점검하는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델파이 조사는 2018년 9월 18일부터 2019년 4월 5일까지 3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초기 문항은의학교육 관련 문헌과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ASK2019 인증기준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교육프로그램(교육과정) 평가모형인 CIPP 평가모형의 단계에 따라 문항을 정리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 CIPP 평가모형의 첫 번째 단계인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는 요구분석과 목표설정이라는 두 가지 요인과 11개의 평가 문항으로 정리되었으며, 두 번째 단계인투입평가(Input evaluation)는 교육운영계획 및 구성, 교육지원체계, 학습환경 이라는 세 가지 요인과 29개의 평가 문항으로정리되었다. 세 번째 단계인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는 교육과정운영, 교육운영지원, 학생평가라는 세 가지 요인과22개의 평가 문항으로 정리되었으며, 마지막 단계인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는 학생역량, 교수역량, 환류체제라는세 가지 요인과 13개의 평가 문항으로 정리되었다.

      • KCI등재

        혁신교육과정 기반 핵심역량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권순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따라 미래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부에서 시행한 ‘4차 산업혁명혁신선도대학’ 사업에 선정된 A 대학의 교육과정 혁신 모델에 필요한 핵심역량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주요 목적으로수행되었다. A 대학의 혁신교육과정 모델에는 공과대학 3개 학과가 참여하고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각 학과 교수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혁신교육과정에서 설정된 4C 역량과4D 역량의 개념적 정의를 기반으로 예비 문항을 개발하고, 소속 학과 교수 26명을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 검증을실시하였다. 둘째,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 및 보완된 문항을 사용하여 혁신교육과정에 참여하는 학과 소속학생 240명을 임의 표집하여 예비설문을 실시하였다. 예비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고, 그결과를 바탕으로 문항 내용을 추가 수정 및 보완하였다. 셋째, 예비 설문을 통해 수정 및 보완된 문항을 사용하여학기 초에 해당 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1차 본설문을 실시하고, 그 자료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판적 사고, 소통능력, 창의력, 협업능력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4C 역량과 디자인씽킹, 디지털 도구활용,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융합, 의사결정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4D 역량 척도는 모형 적합도를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기 말에 2차 본설문을 실시하고 혁신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새롭게 운영되고있는 강의를 들은 학생과 일반 강의를 들은 학생을 대상으로 집단 간 역량과 수업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결과 혁신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운영된 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이 일반 강의를 수강한 학생에 비해 4C 역량 가운데창의력과 모든 4D 역량, 그리고 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새로운 척도가 학생들의 관련 역량을측정하는 데 유용한 척도로 활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A대학의 교육과정 혁신 모델운영에 따른 교육적 효과 측정과 학생들의 역량 특성 분석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했다는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부가 관련 사업을 통한 교육과정의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점을 고려해 볼 때, 새로운 척도는 혁신교육과정의 확산 운영에 따른 교육성과 측정 도구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는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