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심정맥포트 챔버용량이 포트 폐색에 미치는 영향과 r-tPA의 효과에 대한 후향적 연구

        김시흥(Si Heung Kim),안승원(Seung Won An),김상현(Sang Hyeon Kim),김영주(Young Joo Kim),남규석(Gyu Suk Nam),조장우(Jang Woo Jo),대창민(Chang Min Dae)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24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7 No.1

        목적: 중심정맥포트 챔버 용량이 포트 폐색에 미치는 영향과 중심정맥포트 폐색의 주요 원인인 Thrombosis와 Fibrin sheath에 대한 혈전용해제 (Recombinan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r-tPA)의 효과와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본원의 연구심의위원회의 후향적연구로 승인 받았으며, 연구 대상은 2020년 10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본원에서 중심정맥포트 삽입 시술을 받은 환 자 4,655명 중 생리식염수의 주입 및 regurge에 실패한 환자 1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제조사별 챔버의 용량과 그에 따른 고장율을 확인하였으며, 포트 폐색과 항암제와의 관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투여된 항암제의 종류 및 사용빈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능 고장 포트에 대한 r-tPA의 치료효과에 대한 평가는 치료 24시간 후에 중심정맥포트재 개통 여부에 따라 반응군과 비 반응군으로 구분하였으며, 두 군간의 포트 폐색의 위험인 자 (질병, 포트의 종류, 위치, 폐색 원인 등)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폐색에 대한 원인 인자 중 중심정맥포트별 (A~D) 챔버 용량 및 고장율은 각 각 A (0.2ml) : 3.4%, B (0.5ml) : 3.2%, C (0.6ml) : 1.8%, D (0.6ml) : 1.6%로 챔버의 용량이 큰 포트가 기능 고장률이 낮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p<0.023). 투여된 항암제의 종류는 37종으로 총 221회가 투여되었다. Fluorouracil 등 6종은 10회 이상 투여 되었으며, 그 외의 항암제는 10회 이하로 투여 되었다. 중심정맥포트 내 r-tPA 치료를 받은 56명의 환자 중 r-tPA 투여 24시간 후 재개통된 반응군은 46명(82%), 비 반응군은 7명(12.5%)이었으며 감염 등으로 인한 포트제거는 3명(0.5%)이었다. 반응군과 비 반응군 두 군간의 비교에서 질병, 포트의 종류 및 위치 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폐색 원인에 대한 결과에서 CRT(Catheter relrated thrombosis)는 94.4%(총 18명 중 반응 군 17명), CBRT(Chamber related thrombosis)는 100%(총 22명 중 반응군 22명),Fibrinsheath는 25%(총 8명 중 반응군 2명) 로 CRT와 CBRT 에 비해 Fibrin sheath 의 재개통율이 낮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결론: 중심정맥포트 삽입 시 큰 용량의 포트를 사용한다면 헤파린의 점적량이 많아짐에 따라 기능고장률이 줄어 장기적인 포트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폐색으로 인한 중심정맥포트 기능 고장 시 혈전용해제 r-tPA를 이용한 포트 재개통은 매우 효과적이며, 기능 고장 원인 중 CRT와 CBRT는 Fibrin sheath에 비해 더욱 효과적으로 재개통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effect of central venous port chamber capacity on port obstruction and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the Recombinan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r-tPA) on Thrombosis and Fibrin sheath, which are the main causes of central venous port obstruction. METHODS: This study was approved as a retrospective study by the Research Review Committee of our hospital,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5 patients who failed to inject or regenerate physiological saline out of 4,655 patients who underwent central venous port insertion procedure at our hospital from October 2020 to October 2023. The capacity of each manufacturers chamber and the corresponding failure rate were checked, and the type and frequency of use of anticancer drugs administer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ort obstruction and anticancer drugs were checked.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the therapeutic effect of r-tPA on the dysfunctional port was divided into a reactive group and a non-responsive group according to the resumption of the central venous port after 24 hours of treatment, and the risk factors of port obstruction (disease, port type, location, cause of obstruction, etc.)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 Among the cause factors for obstruction, the chamber capacity and failure rate by the central venous port were A (0.2 ml) : 3.4%, B (0.5 ml): 3.2%, C (0.6 ml) : 1.8% and D (0.6 ml): 1.6%, and the port with a large chamber capacity showed a low failure rat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23). There were 37 types of anticancer drugs administered, a total of 221 times were administered. Six types including Fluorouracil were administered more than 10 times, and other anticancer drugs were administered less than 10 times. Of the 56 patients who received r-tPA treatment in the central venous port, 46 (82%) patients in the reaction group that resumed 24 hours after r-tPA administration, 7 (12.5%) in the non-reaction group, and 3 (0.5%) were removed due to infe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ease, type, and location of ports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reactive and non-reactive groups, and in the results of the cause of obstruction, 94.4% of CRT (17 out of 18 responders), 100% of CBRT (22 out of 22 responders), and 25% of Fibrin sheath (2 out of 8 responders),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CONCLUSIONS: If a large capacity port is used when inserting the central venous port, the functional failure rate decreases as the amount of heparin drip increases, so long-term port use will be possible. In addition, port re-opening using the thrombolytic agent r-tPA is very effective in case of central venous port function failure due to obstruction, and CRT and CBRT among the causes of functional failure are thought to be more effective than fibrin sheath.

      • 동맥경유 방사선색전술(TARE) 시 납 장갑(Lead glove)사용 유무에 따른 시술보조자의 피부선량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황현중,황장순,손정우,전창규,배용수,유명석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21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4 No.1

        목적 : 동맥경유 방사선색전술(transarterial radioembolization;TARE) 시 사용하는 Y-90(yttrium-90) 미세구(microsphere)의 제동복사선 측정과 납 장갑(Lead glove) 사용에 따른 시술보조자 손의 선량감소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방사능량이 다른 3개의 Therasphere Y-90 미세구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시술보조자 손과 높은 빈도로 접촉하는 차폐용기 측면과 아랫면으로부터 1cm 위치에 GM tube식 Surveymeter를 고정한 후 제동복사선을 측정하였다. 동일 조건에서 납 장갑 1개, 납 장갑 2개를 이용해 차폐 후 선량을 각각 5회씩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3개의 Therasphere Y-90 차폐용기 모두 측면이 아랫면보다 방사선량율이 높게 측정되었다. 측면에서 납 장갑 1개 차폐 시 최대 22.4% 선량 감소 효과가 있었고 납 장갑 2개 차폐 시 최대 29% 선량 감소효과가 있었다. 아랫면에서는 납 장갑 1개 차폐 시 최대 21.1% 선량 감소 효과가 있었고 납 장갑 2개 차폐 시 최대 26.9% 선량 감소효과가 있었다. 결론 : 동맥경유 방사선색전술시 선원을 취급하는 시술보조자가 납 장갑을 사용할 경우 제동복사선에 의한 불필요한 피폭을 저감시킬 수 있다.

      • 뇌동맥류의 측정방법에 따른 Volume과 % packing density의 비교 연구 : 3D Manual과 3D Auto측정 방법을 기준

        임옥균,황선문,김태일,이재영,윤진호,오제선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09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12 No.1

        목적 정확한 코일 % packing density 평가를 위해서는 뇌동맥류의 신뢰할 만 한 측정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뇌동맥류의 측정방법에 따라 뇌동맥류의 부피가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 그에 따른 코일 % packing density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8년12월23부터 2009년04월8일까지 뇌동맥류 코일색전술을 시행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성비는 남:4명 여:16명 이었으며 연령의 범위는 42세 ~ 72세의 분포를 보였다. 동맥류의 위치 분포는 Internal Carotid Artery(ICA) 8명 ,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A-COM) : 6명 ,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P-COM) 2명 , Middle Cerebral Artery(MCA) 2명, Vertebral Artery (VA) 2명이었다. 뇌동맥류의 부피 측정에 사용된 혈관조영장비는 Axiom artis zee (Siemens medical solution, Erlangen, Germany)를 이용하였다. 3D Auto 측정은 Syngo workplace(Siemens medical solution, Erlangen, Germany)의 ‘3D vessel volume analys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값을 얻었다. 3D Manual 측정의 공식은 ‘(π×동맥류 넓이×깊이×높이) / 6’에 대입하여 구하였다. % packing density는 ‘(코일의 부피 / 뇌동맥류의 부피)×100’ 공식에 대입하여 값을 구하였다.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window 조절 전ㆍ후의 혈관직경, 뇌동맥류 부피, % packing density를 비교하여 유의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Window 조절 전후 혈관직경은 5.7±7㎜와 4.4±7㎜로 유의하였다. (p < .00l) window 조절 전,후의 3D Manual 부피는 99.±103.0㎣와 71.5±81.5㎣로 유의하였고(p < .001) 3D Auto 부피는 101.1±127.4㎣와 79.6±93.2㎣로 유의하였다. (p = .019) 조절 전후의 Auto % packing density는 19.8±7.4㎣와 24.5±10.2㎣로 유의하였다. (p < .00l) (Tabell) 결론 Window 조절 전후의 3D Manual과 3D Auto의 뇌동맥류부피 및 % packing density의 유의 수준으로 볼 때 뇌동맥류치료평가에 오류를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고 사료된다.

      • 폐 경피적 침 생검술에서 저선량콘빔CT(CBCT)와 Collimation 적용에 따른 선량변화와 영상의 질 평가

        김준현,김진수,김찬민,김태일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6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19 No.1

        목적: 본 연구는 frame당 선량과 collimation을 변화시킨 두 가지 mode CBCT(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의 방사선량을 비교 · 분석하고 각 영상의 질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폐경피적 침 생검술(PCNA)을 받은 환자 중 CBCT를 시행 한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 신체질량지수(BMI) 구간에 따라 두 가지 mode(0.36μ㏉, 0.20μ㏉/frame CBCT)에서 CBCT를 시행받은 환자들의 면적선량(DAP)을 비교 · 분석하였다. 2) Rando phantom을 이용하여 두 가지 mode의 DAP를 비교 · 분석하였다 3) 0.20μ㏉/frame CBCT에서 collimation(0㎝, 5㎝, 10㎝) 크기에 따른 DAP값을 비교 · 분석하였다. 4) Rando phantom에 유리선량계를 삽입하고 두 가지 mode의 CBCT를 시행하여 장기 별 피폭선량과 전체 유효선량을 비교 · 분석하였다. 5) 자체 제작한 모형으로 두 가지 mode의 영상을 본원에서 개발한 AsanJ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호대 잡음비(SNR)와 대조도대잡음비(CNR)를 구하고 영상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과: 1) 0.36μ㏉/frame CBCT에 비해 0.20μ㏉/frame CBCT의 DAP 감소율은 BMI구간 20 미만: 68%, 20~25: 41%, 25 이상: 46%로 나타났다. 2) Rando phantom을 이용한 0.20μ㏉/frame CBCT의DAP 감소율은 40%로 나타났다. 3) 0.20μ㏉/frame CBCT에서 collimation을 적용한 DAP 감소율은 5㎝ collimation: 24.6%, 10㎝ collimation: 54%로 나타났다. 4) 장기 별 총 피폭선량의 감소율은 0.20μ㏉/frame CBCT: 49%, 0.20μ㏉/frame CBCT + 5㎝ collimation: 66.8%로 나타났다. 전체 유효선량의 감소율은 0.20μ㏉/frame CBCT: 53.8%, 0.20μ㏉/frame CBCT + 5㎝ collimation: 65.8%로 나타났다. 5) 두 가지 mode의 CBCT 영상에서 측정된 SNR, CNR의 평균값은0.36μ㏉/frame CBCT에 비해 0.20μ㏉/frame CBCT가 SNR은 56%, CNR은 56.5% 감소하였다. 결론: PCNA 시술 시 frame당 선량을 낮춘 0.20μ㏉/frame CBCT와 collimation 적용 시에 의미 있는 수준의 방사선 피폭선량 감소가 있었다. 그리고 frame당 선량이 감소하면 SNR과 CNR도 감소하는 비례관계에 있으므로 이를 인지하고 경우에 따라 알맞은 CBCT의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관상동맥에서 스텐트 시술 후의 혈관크기에 따른 동맥경화 성분 분석

        김기환,이성우,유기원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0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13 No.1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최소 스텐트 면적(MSA Minimum Stent Area)이 5㎟ 이하일 때 시술을 받은 환자에 있어서 예후가 좋지 않다는 연구가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SA 크기에 따른 혈관 내 동맥경화 성분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원 심장센터에서 165명의 환자 191개의 병변을 대상으로 스텐트 삽입술 후 가상조직 혈관 내 초음파(VH-IVUS Virtual Histology Intravascular Ultrasound)를 이용한 MSA측정 후 5㎟를 기준으로 나누어 시술 전 MSA 위치에 해당 하는 동맥경화 성분을 분석하였다. MSA 5㎟(n=72)이하 그룹에서는 나이 62.32±10.22, 스텐트길이(㎜)23.04±6.76, 관상동맥질환 수 1.94 ±0.76, MSA=5㎟(n=119)에서는 나이 60.46±12.83, 스텐트길이(㎜)20.02±6.00, 관상동맥질환 수 1.84 ±0.81이었다. MSA 5㎟미만에서는 5㎟이상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나이, 스텐트길이, 관상동맥의 질환 수, Calcium의 비율이 크게 측정되었으며 Lumen Area(㎟)는 작게 측정되었다.(표) MSA 5㎟이하의 Target vessel에서 MSA 5㎟이상의 혈관보다 Calcium성분이 더 침착 되어 스텐트의 확장성이 감소 되었으며, High pressure balloon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