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외선 살균이 고로쇠 수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최수빈(Su Bin Choe),한상진(Sang Jin Han),한억희(Ouk Hee Han),김학수(Hak Su Kim),강성태(Sung Tae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

        고로쇠 수액을 효과적으로 살균하기 위해서 총 18가닥의 PFA 불소수지 튜브와 총 30개의 자외선램프(총 1,170 W)로 구성된 자외선 살균기를 제작하고 여과된 고로쇠 수액을 통과시켜 살균하여 미생물 살균효과 및 품질변화를 평가하였다. 여과된 고로쇠 수액(FAS)은 여과전 수액(AS)과 비교하였을 때 일반세균수가 81%, 진균수가 54% 감소하였고 관능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속을 달리하여 자외선 살균한 시료들(SAS)은 852 mL/min와 1,358 mL/min의 유속에서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진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출력을 달리하여 자외선 살균한 시료들(SAS)은 390W 이상의 출력에서 모든 미생물의 살균이 가능하였다. 일반적으로 SAS가 AS 및 FAS와 비교하였을 때 관능적으로 상대적으로 좋지 아니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p<0.05), 852~1,358 mL/min의 유속에서 390 W 출력으로 살균하는 것이 다른 SAS에 비하여 관능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관능적으로 양호한 품질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자외선 살균조건으로 확인되었다. 자외선 살균 전후의 pH, 산도, 당도 및 색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살균 전 시료(AS, FAS)와 자외선 살균 후의 시료(SAS)들 사이에 유의적 차이(p<0.05)가 없어 여과 및 자외선 조사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n ultraviolet (UV) sterilization system was developed to decrease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n filtered Acer mono sap (FAS). The Acer mono sap (AS) was passed through 18 strips of PTA fluoroplastic tubing with 30 UV lamps (total 1,170 W). During passage, the AS was effectively exposed to the UV rays. The total bacteria, coliform group and fungi were sterilized at a flow rate ranging from 852 to 1,358 mL/min and a UV power higher than 156 W. Although the sensory score of the UV-sterilized A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untreated AS, the sensory score was better under the condition of 390 W and 852~1,358 mL/min than under the other conditions examined. ANOVA did not reveal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total acidity, sugar content and color characteristic under all conditions tested (p<0.05). Considering the overall attributes of the AS quality, the optimum sterilization condition was determined to be 390 W and 852~1,358 mL/min.

      • SCOPUSKCI등재

        상산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안정성 조사

        최수빈(Su-Bin Choe),강성태(Sung-Tae Kang)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1

        상산나무 잎의 항미생물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산나무 잎을 메탄올, 70% 에탄올, 65oC 열수로 추출하였고 각각의 추출물에 대하여 13종의 미생물에 대하여 항미생물 활성을 paper disc diffusion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4개 균주 S. mutans, B. cereus, S. aureus, P. aeruginosa가 메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clear zone을 형성하여 추출물에 의하여 생육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methanol 추출물이 70% ethanol 추출물에 비하여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이에 methanol 추출물을 극성이 다른 여러 용매로 분획추출하고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dichloromethane 분획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다른 분획물인 n-hexane, ethyl acetate, butanol, water 분획물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가장 활성이 크게 나타났던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보인 4개의 균에 대하여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S. mutans, S. aureus, P. aeruginosa는 추출물의 농도가 49.22 mg/mL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B. cereus의 경우 24.61 mg/mL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 mutans, B. cereu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한 dichloromethane 분획물의 최소저해 농도는 각각 3.31, 0.21, 1.7, 1.7 mg/mL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pH에 대한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H 3, 7, 11로 조절하여 1-3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항균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고 열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80, 100℃에서 1-6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고 120℃ 처리한 경우 항균활성이 약간 저하되었으나 항균활성이 완전히 실활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상산나무 잎 methanol 추출물은 열과 pH에 비교적 안정하여 식품의 가공 처리에도 적합한 천연 식품첨가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Orixa japonica Thunb. leaf extract towards 13 microorganism strains was evaluated. Both methanol (MEex) and 70% ethanol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towards Streptococcus mutans,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MEex showed a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the 70% ethanol extract. In addition,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DCMfr) of the MEex also had an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the microorganisms examine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towards S. mutans, B. cereus, S. aureus, and P. aeruginosa were 49.22, 24.61, 49.22, and 49.22 mg/mL,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MICs of the DCMfr tpwards S. mutans, B. cereus, S. aureus, and P. aeruginosa were 3.31, 0.21, 1.7, and 1.7 mg/mL, respectively. The MEex antimicrobial activity was not affected by a 3 h exposures to pH in the range of 3-11 or by temperatures were maintained between 80℃-100℃ for 6 h. However, the MEex antimicrobial activity decreased at a heat treatment of 121℃ 1 h.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감염환자에서 발병한 악성종양

        최평균,송진수,조재현,김성한,박경화,방지환,박완범,김홍빈,김동완,김태유,허대석,오명돈,김남중,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Background : Since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has lengthened the life span of individuals infected with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the importance of malignancy associated with HIV has been increased. The relative frequencies of malignancies in HIV infected patients may vary in different race and reg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malignancies in patients with HIV infection in South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To identify HIV patients with malignancy, we reviewed the electronic database of pathological reports for all HIV-infected patients seen from January 1986 to December 2005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m. Results : Among 850 patients infected with HIV, 33 episodes of malignant diseases were diagnosed in 32 patients (3.76%). Thirty were males, and median age was 46 years (range 29-70). At the time of the diagnosis of malignancy, median CD4^(+) lymphocytes count was 100/uL (range 5-620) and in 27 (82%) patients, CD4^(+) lymphocytes count were less than 200/uL. For 13 patients (40%), malignancy was initial presentation of HIV infection. Excluding patients initially diagnosed as malignancy, median follow-up duration from the first visit to diagnosis of malignancy was 36 months (range 3-96). Non-Hodgkin's lymphoma was the most frequent malignancy (13 patients), followed by Kaposi's sarcoma (7), Hodgkin‘s disease (3), acute myeloid leukemia (1), and other solid cancer (9) including one case of anal cancer associated with human papillomavirus. Among 13 patients with non- Hodgkin's lymphoma, 4(31%) achieved the complete remission after chemotherapy and/or radiation therapy, and had been followed without evidence of recurrence. Conclusion : Malignancy was diagnosed in 3.76% of patients infected with HIV. Non-Hodgkin‘s lymphoma is the most prevalent malignancy in HIV patients in South Korea. 목적 : 효과적인 항레트로바이러스 다제요법이 도입됨에 따라, HIV 감염환자들의 수명이 증가되었고, 이에 따라 HIV 감염환자에서 악성종양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HIV 감염환자에서 악성종양의 유병률과 호발하는 악성종양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 1986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HIV 감염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병리학적 검사 결과를 검토하여 악성종양이 진단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총 850명의 환자 중, 32명(3.76%)에서 33예의 악성종양이 진단되어, 악성종양의 발병률은 1,000인년 당13.0명(95% 신뢰구간: 8.6∼17.4명)이었다. 그 중 남자는 30명이었고, 악성종양 진단 당시 연령의 중간값은 46 (29-70)세이었다. 악성종양 진단받을 당시, CD4 림프구 수의 중간값은 lOO/uL (5-620 uL) 이었고, CD4 림프구수가 200/ uL 미만인 환자가 27명(82%)이었다. 악성종양에 대한 검사 도중에 HIV 감염사실이 밝혀진 환자가 13명(40%)이었다. HIV를 진단 받은 후 악성종양이 발병한 환자들에서, HIV 진단 후 악성종양의 발병까지는 평균 36개월(3-96개월)이 걸렸다. 13명의 HIV 감염 환자에서 진단된 비호지킨림프종이 가장 흔한 악성종양이었고, 이외에 카포시육종이 7명, 호지킨병이 3명, HPV와 연관된 항문암이 1명의 HIV 환자에서 진단되었다. 그 밖에 급성백혈병, 방광암, 췌장장, 폐암, 진행성위암, 갑상선암, 간세포암, 후두암이 각각 1예씩 진단되었다. 비호지킨림프종이 진단된13명 환자 중, 4명(31%)은 항암치료 및 방사선치료를 받아 완전관해가 되었고, 현재 재발의 증거 없이 외래에서 경과 관찰 중이다. 결론 : 우리나라 HIV 감염환자에서 악성종양의 유병률은 3.76%이었고, 비호지킨림프종이 가장 흔한 악성종양이었다.

      • KCI등재후보

        l-myc Polymorphism in Gastric Cancer, Lung Cancer, andHepatocellular Carcinoma

        Min Su Park,Sae Bin Jung,Yeon Hee Park,Bong Seog Kim,Hyun Ju Park,Hee Jae Lee,Soon Ae Kim,Bong Keun Choe,Joo Ho Chung 대한암학회 2002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34 No.6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e if a particularpolymorphism in the l-myc, a nuclear oncogene at the1p32 locus, might be associated with greater risk ofgastric cancer, lung cancer and hepatocellular carcinomas(HCC) in Korean patients.Materials and Methods: Genomic DNA, derived frompatients diagnosed with gastric cancer (n=57), lungcancer (n=39), HCC (n=35) and healthy individuals (n=176), was examined. The l-myc polymorphism understudy was visualized by PCR followed by EcoRI digestion.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distribution of the l-myc polymorphism genotypes andallele frequencies between the cancer patients and thecontrols.Conclusion: The l-myc polymorphism does not appearto be indicative of elevated risk of cancers of the stomach,lung and HCC. (Cancer Res Treat. 2002;34:436-438)

      • KCI등재후보

        국내 다기관에서 조사한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빈도와 임상적 특성

        송진수,최평균,송경호,조재현,김성한,방지환,이창섭,박경화,박경운,신수,최희정,김의석,김동민,이미숙,박완범,김남중,오명돈,김의종,김홍빈,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목적 :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MRSA)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CA-MRSA 감염증에 대한 증례보고만 있을 뿐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CA-MRSA의 빈도, 감염증의 임상적 양상, 분리된 균주의 항균제내성 양상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5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7개 병원에서 MRSA가 분리된 환자의 명단을 파악한 후 의무기록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검토하였다. 외래나 응급실에서 혹은 입원 후 72시간 이내에 균주가 분리되고 MRSA 획득과 관련된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CA-MRSA로 정의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임상적 의미에 따라 원인병원체(pathogen), 집락화(colonizer), 미결정(undetermined)으로 분류하였다. Penicillin과 oxacillin을 제외하고 3개 이상의 다른 계열 항균제에 내성이면 다제내성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연구기간동안 총 3,251주의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 MRSA는 1,900주(58.4%)였다. MRSA 가운데 CA-MRSA는 114주(6.0%) 였으며, 이들이 분리된 부위는 귀(62주), 비뇨기계(14주), 피부 및 연부조직(11주), 호흡기계(10주), 혈액(3주) 등이었다. CA-MRSA 균주 가운데 집락균은 22주, 원인병원체는 22주였으며, 나머지 균주에 대해서는 그 임상적 의미를 결정할 수 없었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73균주 중 47주(64.4%)는 다제내성이었다. CA-MRSA 감염증 22예 중 피부 및 연부조직 감염(9예)과 중이염/외이도염(9예)이 가장 흔하였다. 침습적 감염증(invasive infection)은 4명(원발성 균혈증 3예, 감염성 관절염 1예)에서 확인되었지만, CA-MRSA 감염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 병원내 감염증에서는 MRSA가 심각한 문제이지만, 아직까지 지역사회 감염증에서 CA-MRSA는 흔하지 않았다. Background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fection has emerged in patients who do not have the established risk factors. In Korea, little is known about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community-associated MRSA (CA-MRSA). Material and Methods :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y databases of 7 hospitals were reviewed to identify the patients from whom MRSA was isolated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to July 2005. Only one isolate per patient was enrolled. In order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MRSA acquisition, the medical records and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databases were reviewed. CA-MRSA was defined as MRSA isolated from patient without established risk factors. We analyzed patient demographics,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characteristics of infec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rofiles. Results : Of total 3,251 S. aureus isolates, 1900 (58.4%) were MRSAs. Of the MRSA isolates, 114 (6.0%) were CA-MRSA. Of 114 CA-MRSA isolates, 22 (19.3%) were colonizers, 22 (19.3%) were pathogens,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remaining 70 (61.4%) could not be determined. Median age of the 22 patients with CA-MRSA disease was 47 years. Nine patients had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9 ear infections, 3 bacteremia, 1 septic arthritis. Seven patients had underlying medical disease. None died of the CA-MRSA infections. Of the 73 isolates of CA-MRSA, 47 (64.4%) were resistant to more than 3 classes of antibiotics besides β-lactams. Conclusion : Although MRSA is highly prevalent among hospital-associated S. aureus infection, CA-MRSA infections are not comm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