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에서 vancomycin과 gentamicin병용의 항균력 상승효과 : Gentamicin 감수성에 따른 영향

        김양수,김은옥,이상오,김백남,류지소,배직현,우준희,김미나,정두련,박수진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2

        배 경 : Vancomycin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감염치료 시 선택 약제이다. 그러나, MRSA에 의한 심내막염과 같은 심부감염에서는 vancomycin 단독치료로 실패하는 경우가 흔히 보고되고 있다. MRSA에서 vancomycin과 aminoglycoside 병용의 상승효과에 대하여는 기존의 연구가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RSA에서 vancomycin과 gentamicin 병합 시 상승효과가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 만일 상승효과가 있다면 이를 예측할 수 있는 gentamicin의 최소억제농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MRSA균주 중 무작위로 51균주를 선택하여 한천 희석법으로 gentamicin에 대한 최소 억제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들 중 다양한 최소억제농도를 가지는 25균주에 대하여 vancomicin에 대한 최소억제농도와 최소살균농도를 측정하여 vancomycin에 대한 내약성(tolerance)여부를 조사하였고, vancomicin과 gentamicin 단독 및 병합에 대한 "time-kill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MRSA 51균주에 대한 gentamicin의 최소억제농도는 4μg/mL 이하에서 512μg/mL 이상의 범위였으며, 7균주(13.7%)에서 감수성을 보였고 나머지 44균주(86.3%)는 내성이었다. 선택된 25균주의 MRSA 모두가 vancomycin에 감수성을 보였으나 16균주(64.0%)는 vancomycin에 tolerance를 보였다. Time kill 측정에서 약물 상호 작용의 분석이 가능하였던 18균주 중 5균주(27.8%)에서 상승효과가 관찰되었으며 나머지 13균주(72.2%)는 상호 무관한 작용을 보였다. 상승효과를 보인 5균주 모두가 gentamicin 최소억제농도 32μg/mL 이하이었으며, gentamicin 최소억제농도가 64μg/mL 이상인 균주 중 상승 작용을 보인 균주는 없었다. 결 론 :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의 대부분은 gentamicin에 내성을 보이지만, gentamicin에 내성이 있는 경우라도 gentamicin 최소억제농도가 32μg/mL 이하라면 vancomicin과 gentamicin을 병합 치료하여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Vancomycin is the drug of choice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ns caus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However, vancomycin monotherapy of deep-seated staphylococcal infection may be associated with poor bacteriological response. Limited data suggest that vancomycin-gentamicin combination therapy is effective against MRSA.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vancomycin-gentamicin synergism against MRSA and also investigated whether gentamicin susceptibility may affect the synergism. Materials and Methods : The 51 strains of MRSA were obtained from patients at the Asan Medical Center from 1995 to 1996.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MICs) of gentamicin were determined by the agar dilution method. The 25 strains with various levels of gentamicin MICs were chosen for time-kill studies. The MICs and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s(MBCs) of vancomycin were defined to determine vancomycin tolerance. Time-kill curves were established with vancomycin, gentamicin, and a combination of both. Results : Gentamicin MICs ranged from 4 to 512 μg/mL. Only 7 of the 51 strains were gentamicin-susceptible and 44 were resistant. All of the 25 strains chosen were susceptible to vancomycin, but 16 of them showed tolerance. Vancomycin-gentamicin synergism was demonstrated in 5 of the 18 strains, in which the analysis of drug interaction was possible. In the remaining 13 strains, vancomycin and gentamicin interacted in a nonsynergistic manner. In all strains that showed synergism, the MICs of gentamicin were below 32 μg/mL. No synergism was demonstrated in strains with gentamicin MICs above 64 μg/mL. Conclusions : Although most of MRSA strains are resistant to gentamicin, synergistic interaction between vancomycin and gentamicin may be expected when the MIC of gentamicin is below 32 μg/m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간이식 환자에서 발생한 Aspergillus fumigatus에 의한 고관절염 1예

        김탁,이상록,조오현,박기호,오련,이상오,김양수,우준희,김미나,최상호 대한감염학회 2008 감염과 화학요법 Vol.40 No.3

        저자들은 간이식을 받은 환자에서 조직 배양 검사를 통하여 진단된 A. fumigatus에 의한 화농성 고관절염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eptic arthritis is an uncommon finding of invasive Aspergillosis. It can be caused by direct inoculation, Post-surgical infection, and hematogenous spread. Articular aspergillosis often involves the knee. A 49-year-o1d man who received a liver transplant in China on two months ago, due to liver cirrhosis caused by hepatitis B virus was admitted because of left side hip pain. Hip MRI showed joint effusion and bony destruction of the left hip and acetabulum. Incision and drainage was done and Aspergillus fumigatus was isolated from the resected tissue. After eight weeks of amphotericin B therapy,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was done. Oral itraconazole 400mg/day was prescribed for six months after operation. The patient is now doing well without physical restriction.

      • 장기간의 에어로빅스 운동이 골형성 및 각종 호르몬과의 상관관계

        김종인,김은희,김주혁,김수진,김도형,장성동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3

        Selected girl mid㎗e school of 14- and 15- years-old who got 35% body fat rate and are obese, and have them aerobics exercise for 20 weeks, the conclusion on the matter of change between Osteoporosis and Hormones showed. The contents of Calcium has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9.38±0.34㎎/㎗ pre-exercise and 9.34±0.29㎎/㎗ post-exercise, and the contents of Glucose has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78.0±5.38㎎/㎗ pre-exercise and 81.3±5.91㎎/㎗ post-exercise. parathyroid hormone (PTH) is shown as 11.2±3.06pg/㎖ at pre-exercise arid 13.8± 4.41pg/㎖ at post-exercise, hyperparathyroidism and osteoporosis (Osteocalcin) is shown as 6.04±3.56ng/㎖ at pre-exercise and 5.29±4.92ng/㎖ at post exercis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oxypyridinoline is shown as like 8.18±2.43nM/mMcre pre-exercise arid 9.97±2.76nM/mMcre post-exercise, Alkaline phosphatase (ALP), which has an effect on the born disease, is shown 229.7±61.66[U/㎖ pre-exercise and 224.3±8.27 [U/㎖ post-exercis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p<.0l).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Growth Hormone and Parathyroid hormone(PTH) which is bone absorption hormone, the Osteocalcin which is the mark of born-format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index of born formation mark, lipid, and hormones.

      • KCI등재

        부산지역 소방공무원의 폐기능과 호흡기증상

        김성훈,김정원,,김종은,손병철,김정호,이창희,장상환,이채관 大韓産業醫學會 2006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8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소방관 집단의 호흡기 증상과 폐기능을 조사하여 호흡기 질환의 유병 정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소방관의 호흡기 질환과 화재 노출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1월 13일부터 동년 12월 15일까지 부산 소재 4개 소방서와 부속 파출소의 남성 소방공무원 699명을 대상으로 폐기능 검사와 호흡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호흡기 증상 설문은 BMRC에서 개발한 설문조사표를 이용하였다. FVC, FEV_(1), MMEF 예측치는 Morris의 폐기능 예측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폐기능 검사 이상을 판정하기 위하여 미국 NHNES 기준에 따라 정하였다. 폐기능 측정치와 호흡기 증상은 노출유무와 흡연여부로 집단을 나누어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p<0.05로 정하였다. 결과: 폐기능 비교에서 화재노출군이 FVC, FVC%, FEV_(1), FEV_(1)%, FEF_(25%)는 비노출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고, 이를 흡연여부에 따라 층화하였을 때, FVC 와 FEV_(1)은 흡연여부와 관계없이 노출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이나 FVC%, FEV_(1)%, PEFR은 흡연군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폐기능 검사 이상을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화재노출군이 비노출군보다 폐기능 이상자의 수가 많았고 흡연군에서 FEV_(1) 이상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FVC, FEV_(1), MMEF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FVC와 FEV_(1)은 부분적으로 화재노출유무와 관련성이 있었다. 호흡기 증상 조사에서 화재노출군은 비노출군에 비해 코막힘, 목아픔, 흉부압박감의 증상의 호소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이를 흡연여부에 따라 층화하면 이들 증상들은 경계역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소방관은 화재진압과정에서 노출되는 많은 호흡기 유독물질로 인해 급성 폐기능 저하와 높은 호흡기 증상 호소율을 보이며, 이는 화재노출 외에 흡연의 부가적 효과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폐기능이 저하된 경방군에서 주기적인 폐기능 검사가 실시되어야 하며, 금연과 호흡기 보호구의 철저한 착용이 권장되어야 하겠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iratory disorders and fire exposure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lung function and respiratory symptoms of firefighters. Methods: The health effects of firefighting on respiratory function were investigated in 699 male fire officers in 4 fire departments in Busan by recording respiratory symptoms and measuring lung function. The data were analysed according to fire exposure and smoking habits. Results: Mean spirometric data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in the fire-exposed group (FVC, -0.20 L; FVC%, -4.2%; FEV_(1) -0.21 L; FEV_(1)%, -5.1%; FEF25%, -0.13 L/SEE p<0.05). After stratification by smoking habits, FVC and FEV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prevalence of spirometric abnormality was greater for the fire-exposed group than for the non-exposed group.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s of nasal stiffness (16.7% vs. 10.9%), sore throat (17.7% vs. 14.2%) and chest tightness (6.5% vs. 2.5%) were recorded in fire fighters compared to controls (p<0.05). However, after stratification by smoking habits, the 3 symptoms were showed only marginal differences in the smoking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fire-exposed firefighters generally suffer a decline of lung function and a higher prevalence of respiratory sympto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osure to routine firefighting activity is associated with adverse health effects to the respiratory syste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클럽 샤프트(Club Shaft) 특성에 따른 골프 스윙(Golf Swing)동작 분석

        김성일,김기형,김형수,이현섭,김진욱,안찬규,김희진 한국운동역학회 2002 한국운동역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클럽 샤프트의 대표적인 재질인 그라파이트(graphite)의 유연한(flexible) 클럽 샤프트(club shaft)의 특성에 따라 피험자가 운동학적(kinematics) 요인이 되는 관절의 각변위, 각속도, 각가속도, 클럽헤드의 속도와 가속도와 같은 변인들이 어떻게 적응하는지 비교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드라이버 선택에 도움을 주며 샤프트 특성에 따른 신체관절의 움직임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속 카메라 2대의 속도는 500fps로 하였고 각 regylar,stiff, x-stiff, 자신의 클럽을 포함 각 4개의 클럽을 사용하여 각 클럽당 3번씩 촬영하였으며 목표방향에서 20m이상 벗어나는 경우의 촬영은 다시 촬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타이징(digitizing)을 신체 9개 마커는 강체로 가정된 클럽과 신체분절 모델로 정의하였으며 2 대의 카메라(500fps)로부터 얻은 avi화일을 컴퓨터에 저장하고 자료로부터 Butterworth 6th order recursive digital filter를 사용하여 1차 자료를 smoothing 하고 DLT를 이용하여 3차원 좌표를 구성하도록 한다. 좌표값을 얻기 위하여 kwon3d v3.0을 이용하였다. 본 실험은 피험자 스스로 클럽의 특성에 따라 스윙의 속도를 달리 하기 때문에 스윙의 시간이 달라지며 어느 정도 클럽이 강성에 따라 스윙시간이 빨라지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것은 피험자가 샤프트가 강성(stiffness)에 따라 스윙 속도를 빨리 하게 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어깨의 각변위는 클럽이 regular의 경우 임팩트에서 각속도를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stiff, x-stiff의 경우에는 어깨의 움직임이 임팩트에서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팔의 동작과 클럽의 힘을 크게 하기 위한 동작으로 생각된다. 어깨 각속도는 클럽이 stiff할수록 각속도가 큰 감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목속도는 regular 클럽의 경우 손목의 감속이 늦게 되고 임팩트에서 손목의 감속이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tiff와 x-stiff의 클럽에서 임팩트 시에 순간적인 감가속으로 인해 클럽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임팩트 시에 손목의 감가속은 클럽헤드의 임팩트 시 속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클럽헤드는 regular 클럽이 임팩트전에는 속도 증가가 커지는 결과와 일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ational method to analyze golf swing with specific property of club shaft. Three subjects were filmed by two high speed digital cameras with 500fps. The phase analyzed was downswing of each subject.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anatomical landmarks were obtained with motion analysis system Kwon3d 3.0 version and smoothed by lowpass digital filter with cutoff frequency 6Hz. From these data,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Matlab(ver 5.0) The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angular velocity and accelerations, which were calculated and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made : 1) Golf swing time of stiff club is faster than that of regular club. 2) In shoulder joint motion of swing with the stiff club, x-stiff showed mort rapid negative acceleration than that of regular club. 3) In regular club, the velocity of club head would be more effective velocity, which was increasing, than those of other clubs before impact. 4) In wrist joint motion of swing with stiff club, x-stiff club showed faster than regular club in the downswing and impact more rapid negative accel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