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Immobilization with Ketamine HCI and Tiletamine-Zolazepam in Cynomolgus Monkeys

        Myung-cheol Kim,Sung-hyeok Hong,Soo-jin Lee,Young-suk Kim,Jae-il Lee 대한수의학회 2003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4 No.2

        with Ketamine HCl and Tiletamine-Zolazepam in Cynomolgus MonkeysJae-il Lee, Sung-hyeok Hong, Soo-jin Lee, Young-suk Kim and Myung-cheol Kim*Laboratory of Veterinary Surger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5-764, KoreaReceived March 4, 2003 / Accepted July 2, 2003J. Vet. Sci. (2003), 4(2), 187-191JOURNAL OFVeterinaryScience*Corresponding author: Myung-cheol Kim Laboratory of Veterinary Surger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5-764, Korea Tel: +82-42-821-6757, Fax: +82-42-822-4216 E-mail: mckim@cnu.ac.kr

      • KCI등재

        Real-World National Colonoscopy Volume in Korea: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over 12 Years

        Jae Myung Cha,Min Seob Kwak,Hyun-Soo Kim,Su Young Kim,Sohee Park,Geun U Park,Jung Kuk Lee,Soo Jin Kim,Hun Hee Lee,Joo Sung Kim,Won Ho Kim,Big Data Research Group of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 거트앤리버 소화기연관학회협의회 2020 Gut and Liver Vol.14 No.3

        Background/Aims: Little is known about the national colonoscopy volume in Asian countri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national colonoscopy volume in Korea over a 12-year period on the basis of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database. Methods: We conducted a population-based study for colonoscopy claims (14,511,158 colonoscopies performed on 13,219,781 patients) on the basis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base from 2002 to 2013. The 12-year national colonoscopy burden was analyzed according to patient age, patient sex, and healthcare facility type. Results: The overall volume of colonoscopy increased 8-fold over the 12-year period. The annual colonoscopic polypectomy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patient sex and age groups over the 12-years period (all p<0.001). The yearly colonoscopic polypectomy rate for m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for women (2.3% vs 1.7%, p<0.001) and for the screening-age group compared with that for the young-age group (2.0% vs 1.6%, p<0.001). The yearly colonoscopic polypectomy rate relative to the total colonoscopy volum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facilities by 2.4%, 1.9%, and 1.4% during the 12-year period (all p<0.001). In addition, the annual colonoscopy volume covered by high-volume facil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by 1.8% in primary healthcare facilities over the 12-year period (p<0.001). Conclusions: Healthcare resources should be prioritized to allow adequate colonoscopic capacity, especially for men, individuals in the screening-age group, and at primary healthcare facilities. Cost-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lonoscopy may focus on primary healthcare facilities and high-volume facilities in Korea.

      • SCOPUSKCI등재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췌도세포 동종이식의 반복시행

        양태영,정인경,서인아,오은영,조건영,오승훈,김성주,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김광원,도영수,주성욱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4

        연구배경:췌도세포 이식은 시술이 간편하고 안전하기 때문에 반복이식이 가능하여 그 동안 여러 센터에서 반복이식의 성공을 보고한 바 있다. 국내에서도 본 병원을 비롯하여 몇몇 센터에서 췌도세포 이식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으나 사람에서의 동종이식 및 동종 이식의 반복시행은 보고된 바 없는 실정이다. 저자 등은 국내 최초로 췌도세포 동종이식을 시행하여, 혈청 C­펩타이드가 증가하고 인슐린 요구량이 감소하였으며, 혈당농도와 당화혈색소의 안정을 보였다. 그러나 이식 70일 후 다시 인슐린 요구량이 증가하고 C­펩타이드가 감소하여 췌도세포 이식을 다시 시행한 바 있다. 2차 이식 후 70여일이 지난 현재 다시 혈청 C­펩타이드가 증가하고, 인슐린 요구량이 더 감소되어 췌도세포 이식에서 반복 시행의 유용성을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환자는 32세 남자로 17년전 당뇨병 진단 후 인슐린 치료 중이었으며, 3년전 부터는 만성신부전증으로 혈액툭석을 하고있었다. 1999년 12월 25일 신장이식을 하였고 3일 후 췌도이식을 하였으며, 두번째 이식은 70일 후 시행하였다. 췌도분리는 변형된 Recordi방법과 비연속성 자당 농도차(discontinuous density gradient)를 이용하였으며 분리한 췌도는 배양 후 환자의 신장기능이 정상화되고 미생물학 검사에서 음성을 확인한 후 경피경간으로 간문맥을 접근하여 16G 폴리 에틸렌 카테터를 이용하여 간실질에 이식하였다. 결과:1차 췌도이식시 순수분리전 췌도수는 210,000개, 순수분리후 획득한 췌도수는 90,000개, 순도 95%, 세포양 1.0mL 이었고, 2차 췌도이식시 순수분리전 췌도수는 420,000개, 순수분리후 획득한 췌도수는 370,000개, 순도 95%, 세포양 1.5mL 이었다. 1,2차 모두 간문맥을 통해 약 20분에 걸쳐 간실질에 주입하였다. 췌도이식전 인슐린요구량은 75∼75U/일, HbA1e 8∼10%, C­펩타이드 0.6ng/mL 였으며, 1차 췌도이식수 7일째 인슐린 요구량은 40U/일, C­펩타이드 1.5ng/mL, FPS 109mg/mL 였고, 40일 추적관찰 후 인슐린 요구량이 36U/일, C­펩타이드 1.8ng/mL, HbA1e 6.5∼7.0%로 안정되었다. 그러나 이식 50일째부터 인슐린 요구량이 50∼56U/일, C­펩타이드 0.6ng/mL, FPS 130∼200mg/dL로 혈당 조절이 불안정하여 다시 췌도이식을 시행하였다. 2차 이식후 50일이 경과한 현재, 인슐린 요구량은 26U/일, C­펩타이드 1.8ng/mL, FPS 90∼120mg/dL로 다시 안정되었다. 결론:췌도이식은 반복이식이 가능하며, 본 환자의 경우 인슐린요구량 감소, 혈당의 안정화 및 C­펩타이드가 상승하여 이식한 췌도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스테로이드 등 면역억제가 유지 용량으로 감량되면 인슐린 요구량은 더 감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Over the past 20 years, significant advances have been made in human islet transplantation. However, cases of prolonged insulin independence after islet allotransplantation have rarely been reported and over time, a slight, gradual decrease in insulin secretion appears to occur, as suggested by the lower C-peptide. Although preliminary clinical success achieved over the past few years has been considerably higher with whole pancreatic transplant than with isolated islet grafts, both approaches remain experimental. Islet grafts might gain, over time, increasing credibility and might eventually provide an easier alternative in terms of grafting procedures and patient management, as compared with the more "traumatizing" whole-pancreas transplantation. Also, using islet, re-transplantation is possible. But it is not known whether re-transplantation of islet could be suitable for those patients who lost grafted islet functio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nefits of re-transplantation of islet in previously simultaneous islets-kidney transplant (SIK) patient who have lost graft function. Methods : The recipient was a 32 year old male. First islet transplantation was underwent at December 25, 1999. However, the grafted islets lost function after 70 days. So we performed re-transplantation of islets. The isolation of islet was conducted sterilely on a laminarflow hood and isolated by a modified Recordimethod. The islet was injected slowly into the liver via a cannular placed in the potalvein for 20 minutes. Results : Transplanted islets were 90,000 IEq at first islet transplantation, 370,000 IEq at second islet transplantation. The insulin requirement was reduced from 75-85 to 35-40 U/day, the basal C-peptide level was 1.5 ng/mL at 7 days posttransplant Unfortunately, the grafted islets lost function after 70 days. After second transplantation, the insulin requirement was reduced to 26 U/day. Conclusions : Despite the continuous need for exogenous insulin therapy, islet transplantation can prevent wide glucose fluctuations, thus resulting in normalization of glycemic control and improvement in HbAlc, and also, show that islets can be successfully and safely re-transplanted intraportally in patients who have lost previously grafted islet function (J Kor Diabetes Asso 457~466, 2000).

      • SCOPUSKCI등재

        만성 B형 간염에서 라미부딘 치료중 발생한 Viral Breakthrough 예의 임상 결과

        안수현,장윤정,오성남,최도원,백수정,정원석,최창원,김경오,임형준,조남영,박종재,김재선,박영태,이명석,연종은,변관수,이창홍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4

        목적: 만성 B형 간염의 치료 중 발생하는 약제 내성 변이종은 임상적으로는 치료 중 음전되었던 혈청 HBV DNA가 다시 양전되는 viral breakthrough 로 진단할 수 있다. 현재 약제 내성 변이종이 발생했을 경우라도 라미부딘 치료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viral breakthrough 발생 예들의 장기적 임상경과가 아직도 불명확하여 이것을 일반화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라미부딘 사용 중 viral breakthrough 가 발생한 예들을 대상으로 그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9개월 이상 라미부딘을 투약한 만성 B형 간염 환자로 viral breakthrough가 발생한 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남/여 54/20, 평균연령 42세). Viral breakthrough 후 혈청 ALT치, 총 빌리루빈치, HBV DNA 역가, HBeAg, anti-HBe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면서 임상경과를 관찰하였다. Viral breakthrough 후 라미부딘의 투약기간은 평균 13개 월(1-41개월)이었다. 결과: Viral breakthrough 발생후 혈청 ALT치가 정상으로 유지되었던 환자는 8예(11%)에 불과했고 나머지 66예(89%)에서는 ALT치가 증가하였으며, 이중 30예(41%)에서 급성 악화(ALT 정상 상한치의 5배 이상 상승)를 보였다. 급성악화는 viral breakthrough 후 3개월 내에 19예 (63%)에서 발생하여 3개월 내에 발생한 예가 많았으나 12개월 이상 지나서 나타나는 예도 약 20%에서 있었다. 비대상성 악화는 6예에서 관찰되었다. Viral breakthrough 후 급성악화가 일어난 예와 없었던 예의 비교에서 급성악화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발견할 수 없었다. Viral breakthrough 후 발견할 수 없었다. Viral breakthrough 후 HBeAg이 음전된 예는 8예(11%)였으나 그 임상경과는 양호하지 않았다. 결론: 만성 B형 간염 환자 에서 라미부딘 투여 중 발생한 viral breakthrough 예 중 상당수에서 급성악화가 발생하였으며, HBeAg 이 소실되더라도 그 임상경과는 양호하지만은 않았다. Viral breakthrough 발생 후 주의 깊은 임상경과 의 관찰이 요구되며, 앞으로 viral breakthrough 후 급성악화 예에 대한 대규모 연구와 적절한 치료방향의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Long-term lamivudine therapy can induce the emergence of lamivudine resistant hepatitis B virus (HBV) mutants. Clinically emergence of the mutant is expressed by the reappearance of disappeared HBV DNA in serum. Continued lamivudine treatment has been usually recommended in cases of viral breakthrough. However, the clin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viral breakthrough is not 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ourse of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after viral breakthrough during lamivudine therapy. Methods: A total of 74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who showed viral breakthrough after at least 6 months of lamivudine treatmen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y had positive HBeAg and HBV DNA before treatment.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after breakthrough was 13 months. Results: After viral breakthrough, only 8 patients (11%) maintained normal ALT levels and 66 patients (89%) showed elevation of ALT. 30 patients (41%) showed acute exacerbation of hepatitis (ALT increase over five-times upper normal limit). These acute exacerbations occurred within three months after breakthrough in 19 patients (63%). In the cases of acute exacerbation, 6 patients showed decompensated progression such as elevation of serum total bilirubin. One of them died of hepatic failure. A predictive factor for acute exacerbation was not found. HBeAg seroconversion occurred in 8 patients after viral breakthrough but their clinical course was highly variable. Conclusions: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ho had viral breakthrough during lamivudine therapy should be followed carefully and regularly in mind of potential clinical deterioration. New strategies are needed to manage the cases of acute exacerbation after viral breakthrough.(Korean J Hepatol 2002;8:389-396)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콩 단백 성분 및 연령이 암컷 흰쥐의 혈장 지질 농도와 인지질 지방산 패턴에 미치는 영향

        정은정(Eun-Jung Chung),김수연(Soo-Yeon Kim),김지영(Ji-Young Kim),안지영(Ji-Young Ahn),박정화(Jung-Wha Park),차명화(Myung-Hwa Cha),이양자(Yang-Cha L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2

        혈중 지질농도는 식이단백질 종류보다는 연령의 영향을 많이 받아, young군보다 old군의 총 콜레스테롤, TG, HDL-콜레스테롤, LDL+VLDL-콜레스테롤 및 AI 모두 높았다. 한편 콩 단백질군에서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LDL+VLDL-콜레스테롤와 AI는 감소하여, 심혈관질환에 대한 콩 단백질의 유익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식이단백질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은 혈장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중 22:0, 18:1ω9, ∑MUFA 조성은 카제인군에서 콩 단백질군 보다 높았으며, 반대로 ∑SFA 조성은 카제인군에서 낮았다. 연령에 의해 혈장 인지질 지방산 조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지방산 중 22:0, 18:1ω9, 22:1, 18:3ω3 및 22:4ω6는 young군에서 높은 반면에, 22:6ω3, ∑ω3, 18:2ω6, 20:4ω6, ∑ω6 및 ∑PUFA의 조성비율은 old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식이 단백질의 종류보다 연령의 영향력이 더 많이 나타난 것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식이 단백질보다는 연령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혈장 인지질 지방산의 대사지표 중 Δ7-desaturation index(16:0⇒16:1ω7)와 Δ9-desaturation index(18:0⇒18:1ω9)가 식이 단백질의 영향을 받아 카제인군에 비해 콩 단백질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Δ7- 및 Δ9-desaturation index만이 식이 단백질의 영향을 받은 것은 식이 단백질보다 desaturase 활성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콜레스테롤이 식이에 첨가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Δ-4 desaturation index (22:4ω6⇒22:5ω6)는 young군에 비해 old군에서 높았으며, elongation index(20:4 ω6⇒22:4ω6)는 old군에서 낮았다. 대부분의 elongation과 desaturation 단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ω3계 지방산의 전체적인 elongation-desaturation 단계를 나타내는 ∑products-fatty acid(ω3)/α-LNA(ω3) 비율이 old군에서 young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연령에 따른 PUFA 대사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콩 단백질의 섭취로 흰쥐 혈장 인지질의 ∑MUFA 조성은 낮고 ∑SFA 조성은 높아 다른 지질 강화성분의 섭취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높은 old군에서 체내 막조직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PUFA의 합성 특히 ω3계 지방산의 elongation-desaturation이 증가하여 총 PUFA 조성이 young군보다 높았다. 연구결과로 이소플라본을 포함한 콩 단백질의 혈중 지질저하 기전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은할 수 없지만, 콩 단백질이 혈장 지방산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심혈관계 질환에 대해 유익한 효과를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혈관의 건강과 관련된 콩의 유익한 효과는 이소플라본과 같은 콩의 특정 성분의 단독효과라기보다는 콩 단백질과의 복합효과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은 매우 설득력 있다고 생각된다. Effects of soy protein concentrate (SPC) containing isoflavone and casein diets on plasma phospholipid (PLs)-fatty acid patterns were investigated in 7- & 40- wk old female rats. Diets containing 16% SPC (soy/young: SY, soy/old: SO) and casein (casein/young: CY, casein/ old: CO) supplemented with 0.5% cholesterol were fed for 4 wks. Fatty acid compositions of plasma PLs were determined by TLC and GLC. Compared to the dietary protein effects, age effects on serum lipids were more profound.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Chol.), triglyceride, HDL-Chol., (LDL+VLDL)-Chol. and atherogenic index (AI) were higher in older groups (OC & OS) than younger groups (YC & YS). Soy groups had higher HDL-Chol. level and lower (LDL+VLDL)-Chol. and AI, compared with casein groups. The compositions of C22:0, C18:1ω9 and sum of MUFA in plasma P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asein group (CY & CO) than soy group (SY & SO), but those of sum of SFA were higher in soy group. The compositions of C22:0, C18:1ω9, C22:1, C18:3ω3 and C22:4ω6 were higher and those of C22:6ω3, sum ofω3, C18:2ω6 C20:4ω6, sum ofω6 and sum of PUFA were lower in plasma PLs of younger rats. The average P/S and ω3/ω6 ratio in older group was higher. The Δ-7 desaturation index (16:0⇒16:1ω7) and Δ-9 desaturation index (18:0⇒18 : 1ω9) were lower in soy group than casein group, while Δ-6 and Δ-5 desaturation index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protein. The Δ-4 desaturation index (22:4ω6⇒22:5ω6) were higher and, elongation index (20:4ω6⇒22:4ω6) were lower in older group. The ratio of the products of ω3 fatty acid series/precursor of ω3 fatty acid series (C18:3)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lder group, which in- dicated that age affected the plasma PUFA metabolism. On the other hand, older rats had higher serum cholesterol level compared with younger rats. Taken together, these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might cause minimal changes in the membrane fluidity induced by the increase serum cholesterol level.

      • KCI등재

        최단경로문제의 사전처리 해법에 관한 연구

        명영수 한국경영과학회 2002 經營 科學 Vol.19 No.1

        Given a directed network, a designated arc, and lower and upper bounds for the distance of each arc, the preprocessing shortest path problem is a decision problem that decides whether there is some choice distance vector such that the distance of each are honors the given lower and upper bound restriction, and such that the designated arc is on some shortest path from a source node to a destination node with respect to the chosen distance vector. The preprocessing shortest path problem has many real world applications such as communication and transportation network management and the problem is known to be NP-complete. In this paper, we develop an algorithm that solves the problem using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shortest paths.

      • KCI등재

        후판적치문제의 복잡성에 대한 연구

        명영수 한국경영과학회 2003 韓國經營科學會誌 Vol.28 No.4

        This paper deals with a stowage plan for plates in a warehouse. This plan includes how to place each plate and how to sequence outgoing lots for picking. A group of plates in an outgoing lot should be loaded in the same outgoing pallet and between two plates in the same lot, no plate from other than the lot should be placed. Since the approach to the plates is only from above, when the plates in the different lots are placed mixed in a warehouse, we have to temporarily move many of plates in some other place to let a plate in the lot for which loading is under way go out. Our purpose is to minimize those temporary moves. We analyz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several problems arising in the stowage plan of a plate wareho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