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Original Article : Geographic difference of epidemiological features of HCV infection in Korea

        ( Kyung Ah Kim ),( Sook Hyang Jeong ),( Eun Sun Jang ),( Young Seok Kim3 ),( Youn Jae Lee ),( Eun Uk Jung ),( In Hee Kim ),( Sung Bum Cho ),( Mee Kyung Kee ),( Chun Kang ) 대한간학회 201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20 No.4

        Background/Aims: The prevalence of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in Korea exhibits significant geographic variation, with it being higher in Busan and Jeonam than in other areas. The reason for this intranational geographic differenc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related to HCV infection among three geographic areas: the capital (Seoul), Busan, and the province of Jeolla. Methods: In total, 990 patients with chronic HCV infection were prospectively enrolled at 5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n=374), Busan (n=264), and Jeolla (n=352).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risk factors for HCV infection was administered to these three groups of patients,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indings was performe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exposure to the risk factors of HCV infection. By comparison with patients in Seoul as a control group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patients in Busan had significantly more experience of invasive medical procedures, acupuncture, cosmetic procedures, and multiple sex partners. In contrast, patients in Jeolla were significantly older, and they had a higher preval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 lower prevalence of multiple sex partners, and had experienced fewer invasive procedures. Conclusions: There was a significant geographic difference in the exposure to potential risk factors of HCV infection between patients from the three studied regions. This may explain the regional variation of the prevalence of HCV infection in Korea, an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planning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CV infection. (Clin Mol Hepatol 2014;20:361-367)

      • 게껍질과 계란껍질 첨가김치의 보존성 비교

        김미향,김덕희,김순동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1997 식품과학지 Vol.9 No.-

        게껍질과 계란껍질이 2% 젖산용액을 어느 정도 중화시키는지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로 김치에 첨가하였을 때이 보존성과 품질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다. CSP는 3% 첨가로 2% 젖산을 86.3%, 4% 첨가로 98.1%, 5% 첨가로 99.0%의 중화율을 나타내었으며, ESP는 5% 첨가로 31.0%의 중화율을 나타내어 중화시키는데는 ESP보다는 CSP가 효과적이었다. 게껍질과 계란껍질을 첨가한 김치의 숙성 중 pH와 산도는 CSP를 첨가한 김치가 숙성 25일에 pH 4.07, 산도 0.88, ESP를 첨가한 것은 pH 4.0, 산도 0.91로 대조구가 pH 3.82, 산도1.00인 것에 비하여 CSP와 ESP첨가 김치가 pH는 높았으며 산도는 낮게 유지되었다. 총균수는 ESP와 CSP첨가 김치에서 많았고, Lactobacilli와 Leuconostoc로 나누어 측정한 젖산균은 대조구보다는 CSP와 ESP첨가 김치에서 현저히 많았으며, 특히 ESP 첨가김치는 Lactobacilli가 많은 반면, CSP 첨가 첨가 김치는 Leuconostoc이 다소 많은 경향을 나타내였다. 관능검사는 CSP첨가 김치가 숙성 25일째에도 신맛이 3.4점으로 보통정도의 신맛과 아삭아삭한 맛은 3.0점, 종합적인 맛은 3.2점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crab and egg shell on the degree of neutralization action of 2% lactic acid solution, and shelf-life and quality of baechu kimchi. The percentages of neutralization of the lactic acid at the additions of 3, 4, 5% of CSP were 86.3, 98.1, 99.0%, respectively. That of the lactic acid at the ESP addition of 5% was 31.0%. Therefore, the CSP addition to baechu kimchi showed more effective than ESP. The decrease in pH and increase in acidity at 25 days of fermentation were lower in the kimchi added CSP and ESP than in control products. The number of total cell count and lactic acid bacteria were detected more in the kimchi added CSP and ESP than in control products. The higher growth of Lactobacilli and Leuconostoc showed the kimchi added ESP and products added CSP, respectively. Sour, cripness and overall taste of kimchi added CSP at 25 days of fermentation were very good.

      • 일 전문대학 간호과 학생들이 인지하는 강의평가 기준에 대한 조사연구

        김정애,이애경,주미경,정안순,장은정,김정수,강정희,이정애 경복대학 2004 京福論叢 Vol.8 No.-

        일개 전문대학 간호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평가 기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하였으며 7개의 교수관련 강의평가 문항 각각에 대해 좋은 점수 및 나쁜 점수를 부여하는 기준을 조사하였다. 각 문항별로 다양한 기준이 확인되었으며, 간호과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교수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We aimed to set standards for the student evaluation of instruction for college students of Nursing. We used an open questionaire and surveyed the standards for how students judge the instruction good of bad by using seven questions related to the instructor. Various standards set from each question could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meet the students' needs in the classroom when the instructors try to find out new instructional design.

      • 골형성 종양의 골조직에서 비교원성 골단백질의 분포

        김미숙,이승철,박희경,채종민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3

        목적 : 골조직내에는 여러 가지 비교원성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단백질은 골 구성 세포들의 분화, 성장 및 골조직 형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골 조직에서 발생하는 각종 종양에서 비교원성 단백질의 분포를 관찰하여 이를 골종양 감별 진단적 표지자로서의 가치를 규명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부터 1995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각 종 골종양을 수술하여 얻은 조직을 osteocalcin, osteonectin, 및 단구-대식구 항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염색을 하여 이들 단백의 분포를 관찰하였다. 결과 : osteocalcin 및 osteonectin은 골육종 및 골모 세포종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osteonectin은 일부 연골 형성 종양 및 거대세포 종양에도 부분적인 양성 반응을 보였고 osteocalcin은 거대세포 종양에도 양성 반응을 보였다. Ewing 육종, 악성 림프종, 및 골수종 등은 osteonectin 및 osteocalcin 모두 음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단구-대식구 항원에 대한 반응은 거대세포 종양에서 강하게 발현하였다. 결과 및 결론 :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osteocalcin 및 osteonectin은 골형성 종양의 감별 진단에 유효하며 단구-대식구 항원 검사는 거대세포종 진단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To ascertain the effective value of non-collagenous bone proteins as a diagnostic marker of osteogenic neoplasm, the expressions of osteonectin and osteocalcin, together with monocyte-macrophage antigen were evaluated in tissue sections obtained from primary bone tumors. Osteonectin and osteocalcin were detected in entire neoplastic component of osteogenic bone tumors and giant cell tumors. Osteonectin was also demonstrated in neoplastic component of some cartilage-forming tumors, whereas osteocalcin was specifically detected in bone forming tumor with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steonectin and osteocalcin were not detected in Ewing's sarcoma, malignant lymphoma, and multiple myeloma. On the other hand, monocyte-macrophage antibody positive stains in the mononuclear and multinucleated giant cell components of giant cell tumor and the reactive multinucleated giant cells of entire primary bone tumors were observ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osteonectin and oiteocalcin as well as monocyte-macrophage antigen may be helpful in the histologic diagnosis of bone tumors, particularly osteocalcin is expected to be more useful for the diagnosis of osteosarcomas.

      • KCI등재

        소와 및 열구 수복물의 변연부 인공우식 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신,김미희 大韓小兒齒科學會 199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19 No.1

        With the purpose of comparing the marginal deterioration of amalgam filling, preventive resin resoration and glass ionomer cement restoration, and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by inducing the artificial caries around the margin of each resoration. 36 extracted human molars, free of restorations, severe caries, or other defects, used as specimen were assigned randomly to three separate groups to the restorative treatment, thermo-cycled, incubated in caries-inducing bath with S.mutans, and processed for histologic investigation under polarized microscop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marginal leakage of preventive resin restoration group and glass ionomer cement filling group was less than amalgam filling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2. The outer lesion depth of glass ionomer cement filling group was less than preventive resin restoration group and amalgam filling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3. In regards of anticariogenicity, it revealed that glass ionomer cement is superior to other 2 materials.

      • Buffer/CoFe/Cu/Co 샌드위치 박막의 자기저항 특성

        김희중,김미양,오미영,이장로,송은영,김경민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6 자연과학논문집 Vol.- No.7

        DC magnetron sputtering방법으로 Corning glass 기판위에 버퍼층을 Fe와 ??로 바꾸어가면서 보자력이 다른 ??와 Co를 이용하여 buffer/CoFe(35Å)/Cu(tÅ)/Cu(35Å)의 형태로 샌드위치 박막을 제작하고 자기저항비의 버퍼층 두께 및 비자성층 Cu층 두께, 자성층 두께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자기저항비와 포화 자기장(??)은 버퍼층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증대하다가 극대치 3%를 보인 후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NiFe, Fe버퍼층을 갖는 시료를 비교한 경우, 각각 CoFe층과 Co층 사이의 결합 자기장(??)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NiFe버퍼층을 갖는 시료가 minor자기저항 곡선의 반가폭 ??는 감소하고 자기저항(MR) slope와 관련된 field senditivity(%/Oe)는 향상되었다. Buffer(tÅ)/CoFe(35Å)/Cu(50Å)/Co(35Å) sandwiches prepared by dc magnetron sputtering on a corning glass substrate using ?? and Co possess different coercivities. Dependence of magnetoresistance on the type and thickness of buffer layer, thickness of Cu and thickness of magnetic layer in buffer/CoFe/Cu/Co sandwiches were investigated. Magnetoresistance ratio and saturation field ?? increased as the thickness of buffer layer becomes thicker, then decreased smoothly after maximum value. Improved field sensitivity was realized by the use of ?? buffer layer.

      • 전문대학 간호과 통합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김영희,김정수,김정애,방숙명,배경진,이애경,장은정,정안순,주미경,최나영 경복대학 1998 京福論叢 Vol.2 No.-

        교과과정의 조직은 체계적이고 뜻이 있는 순서로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지식을 어떻게 조직화할 것인지와, 과목들 사이에서 공통된 내용은 통합시켜 중첩되는 일이 없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현재 본 대학 간호과에서 운영되었던 97학년도의 17개 전공과목들의 교과과정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중복을 줄이며 순차적 지식의 습득을 도모하는 새로운 통합교과과정의 틀을 개발, 제시함으로써 보다 나은 전문직 간호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였다. Most curricula are considered how to teach the student in systematic and meaningful orders. And it is necessary to coordinate the duplicate contents in major subjects in nursing. 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set up a new comprehensive curriculum through comparing and ananlyzing each seventeen major subjects in Nursing Department of Kyung-Bok Colle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w comprehensive curricula for promoting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diploma degree course of nursing education.

      • KCI등재
      • 수용성 키토산 유도체를 이용한 방사성 스트론튬의 시험관내 흡착능 및 마우스내 체외배출 효과

        김희경,송해미,조덕제,조만기,이정석,이응호 동서대학교 부설 연구소 1996 연구소 논문집 Vol.1 No.-

        키토산은 천연착화제로서 효용가치가 높은 무독성의 천연고분자로서 키틴으로부터 탈아세틸화시킨 유도체이다. 키토산에 인산기을 도입한 Water-solubel phosphorylated Chitosam(WSPC)의 Sr에 대한 시험관내 흡착률은 pH 3에서는 97.8%이었으나, pH 5와 pH 7에서는 모두 100%이었다. WSPC를 농도별(0.01%, 0.1%, 1%)로 희석하여 11주령의 ICR 수컷 마우스의 위내로 투여한 직후 Sr을 같은 경로로 처리한 다음, WSPC의 Sr에 대한 체외 배출효과와 골내 잔존률을 평가하였다. 또한 Sr와 농도별 WSPC 처리후 6일째에 척추, 두개골, 대퇴골, 경골, 치아 및 꼬리뼈 등에 대해 Sr 잔존율을 측정하였다. 0.01-0.1% 사이의 WSPC를 접종한 마우스 투여군이 Sr만 경구 투요한 대조군에 비하여 골조직에 잔존하는 Sr의 침착률이 낮게 나타났다.(P<0.01). 또한 방사성 스트론튬의 분뇨를 �蔥�배출 효과 역시 WSPC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이 인정되었고(P<0.05), 대체로 WSPC 농도가 높을수록 그 효과는 비례하였다.(P<0.05). 본 실험에 사용된 WSPC는 체내에 유입된 Sr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인정되어 방사성 스트론튬의 방어약제중 하나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