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장세진,고상백,강동묵,김성아,강명근,이철갑,정진주,조정진,손미아,채창호,김정원,김정일,김형수,노상철,박재범,우종민,김수영,김정연,하미나,박정선,이경용,김형렬,공정옥,김인아,김정수,박준호,현숙정,손동국 大韓産業醫學會 200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7 No.4

        Background and Purpose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numerous studies performed in Korea have reported that job stress is a determinant risk factor for chronic diseases and work disability. Every society has its own culture and occupational climate particular to their organizations, and hence experiences different occupational stress. An occupational stress measurement tool therefore needs to be developed to estimate it obj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standardize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which is considered to be unique and specific occupational stressors in Korean employees. Subjects and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Occupational Stress (NSDSOS Project: 2002-2004). A total of 12,631 employees from a nationwide sample proportional to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the Korean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were administered. The KOSS was developed for 2 years (2002-2004). In the first year, we collected 255 items from the most popular job stress measurement tools such as JCQ, ERI, NIOSH and OSI, and 44 items derived from the a qualitative study (depth interview). Forty-three items of KOSS, in the second year, were retained for use in the final version of the KOSS by using Delphi and factor analysis. Items were scored using conventional 1-2-3-4 Likert scores for the response categories. Results: We developed eight subscales by using factor analysis and validation process: physical environment (3 items), job demand (8 items), insufficient job control (5 items), interpersonal conflict (4 items), job insecurity (6 items), organizational system (7 items), lack of reward (6 items), and occupational climate (4 items). Together they explained 50.0% of total variance. Internal consistency alpha scores were ranged from 0.51 to 0.82. Twenty-four items of the short form of the KOSS (KOSS-SF) were also developed to estimate job stress in the work setting. Because the levels of the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were gender dependent, gender-specific standard norms for both the 43-item full version and the 24-item short form using a quartile for the subscales of KOSS were present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OSS might be an appropriate measurement scale to estimate occupational stress of Korean employees. Further and more detailed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is scale.

      • KCI등재

        전자 빔 조사 민감 물질의 전자회절분석을 위한 Imaging Plate 기술

        김영민,김양수,김진규,이정용,김윤중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3

        전자 빔 조사 민감 물질인 gibbsite (γ-Al(OH)₃)의 전자 빔 조사 상전이 연구에서 전자회절 자료의 기록에 대한 imaging plate 와 필름의 기록 특성을 실험적으로 비교하였다. Imaging plate는 극단적으로 낮은 전자 강도와 높은 전자 강도를 동시 기록하기에 충분한 선형 dynamic range를 갖기 때문에, 매우 낮은 전자조사 조건 (≤0.1 e-/μm²)에서 전자 회절 자료를 기록할 때 필름에 비해 회절 자료의 spatial frequency 범위가 두 배 이상 확장되었다. 심지어 이미 기록 포화된 투과 빔 주위의 신호 정보 레벨을 세분화하는 데에도 훨씬 우수한 분해 성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imaging plate가 극단적으로 낮은 전자강도 기록이 필요한 전자 빔 조사 민감 물질이나 cryo-biological 시편들의 구조 연구 관점에서 가장 적절한 기록 매체임을 나타낸다. 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the detection properties between imaging plate and film for recording the electron diffraction pattern was carried out on a radiation-sensitive material, an aluminum trihydroxide (gibbsite, γ-Al(OH)₃), through the electron beam irradiation. Because the imaging plate has a wide dynamic range sufficient for recording extremely low- and high-electron intensities, the range of spatial frequency for the diffraction pattern acquired by the imaging plate was extended to two times larger than the range by the film, especially at a low electron dose condition (≤0.1 e-/μm²).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the imaging plate showed better resolving power for discriminating fine intensity levels even in saturated transmitted beam. Hence, in the respect of investigating the structures of radiation-sensitive materials and cryobiological specimens, our experimental demonstrations suggest that the imaging plate technique may be a good choice for those studies, which have to use an extremely low electron intensity for recording.

      • SCOPUSKCI등재

        Original Article : Geographic difference of epidemiological features of HCV infection in Korea

        ( Kyung Ah Kim ),( Sook Hyang Jeong ),( Eun Sun Jang ),( Young Seok Kim3 ),( Youn Jae Lee ),( Eun Uk Jung ),( In Hee Kim ),( Sung Bum Cho ),( Mee Kyung Kee ),( Chun Kang ) 대한간학회 201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20 No.4

        Background/Aims: The prevalence of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in Korea exhibits significant geographic variation, with it being higher in Busan and Jeonam than in other areas. The reason for this intranational geographic differenc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related to HCV infection among three geographic areas: the capital (Seoul), Busan, and the province of Jeolla. Methods: In total, 990 patients with chronic HCV infection were prospectively enrolled at 5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n=374), Busan (n=264), and Jeolla (n=352).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risk factors for HCV infection was administered to these three groups of patients,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indings was performe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exposure to the risk factors of HCV infection. By comparison with patients in Seoul as a control group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patients in Busan had significantly more experience of invasive medical procedures, acupuncture, cosmetic procedures, and multiple sex partners. In contrast, patients in Jeolla were significantly older, and they had a higher preval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 lower prevalence of multiple sex partners, and had experienced fewer invasive procedures. Conclusions: There was a significant geographic difference in the exposure to potential risk factors of HCV infection between patients from the three studied regions. This may explain the regional variation of the prevalence of HCV infection in Korea, an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planning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CV infection. (Clin Mol Hepatol 2014;20:361-367)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기업의 현금흐름 예측치로서의 현금흐름과 회계이익

        김정연 울산대학교 1999 경영학연구논문집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미래현금흐름을 예측하기 위하여 회계이익과 현금흐름 자체 중 어느 것이 더 우월 한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손익계산서상의 당기순이익, 법인세차감전 순이익, 경상이익, 영업이익과 현금흐름표의 영업활동으로부터의 현금흐름, 투자활동으로부터의 현금흐름을 변수로 사용하여 현금흐름변수와 회계이익변수간에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살펴 보았다. 또한 변수가 하나인 단순선형모델을 사용하여 예측오차율을 계산하여 회계이익과 현금흐름의 예측능력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현금흐름변수와 회계이익변수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미래 현금흐름의 예측에 있어서는 회계이익, 특히 영업이익의 예측능력이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증연구의 결과는 미국의 재무회계개념보고서 제1호에서 주장하는 회계이익의 예측력 우월을 지지하고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whether current earnings or current cashflow is the better predictor of future cash flow. Using net income, income before taxes, continuing income, operating income, cash flow from operating activities, and cash flow from investing activities as variables, correlations among those variables were examined. The prediction ability of accounting incomes and cash flows were compared on the basis of absolute prediction error rates that were computed using a simple linear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measures of cash flows were correlated with those of accounting incomes, and showed that operating income appeared to be the best predictor of cash flow variables. Thus, this results of the study support the FASB's assertions that earnings provide better forecasts of future cash flows than do cash flow measures themselves.

      • KCI등재

        특수교육 현장에서 AAC 시스템의 활용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 및 요구분석

        김정연,황지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2 특수교육 Vol.11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AC users' requirement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AAC system and supplement of the high-quality AAC system to develop a fitting system for user convenience. To collect data,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irty-four individuals (twenty-four specialist of special educations and ten parents) who assisted ten users of AAC system with disabilitie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of usability evaluation showed six themes and sixteen sub-topics by analysis of the transcribed interview contents were as follows. (1)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AAC system, (2) the contents of the AAC system, (3) the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s through the AAC system, (4) the utilization of AAC system user, (5) the utilization of AAC system facilitator, (6) the support of the various conditions.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bility of the AAC system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e flexible user interface design considering the various levels and the ability of the user should be developed during initial development process and the further studies on way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AAC system based on continued usability evaluation should be continued. 본 연구는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AAC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AAC 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이고 고품질의 AAC 시스템을 보완하여 사용자 편의에 적합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AC 시스템으로 마이토키(My Talkie) 사용자인 장애학생 10명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한 특수교육 관련 전문가 24명, 대상 학생의 보호자 1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과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한 사용성 평가의 결과는 6가지 대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AC 시스템의 기술적 특성, (2) AAC 시스템의 내용, (3) AAC 시스템을 통한 교수-학습 지원, (4) 대상 학생의 AAC 시스템 활용성, (5) 촉진자의 AAC 시스템 활용성, (6) 제반 여건 지원 측면의 내용들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AAC 시스템의 현장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초기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사용자의 수준과 능력을 고려한 융통성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현장에서의 계속적인 사용성 평가를 바탕으로 AAC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추후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전자선 증착장치 및 ITO 박막의 제작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김수길,최범식,우정주,고년규,황정남,정원모,이철주 연세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82 學術論文集 Vol.9 No.-

        태양 전지의 제작시 투명 전극막으로 쓰이는 ITO 박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cathode 접지 방식의 전자총을 가진 정전 편향 집속형의 전자선 증착 장치를 제작하였다. 가속전압이 0∼15kV, 필라멘트 전류가 0∼28A, 두 전극판 사이의 간격이 11mm, anode와 deflector 사이의 간격이 30mm인 최적 실험조건하에서 생성된 전자선 spot의 크기는 길이가 20mm 폭이 1mm였으며, 전자선의 출력은 약 400W였다. 이 전자선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1600℃까지의 증발 온도를 가진 도체와 절연체 등을 쉽게 증착시킬 수 있었으며, 만드어진 ITO 박막은 약 5000Å의 두께에서 10^-1∼10^-2Ω·㎝의 비저항과 95%의 광투과율을 갖는다. An electron beam evaporator with a cathode grounded type electron gun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in order to deposit ITO thin films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The optimum condition was observed with electode spacing of 11mm, 30mm between anode and deflector, a cathode inner diameter of 3mm and an anode inner diameter of 5mm. As the accelerating voltage varies from 0 to 15kV and ghe filament current from 0 to 28 A, the minimum electron beam spot has a 20mm length, and 1mm width and the output power ranges from 0 to 400W under the above optimum conditions. We can deposit materials whose evaporation temperature is over 1600℃ using this evaporator. And as a result ITO thin film showed a low resistivity of 10^-1∼10^-2Ω·㎝ and the transmittance of 95%.

      • KCI등재후보

        산업재해 환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김정연,이은주,하은희 대한산업의학회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해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교통사고 재해 환자와 일반 근로자들과 비교하고, 산업재해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은 1999년 12월 1일부터 12월 30일 사이에 경상남도 마산창원 지역의 요양중인 산업재해 환자 169명, 교통사고 환자는 같은 기간 같은 의료기관에 요양중인 환자 78명, 일반 근로자는 울산 공업단지 내 일반근로자 166명이었다. 산업재해 환자를 평가군으로 하고 교통사고 환자와 일반근로자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연령, 성별, 결혼상태, 고용상태, 부양가족의 수, 월평균수입을 조사하였고 환자군의 경우 진단명, 재원기간, 업무복귀에 대한 기대, 건강회복에 대한 기대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삶의 질 평가는 '한국판 스미스클라인 비참 삶의 질 척도'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사회경제적 지표에 따라 세 군에서 삶의 질 점수를 비교하였고, 산업재해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은 단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일반근로자군과 교통사고 환자군 사이의 삶의 질 지수는 차이가 없었으며, 산업재해 환자군에서 삶의 질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요인 1(정신적 건강 및 자신감), 요인 2(사회적 적응), 요인 3(만족과 걱정)에 대한 항목에서 산업재해 환자군이 유의하게 낮은 삶의 질을 나타내었다. 요인 4(신체적 건강)에 대한 항목에서는 세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높을 수록, 기혼자, 실업군, 부양가족이 3인이상인 경우, 평균월수입은 130만원 이하인 경우, 재원기간이 6개월 이상인 경우 산업재해 환자군의 삶의 질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연령을 보정한 상태에서, 일반근로자를 기준으로 교통사고 환자군과 산업재해 환자군의 낮은 삶의 질에 대한 odds ratio(OR)를 구하였을 때, 일반근로자에 비하여 교통사고 환자군은 1.21배, 산업재해 환자군은 2.47배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군별로 단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업재해 환자군에서는 연령이 높은 군에서, 재원기간이 긴 군에서, 업무복귀에 대한 기대가 없는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 환자군에서는 연령이 높은 군에서, 결혼한 사람보다 독신자(미혼자나 이혼자)에서, 부양가족의 수가 많은 군에서, 건강회복에 대한 기대가 없는 군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근로자군에서는 낮은 월평균 수입이 낮은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 론 : 결론적으로, 일반노동자군과 교통사고환자군, 산업재해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인자가 매우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산재 환자에서는 업무 복귀에 대한 기대와 재 원기간이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에 주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Objective : In order to compare and find the HRQOL and it's determinants among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TA patients and general workers, we performed a crosssectional study in Masan and Changwon city, Korea. Methods : Cases were 169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who admitted in the hospital, and controls were 78 TA patients who admitted in the hospital and 166 general workers who worked at Ulsan industrial area. HRQOL were measured by SBQOL. We investigated confounding variables which were age, sex, marital status, employment status, family numbers, monthly income, diagnosis, treatment duration, expectation for health recovery, and expectation for return to work. We compared the HRQOL among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TA patients and general workers. We made four factors from twenty three items by factor analysis and us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find determinants on HRQOL in each group.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QOL between case and control. The main determinants on HRQOL from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varied in each group. In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age(OR 2.73), treatment duration **** 6 months) (OR 3.09) and expectation for return to work (OR 2.62) were main determinants for HRQOL. And age(OR 1.07), marital status(OR 7.41), family members(OR 5.73), expectation for health recovery (OR 4.23) in TA patients. However, monthly income (〈1,300,000 won) (OR 1.76) were main determinants for HRQOL in general workers. Conclusion : Return to work is major determinants of HRQOL for occupationally injureal workers.

      • KCI등재

        전자토모그래피의 정량적 분석에서 대물렌즈 조리개의 영향

        김진규,이상희,권희석,정종만,정원구,이수정,주형태,김윤중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4

        Electron tomography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 대물렌즈 조리개가 투과빔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Electron tomography에 도입되는 Beer’s law의 올바른 적용을 위해서는 투과빔은 시료의 기울기에 따른 mass thickness의 변화에 의한 효과만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므로 빔 경로상의 대물렌즈 조리개, 홀더 등에 의한 다른 효과는 제거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물렌즈 조리개의 cut-off 효과를 120 kV TEM과 Quantifoil holey 카본 시료를 이용하여 상세히 평가하였다. 대물렌즈 조리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30 μm 크기의 대물렌즈 조리개를 통과한 투과전자빔의 강도는 약 16.7%의 감소가 일어난다. 또한 55˚이상의 고경사각 기울기에서는 대물렌즈 조리개의 cut-off 효과에 의해 14.2%의 강도 감소가 추가적으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Electron tomography에서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는 이러한 대물렌즈 조리개의 영향을 고려해야만 한다. 또한 Beer’s law의 올바른 적용을 위해서는 일련의 기울기에 따른 2차원적 영상은 가능하면 대물렌즈 조리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e have evaluated the effects of experimental factors on transmitted electron beam intensities for quantitative analysis in electron tomography.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Beer’s law in electron tomography, the transmitted beam intensity should reflect the net effect of mass properties on beam path. So, the any other effects of the objective aperture and the specimen holder on beam path should be removed. The cut-off effects of objective aperture were examined using Quantifoil holey carbon film and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perated at 120 kV. The transmitted beam intensities with 30 μm objective aperture dropped about 16.7% compared to electron beam intensities without the objective aperture. Also, the additional losses of about 14.2% at high tilt angles were occurred by cut-off effects of the objective apertures. For the precise quantitative analysis in electron tomography, the effect of the objective aperture on transmitted electron beam intensities should be considered. It is desirable that 2-D tilt series images are obtained without the objective aperture for correct application of Bee’s law.

      • 임금인상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연 울산대학교 1994 경영학연구논문집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다른연구에서 노동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난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후 임금인상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1987년이후 근로자들이 노동조합을 통하여 임금결정에의 참여가 전보다 더 많이 허용되었으므로, 임금인상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1987년이전과 1986년이후의 두기간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두개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1981년부터 1992년까지 321개 상장기업들의 재무제표 자료를 사용하여 두개의 회기분석 모델을 개발, 추정하였다. 그 재무제표 자료는 KIS-DISKETTE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금인상은 다른요인(자본의 심도)을 통제한 후에도 노동생산성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근로자들이 임금인상에 긍정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2) 임금결정에 전보다 더 많이 참여한다 하더라도 임금인상이 노동생산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지는 아니하였다. 오히려 그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1987년이후에 그전과 비교할 때 더 감소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wage increases on labor productivity, controlling the factors that are believed to affect labor productivity. Since 1987, employees have been allowed to participate in determining their wages through union negotiation more that over. Therefore, this study also compares the extent of the effect of wage increases on labor productivity before and after 1987 to see whether more participation of employees in determining wages afect the extent of the effect of wage increases on labor productivity. Two regression models are adopted to test two hypotheses established for this study using 321 firms' financial statement data for the period from 1981 to 1992. The financial statement data are retrieved from KIS-DISKETT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wage increases affect labor productivity positively, after controlling another factor (the rate of increase in the amount of capital per worker). This suggests that employees react to wage increases affirmatively. 2) More participation in wage determination than ever did not resulted in more effect of wage increase on labor productivity. On the contrary, the extent of the effect of wage increases on labor productivity decreased after 1987, comparing with the period 1981-198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