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청소년의 지역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함현미(Ham, Hyeon Mi),박경애(Park, Kyung 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학교 청소년의 범죄, 교통, 음식물 영역에 대한 지역사회 안전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분석 자료는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의 ‘2017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주요 변수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지역사회 안전인식이 주관적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성별, 지역규모, 가족유형, 학업성적, 경제수준이 학교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어 위의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지역사회 안전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 량을 가지는지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 안전인식이 학교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 범죄 안전인식, 교통 안전인식, 음식물 안전인식 순으로 삶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학교 청소년 삶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청소년 안전인식을 높이기 위한 지역사회 안전망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chool youth s awareness of community safety in the areas of crime, traffic, and food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analysis data of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2017 The Survey on Rights of the Children and Youths of the ‘The National Youth Policy Youth Institute’.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variable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 addi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community safety awareness on subjective satisfaction. Hierarchical analysis was used to ensure that community safety awar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quantities of life satisfa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above variables, especially when gender, regional size, family type, academic performance, and economic level were considered to affect life satisfac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degree to which community safety awareness affects school youth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at it significant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crime safety awareness, traffic safety awareness, and food safety awareness by area. This study considers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identifies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in school, and based on this,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creation of a community safety net to raise youth safety awareness were presented.

      • KCI등재

        콩배아의 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에 의한 이소플라본과 소야사포닌 변화

        이미자 ( Mi Ja Lee ),박송이 ( Song Yi Park ),이광식 ( Kwang Sik Lee ),김현영 ( Hyun Young Kim ),나지은 ( Ji Eun Ra ),함현미 ( Hyeon Mi Ham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9 산업 식품공학 Vol.23 No.3

        콩 가공 부산물인 콩 배아 이소플라본의 생체내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LA, LB, LP 등 3가지 유산균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비배당체화 전환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균주의 종류와 접종량, 발효시간에 따른 이소플라본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균주를 이용한 모든 발효에서 균주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전환을 보였고, 발효시간에 따른 비배당체 전환율은 24시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후에는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비배당체화 발효의 최적 균주는 LP균, 접종량은 5%, 발효시간은 24시간 이었다. 대조군의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구성은 글리시틴>다이드진>제니스틴 순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켰을 때 배당체들은 감소하였고,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다이드제인>글리시테인>제니스테인 순으로 45% 이상의 비배당체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산균으로 발효시켰을 때 다이드진의 함량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다이드제인 함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소야사포닌의 경우 발효에 의하여 Ab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Ba와 Bb가 증가하였다. 발효액은 pH 3에서 pH 6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다이드제인 함량이 많이 증가하였고, 소야사포닌 함량은 Ab 함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Ba와 Bb 함량도 소량감소하는 등 발효액의 pH가 발효에 의한 이소플라본과 소야사포닌 함량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고, LP균을 이용한 발효로 가공부산물인 콩배아의 생리활성 증가 및 기능성소재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effects of fermentation on soy embryo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LA), Lactobacillus bulgaricus (LB), Streptococcus thermophilussei (ST), and Lactobacillus plantarum (LP). As a result of the fermentation test of the isoflavone conversion by strain type, inoculation content, and fermentation time, the optimum conditions were LP bacterium, an inoculum amount of 5%, and a fermentation time of 24 hours. The composition of the isoflavone glycosides in the control was the highest in the order of glycitin> daidzin> genistin. When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glycoside content decreased, and aglycone content increased. The order of composition was daidzein>glycitein>genistein. In the fermentation with LP bacterium, soyasaponin Ab content decreased and Ba and Bb content increased. Upon assessing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pH of the fermentation broth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bioconversion of isoflavone and soyasaponin. In the case of fermentation by pH 6 broth, aglycone and Bb content was the highest. The increase of aglycone content by fermentation reaction with the LP bacterium can increase the physiological activity and functionalization of soy embryo, which is a byproduct of processing.

      • KCI등재

        국내산 밤 일부 품종의 기능성 성분분석과 항산화 및 대식세포 활성

        이현주(Hyeon-Ju Lee),정미자(Mi Ja Chung),조재열(Jae Youl Cho),함승시(Seung-Shi Ham),최면(Myeon Cho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9

        국내산 밤 일부 품종(단택, 대보, 석추, 옥광, 병고)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이들 물질들의 항산화력 및 밤 추출물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국내산 밤 일부품종의 내피와 과육에서 coumarin, gallic acid 그리고 catechin이 HPLC에 의해 검출되었다. 밤 내피에 가장 풍부한 기능성 성분은 catechin이고 그 다음 gallic acid와 coumarin 순이었으나, 과육에서는 gallic acid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밤의 기능성 성분인 gallic acid와 catechin의 항산화력을 DPPH radical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통해 알아보았다. Gallic acid과 catechin을 6.0 mg/100 g 처리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작용이 각각 69.4%와 38.3%였으며, gallic acid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농도 의존적이었다. Gallic acid를 동일한 농도의 catechin과 비교하면 모든 농도구간에서 catechin보다 gallic acid가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SOD 유사활성은 gallic acid보다 catechin이 높았다. 더하여 밤의 과육, 노란과육 및 흰과육 추출물들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병고 흰과육 추출물은 현저하게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켰고, 병고, 단택, 대보 및 옥광의 노란과육 추출물 역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여 현저히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켰다. 노란과육 추출물이 흰과육 추출물보다 더욱 더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켰고, 5품종 중 병고가 대식세포 활성을 가장 증가시켰다. Antioxidative and macrophage phagocytic activities and contents of functional component in selected Korean chestnuts (Dantaek, Daebo, Okkwang, Seokchu, Byunggo) were evaluated. Coumarin, gallic acid and catechin in inner skin and whole kernel of selected Korean chestnuts were detected by HPLC. The predominant functional components in inner skin of chestnut were catechin, followed by gallic acid and coumarin. However, the whole kernel had only gallic acid. Thus,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gallic acid and catechin were evaluated through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SOD like activity. Gallic acid and catechin at 6.0 mg/100 g exhibited 69.4% and 38.3% of scavenging activities on DPPH radical, respectively.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gallic acid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Gallic acid was found to possess higher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than equivalent amount of catechin at all concentrations, whereas catechin was found to have higher SOD like activity than gallic acid. In addition, pre-incubation of macrophage with white kernel extract from Byunggo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of phagocytic activity and yellow kernel extracts from Byunggo, Dantaek, Daebo and Okkwang, leading to an increase in phagocytic activity compared with untreated cells. Yellow kernel extracts was found to have higher phagocytic activity than white kernel extracts. Byunggo had the highest phagocytic activit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Korean chestnut may provide a natural source of antioxidants and active immunity.

      • KCI등재

        긴 사슬 지방산 생산을 위해 재조합된 E. coli로부터의 세포 내 지질 추출

        함수미 ( Su Mi Ham ),유인상 ( In Sang Yoo ),박상준 ( Sang Joon Park ),김지현 ( Ji Hyeon Kim ) 한국화학공학회 2013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1 No.4

        바이오알콜이 아닌 탄화수소계 바이오연료를 생산하기 위한 발효 공정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야생 균주에 비해 긴 사슬 지방산을 과량 생산하는 재조합 E. coli MG1655를 배양한 후 세포 내 지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압 균질기를 이용하여 세포를 파쇄한 후 환경친화적인 용매들을 이용하여 지질을 추출하였다. 세포 파쇄는 고압 균질기의 압력이 5,000 psi 보다 큰 압력 하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으며 20,000 psi 까지의 압력 범위에서는 1∼3회 파쇄로 모두 90% 이상의 파쇄율을 얻었다. 추출 용매 시스템의 경우 hexane/isopropyl alcohol과 ethyl acetate/ethanol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질 회수율을 나타내었고 상기 세포 파쇄 조건을 적용하여 초기 지질량의 약 60%를 추출하였다. 또한 추출된 지질은 C12, C14, C16과 C18과 같이 긴사슬 지방산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Recently, biohydrocarbons are gathering an interest as a new bioenergy due to the versatile applicability. In the present work, a process is proposed for the recovery of lipids from Recombinant E. coli MG1655 which provides longer chain fatty acids. After the growth of the recombinant E. coli, the cells were disrupted by high pressure homogenizer for obtaining intracellular lipids and the resulting solutions were centrifuged and extracted. For the efficient cell disruption with high pressure homogenizer, the pressure higher than 5,000 psi was required. In addition, under the conditions of applied pressure 5,000 to 20,000 psi, 1∼3 pass homogenizing was enough for the more than 90% cell disruption. As organic solvents for extraction of lipid, hexane/isopropyl alcohol and ethyl acetate/ethanol systems showed excellent extracting power. With these solvent systems, the 60% lipid could be recovered.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extracted lipids contained long-chain fatty acids such as C12, C14, C16 and C1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