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公案, 왜? 어떻게?

        변희욱(Hee-Wook Byun) 한국철학회 2007 철학 Vol.92 No.-

        이 연구는 ‘문자 학습’과 ‘公案 공부’의 관계, 그리고 ‘공안’과 ‘頓悟’의 관계를, 圓悟克勤(1063~1135)의 문헌을 주요 소재로 탐구한 것이다. 원오에게는 “不立文字’를 표방하는 돈오선사, 그리고 『碧巖錄』과 어록의 주역이 라는 이중의 연모가 있다. 원오는 본래성불을 체현하지 못한 존재를 위해 공안 공부를 제안했다. 그런데 공안은 문자공부ㆍ주객 분리 사고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그 병을 치유하는 秘方으로 원오가 제시한 것이 공안이다. 원오선에서 돈오의 첩경은 ‘전면적인 省察’이다. 그 핵심은 외부 지향에서 내부 지향으로 힘의 방향을 돌리는 것이며, 방향 전환의 축심이 바로 공안이다. 공안 참구의 관건은 공안에 “대해” 분석(思量分別)하지 않고, 공안을 “통해” 자신을 성찰 (回光返照)하는 것이다. 원오를 통해 본, 간회선 출현 이전까지의 선의 요체는 “活句로서의 공안 참구를 통한 返照, 반조를 통한 돈오”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literary learning and kung-an practice and between kung-an and sudden enlightenment, based on Yuan-wu's literature. Yuan-wu recommends kung-an practice for ones who have not to realize self-original perfect nature yet. However, kung-an can almost tum to be the object of literary learning and dichotomy thinking. It is the very kung-an that Yuan-wu suggests as a cure for that problem. The necessary gateway of sudden enlightenment is reflection(回光返照). The pivotal point of reflection is turning the direction of the force from outward to inward. Kung-an functions as the axis on which the force changes its direction. The crucial point is not to analyze kung-an but to reflect himself/herself through kung-an. In conclusion, according to Yuan-wu, the gist of ch'an before k'an-hua ch'an is nothing but reflection through kung-an practice as well as sudden enlightenment through reflection.

      • KCI등재후보

        大慧의 文字 공부 비판과 言語 中道

        변희욱(Byun Hee-Wook) 불교학연구회 2005 불교학연구 Vol.10 No.-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a-hui Tsung-Kao(大慧宗?: 1089-1163)’s critical view on the learning with words and letters. Ta-hui criticizes the various attitudes regarding language in Scholar Officials" Learning as well as Ch"an in his time.<BR>  Ta-hui"s criticism targets not only the learner"s clinging to but also the abandoning of words and letters. He especially criticizes the learner"s dependence on language as characterized in the study of wentzu ch’an(文字禪), kungan ch’an(公案禪) and literary learning (文章學). However, the actual focus of his criticism is not on language itself but on the learner"s attitude toward language. He believes that “seeing the perfect self-nature”(見性) is the root(本) of Ch’an practice, and that clinging to words and letters is the end(末) of it. He also believes that the learner"s subjective use of words and letters leads to good(正) learning while clinging to them results in false(邪) learning.<BR>  The gist of Ta-hui"s views on language is as follows: first, language is a tool to be utilized; second, the function of language should be conceived positively, without overlooking the possibility of learner’s dependence on it. It may be called as the “the middle way of language”(言語 中道). Ta-hui’s “middle way of language” is the succession of the Buddhist common view on language and the realization of the original spirit of the phrase “not to build letters” (不立文字).

      • KCI등재

        ‘拈花微笑’의 재발견

        변희욱(Byun Hee Wook) 한국동양철학회 2017 동양철학 Vol.0 No.47

        이 글에서는 질문한다. 질문에 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시도한다. 소재는 ‘拈花微笑’이다. 1. ‘拈花微笑’에 관한 기록을 추출하여 ‘拈花微笑’가 정설로 정착되는 과정을 탐색한다. 2. ‘拈花微笑’를 기획한 의도를 탐구한다. 3. 아직 연구되지 않은 접근 방법을 究明한다. ‘拈花微笑’를 새롭게 해석해 본다. ㆍ선문은 사실만을 기록했을까?: 선사들은 ‘拈花微笑’를 기획했고 가공해서 기록했다. ㆍ선문은 기록의 진위를 따지지 않았을까?: 대체로 선수행자들은 기록의 진위를 따지지 않고 묵수했다. ㆍ왜 가공해서 기록하고 묵수했을까?: 정통성을 확보하고, 선종의 배타적 우월성을 선양하고, 교외별전을 현창하기 위해서이다. 결론을 대신하여 문제를 제기한다. ㆍ‘拈花微笑’에 대한 다른 접근 방법은 없었을까?: 일부 선사는 拈花微笑 일화를 공안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과정의 목적은 의미 전복과 의심 촉발이고, 궁극의 목적은 기존의 자기 해체, 본래성 회복이다. ㆍ‘拈花微笑’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굴할 수는 없을까?: ‘공감, 소통.’ This article raises several questions regarding the famous Chan story of “Śākyamuni Buddha pick up a flower and Kāśyapa smile” and seeks to understand the story from a new perspective to illuminate its meaning that has been overlooked. For this purpose, the article first analyses how the records on the story went through transformation, and then discusses the reason why the story was differently written. The questions and answers discuss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does Chan literature include only truth?: Chan records contain not only truth but also fabrications. The composers of the Chan transmission literatures attempted to make up the story of “Śākyamuni Buddha pick up a flower and Kāśyapa smile” Second, did Chan community not discriminate truth from falsehood of the records?: They were rarely concerned about whether the records were true or false, but just adhered to them. Third, why did Chan masters fabricate the records and adhere to them?: It is because they aimed to secure orthodoxy, advocate exclusive superiority of Chan, and exalt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he teachings”. As a conclusion, we raise another set of questions: Were not there other approaches they could take?: Some masters were willing to use the story as a Gungan; the intermediate tasks were the contradiction of everyday logic as well as the triggered doubt; and the ultimate aim was the recovery of original nature. Also, could not be found other interpretations from the story of “Śākyamuni Buddha pick up a flower and Kāśyapa smile”?: ‘Empathy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看話의 철학

        변희욱(Byun, Hee-Wook)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3 No.-

        이 글은 看話의 본격 주제, 간화의 실제와 원리를 학술적으로접근해보기 위한 시도이다.祖師는 本來面目을 일깨우기 위해 格外의 機緣을 보인다. 학인이 알아차리지 못한다면 조사는 낮추어 보여준다. 조사의 뜻을 알고자하나 공부가 진척되지 않는 다양한 증상으로, 혼침과도거, 無記, 송화두 염화두, 주작화두, 穿鑿, 大悟가 있다. 이런증상의 원인은 답을 찾지 않고 문제만 보거나 간절하지 않기때문이다. 간절하게 답을 찾으면 나와 의심이 저절로 하나가 된다. 이 때가 간화의 시절이다.중생은 곧 부처다. 중생이 노력해서 부처가 되겠다고 발상이근본적인 병이다. 지금 바로 부처인데도 여전히 중생인 까닭은부처와 중생, 나와 남, 있음과 없음을 둘로 나누어 사고하기 때문이며 그런 사고에 젖어 있기 때문이다. 익숙한 틀(熟)을 벗어나 낯설지만 본래의 틀(生)로 복귀해야 不二門을 투과할 수 있다. 존재의 원리가 中道이니, 간화의 원리도 중도이며, 궁극의지향도 중도 체득이다.간화는 기존의 나를 해소하여(殺) 본래의 자유로운 상태로(活)로 가기 위한 조사의 관문이다. 격외의 관문을 돌파하여 부처로 복귀하는 방안이 바로 간화이다. 돌아보면 본래 그 자리다.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fundamental subject of K’an‐hua, namely the actual state and the principle. Seon masters ask questions beyond the case for their students to acknowledge their own pure nature(s. prabhāsvavatā). There are some symptoms such as torpor or agitation, tranquility without huatou, pronunciation of huatou, attention of huatou, falsification of huatou, inquiry of huatou, waiting (for) enlightenment without K’an‐hua, in case a student wants to know his/her Seon master's intention. The origin of these features is that students do not focus their mind to find an answer and/or they study without sincerity. When a student focuses his/her mind to find an answer with sincerity, he/she and a great doubt become one spontaneously. A sentient being is a buddha. It is fundamentally ill if anyone has an idea of practicing in order to become a buddha. The reason why anyone is still a sentient being, even though he/she is already a buddha, is that he/she has the dualistic thought; a sentient being or a buddha, myself or others, being or nothing, etc. He/she can pass the non-dualistic gate, when he/she frees himself/herself from the familiar pattern and return to the unfamiliar but original pattern. The principle of existence is the middle way, the principle of K’an‐hua is the middle way and the purpose of K’an‐hua is the realization of the middle way

      • KCI우수등재

        사대부 학문 비판을 통해 본 대혜의 “유학적 선”

        변희욱(Byun Hee-Wook) 불교학연구회 2004 불교학연구 Vol.8 No.-

          This thesis attempts to explain Ta-hui Tsung-Kao(大慧宗?: 1089-1163)"s view on scholar officials’ learning(學問). The targets of Ta-hui criticism are not limited to Ch"an Buddhism of the time. It targets the entire intellectual currents of the time. I believe, therefore, that the research on Ta-hui"s criticism on the intellectual currents of the time is indispensible, as we investigate Ch"an"s contribu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in Sung.<BR>  Ta-hui criticised scholars" learning for the state examination and their indifference in relating their study to the social issues of the time. With regard to the learning method, he was against their fragmented thinking, deficiency of self reflection, and noncritical readings. He diagnosed that all their problems originated from their negligence of self-reflection and insufficiency of self confidence. Thereupon, he suggested “seeing Ch"an"s self-original perfect nature(見本來面目)" as the treatment for their problems. As it were, he exhorted scholar officials to practice mind cultivation of Ch"an.<BR>  This new way of learning suggested by Ta-hui includes social engagement of Confucianism as well as mind cultivation of Ch"an.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call Ta-hui"s learning as “Confucian-Ch"an learning", and his Tao as “Social Everyday Mind 社會的 平常心是道)".<BR>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say that his criticism on scholar officials" learning is the fundamental criticism on the studying method of the time and that it also initiated intellectual discourses on this topic. Ta-hui"s actual concern was on “the problem of man", when he talked about the problem of learning. At this point, he stands on the same ground of the Taoxu?-movement(道學運動) in Sung dynasty. He made efforts not for the renovation of mind cultivation-method, but for the renewal of learning in Sung.

      • KCI등재

        간화선에서 앎과 알지 못함의 의미

        변희욱(Byun, Hee-Wo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7 No.-

        이 연구는 ‘간화선에서 앎과 알지 못함의 의미를 정리’하기 위한 기획이다. 간화선에서 지적인 앎 혹은 이해(知見, 知解)는 장애로 기능한다. 선은 지식축적(見聞覺知)과 비교분석ㆍ추론(思量計較)을 금기로 한다. 나아가 선은 ‘기존 사고 틀의 해체’를 요구한다. 간화선에서 알지 못함은 ‘간화의 시작’이며, ‘간화라는 지렛대의 받침점’이다. 알지 못하기에 알고자 함(의심)이 시작되며, 알고자 함이 시작될 때 간화가 시작된다. 알지 못함은 앎의 전환 즉 기존의 앎을 극복하고 “본디 그대로”의 앎으로 복원하게 하게 하는 회전축이다. 간화는 앎이 아니라 알지 못함에서 시작하여, 알 수 없음을 체험하는 과정이다. 간화의 의심은 알려고 했는데 알 수 없어서 필사적으로 알려고 함이다(“desperate yearning to acknowledge”). 주어진 기연문답에 기필코 알아내고야 말겠다는 의지가 발동했을 때, 던져진 기연이 바로 화두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he meaning of “knowing” and “not knowing” in K’an-hua Ch’an. Intellectual knowledge(知見) or understanding(知解) is functioned as an obstacle in the way of realization in K’an-hua Ch’an. Intellectual knowledge from literary learning(見聞覺知) as well as from comparative analysis and inference(思量計較) is regarded as a contra-indication in Ch’an. Not knowing is operated not only as the critical starting point of K’an-hua but also as the fulcrum point of leverage, which is so-called K’an-hua. Endeavoring to acknowledge can start not because of knowing but because of not knowing. K’an-hua originates from the moment of endeavoring to acknowledgement. In short, it is claimed in this article that the real meaning of “doubt (疑)” is “a desperate yearning to acknowledge.” Deconstruction of the established pattern of thinking is also required in Ch’an.

      • KCI등재

        교학 이후, 교외별전 이후

        변희욱(Byun, Hee-Wo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5 No.-

        교외별전(敎外別傳)과 교학(敎學)은 양립할 수 없나? 이 글에서는 교학 “이후(beyond)” 등장한 “교외별전”의 의미를 묻고, 교외별전 “이후 (after)” 그 개념은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탐구한다. 교학 이후, 교외별전 이후, “교외별전과 교학은 양립할 수 없나?”라는 물음에 관련하여 크게 네 가지 노선이 있었다. 교학 이후, 조주는 문자 그대로의 교외별전을 고수했다. 교외별전은 교학 이후를 상징하는 개념이다. 이 경우 교외별전과 교학은 양립할 수 없다. 교학 이후, 종밀은 선교일치 주장하면서 선 수행에 교학을 필수조건으로 요구했다. 종밀의 선교일치론에서 교학은 선의 필수조건이며, 선과 교학은 서로를 요청하는 관계이다. 그의 선교일치론에서 교외별전이라는 개념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교외별전 이후, 대혜는 교외별전의 취지를 전달함에 경론과 문자를 활용했다. 그는 경론과 문자를 활용했지만 교학을 인정했다고 할 수 없다. 대혜의 경우, 교외별전의 함의는 교학과 언어에 매몰되지도 외면하지도 않으면서 그것을 자유롭게 활용함이다. 교외별전 이후, 한암은 교학을 수용하여 교외별전의 의도를 전달하려 했다. 한암에게 교학 수용은 교외별전에 위배되지 않는다. 한암의 경우 교외별전과 교학은 양립가능하다. 임제종 양기파가 사용한 교외별전이라는 용어는 문자에의 속박으로부터 해방, 본성 직접 확인과 관련되었다. 그들은 교외별전의 개념을 “불립문자 직지인심견성성불”로 정리했으며, 그들에게 교외별전은 선 자체를 의미한다. 조주, 대혜, 한암의 선을 교외별전이라는 같은 용어를 묘사할 수 있다. 교학 이후, 교외별전과 교학의 관계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