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Water and Oil Insoluble PEGDA-Based Microcapsule: Biocompatible and Multicomponent Encapsulation

        Nam, Changwoo,Yoon, Jongsun,Ryu, Sang A,Choi, Chang-Hyung,Lee, Hyomin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8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Vol.10 No.47

        <P>Despite the recent development in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encapsulating biomolecules, there exist limited reports on multicomponent encapsulation in biocompatible microcapsules. In this letter, we utilize the molecular weight dependent solubility of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and droplet microfluidics to achieve direct encapsulation of bo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cargoes in PEG microcapsules. By using PEGDA 250 as the middle phase, we demonstrate that these PEGDA-based microcapsules allow simultaneous encapsulation of bo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cargoes. We further confirm the validity of this approach by demonstrating that complex biomolecule such as protein can be effectively encapsulated within these PEGDA-based microcapsules.</P> [FIG OMISSION]</BR>

      • KCI등재

        The Effects of Financial Support Policies on Corporate Decisions by SMEs

        NAM, CHANGWOO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16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4 No.4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public credit guarantee programs and interest-support programs for SME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First, assuming that there is an imperfect information structure in the SME loan market, we analyze how SME support financial programs affect the corporate decisions made by SMEs with regard to default or loan sizes. In addition, this paper theoretically computes the optimal levels of credit guarantee amounts and the interest-support spread under equilibrium with imperfect information in a competitive loan market. Second, the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continuous policy-treatment effect with the GPS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method. In particular, we consider the ratio of guaranteed debt to the total debt as a continuous policy treatment.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marginal effects of a credit guarantee on SMEs' productivity, profitability, and growth potential decrease with the ratio of guaranteed debt to the total debt. In addition, the average effect of a credit guarantee is maximized when this ratio is at 50% to 60%.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진로교육 패러다임 변화와 진로교육 발전 방안 탐색 : 부산 사례를 중심으로

        남창우(Nam Changwoo),이민효(Lee Minhyo),전지윤(Jeon Jiyo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따른 부산 진로교육의 패러다임을 탐색하고, 부산 진로교육의 발전 방안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코로나 시대 이전의 진로교육 현황과 부산 진로교육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부산 진로교육의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진로교육의 발전방향에 대해서 크게 4가지 방안과 세부 실천 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온・오프라인 진로교육 체계화를 위해 진로교육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여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블렌디드 러닝 진로교육을 위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활성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진로 선호도를 반영하여 진로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부산형 진로교육 특성화를 위해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의 다양한 인적자원과 물적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부산 지역의 다양한 기업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넓은 범위의 체험형 진로교육 활성화 및 뉴노멀 시대의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부산형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 · 학생 · 학부모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사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사 연수를 시행하고,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온・오프라인 진로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 적합한 진로교육을 위한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학습자 맞춤형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 맞는 교수 ・ 학습모형 개발이 필요하며 우수 수업 사례를 공유하고 체계적으로 활용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수업시간에 개발된 모형을 활용 가능하도록 교과 간 연계를 통해 다양한 진로역량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 후 수업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radigm shift and suggest the development plans of career education in Busan city for the Post-COVID-19 er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education in Busan, and suggested four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 policy and practical tasks of career education in Busan. First, it is required to buil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for learners and establish platform to improve usability for career educa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in the Post-COVID-19 era. For this, the contents and platform of career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with the career preference of students as users. Second, for specialized career education in Busan, Industry-University-Research cooperation system should be built and strengthened by utilizing various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infra structures in the area. Also, it is recommended to build plans of activating experimental career education with the larger range and reinforcing the capacity of students in the New Normal Era by developing relationships with the companies in Busan. Third, effective support for strengthen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instructors, students, and parents is needed to activate career education in Busan. Specifically, there should be digital literacy training programs for instructors and various career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students. Lastl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develop a career education instructional model which is suitable for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and to design learner-centered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both face-to-face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For this, developing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s required with sharing and utilizing the best instructional practices. In addition, with the connection of the various subjects, various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lessons to activate the usability of them.

      • KCI등재

        지방정부 공유재산관리의 효율화 방안

        남창우(Nam ChangWoo) 한국도시행정학회 2001 도시 행정 학보 Vol.14 No.1

        Public property is divided into the administration property such as an official building, the preservation property such as a historical spot and a natural monument, and a miscellaneous property. The administration about public property is composed of management and disposition. However it seems that local government not only have a poor grip of the situation and information on public land but also don't equip the public land related documents fully. Lots of the land among the practically usable public land are left to be deserted or they are occupied illegally by private lands. Under such a circumstance, recently, the local governments is emerged a strong interest in putting the local finances on a firm basis through the best and highest use of the public land. So the public land policy is at the turning point. This paper suggested a set of alternatives to improve management methods and techniques of local government-owned estate. To manage local government-owned estate efficiently, above all, the public servants in the field are absolutely required to think 'I manage my home and property'.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 유형과 대학 신입생의 공교육 및 사교육 경험 변인 간의 관계 탐색 : 부산광역시 소재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남창우(Nam, ChangWoo),박서현(Park, SeoHyun),권종실(Kwon, Jong 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대학입학전형 유형과 대학 신입생의 공교육 및 사교육 경험 변인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해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첫째, 대학입학전형과 사교육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고교 재학 중 공교육 경험 및 만족도, 마지막으로 대학입학전형별 사교육 경험, 필요성 및 만족도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4년제 A대학교 2016학년도 신입생 중 1,151명과 2017학년도 신입생 중 982명이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회수된 자료를 토대로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대학교 2016학년도 및 2017학년도 신입생은 고교 재학 중 참여한 공교육 활동에 대해 비교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6학년도 및 2017년도 수시전형 신입생들은 모두 공교육 중 진로진학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입학년도와 관계없이 사교육은 대학진학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수학능력중심전형(정시)에서는 더욱 그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입학년도와 관계없이 응답자의 80%이상이 고교 재학 중 사교육(유형, 비용, 시간 등)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양한 입학전형을 공교육의 테두리에서 충분히 준비할 수 있도록 적합한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 및 보급될 필요가 있으며, 학생 및 학부모의 사교육 의존도를 줄여나가기 위해서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ollege admissions and the changes in the experiences of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xperiences of college freshme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e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admission and private education, and secondly,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of public education in high school according to college admission types, and finally private education experience by college admission types, necessity and satisfaction levels. The subject were 1,151 out of 2016 freshmen at A University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982 out of 2017 freshmen. The collected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freshmen at A University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public education activities they had participated in while attending high school. Second, freshmen in both 2016 and 2017 were found to be highly satisfied with career development services during public educ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private education, regardless of the entrance school year is effective in advancing to college, especially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regular admission). Fourth, regardless of the entrance school year, more than 80 percent of the subject private experiences(types, cost, time, and etc.) while attending at high schools. These findings need to be developed and supplied in a variety of suitable programs to ensure that various admission programs are fully prepared at the confines of public education. In addition, various institutional mechanisms will need to be planned to reduce dependence levels of students and parents about private education.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부산의 미래교육 패러다임 변화 방향 탐색

        남창우(Nam Changwo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부산교육의 패러다임의 변화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교육의 흐름에 대한 현재까지의 주요 연구와 논의를 분석하였다. 또한, 부산교육의 미래학교에 대한 대응과 관련된 정책 및 실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부산의 미래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에 대해서, 크게 4가지 방안과 세부 실천 과제를 도출하였다. 주요 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부산의 다양한 교육기관 간의 교육지원 협력 체제를 유기적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부산의 지역 전문가를 통한 교육지원 조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혁신적 수업방식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이를 확대하는 정책을 강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및 MOOC 활용 수업 등의 학습자 중심 수업 활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미래 교육과 관련된 교육 정보 공유 체제를 마련하여, 인터액티브한 온라인 학습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부산지역의 평생교육기관 과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한 온라인 학습공동체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부산지역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교육의 글로컬리제이션을 실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에듀테크(Edutech) 산업계와 교육계 간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VR)와 증강현실(AR)를 포함한 스마트 시티 정책과 연계된 미래교육 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paradigm shift of Busan city’s education should go accor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main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discussions about future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it explored current responses, policies and practice process for Busan city’s future educ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our practice plans and subsequent activities for Busan city’s future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pecifically, first,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educational support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diverse educational institutes of Busan city systematically. For this purpose, it is needed to reinforce educational support organization utilizing diverse local experts in Busan. Second, it is needed to adopt innovative teaching methods actively and intensify educational policies related with them. For example, it is recommended to activat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such as flipped learning and MOOC-based instruction. Third, it encouraged to develop sharing system of educational resources for future education and establish interactive online learning communities. For this purpose, it is needed to establish online learning communities by connecting life-long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Busan with K-12 educational organizations effectively. Lastly, it is recommended to realize glocalization of education utilizing human·material infrastructure of Busan city positively. For example, it is needed to establish cooperation system between Edutech industrial world and educational fields, and develop Busan city’s future education related with ‘Smart City’ policy including Internet of Things(IoT),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AR).

      • KCI등재후보

        예비교사를 위한 디자인싱킹 기반 캡스톤디자인 교수설계모형 개발

        남창우 ( Changwoo Nam ),신동민 ( Dongmin Shin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1 창의정보문화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위한 디자인싱킹 기반 캡스톤디자인 교수설계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디자인싱킹 및 캡스톤디자인과 협력학습 등 학습자 중심 수업 관련 문헌분석을 실시하여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디자인싱킹 및 캡스톤디자인의 수업 설계 원리 및 수업모형을 탐색하고 핵심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된 핵심 요소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디자인싱킹 기반 캡스톤디자인 교수설계모형 및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설계모형과 교수학습모형은 디자인싱킹, 캡스톤디자인 외 교육관련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타당화를 포함한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수정 및 보완 후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인 최종 교수설계모형에는 학습자 및 학습 환경 분석, 캡스톤디자인을 위한 산학협력기관 운영 협의, 수업 단계 및 전략, 평가 등 수업 전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교수학습모형 최종안의 경우 세부 단계별 교수자 활동, 학습자 활동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포함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design thinking-based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model for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related to learner-centered instruction, design thinking and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instructional model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ere discovered, and core elements were derived. Based on the core elements deriv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pre-service teachers were developed. The developed model conducted a total of three Delphi surveys including expert validation for 6 experts related to education including design thinking, capstone design, was revised, supplemented, and the final draft was confirmed.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contain the overall content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instructor’s activities in detailed steps, and guidelines for learners'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