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이상원,이영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 4학년을 대상으로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대한 교육적 의미와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와 관련된 제7차 교육과정과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교수·학습 모형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습현장에 적용하였다.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된 검사지는 진옥화(2004)가 개발한 환경소양 측정도구 86문항을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한 최혜란과 이상원(2009)의 것을 재구성하였으며,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정량적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정량적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자의 관찰·기록과 수시 면담 및 포트폴리오 수집을 통해 정성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교육은 초등학생 환경소양의 4개의 환경 목적 수준별 모든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프로그램이 새로운 환경교육의 방법으로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인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이 개발한다면 초등학생들에게 환경소양을 함양시키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환경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와 보다 체계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program through NIE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fourth grade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velop and apply professor·learning model for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through NIE by abstracting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for the second semester of the 4th grade in 7th curriculum. Second, applying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through NIE had an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Third, applying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through NIE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every elements of environmental literacy divided by the four goal levels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Fourth, the result of a case analysis of observation and interview, many students had an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showed attitude change, will to act and change of action while participating in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through NIE.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through NIE can apply to the elementary schools,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of 4th grade students. That is to say, this program is meaningful as a new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s, an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more intensively and systematically on the professor·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17세기 남원의 시가문학 - 광해 혼조에 대한 문학적 대응을 중심으로 -

        이상원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이 글은 17세기 초반 남원 지역에서 활동했던 몇몇 사족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광해 혼조에 대한 문학적 대응 양상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파악한 것이다. 장경세의 <강호연군가>는 퇴계 이황의 <도산십이곡>을 효방하여 애군우국지성과 성현학문지정을 노래한 것인데, 여러 작품에서 사실에 부합하는 리얼리티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그가 남원 지역 유력 사족으로서의 지위를 다지기 위한 일환으로 이 작품을 창작했기 때문에 그런 의도성이 지나치게 개입하여 나타난 현상이다. 정훈의 시가에는 광해 혼조에 대한 극단적 부정과 인조대 서인 정권에 대한 극단적 찬양이라는 지나친 이분법적 구도가 자리 잡고 있다. 이는 당시 남원 지역 사족지배 질서를 주도한 가문들이 광해조의 북인 정권에서 소외되어 있다가 인조반정 이후 서인 정권에 참여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며, 이들 유력 사족으로부터 인정받기 위한 정훈의 의식적 노력의 소산이다. 조위한의 <유민탄>은 현재 작품은 전하지 않고 내용을 짐작할 수 있는 간략한 기록만 전하고 있다. 기존에는 이 기록들과 작품 제목을 근거로 현실고발문학 또는 현실비판문학으로 이 작품을 이해해 왔다. 그러나 남원 이주 당시 남원으로의 이주를 유배에 가까운 것으로 받아들이는 조위한의 심리 상태를 고려할 때 이 작품은 점점 피폐해져 가는 자신의 영혼을 달래고 위로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and significance of literary responses to Gwanghae Honjo(광해 혼조), including works by members of certain distinguished families in the Namwon(남원) area of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Mimicking Dosanshipigoke(도산십이곡) by Toigye(퇴계) and Lee Hwang(이황), Jang Gyeong-se’s Ganghoyeongungae(장경세의 강호연군가) discusses loyalty to the king, patriotism, and passion for the study of sages. Deeply steeped in the author’s intentions to solidify his position as a prominent noble family in the Namwon(남원) area, the work lacks realism, in light of the facts presented in several others. The poetry of Jeong Hune(정훈) is characterized by an excessively dichotomous structure, split between his extreme denunciation of Gwanghae Honjo(광해 혼조) and his exaltation of the Seoin regime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families dominating the social order in the Namwon(남원) area joined the Seoin(서인) regime after the coup against King Injo(인조), following years of alienation from the Bukin(북인) regime during the reign of Gwanghae(광해). The work is the result of his efforts to become recognized by these powerful families. There are only brief records with which to approximate the content of Yumintan(유민탄) by Jo Wi-han(조위한). No actual copies of the work remain.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work, based on these records and its title, is that it reported on or criticized the social realities of the times. Considering that he saw his move to Namwon(남원) almost as his exile, it is guessed that he created the work to comfort and console his spirit, which had gradually become impoverished.

      • KCI등재

        채용비리는 업무방해인가

        이상원 대검찰청 2021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70

        Recently, unfair hiring practices such as nepotism in workplace have emerged as a social problem in South Korea. South Korea witnessed a series of corrupted hiring decisions from private companies, influenced by political or social relationships. Such recruitment practices distort the integrity of the hiring process and undermines the fairness, a value pursued by our society. In response, Korean courts have applied §314 of the Criminal Code, which prescribes obstruction of business. However, this paper contends that this attitude of the courts is inappropriate. The provision of obstruction of business is meant to protect private interest, mainly private companies. Contrastingly, it is the social value—namely fairness—that the social condemnation of nepotism focuses on. Misidentifying the substance of unfair hiring, the courts’ current practices inappositely expand the scope of applying obstruction of business provision (§314), increase the uncertainty of the provision, and excessively restrict the freedom of private businesses. Furthermore, the courts’ logical reasoning behind their decisions are weak and inconsistent. Thus, unfair hiring is not a matter to be charged with obstruction of business. 채용비리가 사회적 문제로 되고 있다. 채용비리는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공정성이라는 가치를 훼손한다. 이에 판례는 채용비리를 업무방해죄로 의율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채용비리를 업무방해죄로 의율하는 나라는 찾아보기 힘들다. 업무방해죄는 기업을 피해자로 보고 있는 것인데, 채용비리에 대한 사회적 비난은 공정성이라는 사회적 가치가 침해되었다는 데 있지 기업이 피해를 보았다는 데 있지 아니하다. 판례는 불법성의 주소를 잘못 찾아 구성요건을 확장시키고 불명확성을 증대시키며 영업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한다. 나아가 판례가 업무방해죄로 인정하는 법리 자체도 일관되지 아니하고 논리적 설득력이 미약하다. 채용비리는 업무방해죄로 의율할 일이 아니다.

      • KCI등재

        통신산업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재원 R&D와 특허 스톡의 영향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이상원,이선미 한국정보사회학회 2019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0 No.1

        통신산업에서의 기술혁신은 경제성장과 국가경쟁력의 주요 동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최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현상의 기술적 동인 중 하나로도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1980년부터 2014년까지 42개국의 통신산업 기술혁신 관련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거시변인들(예: 연구개발 지출, 정부재원 R&D 비중, 통신 특허 스톡, 공통적 혁신 인프라 요인 등)이 통신산업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패널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s model)을 통한 데이터 분석 결과, 통신 특허 스톡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는데 이는 통신 기술혁신에서 지식의 축적(knowledge accumulation)이 중요 요소임을 의미한다. 또한, 데이터 분석 결과는 전체 연구개발비 재원 중 정부재원 연구개발 비중의 과도한 증가는 오히려 혁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아울러 연구결과는 투입요소로서의 연구개발비 지출, 공통적 인프라 요인인 교육수준 및 기업 부문의 R&D 비중 증가가 통신 기술혁신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contributes to the growth of econom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It has been also considered as one of technological drivers of digital transformation. This study employs panel data analyses, specifically applying the fixed effects model, to explore how macro factors such as government R&D funding, R&D expenditure, patent stock of telecommunications, common innovation infrastructure, and so on, have impact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The result shows patent stock of telecommunications, represented as knowledge accumulation, is one of statistical significant facto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addition, the result illustrates that the proportion of government R&D funding has an impa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however an excessive portion of government R&D funding of total R&D expenditures may have an advers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other factors, such as R&D expenditures, education, and industry R&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 KCI등재

        기지국가 일본의 對 베트남 원조외교

        이상원 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학 Vol.23 No.3

        After the war, Japan laid the groundwork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deology of a “peaceful state” by stipulating the renunciation of war in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However, a contradictory situation arises when Japan assumes the role of a rear base for US warfare during the Korean War and Vietnam War.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a ‘peace state’ was a ‘base state’ that entrusted Japan’s security guarantees to American-style diplomacy. Japan gained enormous benefits from the special effects of the Korean War, accounting for 63% of Japan’s exports at the time. On the other hand, the Vietnam War accounted for only 7-8% of Japan's exports, even including direct and indirect impacts, and there was no economic gain as much as in the Korean War. However, due to the Vietnam War, some countries in Southeast Asia, including Korea, have been on the trajecto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that has supported Japan’s rapid economic growth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impact of the Vietnam War was much greater than expected. The Vietnam War is generally evaluated by Japanese as ‘Fire Across the Sea’, and in the discussion surrounding Japan’s role, it is pointed out it is a ‘participant in the aggress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Japanese people who regard Japan as a “peace country” and the Japanese people who have accepted democracy as a national identity, it has become natural for Japan to oppose the US war in Vietnam. Therefore, during the Vietnam War, citizens and students each participated in the nonviolent anti-war movement called Bepyongryeon (Peace in Vietnam! Citizens’ Union) and the ‘Zenkyoto Battle’ movement, which was organized around the students of the new left, in connection with the movement developed with the residents around the base, and Civil society began to be embraced. In this paper, we try to explore the form of the Japanese government's aid to Vietnam in this social awareness. In this paper, I try to explore the form of the Japanese government’s aid to Vietnam in this social awareness. In particular, in accordance with the mandatory implementation of the U.S.-Japan security treaty, the Japanese government provided a base to the United States and played a role in the Vietnam War and at the same time engaged in aid diplomacy. I think it will be meaningful to review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aid diplomacy through characteristics. 전후 일본은 헌법 제2장 제9조(곽대기, 2007)) 일본국 헌법 제2장 전쟁의 포기, 제9조 ① 일본국민은 정의와 질서를 기조로 하는 국제평화를 성실히 희구하며, 국권의 발동인 전쟁과 무력에 의한 위협 또는 무력의 행사는 국제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영구히 이를 포기한다. ② 앞 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육해공군 그 밖의 전력을 유지하지 않는다. 국가의 교전권은 인정하지 않는다. 에 전쟁포기를 규정함으로써 ‘평화국가’ 이념 성립의 근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일본은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기간 중 미국의 전쟁수행을 위한 후방기지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순적 상황이 발생한다. 즉, ‘평화국가’의 개념이 미국형 외교에 일본의 안전보장을 위임한 ‘기지국가’라는 현실이었다. 한국전쟁 발발 이후, 1951년 대일강화조약 및 미일안보조약이 체결되었고 1952년 두 조약이 발효되면서 일본은 독립국으로 주권을 회복했지만, 미국의 목적은 일본의 재군비보다 우선된 전략적 위치의 확보를 위함이었고, 미일안보조약의 목적은 미군의 주둔과 일본기지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안보조약에는 일본의 기지 제공에 상응하는 미국의 일본에 대한 방위가 명시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1957년 기시내각의 요구에 따라 협상이 이루어졌다. 1960년 새로운 미일안보조약이 체결되는데 그 내용에 따르면, 미국의 일본에 대한 방위의무가 명시되었고, 극동의 평화와 안전을 위해 일본은 미국에게 기지를 제공한다는 권리의무관계가 확립되었다(李昌偉, 2008: 141-142). 일본은 한국 전쟁 기간 중 연합군의 기지역할을 수행하였고, 이른바 ‘조선특수(特需)’를 통해 당시 일본 수출량의 63%에 달할 정도로 엄청난 이득을 얻었다. 이에 비해 베트남 전쟁은 직‧간접적 영향을 포함하더라도 일본 수출량의 7~8%에 지나지 않아 경제적인 면에서는 한국전쟁에서 만큼의 큰 이득은 없었다. 하지만 베트남 전쟁으로 한국을 포함한 일부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의 경제 발전의 궤도에 올랐고 일본의 고도성장과 함께 경제 대국화를 받쳐온 국제 환경의 구조를 생각하면 베트남 전쟁이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훨씬 컸다(吉田, 2011: 170-171). 베트남 전쟁은 일본인에게 있어 ‘저 바다 건너 불(海の向うの火事、Fire Across the Sea)’라는 평가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며, 일본의 역할을 둘러싼 논의 가운데 지적된 것이 ‘침략 가담자’라는 것이다. 일본 국민 사이에서 일본을 ‘평화국가’로 간주하는 자기인식과 민주주의를 내셔널 아이덴티티로 받아들인 일본 국민의 입장에서는 일본이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에 반대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인식이 되었다. 하지만 ‘평화국가’라는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부정할 수 없는 ‘기지국가’라는 현실의 딜레마 속에서 반전평화운동은 본격적으로 전개된다. 베트남 전쟁 기간 중 시민들과 학생들은 각각 베평련(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이라는 비폭력 반전운동과, 신좌익 학생들 중심으로 조직된 ‘전공투(全学共闘会議)’ 운동은 기지 주변의 주민들과 전개하는 운동과 연계하며 일본의 시민사회를 포섭해 나가기 시작했고, 일본내 비판적 사회운동의 성장의 초석이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과 인식 속에서 일본 정부는 평화외교의 일환으로 대(對)베트남 원조외교를 펼쳤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 정부의 ‘대(對) 베트남 원조’에 중점을 두어 그 형태와 특징에 대해 모색...

      • KCI등재후보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이상원,김종우,노향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교사들의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심 및 녹색성장교육 이수의 방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02명의 예비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예비 초등교사들이 갖는 녹색성장의 영역별(환경, 경제, 기술, 녹색생활 실천) 인식의 정도와 변인(성별, 경력, 근무지역, 주거형태, 교육이수 유무)에 따른 인식의 차이와 차후 교육이수의 방향에 대한 요구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인식수준은 3.09로 보통 정도로 나왔고, 남녀 예비교사를 비교해 본 결과 예비 남교사들의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녹색성장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대중매체를 통해서 녹색성장에 대해 알게 되었고, 체계적인 교육이수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녹색성장교육 이수방법과 이수시간에 대한 조사결과 연수방법은 강의와 실습을 병행하거나 현장에서 실습위주로 받고 싶다는 의견이 높았다. 이수시간에 대해서는 2학점 이하를 응답한 예비교사들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연수의 교육내용은 녹색성장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과 외국 사례 등을 공부하고 싶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예비 초등교사들은 녹색성장교육에 대해 관심은 많으나 인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으며, 녹색성장교육과 관련된 이수 경험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예비 초등교사들이 향후 교육현장에서 녹색성장교육을 지도하는데 어려움을 겪지 않고 자신 있게 학생들을 지도하기 위해서 다양한 녹색성장과 관련한 교육 내용에 대하여 이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비 초등교사들이 가장 원하는 교육 내용은 녹색성장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 즉 실생활에서 바로 학생들이 적용할 수 있는 생활문제이기 때문에 현장체험이나 실습위주의 교육이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과 뿐 아니라 체험활동을 통해서도 녹색성장이 지도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In an elementary school, most subjects operated by a teacher in a charge of a class, the awareness of a teacher has a large effect on students education and action. Therefore a study for pre-service teachers’ awareness about green growth education is conducted. For these objective,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from 350 pre-service teachers who study in Seoul, Kyeongin, Chungbuk. The survey was consisted with conception of the teacher in field of the green growth(environment, economy, technology, living), variabilities according to the sex, grade, area where they live, life-style, and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The results from the survey is below: First, the average awareness is 3.09 and it is a moderate level. Male pre-service teachers showed higher awareness level than female. Secondly, the research shows that most of pre-service teachers have great interest in green growth Education, have noticed green growth through mass-media, and haven't experienced systematic training. Third,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a method for training green growth education, taking the lecture and practicing simultaneously were mostly required. About the time of training, large number of teachers responded that less than 30 hours are acceptable and wanted to study concrete practice method. In summary, we can conclude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lots of interest in green growth education, but they are lack of the awareness and rarely have experience of education.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핵심역량과 물리 교과 성취기준과의 관계성

        이상원,남일균,임성민 한국물리학회 2018 새물리 Vol.68 No.10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has meaningful differences from previous curricula in terms of key competency.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key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for physic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is, we set a framework for scientific key competency: scientific thinking, inquir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Also, we coded the texts in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that framework; then, we explored its meaning by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we found that scientific key competencies were impartially distributed among achievement standards in middle school and scientific inquiry & experiment in high school. However, scientific inquiry is disproportionately emphasized in elementary school, and scientific thinking in Integrated Science, Physics I, and Physics II in high school, while scientific communication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were found to be lacking in emphasis.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이전의 교육과정과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과학과 핵심역량과 물리 교과의 성취기준 내용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를 바탕으로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등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의 준거틀을 설정하고, 물리 교과와 관련된 성취기준 문장들을 핵심역량 준거틀에 코딩한 후 의미연결망분석을 통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중학교 과학 및 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에는 과학과 핵심역량이 성취기준에 고르게 분포하는 편이지만, 초등학교 과학의 경우는 과학적 탐구 능력에 편중되어 있고 고등학교 통합과학, 물리학I, 물리학II의 경우는 과학적 사고력에 편중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나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은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다.

      • 경찰관의 개인적 특성 및 교육훈련과 직무만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초급간부 경사·경위 경찰관을 중심으로-

        이상원 한국공안행정학회 200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0 No.14

        Ⅰ. 서 론지난 20세기 동안의 경제성장, 공업화, 산업화의 과정을 거쳐서 우리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였다. 21C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산업기술 들에서 지난 세기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변화의 사회임에 틀림없다. 21C 사회변화의 특징으로, 불확실성과 복잡다양성이 상존하는 급변하는 시대이고 지식정보화의 시대이며, 국경 없는 세계화의 시대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시대의 치안환경의 변화로는첫째, 과거와는 달리 범죄양상이 복잡화되고 하이테크화 될 것이라는 점 둘째, 사회불안을 야기하는 불법무질서가 증대되는 사회가 될 것이라는 점셋째, 경찰의 역할과 기능 변화의 중요성이 제기 될 것이라는 점이다.攀 경찰청, 21C 한국경찰의 나아갈 방향 - 경찰개혁 평가 및 향후 방향 제시-, 2000, p.26.攀攀지난 경찰활동은 국민이 요구하는 경찰활동의 수요에 부응하기보다는 정부의 국정수행 목표를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데 필요한 수단으로서 성격이 강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활동이 국민들의 대경찰 이미지악화와 대경찰 불신을 초래하게 된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현재의 경찰은 과중한 업무량, 예산의 부족, 장비 및 인력의 부족攀 장대홍, “미국 민간경비산업의 새로운 경향”, 한국민간경비학회 제2회 국제 학술세미나 (2001.1),p.30.攀攀 등으로 인해 국민들이 기대하는 만큼 효율적인 경찰활동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새로운 시대의 경찰은 시대적 상황변화에 적극적으로 순응하여 국민들의 요구에 부응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경찰관들의 자질향상과 더불어 경찰교육훈련면에서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한 것이다.경찰조직의 융통성은 단기적인 경찰업무 변동에 적응할 수 있는 경찰조직의 능력을 말하며 이러한 융통성은 적재적소에 잘 교육훈련 된 경찰력의 확보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경찰직으로의 입문은 경찰관들 사이의 태도, 경험, 인성(개성)에 대한 다양성을 창조하는 것이다.攀 Robert H. Langworthy and Lawrence F. TravisⅢ, Policing in America - A Balance of Force - (N. Y.: Macmillan Publishing Co., 1994), p.122.攀攀경찰관들의 교육훈련은 피교육생들이 신임교육 훈련과정을 미치고 경찰학교를 졸업할 때 끝나는 것이 아닌 동적인 과정이 되어야하며, 경찰관리자들은 피교육생들이 자신들에게 주어진 독특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경찰관들의 경력을 통해 교육훈련이 계속되어야 함을 확신해야 한다.攀 James J. Fyfe, Jack R. Greene, William F. Walsh, O. W. Wilson, and Roy Clinton McLaren, Police Administration (N. Y. : McGraw - Hill Co. Inc.,1997), p.318.攀攀21C의 치안정세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또 국민이 요구하는 선진경찰이 되기 위해서 경찰의 기능 중에서 어느 분야보다 우선 순위가 앞선다고 볼 수 있는 것이 경찰의 교육훈련분야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교육훈련이 경찰직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경찰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배경과 연구분석의 틀을 형성하고, 실증적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은 조사를 SPSS(win)10.0을 이용한 빈도분석, 변량분석(F검증), 다중회귀분석 등의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