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물에 대한 관조 : 인생에 대한 비유적 사유와 체험

        이국진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3

        인생에 대한 비유적 사유와 체험을 형상화 한 한국 한문학 작품들은 중국의 문학․철학․사상을 수용하고 변용하며 문학성과 개성을 발휘하였다. 이는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양상으로 구분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첫째, ‘인생은 흘러가는 강물과 같다.’라는 시간성에 대한 비유적 사유와 체험은 孔子가 토로한 ‘逝者如斯夫! 不舍晝夜.’라는 탄식, 漢代 樂府 「長歌行」, 李白의 다양한 시작품을 수용하고 변용하며 활발하게 형상화되었다. 이는 시조와 판소리로도 이어지며 그 사유방식과 표현법의 보편성과 확산성을 드러내었다. 둘째, ‘인생은 한갓 물거품일 따름이다.’라는 덧없음에 대한 비유적 사유와 체험은 金剛般若波羅密經과 楞嚴經의 구절에 의거한 것으로서 한문학 작품을 통해 다양하게 형상화되었다. 고려 후기 李穡은 이러한 비유적 사유와 표현법을 매우 적극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祭文과 挽詩를 비롯한 한문학 작품에서도 널리 활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朱熹가 「武夷櫂歌」 三曲의 4구에서 ‘물거품 같고 바람 앞 등불 같은 우리 인생이 가련하다(泡沫風燈敢自憐)’라고 표현한 사실은 인생을 물거품에 비유한 사유방식과 표현법이 사상적 혐의에서 벗어나 보편화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조선 후기 朴趾源의 「麈公塔銘」과 李德懋의 偈頌은 佛家의 사유방식을 능동적으로 재해석하고, 참신한 발상과 표현미를 더하여 뛰어난 작품성을 발휘하였다. 셋째,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물을 통해 비유적으로 사유하고 체험하는 양상은 ‘몸으로 직접 물을 건너가는 방법’, ‘배를 안전하게 운행하는 방법’, ‘흘러가는 물의 속성을 이해하고 그에 따르는 방법’으로 세분화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이 가운데 ‘몸으로 직접 물을 건너가는 방법’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비유한 대표적인 작품은 朴趾源의 「一夜九渡河記」였다. 다음으로 ‘배를 안전하게 운행하는 방법’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비유한 대표적인 작품은 李齊賢의 「送辛員外北上序」와 權近의 「舟翁說」이었다. 마지막으로 ‘흘러가는 물의 속성을 이해하고 그에 따르는 방법’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비유한 작품 중에서는 周易의 坎卦에서 비롯된 ‘坎止流行’이라는 용어가 한시에서 널리 활용되었다. 한편 金錫胄의 「觀江亭記」는 흘러가는 강물의 덕성에 주목하여 세상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용기와 지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상의 한국 한문학 작품들은 오늘날 인터넷과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즉각적인 인식․반응․처리 과정에 익숙한 현대인들에게 유용한 문학적 유산이 될 수 있다. 이는 현대인들에게 인간으로서 겪을 수밖에 없는 실존적 고민 앞에서 불안감과 상념을 발산․해소하거나 수용․정화하거나 초탈하는 폭 넓은 사유의 장을 제공하고, 존재적 의미를 성찰하고 삶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계기를 마련해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s the perceptibility and the ability to think are developed, human race has strived to understand and overcome the finite condition and hardships in life constantly. Diverse views of the world and the ontological expressions established by countless religion, philosophy, cultures, arts, etc. of all ages and 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essentially the products of such efforts. In this process, the key of the perceptibility and the ability to think that inspired the human race a lot was the metaphoric thinking. Human rare could understand and convey the difficult object or situation easily and cleary through the metaphor and came to explain even the abstract objects and phenomenon. The representative metaphoric subject that human race has utilized to understand and overcome the finitude, transience, difficulties, hardships in life, etc. was water. The reason why the metaphoric subject 'water' is special is because it is the holistic metaphoric object encompassing the temporality, journey, transience, hardships in life. Feeling that the essential attribute of life and water resembles each other in many ways from the beginning of time, human race could form the bond of sympathy from deep inside of unconsciousness. That is the reason why the way of thinking that compares the life to water has been shared throughout all fields of religion, philosophy, culture and arts. Sino-Korean literature works contained the metaphoric thinking and experience for life have exerted the literary value and personality by accommodating and the transforming the Chinese literary,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products based on the common human perception. In this article, its aspect was examined by dividing into the aspect of metaphoric thinking and experience on the temporality of "Life is like a flowing river", the aspect of metaphoric thinking and experience on the transience of "Life is nothing but a bubble", and the aspect that compares and experiences how to live in the world to water. In there, the wisdom of ancestors who wanted to see the problems in life hard to be encountered more comfortably with the metaphoric perspective was contained. In addition, the Sino-Korean literature works exerted the literary bond of sympathy and the personality utilizing the metaphoric subject of water, which seemed to be familiar and old-fashioned at a glance. Today, the modern people are familiar with the instant recognition, reaction and processing process based on the internet and SNS (Social Network Servic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Sino-Korean literature works provides the opportunity to relieve, purify and trans cend the anxiety and think widely, and can prepare the opportunity to introspect the meaning of existence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life.

      • 쇼트피닝 가공에 의한 자동차용 Drive Plate의 내구성 향상

        이국진,이동선,이재헌,정성균 한국공작기계학회 2005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

        The effects of shot peening on the fatigue strength of SK-5M steel is investigated by experiment. The shot peening process is investigated optimum peening condition by changing impeller speed and exposure time. Bending fatigue test is accomplish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ptimum peening condition on the fatigue characteristics. As exposure time is increased, fatigue life in high stress is increased in early stage, become the maximum from 60 to 100 seconds, and then is decreased. Observing fracture surface through SEM after fatigue test, we can see clear configuration of cracks and peening layer.

      • KCI등재

        A Case-Control Study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Totally Implantable Central Venous Port-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이국진,홍숙희,노상영,박사라,이명아,전후근,홍영선,강진형,김상일,김윤정,천호종,오정석 대한암학회 2014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46 No.3

        PurposeTo date, the risk factors for central venous port-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CVPBSI)in solid cancer patients have not been fully elucidated. We conducted this studyin order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CVP-BSI in patients with solid cancer. Materials and MethodsA total of 1,642 patients with solid cancer received an implantable central venous portfor delivery of chemotherapy between October 2008 and December 2011 in a singlecenter. CVP-BSI was diagnosed in 66 patients (4%). We selected a control group of130 patients, who were individually matched with respect to age, sex, and catheterinsertion time. ResultsCVP-BSI occurred most frequently between September and November (37.9%). Themost common pathogen was gram-positive cocci (n=35, 53.0%), followed by fungus(n=14, 21.2%).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ied monthly catheter-stay as a risk factorfor CVP-BSI (p=0.000), however, its risk was lower in primary gastrointestinal cancerthan in other cancer (p=0.002). Initial metastatic disease and long catheter-stay were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catheter life span (p=0.005 and p=0.000).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recent transfusion was a risk factor formortality in patients with CVP-BSI (p=0.047). ConclusionIn analysis of the results with respect to risk factors, prolonged catheter-stay shouldbe avoided as much as possible. It is necessary to be cautious of CVP-BSI in metastaticsolid cancer, especially non-gastrointestinal cancer. In addition, avoidance ofunnecessary transfusion is essential in order to reduce the mortality of CVP-BSI. Finally,considering the fact that confounding factors may have affected the results,conduct of a well-designed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is warranted.

      • KCI등재후보
      • Falx Syndrome을 보인 대뇌반구간 만성 뇌경막하혈종

        이국진,고은정,최하영 대한신경외과학회 2002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2 No.3

        Chronic subdural hematoma can be seen frequently in the cerebral convexity, however, it is rare in the interhemispheric space. It develops usually in patients with blood clotting disturbance, history of head trauma, chronic alcoholic abuse. When its volume becomes large, falx syndrome showing hemiparesis which is more prominent in the leg than in the arm or an isolated paresis of one leg, can be noticed. The interhemispheric chronic subdural hematoma can be managed by the conservativel treatment or surgical evacuation of hematoma. Decision on the treatment modality depends on the clinical course. Conservative management i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patients without disturbances of consciousness and other neurological deficits. However, early surgical treatment is necessary in patients with progressive neurological deterioration.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chronic subdural hematoma in interhemispheric space which was managed by medical treatment. Key words:Interhemisphere;Subdural hematoma;Falx syndrome.

      • KCI등재

        대학교 한시 전공 온라인 원격수업의 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 2020년 1학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이국진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0 漢字 漢文敎育 Vol.49 No.-

        This article looked back upon the online class mode of majoring the Sino-Korean poemexecuted on the 1st semester of 2020 when they entered suddenly in the online educationworld due to the COVID 19, and groped its improvement plan. This showed that students'ac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participation in the online remote class, easy and activecommunication between the professor and students, and the learning contents of raisingthe attention and interests were the core elements of class of raising the learningperformance. Therefore, I think it is important to embody effectively in the online remoteclass the teaching method constructed so far, and use the strength of online remote class. It is necessary to use actively several digital data in that the Sino-Korean poem isa literature genre in which the musical element and pictorial elements stood out. Throughthis, students could reach the deep understanding of meaningful element when they feelthe Sino-Korean poem interesting and sympathize even with its emotional element. Moreover, the teacher should make more effort to his role of helping students to translatethe work in person, talk actively about their feeling and appreciation, think what meaningit has in their life and this world, and to share this learning activity among students. Through this, if putting the online remote class as the motive for a creative changeof teaching the Sino-Korean poem, I expect that the abundant artistry of the Sino-Koreanpoem and several literature contents would come nearer to today's students. 본고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갑작스럽게 시행한 2020년 1학기 한시 전공 온라인 수업 방식을되돌아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필자는 온라인 원격수업은 대면 수업과 달리 학생들의 반응을현장감 있게 확인할 수 없고,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에 제한이 있으며, 각종 프로그램의 활용을 위한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체감했다. 그 과정에서 무엇보다도 온라인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을 집중시키는 방법이 중요함을 느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원격수업에서도 학생들의 능동적이고자기주도적인 학습 참여, 교수자와 학생들 간의 원활하고 활발한 의사소통, 주의력과 흥미를 높이는학습 콘텐츠 활용 등이 학습능률을 높이는 수업의 핵심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한시는 음악적 요소(운율)와 회화적 요소(심상)가 돋보이는 문학 장르라는 점에서 다양한디지털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수업 방법은 학습효과를 높여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한시를 흥미롭게 느끼고 그 정서적 요소(분위기)까지 공감하게 되면, 의미적 요소(주제, 생각, 사상등)에 대해서도 이해력이 깊어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 원격수업에서도 학생들이 작품을 직접 번역해 보고, 적극적으로 느낌과 감상을 얘기해 보고, 그것이 나의 삶과 오늘날 세상에어떤 의미가 있는지 생각해 보고, 이러한 학습활동을 학생 간에 나눌 수 있도록 교수자가 도와주는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온라인 원격수업을 한시 교육 방법의 창의적인 전환의 계기로삼는다면, 한시의 풍부한 예술성과 다양한 문학 콘텐츠들이 오늘날 대학생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空山無人, 水流花開’의 의미와 한국에서의 수용 양상

        이국진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3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of the phrase “空山無人(Empty Mountain No Person), 水流花開(Water Flows and Flowers Blossom)” in the 「十八大阿羅漢頌 (Eighteen Great Arahants' Odes)」 of the Song Dynasty writer Su Shi (蘇軾) and the aspect of acceptance of the phrase in Korea. 「十八大阿羅漢頌」 is a work written by Su Shi on April 15, 1099, when he was exiled to Hainan Island (海南島). Su Shi is a person proficient i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particular, he was greatly affected by the thoughts of Buddhist Zen Buddhism and Taoism in his miserable life where he could not realize his Confucian political ideals due to demotion and exile. “空山無人, 水流花開” is an expression originated from the Zen practice and Buddhist thought of Su Shi as such. Here, “空山無人” refers to a state of the total consciousness where the ego that unceasingly distinguishes between right and wrong disappeared that is silent and calm as if it is empty, and “水流花開'”reflects the mind state to look at beings or phenomena as they are in such a state of total consciousness.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reflection of the truth that the target world is merely a phenomenon that exists as a temporary harmony of various ties without any immutable substance. The phrase, “空山無人, 水流花開”, as such implies not only the boundaries of Buddhist enlightenment, but also Eastern philosophical and aesthetic ways of thinking and traditions of poetic expression. This is the reason why this phrase was accepted and loved by later writers in various ways. The acceptance of this phrase in Korea developed in three aspects termed 'a medium to express secular scenery and inspiration', 'figurative expression of the beauty and Zen taste of Mt. Geumgang', and 'recognition as a painted scene and expression through painting and calligraphy'. 蘇軾의 「十八大阿羅漢頌」에 수록되어 있는 ‘空山無人, 水流花開’라는 구절은 그가 1099년에 64세의 나이로 海南島(儋州)에 유배되어 있을 때 지은 것이다. 이 구절은 蘇軾이 평소 불교 禪宗의 사유와 도가사상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黃州로 좌천된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禪 수행을 실천한 토대에서 불교적 깨달음의 요체를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空山無人’은 끊임없이 시비분별하는 에고[자아]가 사라진 텅 빈 듯한 고요하고 평온한 전체의식 상태를 가리키고, ‘水流花開’는 그러한 전체의식 상태에서 존재나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마음 상태를 반영한 것이다. 동시에 이 구절은 대상 세계는 불변하는 실체가 아니라 여러 인연의 일시적인 화합으로 존재하는 현상일 뿐이라는 진리의 반영이기도 하다. 이러한 ‘空山無人, 水流花開’라는 구절이 동양의 사상적․예술적 방면에서 각별한 주목을 받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구절이 기존에 있던 시적 표현의 전통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이 구절의 근원에는 ‘없음’과 ‘텅 빔’ 등의 의미와 가치를 중요시하는 동양의 미학적 전통과 자연에서 진리를 체득하던 동양적 사유 방식의 전통이 함축되어 있다는 점이다. 셋째, 이 구절이 시적 경계의 분위기로 깊은 여운을 발산하며 감각적으로 느끼고 상상할 수 있는 여지를 충분히 제공했다는 점이다. 요컨대 ‘空山無人, 水流花開’는 여덟 글자에 지나지 않지만, 동양의 사상․미학․문학․예술의 정수가 응집된 결정체였다. 그것은 너무나도 간결하지만 어느 한 장면으로 규정할 수 없는 담백한 이미지를 앞세워, 사람들에게 깨달음과 체득의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그들의 영감과 감각을 자극했다. 그리하여 그것은 ‘고요히 텅 빈 가운데 오묘함이 느껴지는’ 마음과 자연과 문학과 예술을 각각 대변하면서 게송과 시와 비평과 회화의 경계를 자유롭게 왕래했다. ‘空山無人, 水流花開’라는 구절이 한국에서 수용되는 양상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첫째, 이 구절은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탈속적인 풍광과 감흥을 표현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했다. 둘째, 이 구절은 조선시대 문인들이 금강산의 아름다움과 禪趣를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활용되었다. 셋째, 조선시대 문인들은 ‘空山無人, 水流花開’라는 구절을 중요한 예술 경계로 인식하였고, 이와 관련된 회화와 서예 작품을 직접 남겼다. 그 가운데 금강산 곳곳의 아름다움이 이 구절로 대변된 점, 일부 문인들이 이 구절을 방편으로 자연에서 禪趣를 느끼고 내면의 禪理를 체감한 점, 崔北이 이 구절을 畵題로 개성이 돋보이는 「空山無人圖」를 창작한 점, 趙冕鎬가 이 구절에 빗대어 19세기 서울 승경의 실상을 실감나게 보여준 점, 金正喜가 禪․書畵․비평의 세계를 아우르며 이 구절에 담긴 의미를 진지하게 체득한 점은 더욱 주목되는 장면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