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대승(奇大升)의 리기심성론(理氣心性論)과 사칠론(四七論)

        황지원(Hwang, Jee Won)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38 No.-

        사단칠정논쟁은 조선성리학의 특성을 명확하게 드러냄과 동시에 이후의 학술적 흐름을 결정한 일대 사건으로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이 논문은 사칠논쟁 자체에 의미를 두기 보다는 기대승의 사칠론이 가지는 연원과 특성,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분명한 이해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기대승의 사칠론이 어디에 근거하고 있고, 어떤 과정으로 도출되어 나왔으며, 다른 학자들과의 차별적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해 보려는 것이다. 기대승은 이념적 차원에서는 리기를 분별함이 마땅하지만 현실의 차원에서는 리기가 따로 떨어질 수 없다는 원칙을 철저히 유지함으로써 이황의 성리설과도 다르고 이이의 성리설과도 다른, 하지만 동시에 이황과도 일정 부분 공통성을 지니고, 반대로 이이와도 연결되는 자신만의 독자적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리기론과 심성론뿐만 아니라 공부론과 경세관을 비롯한 전체 사유체계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하나의 극단에 치우치지 않고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면서 근원적 측면에서 점진적으로 도덕적 이상을 추구하려는 그의 태도가리기를 혼융하여 통일체로 보려는 관점이나, 이와 반대로 엄격히 구분하여 별개의 사물로 보려는 관점 모두를 그대로 수용하기 어렵게 한 것이다. 기대승이 말하는 리의 운동성과 이황의 리의 운동성은 동일한 의미로 이해할 수는 없다. 즉 기대승이 인정하는 것은 분수 이전 태극의 단계에서 리의 동정이며, 분수된 후 현실세계에서 리의 동정, 혹은 ‘발(發)’은 이황이 말하는 ‘발’의 의미와는 다른 것이다. 결국 기대승은리의 운동성을 인정하여 인간의 내면에서 강력한 도덕 근원을 확보하려는 이황의 시도를 어느 정도 수용하면서도 원리적 측면과 현상적 측면이라는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실제적으로는 유보적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기대승은 이황과 사칠논쟁을 진행하면서 마지막에는 실천적인 관점에서 이황의 주장을 수용하려고 노력하였으나 근본적인 입장의 차이는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는데, 사실 이러한 차이는 리와 기,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사단과 칠정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기 보다는 이들 개념이 근거하는 관계의 기본 구조에 대한 입장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즉 이황은 이 개념들을 대립적 관계로 이해하여 이원적인 구조로 이해했다면 기대승은 통합적 관계로 이해하여 일원적인 구조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종일관 두 사람의 논변은 평행선을 달릴 수밖에 없었다고 보아야 한다. 이러한 이해구조의 차이는 ‘대설(對說)’과 ‘인설(因說)’로 표현되기도 한다. Four-Seven debate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scholars as it was a major event that clarified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neoconfucianism and determined the subsequent academic flow.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origin, the characteristics, what it means, instead of making a sense of the Four-Seven debates. In other words, it is to examine where Gi Daeseung’s Four-Seven debates theory is based, what process has it derived from, what distiguishes Gi Daeseung’s theory from other scholars. Gi Daeseung forms its own independent system unlike Yi Hwang’s theory and it of Yi Yi, which holds partial commonness with Yi Hwang, which is connected with Yi Yi, by maintaining strictly to the principle that it is necessary to discriminate LiGi in the ideological dimension but LiGi can not fall apart from the level of reality. This seems to be connected not only with LiGi theory and Simseong theory, but also with all reason system including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thought of governance. In other words, his attitude to pursue moral ideals from the fundamental aspect step by step, while maintaining harmony and balance at one extreme, is difficult to accept both viewpoint to point out the entire which is mixed as Li and Gi, on the other hand, and viewpoints which are strictly classified and displayed on different ones. Gi Daeseung’s movement of Li and Yi Hwang’s it can not be understood in the same meaning. In other words, that Gi Daeseung is recognized as dongjing(動靜) of Li at the stage of Tai-JI(太極, Great Ultimate) before fen shu(分殊), and dongjing of Li or “bal(發)” in actual world after fen shu and Yi Hwang’s “bal” is different. After all, Gi Daeseung, by admitting Li"s motility and applying two criteria of principle aspect and phenomenological aspect, while accepting Yi Hwang’s effort to try to secure a strong source of morality from the inside of human beings, is taking a reserved attitude in fact. Gi Daeseung tried to accept Yi Hwang’s argument in the end while advancing Four-Seven debates with him, but the difference in the fundamental position is not narrowed down yet, these differences are not caused by understanding differernce of Li and Gi, Bonyeonjiseong (Original nature) and Kijiljiseong(Physical nature), Four clues and Seven emotion, comes from difference of fundamental system of relation on which these notions is based. In other words, Yi Hwang understands these notions as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and then do as dualistic structure, Ge Daeseung understands them as integrated relationship and then do as a unified structure. Therefore, debates of both Yi Hwang and Gi Daeseung have to run parallel lines. Differences in these understanding structures are sometimes expressed as “Daeseol(對說)” and “Inseol(因說)”.

      • KCI등재

        3차원 수치모사를 통한 연료극 지지식 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전지 성능에 대한 연결재 구조 효과

        황지원(Ji Won Hwang),이정용(Jeong Yong Lee),조동현(Dong Hyun Jo),정현욱(Hyun Wook Jung),김성현(Sung Hyun Kim) 한국청정기술학회 2010 청정기술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유체유동해석프로그램인 Fluent를 이용하여 연료극 지지체식 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에서의 연결재 구조에 따른 성능 변화를 고찰하였다. 실험적 사실과 부합되는 이론적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으로 전극과 하나로 되어있는 연결재의 구조가 전지 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두께가 작은 연결재가 단전지 성능을 우수하게 하는 것으로 보아 옴(ohmic) 저항에 직결되는 연결재의 두께가 전지 성능에 있어 주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일정 두께로 고정된 조건 하에 연결재 폭을 변화시킨 경우, 전지 성능은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에서 고려한 SOFC의 관형 구조 특성상 연결재의 폭으로는 원주 방향으로 흘러가는 전류 경로를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없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interconnect structure on the cell performance in anode-supported tubular solid oxide fuel cell (SOFC) has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employing the Fluent CFD solver. For the robust and reliable theoretical analysis corroborating experimental results,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elucidate the role of interconnec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electrodes on the cell characteristics. From the fact that the thin interconnect provides the enhanced cell performance, it is revealed that the interconnect thickness is a key parameter that is a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ohmic resistance. Under the constant thickness condition, the cell performance does not considerably change with the variation of interconnect width. This is because the current passage along with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not effectively altered by the change of interconnect width in tubular SOFC system.

      • KCI등재

        상호 결합된 차동인덕터를 이용한 GaAs HBT 공정 기반의 1.9 GHz~2.6 GHz 광대역 선형 전력증폭기 설계

        황지원(Jiwon Hwang),전형진(Hyeongjin Jeon),오한식(Hansik Oh),신재경(JaeKyung Shin),최우진(Woojin Choi),양영구(Youngoo Yang) 한국전자파학회 202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2 No.7

        본 논문에서는 상호 결합된 차동인덕터를 이용한 GaAs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HBT) 기반의 1.9 GHz~2.6 GHz 광대역 2단 선형 전력증폭기를 설계하였다. 2-section 중간 단 매칭 회로의 일부를 상호 결합된 차동인덕터로 구성하여 매칭 회로의 동작 대역을 넓히고, 회로의 크기를 소형화하였다. 또한, 입력 및 출력단의 광대역 발룬을 이용하여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선형적으로 동작하도록 최적화하였다. 제작된 선형 전력증폭기는 1.9 GHz~2.6 GHz 주파수 대역에서 22.0 dBm~24.0 dBm 의 최대 출력 전력 특성 및 33.0 %~39.0 %의 최대 효율 특성을 보인다. 또한, two-tone 신호에 대해 IMD3 특성 –30 dBc 이하에서 선형 출력 전력 22 dBm 및 33 % 이상의 높은 효율 특성을 보인다. This study presents a wideband two-stage linear power amplifier, operating from 1.9 to 2.6 GHz, using a mutually coupled differential inductor based on GaAs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HBT). A part of the two-section inter-stage matching circuit comprises a mutually coupled differential inductor, which widens the operating band of the matching circuit and reduces the circuit size. In addition, it is optimized to linearly operate in the wide frequency band using a wideband balun at the input and output stages. The fabricated linear power amplifier exhibits a maximum output power of 22.0 dBm~24.0 dBm and efficiency of 33.0 %~39.0 % in the 1.9 GHz~2.6 GHz frequency band. An IMD3 of −30.0 dBc at two-tone signal, with high efficiency of more than 33.0 % was achieved at the linear output power of 22 dB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전문대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핵심역량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B대학교 유아교육과를 중심으로

        황지원(Hwang, Ji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논문은 2년에 걸친 종단적 연구설계를 통해 전문대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핵심역량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8년과 2019년 매년 12월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개 연도에 걸쳐 수도권의 B전문대학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K-CESA의 4개 영역,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글로벌역량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동일 학생들을 활용한 종단적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먼저 횡단적 단순 비교결과를 보면, B전문대학 유아교육과 학생들은 직업의식과 대인관계역량 등이 이전 연도보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동일 학생을 활용한 종단적 분석 결과를 보면,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을 이수한 재학생들의 경우 작년보다 직업의식과 대인관계역량 점수가 높아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학년이 되면서는 대인관계역량이 높아졌고, 3학년이 되면서는 글로벌역량이 높아졌다. 그러나 졸업생의 경우에는 오히려 직업의식 점수가 낮아지고, 역량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유아교육과 졸업생들의 취업의 질 제고, 자원정보기술역량의 향상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e competences of students and in the education of specialized universities through two years of end-to-end research design. Over the two years, we conducted an examination of the four areas of K-CESA, self-managing capabilities, interpersonal skills, and resource information technology, and global capabilities to establish an end-to-end dataset using the same students. First of all, simple cross-sectional comparison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in B college s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have higher job consciousness and interpersonal skills. The results of an end-to-end analysis using the same students showed that students with higher job awareness and interpersonal skills than they did last year. In the second grade, interpersonal skills increased, and in the third grade, global capabilities increased. However, it has been analyzed that graduates have lower job consciousness scores and generally lower their ability. Based on this, suggestions for quality of child education and employment of graduate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resource information technology skills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PSEL 2015를 활용한 학교관리자 직무역량 개념 도출

        황지원(Ji Won Hwang),김영식(Young Sik Kim)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1 지방교육경영 Vol.24 No.2

        본 연구는 교육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보다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학교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필요한 학교관리자의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미국의 교육지도자 전문성 표준(PSEL 2015)를 기본 요소로 하여 학교관리자에게 필요한 직무역량 개념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학교관리자의 직무 및 직무역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PSEL 2015의 10가지 전문성 표준을 학교관리자 직무역량의 기본 요소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ISLLC 2008 및 신현석 외(2020)로부터 도출된 77개의 학교장 직무와 매칭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매칭 결과를 반영하여 학교관리자가 갖추어야 할 직무역량을 기본적인 직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기본 역량’과 학교를 둘러싼 외부 환경 변화로 인해 새롭게 요구되는 ‘미래 역량’으로 구분하고, 각 역량별로 이들을 구성하는 하위 역량을 개념화하였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학교관리자 양성 과정에 있어 새로운 역량 개념 도입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한편, 학교관리자에 대한 역량평가를 시범적으로 도입함으로써 학교관리자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mplemented the conceptualization of job competency of school administrators based on the conceptual components of PSEL(Professional Standards for Educational Leaders) 2015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schools. Specifically,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utilized 10 professional standards of school administrators of PSEL 2015 to match ISLLC(Interstate Leaders Licensure Consortium) 2008 and 77 school principal’s job derived from Shin et al.(2020). Considering the result of the matching, this study identified key competencies of school administrators as basic competency, which is needed to perform basic jobs within a school, and future competency, needed to correspond new challenges surrounding schools more effectively. Then, this study suggested sub-competencies comprise basic and future competencies. Furthermore, his study tried to provide the necessity of adopting the concept of competenc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he school administrator preparation system, and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current systems regarding these issu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