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공감역량과 회복탄력성,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적응에 관한 연구

        황경미(Kyeong Mi Hwang),정지영(Ji Young Jung),정민영(Min Young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7

        목적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공감역량, 회복탄력성,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적응 간 차이와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4개 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과 4학년 재학 중인 2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252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정,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도구의 신뢰도를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결과를 보면, 공감역량의 평균은 5점 만점에 4.11점, 회복탄력성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95점, 간호전문직관의 평균은 5점 만점에 4.04점, 임상실습적응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89점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결과를 보면 회복탄력성은 공감역량(r=.764, p<.001), 간호전문직관은 공감역량(r=.606, p<.001), 회복탄력성(r=.59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임상실습적응은 공감역량(r=.650, p<.01), 회복탄력성(r=.735, p<.001), 간호전문직관(r=.608,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공감역량, 회복탄력성은 간호전문직관과 임상실습적응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므로 간호대학생의 공감역량과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전문직관과 임상실습적응은 간호실무 향상에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질적간호의 기본요소가 되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such as empathy competency and resili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60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nursing at four universities, and 252 copies of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é post-test,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PSS 25.0 program were used for tool reliability. Results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statistical results of the main variables, the average of empathy competency was 4.11 out of 5, the average of resilience was 3.95 out of 5, the average of nursing professionals was 4.04 out of 5, and the average of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was 3.89 out of 5. Looking at the correlation results, resili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empathy competency (r=.764, p<.001), nursing professiona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empathy competency (r=.606, p<.001), and resilience (r=.591, p<.001).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empathy competency (r=.650, p<.01), resilience (r=.735,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s (r=.608, p<.001). Conclusions Since nursing students' empathy competency and resilience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s and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programs to improve nursing students' empathy competency and resilience. In addition, nursing professionals and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have important significance in improving nursing practice and are becoming basic elements of qualitative nursing.

      • KCI등재
      • KCI등재

        1990년대 소설가소설의 윤리의식 연구

        황경 ( Kyeong Hwang )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3 No.-

        In the 1990s, novelist-novels were requested in a format of sort of self-censorship and realization by novelists that were concerned with the degradation and damage of literature and tried to imprint the ethics of fierce literature and writer`s consciousness onto themselves. In their novels, the protagonists mostly contemplate and think over What is literature? What should literature be? in the pain of no more creation and sense of crisis as a writer. In the process of reflection, they reconfirm the ethical and social accountability of literature that it cannot be absorbed into the logic of fetishistic capital and be free from the wound and agony of social reality. The novelist-novels of the 1990s, in particular, are characterized by reflection on the conceptual and fragmentary literary concepts of the previous times and by pursuit of innate human physicality and natural senses, which used to be alienated and suppressed by modern civilization and reason, as the new orientation of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과 회복탄력성, 자기자비, 환자중심간호에 관한 연구

        황경미(Kyeong Mi Hwang),정지영(Ji Young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이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공감역량, 회복탄력성, 자기자비, 환자중심간호 간 차이와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U시의 250 병상 이상 2차 의료기관 3곳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2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218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정,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도구의 신뢰도를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역량의 차이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은 50세 이상에서 30~39세 보다 높게 나타났다(F=3.81, P<.01). 회복탄력성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50세 이상에서 29세 이하, 30~39세, 40~49세 보다 높게 나타났다(F=7.25, P<.001). 환자중심간호는 연구대상의 연령, 직위, 근무부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은 50세 이상에서 29세 이하, 30~39세, 40~49세 보다 높게 나타났고(F=7.25, P<.001), 직위는 수간호사가 책임간호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F=6.18, P<.01), 근무부서는 일반병동과 중환자실이 수술실 및 마취과 보다 높게 나타났다(F=4.76, P<.001). 상관관계 결과를 보면 회복탄력성은 공감역량(r=.551, p<.01), 환자중심간호는 공감역량(r=.637, p<.01), 회복탄력성(r=.602, p<.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자비는 공감역량(r=.306, p<.01), 회복탄력성(r=.508, p<.01), 환자중심간호(r=.269, p<.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 회복탄력성, 자기자비는 환자중심간호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므로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자기자비를 증진 시키고 공감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간호서비스 질 향상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such as em-pathy capacity, resilience, self-compassion, and patient-centered nurs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nurses. Method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30 clinical nurses working in three secondary medical in-stitutions with more than 250 beds in U City, and 218 copies of the data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Scheffé post hoc test,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ool reliability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y capac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age, and the age was higher in those aged 50 or older than in those aged 30 to 39 (F=3.81, P<.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depending on age, and it was higher in those aged 50 or older than those aged 29 or younger, 30 to 39, or 40 to 49 (F=7.25, P<.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centered nursing depending on the age, position, and work department of the study subject, with the age range being higher in those aged 50 or older than those aged 29 or younger, 30 to 39, or 40 to 49 (F=7.25). , P<.001), the head nurse was higher than the charge nurse (F=6.18, P<.01), and the working department was high-er in the general ward and intensive care unit than the operating room and anesthesiology department (F=4.76, P). <.001). Looking at the correlation results, resilience is empathy competency (r=.551, p<.01), patient-centered nursing is empathy competency (r=.637, p<.01), and resilience (r=.602, p<.01). .01), self-compass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pathy (r=.306, p<.01), resilience (r=.508, p<.01), and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centered nursing (r=.269, p<.01). Conclusions Clinical nurses' empathy capacity, resilience, and self-compassion show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centered nursing, s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to improve clinical nurses' resilience and self-compassion and to improve empathy are importan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 KCI등재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윤리적리더십과 윤리적민감성, 윤리풍토, 간호업무수행에 관한 연구

        황경미(Kyeong Mi Hwang),정민영(Min Young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윤리적리더십과 윤리적민감성, 윤리풍토, 간호업무수행 간의 차이와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S시, Y시의 250병상 이상의 2차 의료기관 3곳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2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239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정,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도구의 신뢰도를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리더십의 차이에서는 간호윤리 교육 받은 장소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교수업과 보수교육이 병원 내 실무교육 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F=5.734, p<.01), 윤리풍토는 근무부서에 있어서 내과병동과 혼합병동이 중환자실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F=2.298, p<.05). 직위는 간호과장이 책임간호사와 수간호사 보다 높게 나타났고(F=2.725, p<.05), 간호윤리 교육을 받은 장소는 보수교육이 병원 내 실무교육 보다 높게 나타났다(F=3.307, p<.05). 상관관계 결과를 보면, 윤리풍토는 윤리적 리더십(r=.642, p<.001), 윤리적 민감성(r=.67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간호업무수행은 윤리적 리더십(r=.510, p<.001), 윤리적 민감성(r=.66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윤리적 민감성은 윤리적 리더십(r=.522,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임상간호사의 윤리적리더십과 윤리적민감성은 간호업무수행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므로 간호업무수행과 윤리적 민감성에 있어 환자에 대한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간호윤리 교육과 윤리적리더십이 필요하며, 올바른 윤리풍토 조성을 위한 다양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ethical leadership, ethical sensitivity, ethical climate, and nursing performanc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nurses. Method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50 clinical nurses working at 3 secondary medical institutions with more than 250 beds in S city and Y city, and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using 239 copies of data for the final analysis.For data analysis,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 hoc test,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ool reliability. Results In the difference in ethical leadership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nursing ethics education was received, and school classes and refresher education appeared higher than practical education in hospital (F=5.734, p<.01), and ethical climate In terms of working department, the internal medicine ward and mixed ward were higher than the intensive care unit (F=2.298, p<.05). Regarding the position, the head nurse was higher than the head nurse and head nurse (F=2.725, p<.05), and the place where nursing ethics education was received was higher than the practical education in the hospital (F=3.307, p<.05). Looking at the correlation results, ethical climat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ethical leadership (r=.642, p<.001) and ethical sensitivity (r=.677, p<.001). Nursing performa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ethical leadership (r=.510, p<.001) and ethical sensitivity (r=.667, p<.001), and ethical sensitiv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ethical leadership (r=.522, p<.001). Conclusions Ethical leadership and ethical sensitivity of clinical nurses show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erformance,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empathy for patients in nursing performance and ethical sensitivity, and continuous and regular nursing ethics education and ethical leadership are needed.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create a correct ethical climate.

      • KCI등재

        이창동의 <버닝>에 나타난 문예 미학적 논리 연구 -무라카미 하루키, 윌리엄 포크너 소설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황경 ( Hwang Kyeong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4 No.-

        이창동의 영화 <버닝>을 메타서사로서 분석한다. <버닝>은 종수라는 소설가 지망생의 비극적인 추적의 서사를 통해 우리 시대에 소설쓰기란 과연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문제를 환기한다. 현실 비판적인 사실주의 작가로서 오랜 시간 나름의 미학관을 구축해 온 이창동 감독이 새삼 이러한 질문을 던지는 것은 그가 마주한 우리 시대의 현실에 선뜻 동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버닝>의 미스터리는 곧 감독 이창동이 인식한 현실의 모습이며, 확정할 수 있는 어떠한 진리도 진실도 가치도 부재하는, 모든 것이 유동하는 불확실성의 시대와 조응한다. 이창동은 하루키와 포크너의 동명의 소설, 「헛간을 태우다」와 「헛간 타오르다」를 매우 흥미로운 방식으로 차용하면서, 우리 시대의 문학/예술의 존재 방식을 탐문한다. 하루키의 ‘헛간 방화’가 탈중심적이고 탈주체적인 해체적 사유와 관련된다면, 포크너의 ‘헛간 방화’는 경제적 착취와 계급적 차별에 대한 분노와 저항의 의미를 갖는다. <버닝>의 비극적인 결말은 하루키적 현실에 대한 부정이며, 포크너적 저항과 싸움의 논리에 대한 수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 어쩌면 이창동 감독은 <버닝>을 통해 이미 지나버린 시대의 미학적 논리와 문학적 욕망을 호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역사의 발전과 진보에 대한 믿음으로 어떤 가치와 진리의 실현을 향해 나아가던 모더니티의 미의식이며 사회 현실과 길항하는 리얼리즘적 방법론의 요청이다.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Lee Chang-dong's films < Poetry > and < Burning >. < Poetry > and < Burning > can be interpreted as meta-narratives. The < Poetry > emphasizes the poet's sense of ethics. < Burning > was made like a mystery movie. What is mysterious is the reality of our society. There are many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in society today. But our society is rich and affluent. No one seeks the truth or thinks of social justice. People pursue pleasure. < Burning > asks what is novel writing in this age. < Burning > explores the literary and artistic styles of our time with novels by Haruki and Faulkner. Haruki's novel shows off decentered ideas and deconstructive logic. Faulkner's novel depicts resistance to class discrimination. The tragic ending of < Burning > denies the postmodern logic of Haruki novel and accepts the resistance of the Faulkner's novel. Lee Chang - dong's film show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modernity that believes in the progress of history and pursues value and truth. And his film is aimed at reality-critical realism.

      • KCI등재

        자유주제 : 신성의 추구와 반역사주의의 논리 -정찬의 소설가 소설-

        황경 ( Kyeong Hwa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1

        정찬의 소설가소설은 문학이 어떻게 신성 회복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관념적 탐색의 서사이다. 정찬 소설의 신성 추구는 현대 문명과 자본의 물신성에 대한 비판과 부정에서 비롯된다. 궁극적으로 그의 소설은 문학의 언어로 구축하는, 인류 역사가 근대 이성과 문명의 이름으로 퇴출시킨 원초적이고 우주적인 신화적 세계의 가치를 지향한다. 그에 의하면 역사는 언제나 끝없는 권력 욕망의 연쇄 과정이다. 정찬은 권력 쟁투의 역사를 부정하고 초역사적인 신성의 세계로 회귀함으로써, 훼손되고 타락한 현실을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문학(가)과 예술(가)이 이러한 초월의 주체로 호명된다. Jeong Chan`s novelist novels present a narrative of conceptual investigation into how literature can be the subject of divinity recovery. In his novels, his quest for divinity starts with his criticism and denial of fetishism of modern civilization and capital. His novels ultimately yearn for the primitive and cosmic mythical world liquidated by human history in the name of modern reason and civilization. According to the author, history is a chain process of power desire that never ends. He argues that man can escape from the damaged and degraded reality by denying the history of power struggle and returning to the ultra-historic world of divinity. Literature(literary figures) and art(artists) are called the subjects of such transcen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