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almgren`s axonal silver stain의 소개및 활용

        홍광표,박진향,김희송,박윤익,정학인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7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7 No.-

        배경: Nerve(axon)를 보기위한 silver stain으로는 이미 잘 알려진 Bielschowsky이 많이 활용 되고 있다. 그러나 Peripheral nerve biopsies상에서 palmgren``s stain은 가장 고전적이며, 가장 쉬우며, 또한 가장 믿을만한 염색법으로 소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잘 활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원에서는peripheral nerve stain시 rontine으로 활용되고 있는 palmgren``s stain을 소개하고자 하며, 또한 bielschowsky stain의 결과와 비교하고자한다. 방법: 2006-2007년까지 본원에 의뢰된 peripheral nerve biopsy 15예를 토대로 case당 bielschowsky 와 palmgren``s 2장을 염색,총30장을 염색하여 각각의 slide를 비교하였다. 결과: Bielschowsky - 염색성과 선명도는 양호하며, 굵은 axon이 잘 염색되었으며, 색대비가 좋다. Palmgren``s - 염색성과 선명도는 양호하며 ,굵은axon 뿐만 아니라 미세한axon들도 선명하게 염색되었다. 결론: 신경계질환은 흔히axon 과myelin의 형태학적이상을 진단의지표로삼고있는데, 이에palmgren``s stain은 위의조건을 충족시킬만한 qulity를가지고있으며,염색방법 또한 비교적 쉽고 간단하여peripheral nerve염색시,임상에서 활용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다공성 실리콘위에 rf-스퍼터링법으로 증착된 ITO 박막의 구조적 물리적 특성

        홍광표,권덕렬,박현아,이종무 대한금속재료학회 2003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1 No.6

        Transparent conducting indium tin oxide (ITO) films are deposited by rf-sputtering at a constant power of 400W in Ar atmosphere on the porous silicon (PS) layers anodized on p-type (100) Si wafers. At three successive stages of deposition for 10, 20 and 30 min. respectively, the growth of ITO on PS is thoroughly investigated by AFM, SEM and XRD techniques. The features of growth on other substrates like single crystal p-type (100) silicon, quartz and glass a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influence of ITO microstructure on the porous silicon interface is correlated with the electrical and luminescent behavior of the resulting heterojunction diode structure.

      • 동탄작가정원, 몽탄원(夢灘園)설계

        홍광표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8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4 No.1

        This design is an experimental work on how to creatively inherit the contents of traditional gardens through certain means and methods for building modern Korean gardens. The focus of this design wa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elements introduced into a traditional garden, the use of modern materials, and the modernization of gardening. In this design, the concept of design was defined as 'an imaginary garden met in dream' and conceived design language and design strategy accordingl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reatively succeed traditional gardens, and this work shall not be considered as the answer to the creative succession of the tradition. Therefore, many attempts shall be made in the future, and a discussion space will be set up to openly discuss tradition and modern communication. 본 설계는 전통정원이 가진 내용을 현대정원에 어떠한 수단과 방법을 통해 창조적으로 계승할 것인가에 대한 하나의실험과정으로 진행한 작품이다. 본 설계에서 주목한 내용은 전통정원에 도입된 요소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현대적 재료 사용, 그리고 작법의 현대화였다. 본 설계에서는 설계의 개념을 ‘꿈에서 만난 상상정원’으로 정하고, 이것에 대한 설계언어와 전략을 구상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정원의 창조적 계승을 위한 하나의 시도로, 이 작업이 전통의 창조적 계승을 위한 정답이라고 볼수는 없다. 따라서 향후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그것에 대한 담론의 장이 마련되어서 공개적으로 전통과 현대의 소통에대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프랑스 수도원의 회랑식 정원에서 나타나는 형식과 내용

        홍광표,오정남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7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ormal characteristics of cloister gardens which are most common among the monastery gardens, and to investigate how these form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certain function, or more precisely, a meaning. The study was conducted on seven monasteries in France. The type of cloister gardens to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is based on an analysis of plant elements, water elements, and facilities in addition to basic things such as location, shape, space compo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unction of the cloister garden varies from the functions of separating and connecting the living spaces of the cathedral and the rhetoric, the functions of rest and reading, the function of meditation, the function of contemplation, and the function of labor and the charisma that occurs in Lavabo. Secondly, the shape is represented as square, rectangle, and trapezoid with slight variance depending on the mental characteristics or the arrangement of the monastery. Third, the spatial composition seems to take an original form of ‘十', shaped by criss cross lines, but over time, spatial composition changed and transformed to the needs of the monasteries. Fourthly, it can be seen that traffic lines have develop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十', 'X', and 'ㅈ' from original froms leading to irregular and diverse space configuration. Finally, in the cloister garden, various plant elements are introduced into spaces according to traffic lines, and there are several elements such as wells, fountains, and entrances, and a bench was introduced as a facility. 본 논문은 수도원 정원 가운데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회랑식 정원의 형식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러한 형식적 특징이 어떠한 기능 즉, 의미와 연결되는가를 살펴보기를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으며, 프랑스에 소재하는 7개소의수도원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회랑식 정원의 형식은 위치, 형태, 공간의 구성, 동선과같은 기본적인 것들과 더불어 식물요소, 수경요소, 시설물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랑식 정원의 기능은 성당과 수사들의 생활공간을 분리하고 연결하는 구조적 기능, 휴식과 독서의 기능, 명상공간으로서의 기능, 관상의 기능, 라바보에서 일어나는 세욕과 노동의 기능 등으로 다양하였다. 둘째, 형태는 정방형과 장방형 그리고 사다리꼴 등 세 가지로 나타나고 있으며, 입지적 특성이나 수도원의 배치형식에따라 약간의 변화가 있었던 곳으로 보인다. 셋째, 공간구성은 ‘十’자형 동선에 의해서 정형적으로 구획되는 것이 원형적 형태로 보이나, 시간이 흐르면서 원래의규범성이 수사들의 필요에 따라 변형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넷째, 동선은 ‘十’자형, ‘X'자형, 'ㅈ’자형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 동선 역시 공간구성과 같이 원래의 규범적형식으로부터 매우 불규칙하고 다양하게 발달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회랑식정원에는 동선에 따라 구획되는 공간에 다양한 식물요소가 도입되고 있으며, 우물, 분수, 수반 등과같은 수요소가 있고, 시설물로는 벤치가 도입되어 있었다.

      • KCI등재

        수직정원의 기반 특성에 관한 연구

        홍광표,홍승훈,진혜영,이혁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3

        The vertical garden is an environment where plants have many limitations in their growth. Inparticular,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oundation are characterized by unbalanced moisture distribution. And although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light, generally the base of the light isnot in desperate need for plants to grow due to sh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hysicalcharacteristics of the vertical garden based on Felt through experiments, classify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the media, and suggest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water quantity water frequency, and lighting according to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ound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o be most appropriate to use a 4mmbase for the vertical garden and to have an irrigation of about 10 minutes once every 6 hours. In addition, itwas found that in order to create a light condition for sufficient growth of plants, light bulbs should be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oundation. As a result of irrigation and lighting tests, the resultsof the above-mentioned plants need to be referred to in selecting plants that are introduced to vertical gardens,as the results show that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has a lower moisture rate and a stronger light thanthe lower part, and the lower part has a higher moisture rate and a weaker light than the upper part. In thefuture, we would like to present more accurate methods of selecting and maintaining plants by conducting plantexperiments using the underlying characteristics found in this study. 본연구에서는 Felt를 기반으로 하는 수직정원의 위치(상부, 하부 등)에 따른 물리적 특성(함수율, 조도 등)을 실증실험을 통하여 파악하고, 식재가반의 위치적 특성을 분류한 후, 기반의 위치적 특성에 맞는 관수량과 관수주기, 조명설치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수직정원용으로는 4mm의 기반을 사용하고, 6시간에 한번 약 10분간의 관수를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식물이 충분히 생육하기 위한 빛 조건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반의 상부와 하부에 보광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수실험, 조명실험을 실시한 결과, 기반의 상부는 하부에 비해 함수율이 낮고, 빛이 강한 것이 일반적인 결과이고, 하부는 상부에 비해 함수율이 높고, 빛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수직정원에 도입하는 식물을 선정할 때에는 상기의 결과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보리 엔슈(小堀遠州)의 작정기법

        홍광표,최미영 한국전통조경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at is the unique garden making methods of Enshu Kobori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at existing garden of Enshu Kobori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Japanese garden that had been built up to such a period. Enshu Kobori breaks away from the conventional frame that was established with the gardens of existing Karesansui style(枯山水樣式) with the materials of rocks and sands. Enshu Kobori is produced to make harmony with the rocks by trimming the Rhododendron indicum and this type of making method of Enshu was originated from the aesthetic principle of kireisabi. Due to this type of cause, the garden of Enshu Kobori displays splendid and yet a simple beauty of gardening. With respect to the establishment of a garden unique to Enshu Kobori as such, it seemed to have the cultural background expanded with the cultural perception and official family class of the edo period where it strived for new things. Therefore, Enshu Kobori was designed as the ornament-oriented garden rather than the garden that requires direct ceremonial act. The subject sites for this study are Raikyuji, Daichiji, Shodenji, Nanzenji Hojo and Konchiin as intended by Enshu Kobori. Contents of the study contemplate the location of garden, factors to introduce the garden, structure of garden, background of garden, use of stones, plants and scenic views to clarify the uniqueness of the Enshu Kobori garden. 본 연구는 고보리 엔슈(小堀遠州)의 정원이 그때까지 조성되어 온 기존의 일본 정원양식과는 다르다는 것을 분석하여 그의 독특한작법(作法)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고보리 엔슈는 기존의 가레산스이 정원이 돌과 모래를 재료로 조성되는양식적 틀에서 벗어난 새로운 가레산스이 양식을 창안하였다. 그는 사쯔키철쭉을 강전정하여 돌과 조화를 이루도록 연출하였는데, 이러한 엔슈의 작법은 키레이사비(綺麗)라는 미적원리에서 비롯되었다. 그러한 까닭에 엔슈의 정원은 일견 화려하면서도 단순한정원미를 보이는데, 이것 역시 그가 창안한 독창적인 정원기법이다. 고보리 엔슈가 창안한 특유의 정원양식은 새로운 것은 추구하던 에도(江戶)시대의 사람들의 문화의식과 공가(公家) 문화가 확산되는문화적 바탕이 작용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연유 때문인지 고보리 엔슈는 의식을 위한 형식적 차원의 정원보다는관상 위주의 정원을 설계하고 조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보리 엔슈가 작정한 라이큐지(頼久寺), 다이치지(大池寺), 쇼덴지(正傳寺), 난젠지호죠(南禪寺方丈), 곤치인(金地院) 을 대상으로 정원의 위치, 정원의 도입요소, 정원의 구성, 정원의 배경, 돌의 사용, 식물, 경관을 고찰하여 고보리 엔슈 정원의 독창성을 규명하였다.

      • 寺刹의 蓮池에 관한 硏究

        洪光杓 동국대학교 사찰조경연구소 1997 寺刹造景硏究 Vol.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of lotus ponds based on buddhism as well as the design principles. The results showed that buddhism influenced the design of lotus ponds from the beginning in traditional temples, and this design tradition has maintained with some changes in physical form and location of lotus ponds. Also lotus ponds were used as important parts of temples and strongly symbolize buddhist philosophy. It was found that lotus ponds made in the early years of buddhism were usually located at the outside of the middle gate in temples. The location were changed as buddhism prospered, specifically, lotus ponds were moved to the central area in temple and became ornamental elements, which showed the symbolism of ponds were weakened. As the meaning of lotus ponds were changed, their forms were changed from square to circle or oval.

      • KCI등재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블렌디드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홍광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blended action laarning program to enhance of creativity and character in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I studied creativity, character, social studies, action 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of theoretical study. I also derived the current issue of research topics and the vision, direction, etc. of this research through the results of theoretical studies and interviews. Next, I built a concrete strategy of program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a needs analysis. Th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as composed of core activities process, times, performance goals, core performance activities, learner support elements, core promotion activities, facilitator support elements,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ly, I made the program and applied to some of the students. As a result, it highlighted effectivenes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하여 사회과 교과에서 블렌디드 액션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체적으로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먼저 문헌연구, 요구분석 등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방법, 도구 등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후 관련분야 전문가들에게 프로그램 초안에 대한 양적, 질적 평가를 받아 프로그램 완성안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이 과연 초등학생들의 창의·인성을 함양시키기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창의․인성 8개 영역 중 7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향후 사회과에서 창의․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등 교육 현장에서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내용들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