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칸토르의 수학 속의 신학

        현우식,Hyun, Woo-Sik 한국수학사학회 2011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4 No.3

        칸토르에 의해서 과학적으로 불가침의 영역이었던 무한이 실무한으로 정의되고 무한의 논리가 성립될 수 있었다. 칸토르의 무한수학과 무한신학을 통하여, 이 연구에서는 수학과 물리 세계와 관련된 실무한의 의미를 고찰하고, 모든 실무한을 넘어서는 절대무한으로서의 신의 속성이 함의하는 의미를 논의한다. This mathematico-theological study addresses the Cantor's mathematics and theology of the infinite. From the scientific perspective, Cantor's landmark works opened the definition and logic of infinity in concreto, in abstracto, and in Deo. According to Cantor, the absolute infinite ${\Omega}$ could imply God's property beyond the actual infinite in physical and mathematical worlds.

      • KCI등재

        괴델이 보는 수학의 토대

        현우식,Hyun, Woo-Sik 한국수학사학회 2007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0 No.3

        이 논문에서는 수학과 수학적 대상, 그리고 수학적 직관에 대한 괴델의 입장을 그의 논법에 따라 탐구한다. 괴델에게는 플라톤주의적 존재론과 직관주의적 인식론이 모두 중심적인 철학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수학의 토대에 관한 그의 견해는 단지 완고한 플라톤주의나 실재주의로 평가되거나 분류될 수 없다. Following $G\ddot{o}del's$ own arguments, this paper explores his views on mathematics, its object, and mathematical intuition. The major claim is that we simply cannot classify the $G\ddot{o}del's$ view as robust Platonism or realism, since it is conceivable that both Platonistic ontology and intuitionistic epistemology occupy a central place in his philosophy and mathematics.

      • KCI등재

        인지과학의 수학적 기틀

        현우식,Hyun, Woo-Sik 한국수학사학회 2009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2 No.3

        Anyone wishing to understand cognitive science, a converging science, need to become familiar with three major mathematical landmarks: Turing machines, Neural networks, and $G\ddot{o}del's$ incompleteness theorems. The present paper aims to explore the mathematical foundations of cognitive science, focusing especially on these historical landmarks. We begin by considering cognitive science as a metamathematics. The following parts addresses two mathematical models for cognitive systems; Turing machines as the computer system and Neural networks as the brain system. The last part investigates $G\ddot{o}del's$ achievements in cognitive science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cognitive science. 현재 융합과학의 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인지과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의 중대한 수학적 업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세 가지의 역사적 업적에 해당하는 튜링기계, 신경망,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중심으로 인지과학의 수학적 기틀을 연구한다. 먼저, 메타수학으로서의 인지과학을 고찰한다. 다음으로 컴퓨터의 수학적 모델로서 튜링기계와 그 발전을 탐구하고, 뇌의 수학적 모델로서 신경망과 그 발전을 탐구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는 인지과학의 미래를 위한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의 함의를 논의하고 양자인지과학을 전망한다.

      • KCI등재

        신의 존재에 대한 괴델의 수학적 증명

        현우식,Hyun, Woo-Sik 한국수학사학회 2010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3 No.1

        괴델에 의하면, 모든 긍정성을 가진 존재를 신으로 정의할 때 신의 존재에 대한 수학적 증명은 가능하다. 신의 정의를 만족하는 대상이 존재가능하다면, 그 대상은 필연적으로 존재한다. 이를 위해서 그는 세 개의 정의와 다섯 개의 공리와 두개의 정리를 남겼고, 2차 양상논리 시스템 $S_5$과 공리 ${\diamondsuit}{\Box}p{\rightarrow}{\Box}p$를 사용했다. G$\ddot{o}$del's proof attempts to establish the existence of God by the definition that God is a being having all positive properties. The proof uses here second order modal logic system $S_5$ with the axiom ${\diamondsuit}{\Box}p{\rightarrow}{\Box}p$. We review the G$\ddot{o}$del's own version and prove his ontological theorems.

      • KCI등재

        오일러의 수학신학

        현우식,Hyun, Woo-Sik 한국수학사학회 2012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5 No.2

        이 학제적 연구는 오일러의 수학적 증명과 그의 신학적 입장의 상관성을 조명해 보기 위한 탐색적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오일러의 신학적 입장이 논의된다. 그 다음으로 수학신학적 그리스도론으로서 오일러의 항등식이 함의하는 의미가 논의된다. The interdisciplinary study explores the Euler's theology through his mathematical landmarks. From the mathematico-theological perspective, we first address Euler's theological backgrounds, and then show the implications of Euler's identity as his mathematical Christology.

      • KCI등재

        동방박사 이야기(마2:1-12)의 교육적 컨텐츠

        현우식(Woo-Sik Hyun)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1 기독교교육정보 Vol.31 No.-

        The interdisciplinary study explores new educational contents and messages from the magi story in the Gospel of Matthew (2:1-16)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tific theology. We start with a biblical analysis of the text on the magi and their own works. The next part addresses the context of the magi text. The findings derived from this article, in terms of a modern Bible education, imply the Matthean magi as the ancient scientists who did great observations and proofs. Thus, to teach the Nativity story in the age of science is to ask Christian teachers the contextual investigation of the theology and science on the magi text.

      • KCI등재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수학 신학

        현우식 ( Woo Sik Hyun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0 No.-

        이 연구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수학 신학을 조명하기 위한 학제적 작업이다. 여기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수학은 신학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뜻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아우구스티누스의 수학적 배경을 살펴본다. 그 다음으로 성서 해석학과 관련하여 아우구스티누스의 수의 의미 해석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아우구스티누스 수학 신학의 함의를 논의한다. 이를 위하여 『고백록』(Confessiones), 『삼위일체론』(De Trinitate), 『신국론』(De civitate Dei), 『창세기의 저자가 의도한 의미』(De Genesi ad litteram), 『자유의지론』(De libero arbitrio), 『참된종교』(De vera religione), 『그리스도교 교양』(De doctrina christiana)등의 논저들이 분석된다. 연구의 결과는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서 무한으로서의 하나님 이해, 수학적 창조, 잠재된 비밀의 수로서의 씨앗의 수에 대한 이론이 새롭게 성립되었음을 보여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당시 피타고라스-플라톤 전통의 사유 모델을 능가하는 수학 신학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기독교의 사유체계를 위해서 필요하고 적절한 모델을 제공했다. The interdisciplinary study addresses Augustinus’ own mathe- matical theology, where his mathematics belongs to the realm of theology. Focussing on the meaning of the numbers with respect to the biblical hermeneutics, we first trace the mathematical back- ground of Augustinus, and then rediscover his mathematical theo- logy by interpreting his master works such as Confessiones, De Trinitate, De civitate Dei, De Genesi ad litteram, De libero arbitrio, De vera religione, De doctrina christiana. The satisfiable models in- cluding God as the infinite, mathematical creation, and seminum numeri as latentes numeri could imply that Augustinus was wor- king on a mathematico-theological network which seems to be adequate for the Christian model of cognition, much better than that of Pythagorean and Platonic tradition.

      • KCI등재

        코페르니쿠스의 과학 신학

        현우식 ( Woo Sik Hyun ) 한국조직신학회 201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7 No.-

        이 연구는 과학혁명을 시작한 코페르니쿠스의 과학적 업적과 그의 신학적 입장을 조명해보기 위한 학제적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코페르니쿠스의 학문적 배경과 성직자로서의 활동을 논의한다. 다음으로 코페르니쿠스의 논저『배열을 통해 본 천구의 운동에 관한 주석』(Dehypothesibus motuum coelestium a se constitutis commentariolus)과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를 과학신학적 전망에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코페르니쿠스 과학혁명이 가지는 신학적 함의를 문화사, 종교개혁, 그리고 현대 우주과학의 차원에서 논의한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i) 코페르니쿠스의 과학은 신학적 작업과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시스템이고, (ii) 코페르니쿠스의 태양 중심적 모델은 새로운 문화의 변동을 실현하는 수학적 모델이며, (iii) 코페르니쿠스의 과학신학은 비텐베르크 중심의 종교개혁 세력과 갈등관계에 있지 않았고, (iv) 코페르니쿠스의 과학신학은 현대의 인간 우주 원리와 양립가능하다. The interdisciplinary study explores Copernicus` science and theology through his revolutionary landmarks. From the sciencetheological perspective, we first address Copernicus` academic and clerical background, and then rediscover his scientific theology by analyzing De hypothesibus motuum coelestium a se constitutis commentariolus (1510) and 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 (1543).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Copernican revolution in terms of cultural history, Reformation, and anthropic cosmological principles. The results show; (1) Copernicus` science and theology as one system, (2) his mathematical model of the heliocentric cosmos as a new cultural system, (3) his scientific theology consistent with Luther`s Reformation, and (4) his scientific theology compatible with the anthropic cosmological principles.

      • KCI등재

        구원에 대한 과학신학적 해석

        현우식 ( Woo Sik Hyun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2 No.-

        이 연구는 성서의 텍스트에서 제공되는 코스모스 구원의 의미를 과학신학의 컨텍스트 내에서 해석하는 학제적 탐구이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자기 비움의 성육신과 삼위일체적 화해의 논점에서, 먼저요한 문서 텍스트의 코스모스 구원 모델을 중심으로 구원의 의미를 논의하고, 그 다음 바울 서신 텍스트의 코스모스 구원 모델을 중심으로 구원의 의미를 논의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을 함의한다. (1) 구원사건의 단위는 ‘코스모스’이다. (2) 코스모스 구원은 필연적이지 않으면서 동시에 불가능하지 않은 사건, 즉 ‘발연적 사건’이다. (3) 성육신과 부활로서의 코스모스 구원 사건은 ‘모르페의 변환’으로 해석될 수있다. (4) 삼위일체 하나님의 기원창조-연속창조-새창조로서의 코스모스 구원 사건은 관계적 실재이며 전일적 실재이다. The interdisciplinary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salvation as cosmic events in the contexts of science and theology. In terms of the Kenotic incarnation and the Trinitarian reconciliation, we address the Johannine model, and then investigate the Pauline model of the cosmic salvation. The results assert: (1) the unit of salvation is kosmos, (2) the cosmic salvation is a contingent eventwhich is neither necessary nor impossible, (3) the cosmic salvation as incarnation and resurrection could be defined as the transformations between the systems of morphe specified, and (4) the cosmic salvation as the original-continuing-new creation is the relational and holistic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