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역량지표 및 성취수준 개발

        허영주 ( Hur¸ Young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의 교사들이 효과적인 융합교육을 진행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역량을 모델링 함으로써 융합교육 역량 및 역량지표, 성취수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융합교육 역량 및 역량지표와 성취수준 초안을 개발하였고, 20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3번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제고하였다. 또한 336명의 중등교사가 참여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440명의 중등교사가 참여한 본조사를 실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5개 역량의 24개 역량지표와 역량지표별 3단계의 성취수준을 개발하였다. 최종도구의 신뢰도는 0.962로 매우 높고, 역량과 역량지표 간 요인구조는 모형 적합도 지수와 CR 수치가 모두 기준값을 만족하여 우수하였다. 또한 역량지표와 역량 간의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할 뿐 아니라 표준화계수가 높아 타당도가 높았다.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학교급 간 요인구조가 같고 형태, 측정, 절편, 분산/공분산 동일성이 모두 성립되었다. 이를 통해, 이 역량모형이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에게 모두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융합교육 역량모형은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역량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진단하거나 융합교육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nvergence education competency, competency indicators, and achievement levels, by modeling competencies that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must have in order to conduct effective convergence education. To this end, this research developed a draft of convergence education competencies, competency indicators, and achievement levels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has enhanced it’s content validity through the three Delphi survey involving 20 experts. Also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ed a pilot survey involving 336 secondary teachers, and conducted a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ed a main survey involving 440 secondary teachers. As the result, the final model was composed of 5 capabilities and 24 competency indicators, and achievement levels in three stages by capability indicator. The reliability of final instrument was be very high level as 0.962, factor structure between the competencies and competency indicators was excellent because both the model fit index and the CR value had a higher than reference values. Also, validity of factor structure was high due to high standardized coefficient between the competencies and competency indicators. The results of a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formed that the factor structure was the same, and informed that the structure, measurement, intercept, dispersion/covariance was the same for two group. The this result showed us that this competency model could be used for both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Last,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vergence education competency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for more accurately diagnose the level of convergence education capabilities of secondary teachers, and will be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training program.

      • KCI등재후보

        인문지향 및 실용지향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허영주(Hur Youngju)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0 핵심역량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대학생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뿐 아니라 교육적 요인을 포함하여 인문지향과 실용지향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두 가지다. 첫째, 인문지향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적 어려움,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와 중요도 인식이었다. 경제적으로 어려울수록 참여지속의향이 낮았고, 교육적 요인인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비교과 프로그램이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참여지속의향이 높았다. 둘째, 실용지향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경제적 어려움,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와 중요도 인식이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참여지속의향이 높았다. 경제적 어려움과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 중요도 인식은 인문지향 비교과 프로그램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인문지향 및 실용지향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지속의향 모두 교육적 요인이 추가(모형2)되었을 때,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모형1)의 영향력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실용지향과 인문지향 비교과 프로그램 모두 학생들의 참여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노력할 필요가 있으며, 비교과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홍보활동에 주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iscover the impact of educational factors with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students’ intension to participate in two types extra-curricular programs of humanities-oriented and practical orien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conomic difficulty, satisfaction level and degree of importantly think about its was influential factors on students’ intension to participate. Student have that the more difficult the economy were lower behavioral intension to participate, but that the more satisfaction level and more degree of importantly think about extra-curricular programs were high intension to participate. Second, gender, economic difficulty, satisfaction level and degree of importantly think about its was influential factors on students’ intension to participate. Female has highly intension to participate than male. Economic difficulty, satisfaction level and degree of importantly think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humanities-oriented. And both humanities-oriented and practical oriented extra-curricular programs, when we analyzed the influencing factors with educational factors(model 2), influence of influencing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has been conspicuously reduc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that both two types extra-curricular programs should try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and degree of importantly think.

      •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시변환 데이터 애니메이션을 위한 프레임워크

        허영주 ( Youngju Hur ),이중연 ( Joongyeon Lee ),김민아 ( Minah Kim ),구기범 ( Gibeom Gu ),이세훈 ( Seho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1

        시변환 데이터(time-varying data)는 과학 시뮬레이션의 결과로 생성되는 데이터의 일종으로, 일반적인 스테디 데이터(steady data)와는 달리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변화를 담고 있다. 따라서 시변환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것은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변화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시변환 데이터는 대용량 데이터에 해당되며,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에는 일반 PC 환경에서 시변환 데이터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병렬 렌더링 시스템에서 대용량의 시변환 데이터에 대해 일련의 가시화 작업을 수행 함으로써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병렬 애니메이션 프레임워크에 대해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애니메이션 프레임워크는 병렬 렌더링 시스템을 기반으로 시변환 데이터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수행하며, 이를 위한 렌더링 동기화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이 환경은 향후 지원 분야, 지원 장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의 확장이 가능하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인공신장실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의 관계

        허영주(Youngju Hur),이병숙(Byoungsook Lee)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1 계명간호과학 Vol.15 No.1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job stress and burnout of nurses in hemodialysis units. Metho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0 nurses working at 51 hemodialysis unit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Kyeongbuk province. Three scales were used to measure the subjects’ empowerment, job stress and burnou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 SPSS. Result: The salary level, the pattern of the shift, and the intention to work in the hemodialysis unit were affecting empowerment and job stress in the subjects. Age, marital state, clinical experience, career experience at hemodialysis unit, present position, the pattern of the shift, the intention to work in the hemodialysis unit were affecting burnout in the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 between empowerment and job stress, and empowerment and burnout in the subject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job stress the nurses have, the higher burnout they could feel. Additionally, the results showed nurses’ higher empowerment could decrease their job stress and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empowerment of the nurses in the hemodialysis units are recommended to decrease their job stress and burnout.

      • KCI등재

        교양과 단과대학별 전공 교과목의 PBL 적용에 따른 강의평가 및 학생역량에 있어서의 차이

        허영주(Hur, Youngju)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1 핵심역량교육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교양 및 단과대학별 전공교과목의 PBL 활용 여부에 따른 강의평가와 학생역량 점수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단과대학별로 PBL 활용 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N대학교의 2021학년도 1학기에 운영된 교양 및 전공교과목 중 경향점수매칭을 통해 선정된 PBL 적용 교과목 108개와 PBL 적용 안 한 교과목 108개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 및 단과대학별 전공교과목의 강의평가 점수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교양대학이 가장 높고 창조문화예술대학이 가장 낮았다. 또한, PBL을 적용한 교과목의 강의평가 점수가 적용 안 한 경우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단과대학별로 PBL 적용 한 교과목과 적용 안 한 교과목의 강의평가 점수 차이는 글로벌 상경대학이 가장 적고, 창조문화예술대학이 가장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양 및 단과대학별로 개설된 전공교과목의 학생역량 점수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교양대학과 글로벌상경대학의 점수가 창조문화예술대학의 역량점수보다 높았다. 또한, PBL을 적용한 교과목의 학생역량 점수가 적용 안 한 경우보다 높았다. 단과대학별로 PBL 적용 한 교과목과 적용 안 한 교과목의 학생역량 점수 차이는 창조문화예술대학이 가장 크게 증가했고, 보건의료복지대학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강의평가 점수와 학생역량 증진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과대학별로 PBL 활용에 관한 전략이 차별화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교양대학의 교양교과목과 공과대학, 창조문화예술대학의 전공교과목을 위해서는 PBL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글로벌상경대학은 글로벌상경대학의 전공 특성에 맞는 PBL 주제를 개발하고, 팀티칭 등을 통해 산업현장과 함께 하는 수업을 진행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반면, 보건의료복지대학을 위해서는 자격증 취득이나 국가시험을 위한 교과목과 현장 적용력을 높이기 위한 교과목을 분리한 후, 교과목의 목적에 맞는 교육방법을 탐색하는 후속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esenting PBL utilization strategies for each college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lecture evaluation and student competency scor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PBL was used in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by colleges. For this purpose, 108 PBL-applied subjects and 108 non-PBL-applied subjects selected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among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operate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2021 year of N University were studi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cture evaluation scores of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by colleges, the Liberal Arts College was the highest, and the Creative Culture and Arts College was the lowest. And, the lecture evaluation scores of subjects to which PBL was applie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to which PBL was not applied.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the lecture evaluation scores of the subjects to which PBL was applied and the subjects which did not apply the PBL by college was the smallest in the Global Business College and the largest in the Creative Culture and Arts Colleg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udent competency scores of liberal arts and the major courses by colleges, and the scores of the Liberal Arts College and the Global Business College were higher than the competency scores of the Creative Culture and Arts College. And the student competency scores of subjects to which PBL was applied were higher than those in which PBL was not applied. The difference in student competency scores between subjects to which PBL was applied and subjects to which PBL was not applied by each college increased the most in Creative Culture and Arts College, and decreased in the College of Health and Welfar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 suggested that strategies for using PBL should be differentiated for each colleg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improving lecture evaluation scores and student competency. I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xpand the PBL for liberal arts courses in Liberal Arts College and major courses in Engineering College and Creative Culture and Arts College. Also, I suggested that the Global Business College needs to develop a PBL topic suitable for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to support classes with industrial sites through team teaching, etc. On the other hand, I suggested that for the College of Health and Welfar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subjects for obtaining certifications or national exams from subjects for enhancing field application, and then conducting follow-up research to explore educational method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subjects.

      • KCI등재후보

        협력적 프로젝트 기반 교육평가 수업의 개발ㆍ 적용이 예비교사의 정보활용 및 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허영주(HUR, Youngju)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0 핵심역량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협력적 프로젝트 기반의 교육평가 학습활동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이 학습이 예비교사의 정보활용 및 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N대학교 ‘교육평가’ 수업에 참여한 교직과정 이수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2019년 2학기에 협력적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진행하였고,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학습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두 가지이며,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교육평가 학습활동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협력적 프로젝트 학습은 예비교사들의 정보활용 역량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따라서 향후 교육평가 수업을 위한 프로젝트 활동은 예비교사들이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료들을 검색하고 분석하도록 하는 활동은 유지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둘째, 프로젝트 기반 학습활동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소통역량은 향상되지 않았다. 하위역량별 변화를 보면, 공감능력은 유의미하게 향상된 반면, 경청과 표현역량이 향상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교육평가 수업을 위한 프로젝트 활동은 팀원들이 함께 토론하고 협의하여 진행하도록 하는 활동은 유지하는 한편, 팀들 간에 발표할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경청 및 표현능력을 향상시킬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apply cooperative project based ‘Educational evaluation’ learning,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for improving information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7 students of N University who attended the ‘Educational evaluation’ clas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The effect of improving information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has been verified by pre-post measur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rranged in two ways, I made sugges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cooperative project based learning have improved information appli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For future cooperative project based learning of educational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engage students in activities to search and to analyze for the materials that are needed for the project. Second, cooperative project based learning haven’t improved communi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Let’s look at the change in the sub-competency, empathy ability improved and listening and expressive ability not improved. For future cooperative project based learning of educational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engage students in activities that team members discuss abd together, and to give students to present among the teams for listening and expressive ability improved.

      • VR Juggler와 OpenSceneGraph를 이용한 가상현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

        허영주 ( Hur¸youngju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1

        가상현실 환경은 사용자가 데이터와 상호작용하면서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인지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런 가상현실 환경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방식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몰입형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를 소개하기로 한다. 이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는 VR Juggler와 OSG(OpenSceneGraph)를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몰입형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가 가상현실과 상호작용하는데 필요한 기반 환경을 제공한다.

      •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볼륨 데이터 가시화

        허영주 ( Hur¸youngju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1

        볼륨 렌더링은 스칼라 데이터로 구성된 3 차원 볼륨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기법을 가리키며, 유체 역학, 지진, 기상, 해안, 천문,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최근에는 대용량 볼륨 데이터가 생성되면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볼륨 데이터를 가시화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볼륨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기법을 구현했다. 볼륨 데이터 렌더링은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PC-클러스터에서 그래픽스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볼륨 렌더링 기법으로 수행했으며, 이렇게 렌더링된 결과 이미지를 컴포지팅함으로써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절한 이미지를 생성했다.

      • 클러스터를 이용한 병렬 그래픽스 하드웨어 볼륨 렌더링 시스템의 구축

        허영주 ( Youngju Hur ),이중연 ( Joongyeon Lee ),구기범 ( Geebum K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컴퓨터 그래픽스 렌더링은 실재감 있는 영상을 만들어내기 위해 엄청난 양의 연산을 필요로 한다. 특히, Scientific visualization, CAD, 자동차, 시뮬레이션, 가상 현실 등은 수백 MFLOPS 단위의 연산과 GBytes/sec 단위의 메모리 용량 등을 필요로 하는데, 이런 사양은 단일 프로세서로는 불가능한 사양이다. 따라서, 병렬 렌더링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볼륨 렌더링 분야에서는 대용량 데이터 가시화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병렬 렌더링의 필요성이 오래 전부터 제기돼 왔으며 다양한 병렬 렌더링 시스템이 구축, 사용되고 있다. 볼륨 렌더링이란 스칼라 데이터로 구성된 3 차원 볼륨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기법을 가리키며, 볼륨 데이터는 CT 나 MRI 촬영을 통해 얻은 인체 데이터뿐만 아니라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로 나온 유체 역학, 지진, 기상, 해양, 천문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다. 최근에는 일반 PC용 그래픽스 카드의 성능 향상으로 볼륨 데이터를 가시화하는데 PC 그래픽스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특히 Vertex/Fragment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지면서 실시간 볼륨 렌더링을 일반 PC에서도 구현할 수 있게 됐으며, 렌더링 속도나 이미지의 질적 측면에 있어서도 눈에 띄는 향상이 이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픽스 하드웨어를 이용한 볼륨 렌더링 기법을 PC 클러스터에서 구현한 병렬 그래픽스 하드웨어 볼륨 렌더링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을 논한다. Sorting 기법으로는 Sort-Last 기법을 사용했으며, 컴포지션(composition)된 최종 결과 이미지는 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