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를 위한 적응적인 조명변화 보상 방법

        허재호(Jae-Ho Hur),조숙희(Sukhee Cho),허남호(Namho Hur),김진웅(Jinwoong Kim),이영렬(Yung-Lyul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6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1 No.4

        In this paper, an adaptive illumination change compensation method is proposed for multi-view video coding. In multi-view video, an illumination change can occur due to physically imperfect camera calibration, each different camera position and direction, and so on. These characteristics can cause a performance decrease in the multi-view video coding that uses an inter-view prediction by referring to the pictures obtained from the neighboring views.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a compression ratio of the proposed method in the multi-view video coding is increased, and finally 0.1~0.6㏈ PSNR(Peak Signal-to-Noise Ratio) improvement was obtained compared with the case of not using the proposed method.

      • Zeolite에 의(依)한 $NH_4{^+}$의 흡착(吸着)

        김상수,허남호,장상문,최정,Kim, Sang Su,Hur, Nam Ho,Chang, Sang Moon,Choi, Jyung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90 慶北大農學誌 Vol.8 No.-

        Zeolite에 의(依)한 $NH_4{^+}$의 흡착반응(吸着反應)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열처리(熱處理)에 의(依)해 조사(調査)하고 배양실험(培養實驗)을 통하여 Zeolite에 흡착(吸着)된 $NH_4{^+}$의 소실량(消失量)을 조사(調査)하였다. Zeolite의 주구성점토광물(主構成粘土鑛物) Clinoptiolite와 mordenite였다. Zeolite에 의(依)한 $NH_4{^+}$의 흡착반응(吸着反應)은 4시간(時間) 진탕으로 흡착평형(吸着平衡)에 도달(到達)하였다. 열처리온도(熱處理溫度)가 높을수록 치환성(置換性) $K^+$의 합량(合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NH_4{^+}$의 흡착량(吸着量)은 감소(減少)하였다. 유안(硫安)을 처리(處理)한 토양(土壤)을 담수상태(湛水狀態)에서 배양(培養)한 결과(結果)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할수록 토양중(土壤中) $NH_4{^+}$ 잔류량(殘留量)이 감소(減少)한 반면(盤面) Zeolite에 흡착(吸着)된 $NH_4{^+}$는 동일기간(同一期間) 내(內)에 소실(消失)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Zeolite에 흡착(吸着)된 $NH_4{^+}$은 여러 가지 작용(作用)에 의(依)한 소실(消失)에 대(對)해 저항성(抵抗性)이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NH_4{^+}$ adsorption by zeolite and to determine the $NH_4{^+}$ loss from $NH_4-$ zeolite during the incubation. The dominant clay minerals of zeolite were clinoptiloiite and mordenite. $NH_4{^+}$ adsorption by zeolite was equilibrated at a 4hrs-shaking. The content of exchangeable $K^+$ of zeolite was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heat treatment but the amount of $NH_4{^+}$ adsorbed by zeolite was decreased. The amount of $NH_4{^+}$ in the soil treated with ammonium sulfate was decreased during incubation under the submerged condition but the amount of $NH_4{^+}$ adsorbed by zeolite was not decreased in the same course of incubation. It was estimated that $NH_4{^+}$ adsorbed by zeolite was resistant to $NH_4{^+}$-N loss by various reactions.

      • 3차원 메시모델 부호화기술 동향

        장은영,허남호,김진웅,이수인,Chang, E.Y.,Hur, N.H.,Kim, J.W.,Lee, S.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6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1 No.4

        3차원 메시 모델은 컴퓨터 그래픽스, 애니메이션, 3D 모델링, CAD, 3D 게임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감을 줄 수 있는 고해상도의3차원 모델은 그 정보량의 방대함으로 인해 처리, 저장, 전송 등에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압축하여 저장 및 전송하기 위한 3차원 메시 모델 부호화 기술이 연구되어 왔다. 본 고에서는 3차원 메시 부호화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 동향과 이에 대한 표준화 동향을 소개한다. 또한, 3차원 메시 부호화 기술과 관련하여 ETRI에서 연구중인 정점 및 면 순서 정보 부호화 기술과 텍스처 좌표 부호화 기술의 내용과 이에 대한 연구 활동 현황을 요약하고, 주요 이슈 논의 및 향후 전망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 방송 코어 망(BCN) 표준화 동향

        김순철,이재영,허남호,최동준,Kim, S.C.,Lee, J.,Hur, N.,Choi, D.J.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6 No.6

        ATSC 3.0 is a next-generation terrestrial broadcasting standard that provides various functions and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ATSC 1.0 High Definition standard. Based on the ATSC 3.0 broadcast system with IP-centric transport and coherence, it can provide personalized and personalized interactive services to TV viewers. However, the broadcasting system still has a structural limitation in that the service is deployed separately from broadcasters who are allocated a specific frequency and is expected to have different spectrum allocation for each market. To overcome this structural limitation and provide improved services compared with the current ATSC 3.0, preliminary studies were conducted to apply the core network concept of a communication network (particularly 5G) to ATSC 3.0 broadcasting. Finally, in february of this year, the ATSC TG3/S43 group for the development of the ATSC 3.0 Broadcast Core Network (BCN) standard was launched. This paper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BCN standardization by ATSC TG3/S43, and future standardization prospects.

      • KCI등재

        신호처리를 이용한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

        이광순,김형남,허남호,엄기문,안충현,Lee, Gwang-Soon,Kim, Hyoung-Nam,Hur, Nam-Ho,Um, Gi-Mun,Ahn, Chung-Hy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0 No.2

        본 논문에서는 신호처리를 이용한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평행축 입체 카메라는 양안식 입체 카메라 중 가장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좌·우 영상 센서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물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입체 영상 시차 조절 기능인 주시각 제어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영상 센서(UD)와 렌즈를 분리하고 영상 센서가 평행하게 수평으로 움직이며 주시각을 제어하도록 하는 수평 이동축 입체 카메라는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실제 구현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시각 제어를 위한 CCD의 이동은 실제 영상에서 피사체의 이동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평행축 입체 카메라로 얻은 영상에서, CCD의 이동으로 인해 사라지는 부분만큼을 제거하고 영상의 수평 수직 방향에서 원래 영상의 크기로 복원하기 위해 보간하는 신호처리의 과정을 통한 주시각 제어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얻어진 실험 결과는 CCD의 이동량에 따라서 화질의 열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 주지만, 실제 시스템에서 CCD의 이동량은 크지 않기 때문에 화질 열화를 거의 느끼지 않으면서 주시각이 제어된 입체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 준다. The vergence control method is presented for a parallel-axls stereo camera (PASC) using a signal processing technique such as shift, (rotation), and scaling. The PASC is considered as the simplest one of binocular stereo cameras. However, its major limitation lies in the controllability of vergence since its left and right imaging sensors of CCDs are fixed. On the other hand, a horizontal-moving-axis stereo camera (HMASC) with movable imaging sensors is able to control the vergence by moving its CCDs horizontally. In spite of its vergence controllability, there is a major drawback in the implementation because of complicated mechanical structure and the additional cost. To overcome the vergence control problem of the PASC, an operational principle of the HMASC is applied to the PASC. To be specific, without any additional hardware the vergence control problem of the PASC is solved with the signal processing technique. Assuming the virtual displacement between CCD's, a disappearing part of acquired images is removed and the original image site is recovered via interpol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vergence control between stereo images captured by the PASC it possible with an acceptable degradation of the image quality defending on the virtual displacement of CCDs.

      • 3D 비디오 MPEG 표준화 동향

        엄기문,방건,허남호,김진웅,Um, G.M.,Bang, G.,Hur, N.H.,Kim, J.W.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4 No.3

        UHDTV와 함께 HDTV 이후의 차세대 방송기술로서 전세계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3DTV 방송 기술은 시청자에게 보다 사실적 이고 현장감 있는 3D 비디오 콘텐츠를 제공한다. 최근 미국 헐리우드를 중심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3D 입체 영화 시장 성장, 다수의 디스플레이 업체들에 의한 3D 지원 디스플레이 발표, 휴대단말에서의 3D 데이터 및 비디오 서비스, 가정에서의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3D@Home 표준화 작업, 3D4YOU를 중심으로 한 3D 비디오 콘텐츠의 생성기술과 배포 포맷에 관한 연구, 다시 점 3DTV 서비스 등을 위한 MPEG에서의 3DV 표준화 등 관련 기술 개발 및 표준화가 이뤄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MPEG 3DV 그룹에서 진행중인 3DV부호화 기술 표준화 진행 현황과 기고 주요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향후 3D 비디오 표준화 진행 전망에 대해 다루기로 한다.

      • KCI등재

        천연(天然) Zeolite를 이용(利用)한 중금속(重金屬) 흡착제(吸着劑)의 개발(開發)

        김성수,박만,허남호,최정,Kim, S.S.,Park, M.,Hur, N.H.,Choi, J. 한국환경농학회 1991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0 No.1

        국내산(國內産) 천연(天然) Zeolite를 이용(利用)하여 저렴(低廉)한 중금속흡착제(重金屬吸着劑)의 개발(開發)을 위해 이온 교환용량(交換容量)이 큰 Zeolite를 합성(合成)하고 이것의 중금속(重金屬) 흡착능력(吸着能力)을 조사(調査)하였다. 천연(天然) Zeolite의 주(主) 구성(構成) 점토광물(粘土鑛物)은 Clinoptilolite와 Mordenite였으나 합성(合成) Zeolite는 Phillipsite였다. 시료(試料)에 의(依)한 Cu와 Zn의 흡착반응(吸着反應)은 1시간(時間) 이후(以後)에 흡착평형(吸着平衡)에 도달(到達)하였다. 흡착량(吸着量)은 시료량(試料量) 및 첨가중금속(添加重金屬) 이온들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합성(合成) Zeolite가 천연(天然) Zeolite에 비(比)해 고농도(高濃度)에서 흡착율(吸着率)이 높았다. 중김속(重金屬) 흡착량(吸着量)은 pH가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합성(合成) Zeolite가 천연(天然) Zeolite에 비(比)해 pH 생존성(生存性)이 낮았다. 중금속(重金屬) 흡착량(吸着量)은 천연(天然) Zeolite에 비(比)하여 합성(合成) Zeolite가 훨씬 높았다. 염용액(鹽溶液)의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많은 양(量)의 중금속(重金屬) 이온이 합성(合成) Zeolite에서 탈착(脫着)되었으며 그 정도(程度)는 NaCl<$CaCl_2$<$AlCl_3$의 순(順)이었다. 따라서 합성(合成) Zeolite보다 중금속(重金屬) 제거효과(除去效果)가 우수(優秀)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low-priced adsorbent by synthesizing the zeolite of high CEC with the natural zeolite and examining the ability of this zeolite to adsorb heavy metals. The dominant clay minerals were clinoptilolite and mordenite in natural zeolite, while phillipsite in the synthesized zeolite. Adsorption reaction of Cu and Zn on clays were reached to equilibrium after 1 hr. The amount of adsorption wa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or the initial pH of suspension was increased. The synthesized zeolite adsorbed heavy metals about twice as much as the natural zeolite. The adsorption of heavy metals on the synthesized zeolite was less affected by the initial pH of suspension than that on natural zeolite. At cumulative adsorption, the synthesized zeolite adsorbed much more heavy metals at early three treatments than the natural zeolite did. The amount of desorption by chloride salts wa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chloride salts was increased. The ability of salt to desorb was in the order of NaCl>$CaC1_2$>$AlC1_3$. It is estimated that the ability of the synthesized zeolite to remove heavy metals was better than that of the natural zeol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