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이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해외 대학 한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한혜민,권유선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8 외국어교육연구 Vol.32 No.4

        This study aim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FL) approach on self-efficacy of Korean education in foreign universities through analysis on the experiments. Teaching Korean in foreign countries has faced to significant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no chance to be exposed for Korean language but classroom, and lack of the time for practice, comparing to learning Korean in Korea. Therefore, teaching method of the Korean language class in overseas should be designed to enhance more practice and activities efficiently.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pplying FL is effective in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encouraging in-depth study, and stimulating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and the teach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FL class, the experimental group had experienced the FL teaching method, and the control group had experienced lecture based teaching method. To analyse the result, this study used Repeated Measures ANOVA. 이 연구는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효과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해외 한국어 교육 환경에서는 한국어 연습 시간이 부족하고, 대규모 수업으로 운영해야 하며, 교실 외에는 한국어 노출 기회가 전혀 없다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해외 한국어 교육은 수업 시간에 최대한 학습자들의 한국어 연습과 활동이수행되어 한국어 의사소통능력이 신장 되도록 설계 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제한된 수업 시간을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플립드 러닝에서 발견하였고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교수-학습이 강의 중심 교수-학습보다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가설을세우고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수업을 경험 한 실험집단과 기존의 강의중심 교수-학습을 경험한 대조집단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세 차례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1차 표집시기와 2차 표집시기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떨어짐을 보였고 대조집단의 경우 1차 시기와 2차 시기에서 자기효능감이 올라갔다. 반면 2차와 3차를 비교해보면 실험집단은 자기효능감이 2차 시기에 비해상승한 반면 대조집단은 2차 시기에 비해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플립드 러닝을 경험한 학습자들이 사전 학습 단계에서 습득한 지식을 수업 중 활동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성취감을 경험하여 자기효능감이 높아져 실제 의사소통 시 발생하는 과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 서울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실태조사 연구

        한혜민,최지애,이명수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4 정신건강연구집 Vol.5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울시 사회복귀시설의 운영 체계 및 그에 따른 현황을 정리해보고, 최근의 운영 현황을 조사하여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일차적으로 사회복귀시설 운영 체계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법적 근거 및 관련 자료를 토대로 정리하였고, 운영체계에 따른 현황은 2013년 12월 말 기준의 서울시 사회복귀시설 현황조사표(서울시 내부 자료, 2014)를 재분석하였다. 서울시 사회복귀시설에 대한 운영 실태 조사를 위해 연구진이 설계한 조사표를 토대로 서울시 관내 90개의 사회복귀시설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실시하였고, 회수된 모든 자료는 연구진에 의해 검토되어 각 시설에 확인하여 데이터 수정이 이루어졌다. 이후 1차적 통계분석을 거친 뒤 결측 값이나 비논리적인 값 등이 발견되면, 전화로 조사시설에 직접 확인하여 데이터를 교정하여 2차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서울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실태 조사 결과, 응답기관은 총 90개 기관으로 서울시 관내에 있는 사회복귀시설(이용시설 31개, HWH 4개, 주거시설 55개)을 대상으로 분석된 이용인원이 총 2246명이었다. 기관 유형별 서비스 이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월평균 1인당이용현황의 경우 기관 내소, 가정방문, 취업장 방문 모두 주거시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 유형별 패턴 분석 결과 월평균 1인의 상담 서비스(일반상담, 심층면담, 내소 및 기타 가족상담, 기타상담) 이용현황은 HWH 15.2회, 이용시설 3.8회, 주거시설 3.3회로 나타났다. 월평균 1인의 프로그램 서비스(사회재활활동, 직업재활활동, 가족교육, 기타) 이용 현황은 HWH 52.5회, 주거시설 51.4회, 이용시설 35.1회로 나타났다. ■Objective: This study organizes the management system and condition of rehabilitation institutes in Seoul, investigates the current management condition, and provides the basic data to promote the provision of better service. ■Methods: Initially, the existing legal ground and related resources are organized to understand current management system of rehabilitation institute, and the questionnaire for current condition of rehabilitation institutes in Seoul as of December 2031 (data from Seoul City, 2014) is re-analyzed to understand the current condition of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signed by the research team, 90 rehabilitation institutes are investigated by e-mails to understand their management conditions. All data collected from them are reviewed by the research team and revised after the team directly confirm the data by the communication with each institute. The data are revised once more after finding the missing or illogical values by the 1st statistical analysis and making call to the rehabilitation institutes for correction; the 2nd statistical analysis is performed after the process. ■Results: There are 90 institutes participating in the investigation for the current management condition of rehabilitation institutes in Seoul.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there are 2246 users for this 90 institutes(31 using facilities, 4 HWHs, and 55 residential facilities).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service usage pattern by type of institute, the residential facilities show the highest values in institute visit, home visit, and work place visit for the monthly use of institute per capit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tern for each service type, the monthly use of counselling service per capita is 15.2 times for the HWH, 3.8 time for the using facilities, and 3.3 times for the residential facilities. The monthly use of program service per capita (social rehabilita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mily education, and others) is 52.5 times for the HWH, 51.4 times for the residential facilities, and 35.1 time for the using facilities.

      • 기간제 근로자의 업무배치 및 인사관리 내부화가 정규직-기간제 간, 정규직-사용자 간 갈등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혜민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3

        본 논문은 정규직과 기간제과 함께 근무하는 혼합일터의 환경이 조직되고 운영되는 방식을 살펴봐야 구성원 간 갈등적 관계를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사회 정체성 이론과 상대적 박탈감 이론을 근거로, 기간제 근로자를 위한 업무배치와 인사관리제도 내부화 수준이 정규직-기간제 간, 정규직-사용자 간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이 된다고 설명한다. 기간제 근로자의 업무배치란 기간제 근로자가 정규직과 유사한 업무 혹은 완전히 상이한 업무에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지칭한다. 또 기간제 인사관리제도의 내부화란 기간제 인사관리가 정규직 인사관리와 닮은 정도 또는 통합된 정도를 지칭한다.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 패널 자료 분석결과, 기간제 근로자가 정규직과 동일한 업무에 배치되는 경우, 정규직-사용자 간 갈등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간제 근로자 복리후생을 내부화하는 것은 정규직-기간제 갈등과 정규직-사용자 간 갈등을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기간제 근로자의 훈련. 인사고과, 직무사다리 부문을 내부화하는 것은 정규직-기간제 갈등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Using STS Theories and Issues for Moral Education

        한혜민,정창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9

        This article argues that moral education involved in Science-Technology-Society (STS) education is a rich tool for moral education in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ge. The article explores how to introduce STS education to moral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moral judgment, moral sensitivity, epistemological beliefs, and metacogni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 and society. The rationale for including STS theories and issues as a part of moral education is elaborated and then possible strategies for integrating STS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under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are suggested.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불안감 연구 동향 분석

        한혜민,안정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3

        This study explores the previous research on foreign language anxie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s and topic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Brown(2007) mentioned that anxiety is the most significant affective factor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t is known that the language anxiety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bout 705 studies on foreign language anxiety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s as well as dissertation. Among them, this study selected 66 studies after reviewing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and topics. The types are sorted by year, dissertations and academic articles, and research target. The topics are categorized as language fun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factors and language anxiety, and oth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distribute to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 about foreign language anxie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외국어 불안감에 대해 다룬 논문을 살펴, 외국어 불안감 연구의 동향과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 논문이다. Brown(2007)이 밝힌 바와 같이 불안감은 제2언어 습득에서 가장 중요한 정의적 요인 중 하나이고,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외국어 불안감을 연구 주제로 다루기 시작한 것은 2003년이고,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를 망라하여 살펴본 연구가 없었다. 본고에서는 외국어 불안감을 주제로 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66편을 살펴 연도별, 유형별, 연구 대상별, 주제별로 분류하고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중 주제별 분석은 언어 기능별 외국어 불안 연구와 외국어 불안과 다른 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불안감 연구 동향을 살피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찾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