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제도 도입 및 국제협력방안 - 한·중·일 생태관광 인증/지정제도를 중심으로 -

        최희선,김현애,Choi, Hee-Sun,Kim, Hyun-Ae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6

        본 연구는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과 국제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생태관광의 본래적 의미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외의 여러 국가에서는 생태관광 인증/지정제도의 도입이 활성화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 6월 환경부에서 일정한 수준의 생태관광 상품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생태관광 지정제" 도입을 추진하기 위해 국회에 상정한 바 있으며, 제도도입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올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앞서 일본은 2006년부터 생태관광 프로그램의 지속성을 인증하는 굿에코투어인증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2008년 생태관광 진흥법을 세계 최초로 제정하여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자체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환경부)는 지속가능관광 국제파트너쉽의 일환으로 2011년 1월 개최된 제 1회 Global Partnership for Sustainable Tourism(GPST) 총회에 참석하여 운영위원회 위원국으로 선출되었으며, 제 2차 총회를 2012년 3월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2차 총회에서는 특히 한국이 중심이 되어 지속가능관광 아 태지역 네트워크를 추진하는 것으로 합의함으로써 아태지역의 생태관광 중심국으로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원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 지역의 환경, 문화, 역사자원의 공유와 인식을 기반으로 한 생태관광은 개별 국가차원에서의 노력은 물론 국가 간의 협조와 동조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자연자원에 대한 접근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생태관광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지정제와 같은 제도적 장치 마련과 함께 유사한 자연자원과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아태지역의 협력과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ecotourism as an introduction to sustainabil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s a plan to retain the original meaning of ecotourism, the introduction of a program to certify/designateecotourism is being vitalized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Korea as well, an agenda to the introduction of an "Ecotourism Designation System,"which aims to ensure the quality of ecotourism at a certain level, was submit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the National Assembly in June 2011, and the promotion for a demonstration program is planned this year to introduce the system. Japan has been carrying out the certification systems Good Eco-tour, which certifies the sustainability of ecotourism providers and accommodations since 2006, respectively, and has been securing the sustainability of ecotourism by enactment in 2008, as the world's first law to promote ecotourism. And the second general conference of the first Global Partnership for Sustainable Tourism(GPST) was held in Korea in March 2012, particularly, there was an agreement that the promotion of Asia and the Pacific Area Network for sustainable tourism would center around Korea, and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Korea's status as a core country for ecotourism in the Asia-Pacific Area will increase. While the demand for an approach to natural resources is rapidly increasing, we should be active in providing an institutional strategy such as a designation system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ecotourism and seeking a plan for cooperation and network vitalization in the Asia-Pacific Area where similar natural resources and cultures are shared.

      • KCI등재

        명태건조방법에 따른 갈변화 관련 물질의 변화

        최희선,김종환,김재철,Choi, Hee-Sun,Kim, Jong-Hwan,Kim, Jae-Cherl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9

        건조된 명태들은 전반적으로 다가불포화지방산이 감소하고 단일불포화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주기적인 자연냉동과 해동을 반복하면서 건조된 명태(미숙성황태)를 장기간 숙성하여 완성한 황태의 지방산 조성은 북어나 미숙성황태와 비교해 볼 때, 원료시료(명태)간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특징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도 황태가 북어나 미숙성황태보다 낮게 나타나 불포화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의 반응에 의한 점진적인 갈변화 현상을 설명해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황태의 수용성 갈변물질은 주로 숙성단계에서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Changes in composition of fatty acids and free amino acids in three differently dried Alaska pollack (sun dried, naturally cyclic freeze-thaw dried, and 1-year-aged cyclic freeze-thaw dried Alaska pollack (Hwangtae)) were investigated to correlate them with browning reactions in drying and aging Alaska pollack. Major fatty acids of the sun dried Alaska pollack were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those in the Hwangtae were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gondoic acid. Hwangtae showed the lowest amoun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mong the three types of dried Alaska pollack. Free amino acids content of sun dried Alaska pollack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yclic freeze-thaw dried Alaska pollack and Hwangtae. Lesser amount of histidine in Hwangtae (0.02%) than that in the cyclic freeze-thaw dried Alaska pollack (0.087%) may indicate the degradation of histidine due to the browning reaction in aging the cyclic freeze-thaw dried Alaska pollack. Significant changes in compositions of fatty acids and free amino acids among the dried products revealed the browning reaction resulted from carbonyl compounds produced by decomposition of lipid hydroperoxides and free amino acids. Aging the cyclic freeze-thaw dried Alaska pollack for a year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browning.

      • KCI등재

        코발트와 나이오븀이 코팅된 NiO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양극물질 특성 연구

        최희선,이철우,김건,Choi, Hee-Seon,Yi, Cheol-Woo,Kim, Keon 한국전기화학회 2010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3 No.3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의 양극으로 사용되는 NiO는 $650^{\circ}C$의 용융탄산염과 산소 분위기 조건에서 안정하고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장시간 운전 시 양극에서 전해질로의 Ni dissolution은 전지 내부의 단락을 초래하여 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대체 전극물질로서 코발트와 나이오븀을 코팅시킨 NiO 전극을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전극은 기존 NiO전극과 비교하여 낮은 Ni dissolution과 안정되고 우수한 전기화학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NiO is commonly used as the cathode for the molten carbonate fuel cell due to its stability and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in molten carbonates and oxygen atmosphere. However, long-term operation of MCFC has a serious problem which is the degradation of cathode material, the so-called Ni dissolution.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attempted to synthesize a new alternative cathode material as Co/Nb-coated NiO cathod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b-coated NiO cathode can be utilized as having lower dissolution and higher cell performance than those of the pure NiO cathode.

      • KCI등재

        개발 예정지역에서의 자연보전 가치 평가 - 대관령 알펜시아 리조트 조성 예정지역을 사례로 -

        최희선,조동길,박미영,김남균,김귀곤,Choi Hee-Sun,Cho Dong-Gil,Park Mi-Young,Kim Nam-Gyun,Kim Kwi-Gon 한국조경학회 2005 韓國造景學會誌 Vol.33 No.4

        While the recent lift of restrictions in greenbelt areas is expected to generate a number of development plans, there are efforts to create various development plans into spatial plans that consider the natural and ecological conditions of development sites. However, these development plans consider Degree of Green Naturality or Degree of Ecology only when designating areas for conservation within development sites. It is true that they don't fully reflect the value of green areas and wetlands as habitats and natural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built an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odel that is applicable to sites where development is planned in Korea by reviewing prior case examples md studies and applied the developed model to a case study area. The site where the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odel was applied to is an area around Yongsan-ri and Suha-ri, Doam-myon, Pyeongchang-gun, Gangwon province where quality natural resources are located in and wend the site. This is a site for the development of Alpensia Resort where a resort including facilities for the Winter Olympics is planned to be introduced. In order to assess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site for Alpensia Resort, a total of eight items including area, distribution of communities, habitation of species with conservation value, functions of habitats, connectivity of habitats, vegetation layers of forests, age of forests, and ratio of non-native plants were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s. The assessment was made by dividing the site into 95 habitats that are perceived by aerial photographs and each habitat unit was assessed on the eight items in a 3-point scale. Each unit habitat assessed in a 3-point scale was segmented into primary, secondary or tertiary areas based on the conservation value. Habitats assessed as primary were designated as priority (absolute) conservation areas and those assessed as secondary and tertiary were set as secondary conservation areas and tertiary conservation areas, respectively. As a result, each area represented 26.9%, 20% and 3% of total site area. Based on this result, habitat management plans were developed to conserve primary conservation areas, improve secondary conservation areas and restore tertiary conservation areas. In addition, a development plan was developed to create habitats in areas where new habitats are requested in order to build an eco-network in the site and a plan to create eco-corridors was proposed. In developing a land use plan for the site, a development plan that considers conservation areas first should be set up based on the outcome of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This can be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friendly land use plan as well as easing the establishment of a green area and eco-network. This study will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ervation before development' principle, which can prevent reckless development, by assessing conservation value in setting up development plans.

      • KCI등재

        신도시 물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습지조성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최희선,김귀곤,Choi, Hee-Sun,Kim, Kwi-Gon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6

        본 연구는 새롭게 조성되는 도시의 물순환체계를 구축하고, 도시화로 말미암아 증가하는 유출량을 분산 저류함은 물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습지의 조성입지와 면적을 확보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습지조성 입지선정을 위하여 유역분석에서부터 평가항목 선정, 가중치 산출, 주제도 작성, 종합 등 일련의 과정을 모형으로 정립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수도권에 입지해 있는 위례 신도시 개발예정지역에 적용함으로써 모형의 실행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적용 결과, 유역분석단계 에서는 대상지가 13개의 소유역으로 구분되며, 개발대상지가 포함되는 유역들의 유입량은 $3,020,765m^3$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 전 후의 유출량을 비교하면 각각 $1,901,969m^3$, $1,970,735{\sim}2,039,502m^3$로써 개발지역에서 확보해야 할 총 저류량은 $68,766{\sim}137,533m^3$로 산출되었다. 습지조성 입지선정단계에서는 각각의 주제도를 중첩한 결과, 13개 소유역별로 습지조성 우선지역이 차등적으로 분류되었다. 유출량을 저류할 수 있는 습지의 입지와 면적을 도출한 결과, 저류형 습지와 하천형 습지, 연못형 습지 등 다양한 유형의 습지조성은 물론 이들의 유기적 연계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도시 전체의 물순환체계 계획의 기본골격을 제공함으로써 녹지공간과의 통합을 통해 도시생태 네트워크 계획 수립과 같은 공간계획단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토지이용계획 이전 단계에서 도시화로 인해 예상되는 잠재적인 유출량을 기준으로 습지의 입지와 면적을 산정함에 따라 정확한 저류량의 산정을 위해서는 토지이용계획 이후 환류(feedback)과정이 요구되었으며, 습지의 유형이나 입지적 특성에 따라서 저류량 등 저류능력이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헌에서 고찰되는 일반적인 습지 저류량을 모든 습지에 동일하게 적용했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model for selecting sites for ecologically effective, multi-functional wetlands during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stage, prior to land use Planning. This model was developed with an emphasis upon the creation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for a newly-created city, dispersing and retaining the run-off that is increased due to urbanization and securing spaces to create wetlands that can promote urban biodiversity. A series of Precesses for selecting sites for wetland restoration and creation - watershed analysis, selection of evaluation items, calculation of weights, reparation of thematic maps and synthesis - were incorporated into the model. Its potentials and limitations were examined by applying it to the recently-planned WiRae New Community Development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t the watershed analysis stage, the site was divided into 13 sub-catchment areas. Inflow to watersheds including the area was $3,020,765m^3$ Run-off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is estimated as $1,901,969m^3$ and $1,970,735{\sim}2,039,502m^3$, respectively. The total storage capacity required in the development area amounts to $68,766{\sim}137,533m^3$. When thematic maps were overlapped during the selection stage for wetland sites, 13 sub-catchment areas were prioritized for wetland restoration and creation. The locations and areas for retaining run-off showed that various types of wetlands, including retaining wetlands (area wetlands), riverine wetlands (linear wetlands) and pond wetlands (point wetlands), can be created and that they can be systematically connected. By providing a basic framework for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plan of an entire city, it may be used effectively in the space planning stage, such as planning an urban eco-network through integration with greet areas. In order to estimate reasonable run-off and create an adequate water circulation system however, a feedback process following land use planning is required. This study strived to promote urban changes in a positive direction while minimizing urban changes in negative forms.

      • KCI등재

        생태환경 보전을 위한 공간환경계획 수립방안 - 경기도 일원에의 사례 적용 -

        최희선,박주현,김현,Choi, Hee-Sun,Park, Ju-hyeon,Kim, Hyeon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1

        최근 국가적으로 환경정보들을 DB화하고, 체계화하며 통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있다. 이러한 노력은 특히 도시 및 지역차원에서 수립하는 법정계획인 환경보전계획의 공간계획화를 더욱 용이하게 하며, 이는 공간의 관리방향을 보다 명확하게 함으로써 토지의 보전은 물론 이용과 관련된 각종 계획들 간의 상충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도록 합의하는데 용이한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보전계획의 공간계획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특히 환경요소 중 가장 민감한 자원으로 인식되는 생태환경을 중심으로 한 공간환경계획 수립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환경 계획 수립방안은 계획과정을 고려해 크게 1)기본방향, 2)공간정보의 수집, 3)공간환경현황 작성, 4)공간환경 관리계획 수립으로 구분하였으며, 특히 현황파악 및 계획수립 시 필요한 공간정보는 기존에 구축된 공간정보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나 지자체 차원에서 구축된 공간정보들을 목록화 하였다. 계획수립 시 고려되는 현황도는 토지이용(토지피복)과 자연생태 우수자원/지역 현황 작성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광역생태축 계획과 보전, 복원지역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생태환경을 고려한 환경보전계획의 공간화를 모색하였다. 기존연구 및 사례들을 통해 마련한 현황 및 계획방안은 경기도 지역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활용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계획은 관련 공간개발계획 수립 시 생태적 가치와 중요도를 고려한 계획안 마련에 기여함은 물론, 지역 내 개발사업 추진 시 계획의 적정성과 입지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기초자료와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active movement toward databasing, systematizing, and unify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efforts facilitate the utilization of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in environment conservation officially planned at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levels. This in turn clarifies the management direction of space, thereby serving as an effective tool with which to not only conserve land, but also provide a reasonable compromise to all the related solutions at odds with one another. As such, this study forwards a method for inclusion of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in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place, with in such a planning method, of the natural ecosystem, arguably the most sensitive arena among environmental factors.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can be broadly divided as follows: first, basic direction; second, collection of spatial information; third, compilation of status of spatial environment; and fourth, management strategy for spat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second phase, namely the collection of spatial information, delineates clearly spatial information hitherto amassed by government agencies at both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the ensuing lists facilitate maximum utilization of the previously accumulated data. Used during the planning phase, status maps should include not only the status of land use(land cover), but also systematic data on the superior resources of the natural ecosystem as well as the status of the given spatial environment. Establishing plans for ecological networks, thei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a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aspects, this study sought to formulate ways in which to spatialize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s that encompass consideration for the natural ecosystem. Devised based previous studies and examples, the compilation of status and plans as stated, applied to Gyeonggi Province, afforded an examination of the potential applicability and usability of the proposed plans. Ultimately, these will contribute not only to the establishment of plans encompassing consideration for the value and level of significance of the given natural ecosystem in spatial development planning, but als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investigating appropriateness of plans and validity of location in any regional development plan.

      • KCI등재

        예비수학교사의 수업 반성에 관한 연구

        최희선(Choi, Heesun),한혜숙(Han, Hye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Since Dewey presented the concept of reflective thinking in the teaching proces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lass reflec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class reflection is emphasized. Thu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class reflection papers prepared by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uring the practical teaching period and examined the contents of reflection and its level.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flection contents, the ratio of reflection on the class situa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learner understand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class management, curriculum content, and other areas, the reflection activiti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re focused on the progress of the class where various variables can act rather than the content of low uncertainty.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flection levels, pre-service teachers had the highest level of reflection at level 1, followed by level 2, level 3 and level 4, the reflection activiti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an be seen at the lower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level of class reflection among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conclude that reflection at higher levels is more valuable than reflection at lower levels, reflection at higher levels is also essential as class reflection at higher levels is achieved through more analytical and critical thinking. Dewey가 교수 과정에서 반성적 사고 개념을 제시한 이후로 교사의 수업 반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수업 반성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 기간 동안 작성한 수업 반성지를 수집 및 분석하여 반성 내용과 그 수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반성 내용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수업상황 범주에 대한 반성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학습자 이해, 교수ㆍ학습 방법 및 평가, 수업운영, 교과내용, 기타 영역 순으로 나타나 예비수학교사들의 반성 활동은 불확실성이 낮은 교과내용보다는 다양한 변수가 작용할 수 있는 수업 진행 상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반성 수준 측면에서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예비교사들의 반성 수준은 1수준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2수준, 3수준, 4수준 순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반성 활동이 대체로 하위 수준에서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업 반성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비록 상위 수준에서의 반성 활동이 하위 수준에서의 반성 활동보다 더 가치가 있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상위 수준에서의 수업 반성은 보다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상위 수준에서의 반성 활동 또한 필수적이다.

      • DEA를 활용한 대학운영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최희선(Heeseon Choi),최강화(kanghwa Choi)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최근 우리나라 대학들은 대학 정보 공시제도를 통하여 대학평가를 실시하고, 학령인구의 감소와 대학구조 조정, 취업난 및 청년 실업의 증가와 반값 등록금 등 급변하는 교육환경과 세계적인 경제적 위기로 많은 어려움에 처해 있다. 교육부의 대학 평가제도 개선을 통한 대학정원 감축과 최하위그룹의 퇴출 등 이렇듯 대학을 둘러싼 국내외 급속한 환경변화는 유례없는 위기 상황에 직면하고 있으며 각 대학은 교육 환경개선 등 효율성 개선을 통하여 경쟁력을 강화시켜야만 경쟁우위를 지킬 수 있으며 대학운영 관련하여 효율성 개선의 필요성을 증대 시키고 있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대학 교육 협의회의 대학정보공시의 2015년 4년제 대학의 113개 자료를 구축하여 사용하였으며 대학 규모를 3가지로 (5천명 이하, 5천명 이상∼1만명 이하, 1만명 이상) 분류하여 현재 대학의 효율성을 DEA모형으로 효율성을 분석한 후에 중간생산물을 통하여 두 프로세스를 연결하는 형태의 two–stage시스템인 Network 효율성 분석을 통하여 투입물과 산출물을 생산하는 중간생산영역인 생산과정의 내부 기술구조의 프로세스 효율성영향을 분석하였다. DEA모형 분석과 Network 효율성 분석은 결과 다소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매개 변수인 중간 산출물 및 결합 활동의 결과가 효율성을 추정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고려변수임을 알 수 있으며 대학의 전체적인 효율성 수준을 살펴보면 DEA모형을 이용하여 소규모 22개 대학을 분석한 결과 효율성이 우수한 대학은 9개 대학으로 40.9%이었으나 Network 효율성 분석한 결과 효율성이 우수한 대학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두 모형간의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Network 효율성으로 대규모 대학 43개를 분석한 결과 효율성이 우수한 대학은 1개 대학 2.3%로 나타났으며 중규모 48개 대학을 분석한 결과 효율성이 우수한 대학은 1개 대학 2.1%로 분석되었고 소규모 대학보다 중·대규모 대학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 정부 상황하에서 대학이 직면한 심각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대학들은 투입과 산출구조에 대한 조정이나 최적의 생산규모의 확보를 위해서 자구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으며 비효율적인 대학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대학과 비효율적인 대학 간의 투입 및 산출변수별 평균을 비교한 결과 효율적인 대학은 비효율적인 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영점에 근접한 적절한 인적, 물적 자원을 투입하여 높은 진학률과 취업률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