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월북시인 김상훈・『통일을 불러』・주체문예

        최현식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9

        This study is aimed to focus on examining Kim Sang-hoon’s collection of poems, Calling for Reunification and revealing its value in literary history and lyrical meaning. This collection of poems was compiled after the poet’s death by his widow and the society of North Korean literature. The main ideology and editorial principles of the collection follow ‘subjective literature’ which is known to have been advocated by Kim Il-sung and organized by Kim Jong-il. It also details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March of Hardship’ in the Kim Jong-il era that drove North Korean society into unprecedented chaos and pain in the 1990’s and sublimating and ritualizing Kim Il-sung’s ‘Yuhoon Rule’ and Kim Jong-il’s ‘Idea of Seongun’ being practiced by the son, ‘Kim Jong-eun’. To reveal the excessive ideology and totalitarian nature of Calling for Reunification shown in this process, this researcher has borrowed the concept of ‘the theatrical state’ adopted in another researcher’s book, North Korea, the Theatrical State. Also, this author has utilized the three frameworks of ‘the power of guns’, ‘the power of love’, and ‘the ethics of coexistence’ which form the foundation and structure of it and corresponded the three to ‘the Leader’, ‘the Mother’, and ‘the People’ each. In fact, Calling for Reunification contains the poems created between the period of liberation and 1987 selectively. Therefore, it is natural truth that the ideology and contents of ‘the Leader,’ ‘the Mother,’ and ‘the People’ continued to change over time and according to the North Korean regime. The Kim Il-sung family, however, used ‘subjective literature’ that had emerged as the guiding principle of North Korean literature since the mid-1960’s as a method of sublimating and beatifying socialist ideology, the tradition of anti-Japanese revolution, and ‘the subjective state’. Although the poet’s widow and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were deeply engaged in editing and publishing, ‘Calling for Reunification’ is believed to have faithfully followed the ideology, form, frame and discourse of ‘the theatrical state’ formulated by Kim’s three-generation hereditary system in its preface, editorial review, and first-part poems. Later, in order for two Koreas to read and discuss Kim Sang-hoon’s poems together in terms of the history of reunification literature, it seems inevitable to exclude ‘the power of guns’ centered on the Leader as much as possible before anything. At the same time, the first priority should be placed on sorting out the poems related to ‘the Mother’ and ‘Ethics of Coexistence’ sung and dedicated to the happiness of all people. 이 글은 월북시인 김상훈의 시집 『통일을 불러』의 문학사적 가치와 서정적 의미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 시집은 시인의 사후에 그의 미망인과 북한문단에서 함께 묶어낸 것이다. 시집의 주요 이념과 편집 방침은 김일성이 주창하고 김정일이 조직한 것으로 알려진 ‘주체문예’를 따르고 있다. 그러면서 1990년대 북한 사회를 미증유의 혼란과 고통으로 내몰았던 김정일 시대의 ‘고난의 행군’의 극복, 그 아들 김정은이 수행 중인 김일성의 ‘유훈통치’와 김정일의 ‘선군사상’에 대한 숭고화 및 의례화(儀禮化) 과정도 치밀하게 담아냈다. 연구자는 이 과정에 보이는 『통일을 불러』의 지나친 이념성과 전체주의적 성격을 밝히기 위해 『극장국가 북한』(권헌익·정병호)에서 활용된 ‘극장국가’라는 개념을 빌려 왔다. 또한 그것의 토대와 구조를 이루는 ‘총의 힘’, ‘사랑의 힘’, ‘공존의 윤리’라는 세 가지 틀도 활용했다. 그리고 그 셋을 각각 ‘수령’, ‘어머니’, ‘인민’에 대응시켰다. 사실 『통일을 불러』는 해방기–1987년 사이에 창작된 시를 골라 실었다. 그러므로 시간의 추이에 따라, 또 북한 체제의 변화에 따라 ‘수령’과 ‘어머니’, 그리고 ‘인민’의 이념과 내용이 계속 변화되는 것이 당연한 진실이었다. 그러나 김일성 일가는 1960년대 중반 이후 북한문학의 지도 원리로 부상한 ‘주체문예’를 사회주의 이념과 항일혁명의 전통, 그리고 ‘주체조국’의 숭고화 및 미학화의 방법으로 삼았다. 비록 시인의 미망인과 북한문단이 편집과 출간에 깊이 관여했지만, 『통일을 불러』는 서문과 편집후기, 그리고 1부의 시편들에서 김씨 3대 세습체제가 꾸며낸 ‘극장국가’의 이념과 형식, 틀과 담론을 충실히 따랐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통일문학사에서 남북한이 김상훈의 시를 함께 읽고 토론하려면 무엇보다 수령 중심의 ‘총의 힘’을 최대한 배제하는 작업이 긴요할 듯싶다. 이와 동시에 전 인민의 행복을 위해 노래되고 바쳐진 ‘어머니’와 ‘공존의 윤리’에 관련된 시들을 가려 뽑는 작업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큰앵초의 자생지별 외부형태학적 변이 및 환경특성

        최현식,김정수,이민숙,정용주,김동후,김병부,김봉규,추갑철,조갑자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4

        The survey of Primula jesoana was conducted in 5 areas (Sobaeksan Yeonhwabong, Juholsan Jubong, Deogyusan Satgatbong, Gayasan Duribong, and Jirisan Nogodan) from 2018 to 2020. The height of Primula jesoana was 23.1∼31.3cm, with an average of 26.8cm. The number of leaves was 2.9∼4.7, and the average was 3.8. The length of the leaves was 6.2∼7.6cm (an average of 7.1cm). The width of the leaves was 7.8∼9.3cm, the average was 8.7cm, and the length of the petiole was 10.9∼16.5cm, with an average of 13.5cm. The ratio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leaf was 0.79∼0.82, and it was a wide oval. The lobe shape was dull and irregular and sharp, deep and regular. The root length was 5.9∼10.9 cm, and the average length was 7.2 cm. The number of roots ranged from 27.6 to 48.2, with an average of 37.7. The flowering period is from the end of May to the beginning of June. The number of flowers ranged from 5.4 to 10.1, and the average was 7.2. The width of the corolla ranged from 21.7 to 26.2 mm, and the average width was 23.4 mm. The fruit length ranged from 1.3㎜ to 2.0㎜, with an average of 1.8㎜. The number of seeds went from 10.0 to 18.2ea, with an average of 14.2ea. The dominant species in the upper layer of the survey site were Quercus mongolica, the middle layer Acer pseudosieboldianum, Symplocos chinensis f. pilosa, Magnolia sieboldii and the lower layer wa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ododendron mucronulatum, Tripterygium regelii, Stephanandra incisa etc. The Species diversity (H´) of investigated groups were ranged from 0.7534 to 0.9950. The soil pH of the irradiated site was 4.1∼4.6, and the base saturation was 3.18%∼9.09%. EC was 0.18∼0.70 dSm-1, and NaCl was 0.003∼0.006%. 큰앵초의 특성조사는 소백산(연화봉), 주흘산(주봉), 덕유산(삿갓봉), 가야산(두리봉), 지리산(노고단) 등 5개 지역을 대상으로 2018년 4월부터2020년 11월까지 실시하였다. 큰앵초의 높이는 23.1∼31.3㎝이고, 평균 26.8㎝이며, 잎의 수는 2.9∼4.7개이고, 평균 3.8개이다. 엽신의 길이는6.2∼7.6㎝이고, 평균 7.1㎝이며, 엽신의 너비는 7.8∼9.3㎝이고, 평균 8.7㎝이며, 엽병의 길이는 10.9∼16.5㎝이고, 평균 13.5㎝이다. 잎의 길이와폭의 비율은 0.79∼0.82로 광타원형이다. 엽연의 형태는 결각이 둔하고 불규칙적인 것과 예리하고 깊으며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뿌리의 길이는5.9∼10.9㎝이고 평균 7.2㎝이며, 뿌리 수는 27.6∼48.2개이고, 평균 37.7개이다. 개화기는 5월말∼6월 초이며, 꽃의 수는 5.4∼10.1개이고, 평균7.2개이다. 화관너비는 21.7∼26.2㎜이고, 평균 23.4㎜이다. 열매의 길이는 1.3㎜∼2㎜이고, 평균 1.8㎜이며, 종자의 수는 10개∼18.2개이고, 평균14.2개이다. 조사지의 상층우점종은 신갈나무이고, 중층은 당단풍나무, 노린재나무, 함박꽃나무 등이며, 하층은 철쭉, 진달래, 미역줄나무, 국수나무등으로 나타났고, 종다양도는 0.7534∼0.9950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의 토양 pH는 4.1∼4.6이고 염기포화도는 3.18%∼9.09%로 나타났다. EC는0.18∼0.7dSm-1으로 나타났고, NaCl은 0.003∼0.006%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정지용·주체문예·정전(正典)

        최현식 상허학회 2023 상허학보 Vol.68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exclusion and lottery of Jeong Ji-yong’s poems, and the process of popularization in academic research and newspaper media in North Korea. Jeong, Ji-yong was shunned and banned as he was considered an advocate of “modernist” art, which was denounced as counter-revolutionary and anti-people. However, his reputation recovered greatly in the 1980’s with the emergence of a new literary theory under Jucheism, led by Kim, Jung-il. From the perspective of “Juche Literature,” Jeong, Ji-yong’s poetry was assessed as a legacy of progressive “national culture and art” that contributed to Kim, II Sung’s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ry art.” He was praised as a poet who sang the emotions and “breath” of the people based on beautiful national sentiments and folk-like rhythms. In other words, Jeong, Ji-yong’s poetry has come to serve as North Korean “canon” that contributes to national unity and the stabilization of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Kim, Il-sung and Kim, Jung-il by elevating “revolutionary spirits” and “national things”. The positive reception of Jeong’s poetry and the publication of anthologies,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1990’s, is reflected in the newly edited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and Collection of Modern Literature of Korea. Both works were centered on the newspapers and magazines in which his poems first appeared, the Collected Poems of Jeong, Ji-yong (1935) and Baekrokdam (1941). In the process, 43 of his poems from the 1920’s and 1930‘s were published in Collection of Modern Literature of Korea, including his representative works — “Cafe France,” “Hometown,” “Nostalgia,” “Baekrokdam,” and “Birobong.” These works were highly praised for their excellent sense of the national language, excellent command of the language, traditionalization and futureization of ‘national things’ through it, and lyrical expression of the people’s sorrow and health. However, Poems with the tendency of ‘Imagism’, that is, “Sea” and “Strait”, which were suspected of being anti-popular decadent art, and children’s poems expressing the curiosity and sadness of colonial children were excluded. Since the mid-1990’s, North Korea has promoted “the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 theory”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March of Suffering”. The emphasis was on the “power of the gun” and “power of love” and the “ethics of coexistence” among the people, modeled after Kim, Il 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Considering this fact, a focus might have been placed on the works of Jeong, Ji-yong that lived up to the “ethic of coexistence”, that is, works imbued with patriotism and local lyricism. Unexpectedly, North Korean writers and researchers paid attention to the following: 1) the poetry historical and national literary of the “vernacular,” “archaic language,” and “dialect” selected and utilized in his poems; and 2) the children’s poems that sang about the simple life and innocent play as well as the pain of national and family loss of Korean children. To sum up, Jeong, Ji-yong’s poetry gained both official recognition as “Juche literature” and mass appeal among readers, securing the status of a “classic” and “canon” at the same time. 이 글은 북한에서 이뤄진 정지용의 시에 대한 배제와 복권, 그리고 학술연구와 신문매체에서의 대중화 과정을 살펴본다. 정지용은 반혁명적․반인민적 예술로 폄훼된 ‘모더니즘’ 예술의 주창자라는 비판적 평가에 따라 배제와 금지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김정일이 주도한 ‘주체문학’론에 의해 반전의 계기가 발생했다. 정지용의 시도 김일성의 ‘항일 혁명문학예술’에 기여한 진보적 ‘민족문화예술’의 유산에 해당된다는 정반대의 평가가 그것이다. 이를 통해 그는 아름다운 민족정서와 민요풍 리듬을 바탕으로 인민의 서정과 호흡을 인상 깊게 노래한 시인으로 올라선다. 이것은 정지용의 시가 ‘혁명의식’과 ‘민족적인 것’의 고양을 통해 인민의 대통합과 김일성—김정일 세습체제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북한식 ‘정전(正典)’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음을 뜻한다. 1990년대 본격화된 정지용의 시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선집(選集)의 발간은 새로 편찬된 조선문학사 와 현대조선문학선집 를 통해 이뤄진다. 두 작업은 그의 시가 처음 실린 신문과 잡지, 정지용시집 (1935)과 백록담 (1941)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1920년대 및 1930년대 현대조선문학선집 에 총 43편의 시가 실렸다. 대표작 「카페 프란스」, 「고향」, 「향수」, 「백록담」, 「비로봉」 등이 주로 선택되었다. 이 작품들은 민족어에 대한 탁월한 감각과 뛰어난 구사, 그를 통한 ‘민족적인 것’의 전통화와 미래화, 인민들의 슬픔과 건강함에 대한 서정적 화폭의 표현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미지즘’ 경향의 시, 곧 반인민적 퇴폐주의 예술의 혐의를 받던 「바다」, 「해협」 등과 식민지 아동의 호기심과 설움을 표현한 동시(童詩)는 제외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은 ‘고난의 행군’이라는 체제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선군혁명문학론’을 내세운다. 이때 강조된 것이 김일성 항일유격투쟁을 모델로 한 수령 중심의 ‘총의 힘’과 ‘사랑의 힘’, 인민들 서로간의 ‘공존의 윤리’였다. 이를 감안하면 정지용 시는 특히 ‘공존의 윤리’에 부응하는 작품들, 곧 인민의 애국심과 향토적 서정이 배어 있는 작품들이 주목되었을 법하다. 그러나 북한 문단과 연구진은 뜻밖에도 다음의 항목들로 평가의 초점을 돌린다. 첫째, 정지용 시에서 선택, 활용된 ‘고유어’, ‘고어(古語)’, ‘방언’에 담긴 시사적․민족문학적 가치, 둘째, 조선 아동들의 순진무구한 생활과 놀이, 민족과 가족 상실의 아픔을 노래한 동시가 그것이다. 이처럼 정지용 시는 ‘주체문학’의 공식적 인정과 독자에 대한 대중적 호소력을 동시에 획득하게 됨으로써 ‘고전’과 ‘정전’의 지위를 동시에 확보하기에 이른 것이다.

      • KCI등재

        High Expression of the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Receptor in SGT Cell Line

        최현식,박경주,천윤권,이종헌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2011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Vol.35 No.6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uPA) bound to urokinase plasminogen activator receptor(uPAR) expression i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metastatic potential of various tumors by enhancing ECM degradation through plasminogen and matrix metallopreotease activation. But expression of uPA/uPAR in huma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has been rarely re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mRNA expression and cytologic concentration of uPAR in SGT cell line compared to various cancer cell lines by RT-PCR and ELISA method, and to study migration and adhesion assay. These results would be to apply the pathogenesis and prognosis of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All the cell lines(SGT, HN 4, SCC 25, and HeLA) were cultured under DMEM with 10% FBS at 37℃ in a 5% CO2 incubator. We studied a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mRNA expression and cytosolic concentrations of uPAR in SGT cell line compared to various cancer cell lines using RT-PCR and an enzyme-linked immunoassay(ELISA) method. And also cell adhesion and migration assay were done in all the cell lines. In migration assay SGT cell line was about 2.5-4 folds higher than another cell lines. In adhesion assay SGT cell line was about 1.1-2 folds higher than another cell lines. uPAR cytosolic concentrations of SGT cell line was about 3.4-10 folds by ELISA, while mRNA expression was about 2.5-5folds by RT-PCR. Oral Scc cell lines showed the lowest value. uPAR protein and mRNA expression were correlated with migration and adhesion assay. From the aboving results, high cytosolic concentrations and mRNA expression of uPAR were correlated with migration and adhesion assay. It suggested that this might be a specific marker for malignant potential of SGT cell line and would be contributed to pathogenesis and prognosis of human salivary gland adenocarcinoma.

      • 난류 유동 안에서의 전기적 충돌을 이용한 서브마이크론입자 저감 연구

        최현식,강상모,황정호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미세입자들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기집진기를 많이 사용 해왔다. 하지만 기존의 전기집진기는 마이크로 입자 영역에서는 좋은 포집 효율을 보여주나 나노사이즈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을 보인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시킬 방법으로서, 좀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 중에 하나가 AC 전기장을 이용한 전기응집이다. 전기응집은 DC 전압을 이용하여 입자를 양극성으로 하전 시키고 하전된 입자에 AC 전기장을 걸어준다. AC 전기장 내에 있는 입자들은 서로 다른 크기에 의해 비롯한 서로 다른 하전수에 의해 상대적인 진동을 하게 되고, 충돌 확률이 높아지게 되면서 응집이 일어나게 된다. 하지만 오직 AC 전기장을 사용해서는 높을 효율을 얻기 쉽지 않다. 따라서 AC 전기장 내부에 난류유동을 일으킬 믹서를 설치하여, 와류를 생성한다. Electirc force와 Aerodynamic force를 동시에 발생시켜 큰 입자에 작은 입자를 좀 더 쉽게 부착시키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믹서의 유무에 따른 나노입자 제거효율과 전기장의 세기에 따른 입자효율을 SMPS와 APS 측정장비를 통해 도출하였고, 응집의 근거로서 SEM 이미지를 촬영하여 증명하였다. 또한 실험적인 나노입자 제거 결과를 이론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하였으며, CFD-fluent에 Population Balance Model을 사용하여 입자 농도의 변화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근대계몽기 ‘한양-경성’의 이중 표상과 시적 번역

        최현식 상허학회 2009 상허학보 Vol.26 No.-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examine double representation of ‘Hanyang’ at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1905~1910). The subjects of study are ‘Kasa for enlightenment’ in Korea Daily News and ‘Chngga’ in Sonyeon. ‘Hanyang’ was the capital of the Choseon Dynasty at that time and was gradually getting drawn into the wave of modernization. However, the modernization of Hanyang was not the subjective civilization of the Korean Empire but rather a desperate journey enforced by Japanese colonial policy. The title ‘Hanyang-Gyeongseong’ is for representing the dependency and disability of ‘Hanyang’ where civilization was added to the noticeable superiority of colonization in a new way. As it is known to all, ‘Gyeongseong’ was the new name of ‘Hanseong’ given by Japan so that it could substitute ‘Hanseong’ promptly after ‘Unification of Korea and Japan’. The illuminists of the time could not but have dual sights to ‘Hanyang’ suffering from disturbances. Korea Daily News with Shin Chae-ho as its central figure and Choi Nam-seon’s Sonyeon represent the dual sights and attitudes toward the modernization of ‘Hanyang’. ‘Hanyang’ for the former was a negative space where brutal civilization which degraded and suppressed ‘the Korean Empire’ prevailed. In the meantime, ‘Hanyang’ for the latter was a positive space where civilization was carried out in a desirable way. They viewed this matter differently as fragmentation of life and rationalization of life that hygiene, trains, and urbanization caused and anticipated the direction of the extremely distinct civilization. As seen above, ‘Hanyang’ which was about to disguise itself as ‘Gyeongseong’ was a field of complicated routine, but more importantly it was a field of politics in which enlightenment discourses competed and conflicted. ‘Hanyang­Gyeongseong’ was not so much the given substance as the metaphor of politics and the value system alternating the people and nation; thus, it was a complex linguistic space that exposed the difference of the two media’s interpretation and internalization of ‘civilization’ clearly. 이 글은 근대계몽기 ‘한양’을 이해하고 표상하는 계몽주체들의 시각과 차이를 살피기 위해 작성되는데, 『대한매일신보』의 계몽가사와 『소년』계열의 장편창가를 특히 주목한다. 당시 ‘한양’은 조선왕조의 수도로서 근대화의 물결에 점차 휩쓸려갔다. 그러나 한양의 근대화는 대한제국의 주체적 문명화보다는 일제의 식민정책에 의해 강제되는 슬픈 도정이었다. 제목의 ‘한양-경성’은 식민성의 현저한 우위 속에 문명성이 접합되는 ‘한양’의 종속성과 불구성을 새롭게 표상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경성’은 한일합방 후 일제가 ‘한성’을 신속히 대체하기 위해 부여한 새 지명이다. 파란에 휩싸인 ‘한양’을 바라보는 당대 계몽주의자들의 시선은 이중적일 수밖에 없었다. 신채호가 주축이 된 『대한매일신보』와 최남선의 『소년』은 ‘한양’의 근대화를 바라보는 이중적 시선과 태도를 대표한다. 전자에게 ‘한양’은 ‘대한제국’을 타락시키고 억압하는 야만적 문명이 횡행하는 부정적 공간이었다. 이에 반해 후자에게 ‘한양’은 문명화가 모범적으로 수행되는 긍정적 공간이었다. 그들은 이 문제를 위생과 기차, 도시화 등이 일으키는 삶의 파편화와 삶의 합리화로 다르게 봄으로써, 매우 이질적인 문명의 향방을 예측했던 것이다. 이처럼 ‘경성’으로의 변복을 눈앞에 둔 ‘한양’은 복잡다단한 일상의 장이기에 앞서 계몽 담론이 경합하고 갈등하는 정치의 장이었다. ‘한양—경성’은 주어진 실체이기에 앞서 정치의 은유였고 또 민족과 국가를 대체하는 가치체계였으며, 두 매체의 ‘문명’ 번역과 내면화의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나는 복합적 언어공간이었다.

      • KCI등재후보

        키워드 부합 스카이라인 처리

        최현식,성민경,정연돈 한국정보과학회 2009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25 No.3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type of queries, keyword-matched skyline queries, that retrieve tuples which are not dominated by any other tuples and whose text description matches with the given query keywords. Since conventional skyline processing methods do not handle keyword matching, skyline query processing would be necessary on the keyword-matched tuples computed from n-tuples with textual information. However, this combination approach incurs a significant processing overhea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lgorithm for keyword-matched skyline queries. Our proposed algorithm makes use of IR2-Tree as the index structure and branch and bound search to traverse the tree. Therefore, our proposed algorithm can prune unqualified nodes during traversing the tree. We carried out extensive experiments with various parameters and data se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 our proposed algorithm is very efficient with regard to computational cost and I/O cost.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스카이라인 질의인 키워드 부합 스카이라인 질의를 소개한다. 키워드 부합 스카이라인 질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 차원 튜플 집합에서 질의 키워드를 가지는 집합의 스카이라인을 구하는 문제이다. 기존 스카이라인 질의처리 기법은 텍스트 검색을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미 찾은 키워드 부합 튜플들로부터 다시 스카이라인을 구해야 하며 이는 많은 부하를 유발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키워드 부합 스카이라인 질의를 위한 효율적인 질의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IR2-Tree을 색인 구조로 사용하고 분기한정법을 이용해 트리를 순회한다. 따라서 순회동안 튜플의 벡터와 텍스트 정보를 둘 다 고려하여 방문할 필요가 없는 노드는 효율적으로 가지치기 한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해 기저 알고리즘인 역색인 스카이라인 검색기법을 추가적으로 제안하고 키워드 부합 스카이라인 질의처리 기법과 비교평가 한다. 성능평가는 연산 시간 및 I/O비용 및 초점을 맞추어 수행되며 성능평가 결과는 제안 알고리즘이 기저 알고리즘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만주(북방)’, 내적 망명 또는 환대의 場― 白石의 ‘만주시편’의 경우

        최현식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2 No.-

        This article discusses the values of exile and hospitality in Baek, Seok’s ‘Manchuria-Poems’. To do so, it focuses on the poem’s use of the word “northland” to evoke both ‘historical space’ and ‘mythical place’ while remembering the actual ‘Manchuria’. Through ‘Northland’, Baek, Seok sees a glimpse of a “new old day” where past and future time become one, and three orientations are noted. First, he depicted the subaltern respecting each other’s lives and the peace of the community, beyond the longing for the idealized Chinese culture of the past. Second, he called for good Koreans who showed “sadness” and ‘warmth’ toward other people and peoples. Third, he rebelled against Japanese ‘linguistic imperialism’ and refused to write poetry in Japanese, which was forced upon him by Japanese literati in Manchuria. Baek, Seok passionately expressed his artist’s pride through good animals and plants and poets from the East and West. The “buckthorn tree” he embraced was a symbol that both encompassed and represented these. It was the ‘cosmic tree’ at the center of the ‘Northland’ and another name for an absolute value system that should not be abandoned. 이 글은 백석의 ‘만주시편’에 담긴 망명과 환대의 가치를 논한다. 이를 위해 실제의 ‘만주’를 기억하면서도 ‘역사적 공간’과 ‘신화적 장소’를 동시에 환기시키는 “北方”이라는 시어에 주목했다. 백석은 ‘북방’을 통해 과거와 미래의 시간이 하나 되는 “새 녯날”을 엿보았는데, 세 가지의 지향이 주목된다. 첫째, 과거의 이상적인 중국문화에 대한 동경을 넘어, 서로의 삶과 공동체의 평화를 존중하는 하위자들의 모습을 그려냈다. 둘째, 타자와 민족에 대한 “슬픈 마음”과 ‘따스함’을 보여주는 선량한 조선인을 호명했다. 셋째, 일제의 ‘언어 제국주의’에 대해 반발하며, 만주국의 일본 문인들이 강요했던 일본어로 시 쓰기를 거부했다. 백석은 선량한 동식물과 동서양의 시인을 통해 예술가의 자긍심을 뜨겁게 표출했다. 그가 끌어들인 ‘갈매나무’는 이것들을 포괄하는 동시에 대표하는 상징물이었다. 이 나무는 ‘北方’의 중심에 선 ‘宇宙樹’이자 포기해서는 안 될 절대적 가치체계의 다른 이름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