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습기 살균제 폐 손상 , 어떻게 해결해야 해결해야 하나 ?

        최지현,홍상범,도경현,김화정,정석훈,이은,최지현,홍수종 환경독성보건학회 2016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31 No.-

        우리나라 인구의 상당수가 가습기 살균제에 노출되었고 피해자가 주로 영유아인 점을 고려해볼 때 그 피해의 규모는 현재 밝혀진 것보다 광범위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피해자들은 다양한 질환과 이로 인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는데, 폐 손상 뿐만 아니라 폐 이외 질환 즉, 상기도 질환, 심혈관계 질환, 신장 질환, 근골격계 질환, 안구 질환, 피부 질환 등에 대한 피해 호소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폐 이외 질환에 대해서는 가습기 살균제가 특이적 원인이라고 그 근거를 아직 제시하고 있지 못한 상태여서 피해 인정과 인과 관계 규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및 가족 구성원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 억울함, 분노 등 다양한 정신적·심리적 고통까지 겪고 있는데 현재 적절한 정신·심리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PHMG, PGH, CMIT/MIT 등 가습기 살균제 내 독성물질에 대한 정확한 기전이 밝혀져 있지 않아 가습기 살균제 관련 문제에 대한 정보 욕구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을 위한 의료비 및 생활비 등 경제적 지원에서 나아가 향후 건강 스크리닝을 통한 개별 맞춤 프로그램 즉, 심리지원과 적절한 사회적 지원을 결합하여 심신회복은 물론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인 지원 대책이 필요하기에 국가적인 차원의 통합지원센터 추진이 긴급히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부와 보건복지부와 같은 직접 관련된 해당 부처 간의 긴밀한 협조와 지원 뿐만 아니라 범정부적인 협의체나 지원단과 같은 국가적인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Humidifier disinfectant lung injury, how do we approach the issues?

        최지현,홍상범,도경현,김화정,정석훈,이은,최지현,홍수종 환경독성보건학회 2016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31 No.-

        A large portion of the Korean population has been exposed to toxic humidifier disinfec¬tants (HDs), and considering that the majority of the victims are infants, the magnitude of the damage is expected to be considerably larger than what has currently been re¬vealed. The current victims are voicing problems caused by various diseas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lung, upper respiratory tract, cardiovascular, kidney, musculoskeletal, eye, and skin diseases, etc. However, there has been difficulty in gaining validation for these health problems and identifying causal relationships due to lack of evidence prov¬ing that toxic HD is the specific causes of extrapulmonary diseases such as allergic rhi¬nitis. Furthermore, the victims and bereaved families of the HD case have not received any support for psychological distress such 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ion, feelings of injustice, and anger caused by the trauma. In addition, becaus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toxic materials within the HDs such as 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osphate, poly(oxyalkylene guanidine) hydrochloride, chloromethylisothia¬zolinone /methylisothiazolinone have yet to be determined, the demand for information regarding the HD issue is growing. The victims of the HD cases require support that goes beyond financial aid for medical costs and living expenses.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government-led integrated support centers that provide individualized support through health screenings; in other words, we need an integrated facility that provides the appropriate social support to allow the victims to recover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 as to well prepare them to return to a normal life.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plan requires not only the close cooperation between those departments already directly involved such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but also active support on a national scale from pan-governmental consultative bodies.

      • KCI등재

        1930년대 빅토르 위고 시 번역과 ‘투사’(鬪士)의 변모

        최지현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88

        As everyone knows, Victor Hugo was at the forefront of the romantic literary movement. He is credited with extensive arts as a prominent poet, novelist, and dramatist. Defending the acceptance of 『Les Misrables』, he was first announced in the Korean Modern Era. His work was widely read by many readers. But after accepting 『Les Misrables』, most of readers in modern Korea regarded him as a enthusiastic activist who criticized political/social problems. Not a poet or novelist. After the mid-1930s, Hugo's status changed with the translation of some of his poems. The year 1935 was the 50th anniversary of Hugo's death. The literary world of Korea organized a special feature about Hugo, to express their admiration for him. And including 『Si-Won』 (The Garden of the Poesy), many magazines and newspapers focused on Hugo's literature, and summarized his outstanding masterpieces briefly. In this process, some of Hugo's romantic poems were translated. Especially translator Lee, Heon-Gu praised Hugo's poem highly and recognized him as a poet who opened new horizons for romantic literary. With this work as a guide, the literary world of Korea focused on Hugo's poetic activities. 빅토르 위고는 낭만주의 운동의 기수로서 시, 소설, 희곡을 망라하여 방대한 양의 작품을 남긴 프랑스의 대문호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이름이 처음 우리나라에 알려지게 된 것은 근대 초엽 조선에『레 미제라블』이 수용되면서부터다. 『레 미제라블』은 처음 소개된 이래로 조선의 다양한 독자층에게 활발하게 향유되었으며, 두터운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었다. 그러나 당대 조선인 독자들의 마음을 끈 것은 문예로서『레 미제라블』이 성취한 미학적인 아름다움이 아니었다. 그들은 『레 미제라블』이 담고 있는 정치적·사회적 메시지에 공감하고 호응하였다. 자연히 조선인들의 머릿속에 빅토르 위고는 『레 미제라블』 같은 소설을 통해 정치와 사회의 문제를 지적한 사상가로서 크게 자리매김했으며, 그는 시인이나 소설가로서의 면모보다는 ‘투사’로서의 면모를 주목받아 왔다. 1930년대 중반에 이르러 여러 문학잡지와 산문 등에 그의 시 몇 편이 번역된 것을 계기로 하여 빅토르 위고의 위상은 서서히 바뀌어 나간다. 1935년은 위고가 세상을 떠난 지 50주년을 맞은 해였다. 조선 문단에서는 위고 사후 50주년을 기리고자 간담회를 꾸렸다. 아울러『시원』을 비롯한 몇몇 매체에서는 특집 기사를 마련함으로써 본격적으로 빅토르 위고의 문학 세계를 조명하고 그의 문학 작품들을 개관하였다. 이 과정에서 낭만주의 성향을 띤 위고의 시가 여러 편 번역되어 소개되었고, 특히 번역가 이헌구 등에 의해 그의 시 작품에 대한 나름의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투사가 아닌, 낭만주의 ‘시인’으로서의 위고의 시 창작 활동에 초점을 맞추려는 시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다감각 자극훈련이 노인의 인지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지현,유두한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6 No.2

        목적 : 본 연구는 다감각 자극훈련이 노인의 인지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0명을 대상으로 다감각 자극훈련을 주 1회 60분씩 12주 동안 진행하였다. 다감각 자극훈련은 신체도식, 대근육, 촉각자극 영역을 포함한 총 12가지 주제에 맞는 활동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이다. 결과측정은 한국형-간이정신상태평가(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MMSE-K) 와 버그균형검사(Berg Balance Scale, BBS)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사전사후 인지기능과 균형 능력을 평가하였고, 중재 이후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측정 결과는 윌콕슨 순위 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 을 사용하여 인지기능과 균형능력의 중재 전후로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다감각 자극훈련 중재 이후 대상자들은 인지기능과 균형능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또한 중재 이후 대상자 모두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다감각 자극훈련은 노인의 인지기능과 균형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 으며, 중재 이후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다감각 자극훈련은 고령화 시대에 노인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그룹치료활동으로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of the community resident elderly. Methods : 10 participants who is over aged 65 years carry out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program for 12weeks, once a week for 60minutes.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program is consisted of total 12 topic based on body schema, gross muscle and tactile stimulation. The result was measured using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and Berg Balance Scale to evaluate before and after of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And after intervention,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was investigated. 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compare pre- post difference of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Results :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p<.05) and the satisfaction is positive at the end of the program. Conclusion :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for elderly. And the satisfaction is positive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program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to elderly in the aging society. So, additional studies is needed for efficient use.

      • KCI등재

        Molecular Analysis and Bioactivity of Luteinizing Hormone from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Produced in Silkworm Pupae

        최지현,김대중,홍선미,조선정,민관식,손영창,이재만,Takahiro Kusakabe 한국생물공학회 2016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1 No.3

        Luteinizing hormone (LH), a gonadotropin hormone (GTH) of the pituitary glycoprotein family, is important in oocyte maturation, ovulation, and spermiation. In this study, we generated a Japanese eel LH (JeLH) with and without the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 (eCG) carboxyl-terminal peptides under the control of the polyhedron in the silkworm pupae BES to determine their expression levels, glycosylation profile, and in vitro bioactivity. The target proteins were highly expressed in the pupae hemolymph. Recombinant JeLH·eCG and JeLH were N- or O-glycosylated, as shown by periodic-acid Schiff staining, deglycosidase enzyme treatment, and lectin blot analyses,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 vitro bioactivity. Both single-chain hormones and salmon pituitary extract induced maturation of Japanese eel oocytes in vitro. Recombinant LHs produced in silkworm pupae might be suitable candidates for in vivo experiments, because they can be produced in sufficient amount and can undergo N-glycosylation.

      •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 - 7~10학년을 중심으로

        최지현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1

        In this study I aimed at proposing a policy including some devices to solve the problems that were identified through critical investigation on '2007 revisional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make an alternative idea. Especially I focused on assessing the distinctive quality of curriculum of Grade 7 to 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ary school and the presupposition of developmental theory in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content, group of grades, and school system. As a result, four means came out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The first, for the substantial actualization of differentiated education, it needs to introduce a conception of 'the group of grades.' The second, it requires to prepare a method for development of textbook corresponding to the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The third, it needs to make the simplification of curriculum standard substantial for developing a content standard centered curriculum. And the fourth, it needs the systematization of private investigation of curriculum and follow-up subscription, and the product should be represented to curriculum. 본고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이를 해소할 방안을 구체화하여 제안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특히 중등학교에 해당하는 7~10학년의 교육과정적 특성과 그것의 교육철학적 배경이 되고 있는 발달론의 가정을 교육 내용과 학년군과 학제의 상관 관계 속에서 평가하는 데 초점을 두었는데, 이로부터 도출해 낸 문제점의 해소 방안으로 다음 네 가지 제도적 보완책을 제시하였다. 첫째, 수준별 교육의 실질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에 학년군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둘째, 교육 내용 축소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과서 개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내용 기준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교육과정 간략화를 내실화해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의 민간 연구와 사후 공모를 제도화하고 그 성과를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한다.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 유형화 연구: 경기 지역 초․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최지현,이근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2 학교사회복지 Vol.- No.59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ypology of the changes in daily life after Covid-19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the changes in daily life and their psychological effect o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data from 10,199 students between the 4th-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1st-3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1st-2nd grade of high school in Gyeonggi-Do province, South Korea. The authors applied a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identified four subgroups with distinct patterns of changes in daily life. These four types are named ‘weakened daily life management + increased game and online activities’, ‘good daily life management + increased social activities’, ‘increased learning activities + decreased social activities’, and ‘daily life maintain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subgroups in terms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status, adjustment to school,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s or friends. The subgroups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problems and stress levels.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increased learning activities + decreased social activities’ and the group with ‘weakened daily life management + increased game and online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 levels of stress. The group with ‘daily life maintained’ showed the lowest of these problems. The results suggest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types of change in daily life and the effect of such daily life change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order to understand and support them in traumatic disaster situation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를 유형화하고 유형화된 잠재집단의 인구사회학적․학교적응․대인관계적 특성을 파악하여,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 및 심리정서의 차이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0,19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방법(LCA)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학생들의 일상생활 변화 잠재계층유형은 네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생활관리 약화+게임/온라인 증가’, ‘생활관리 양호+사회 활동 증가’, ‘학습 증가+사회 활동 감소’, ‘일상생활 유지’집단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4개 잠재집단 간에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학교생활 적응, 보호자 및 또래 관계 등 학생의 개인적․환경적 특성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코로나19로 인한 학생의 일상생활 변화 잠재집단은 학생의 심리정서 상태인 정신건강 어려움 및 스트레스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생의 정신건강 및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을 통제했을 때, 코로나19 이후 정신건강 어려움과 스트레스 수준 모두 ‘학습 증가+사회 활동 감소’집단과 ‘생활관리 약화+게임/온라인 증가’집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생활관리 양호+사회 활동 증가’집단이 높았으며, ‘일상생활 유지’집단이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재난 상황 속 아동․청소년의 변화를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일상생활 변화 유형 및 심리정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아동 및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지현,성현란 인지발달중재학회 201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아동 및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영유아 발달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영아용으로는 BAYLEY 영 유아 발달 검사, 유아용으로는 WPPSI 유아지능 검사, PPVT 그림어휘력 검사를 모두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울산대학교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는 5개 보육시설(국공립 1개소, 직장 4개소) 영유아 총 309명(남아: 161명, 여아: 148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동 변인(성별, 연령, 출생순위) 중 성별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PPVT 백분위가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BAYLEY 인지와 WPPSI 동작성이 높았으며, 첫째가 둘째보다 WPPSI 언어성과 WPPSI 총점 모두에서 평균 6점 정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 변인(부모 연령, 부모 학력, 부모 직업, 소득) 중 부모 연령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부학력이 높을수록 WPPSI 언어 성, WPPSI 총점이 높고, 모학력이 높을수록 WPPSI 언어성, WPPSI 총점, PPVT 백분위가 높게 나타났다. 부모 직업이 사무직 또는 전문직일수록 자영기능인이나 자영상인보다 WPPSI 언어성 과 WPPSI 총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이 높을수록 WPPSI 언어성, WPPSI 총점, PPVT 백 분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BAYLEY 동작을 제외한 모든 발달이 아동 및 부모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BAYLEY 인지는 아동의 연령, WPPSI 언어성은 출생순위와 부학력, 부직 업, WPPSI 동작성은 아동 연령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WPPSI 총점에서는 아동의 연령, 출생순위, 부학력, PPVT 백분위는 성별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본 연구에서 연령은 영아기 발달보다는 유아기 발달에서 더 많은 차이를 보여주었고, 출생 순위는 둘째보다 첫째일 때 유리하였다. 특히 어머니 변인이 영유아 발달에 중요한 변인이라고 본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아버지 학력과 직업이 영유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