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효율적인 지역사회 건강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현- 보건소의 가족단위 방문간호사업을 중심으로-

        최인희,Choi, In-Hee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00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1 No.1

        In recent years, the recipients of the services of the health centers in Korea have been shifted from individual sick persons to families as a unit. As a result, the home visiting care records which are all filled out manually, will be increased. Since there is virtually no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munity health nurses, the CHNs are required to work more efficiently. One of the ways to make the CHNs' work more efficient is to reduce recording time by using a computer. However, a computer system that can manage the families as a unit has not yet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this need, we developed a database system that can be utilized in home visiting care service. The family assessment data is collected. diagnos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amily diagnosis classification. The system for family diagnosis consists of seven areas. Those areas are family structure. maintenance of the family system, interaction and interchange. support. coping and adaptation, health management. and housing environment. The areas of the family diagnosis consists of 99 items in all. We expect the following from this system. First. the CHNs will be able to identify family problems more easily. Second. the community's health level can be confirmed by the statistics the system produces. Thirdly, the CHNs' nursing services will be cost effective via reduced recording time. Finally, the family problems of the sick individuals which have been neglected under the health system oriented on individual persons can be effectively managed.

      • KCI등재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적용한 초등교원의 교사효능감 영향요인 탐색

        최인희(In-Hee Choi),김미림(Meereem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23 교육평가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랜덤 포레스트 기법의 장점을 활용하여 「한국초등교원종단연구」자료의 가용한 문항을 모두 사용하여 보다 종합적인 시각에서 교사효능감의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794명의 초등교원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반응변수인 교사효능감을 3개의 하위 영역(교수·평가 효능감, 학생 지도·학급 운영 효능감, 미래 교육 효능감)으로 구분하여 하위 영역별로 랜덤 포레스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교사효능감의 하위 영역에서 중요도 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영향요인은 직무만족도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별상위 25개 요인(전체 설명변수의 약 10%) 중에서 60%에 해당하는 15개 문항이 모든 교사효능감에서 공통적으로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위 25개 요인 중 교사효능감별 고유한 주요 영향요인은 4~7개 정도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은 각 교사효능감의 고유한 특성을 대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효능감과 주요하게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는 모두 교사 개인 수준의 요인이었으며, 학교 수준의 변수 중 유의미한 영향요인은 없었다. 본 연구는 자료의 장점을 통해 교사효능감을 3개의 하위 영역(교수·평가 효능감, 학생 지도·학습 관리 효능감, 미래 교육 효능감)으로 나누어 개별교사효능감과 영향요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선행연구에서는 활용하기 어려웠던 교사의 실질적인 교수-학습 활동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련성 역시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eacher efficacy using「Korean Teacher Longitudinal Study-Elementary School Teacher」data from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by analyzing all available items, which is the strength of the random forest technique. The data from 2,794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used, and teacher efficacy, which is the response variable of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sub-domains (instruction/assessment efficacy, student guidance/class management efficacy, and future education efficacy). A random forest regression was conducted for each sub-domai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ing factor with the highest importance index in all teacher efficacy was job satisfaction. Second, among the top 25 factors (approximately 10% of the total explanatory variables), 15 items, which account for 60%, were commonly found to be major influencing factors in all teacher efficacy. Third, among the top 25 factors, there were 4 to 7 major influencing factors unique to each teacher efficacy, and these factors appeared to represen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teacher efficacy. Fourth, the variables that appeared to be mainly related to teacher efficacy were all individual teacher-level factors, and school-level factors did not appear. In this study, it was abl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teacher efficacy and influencing factors by dividing teacher efficacy into three sub-domains (instruction/assessment efficacy, student guidance/class management efficacy, and future education efficacy) due to the strength of data.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ractical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teacher efficacy, which was difficult to examine in previous studies.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교수활동 변화와 영향 요인 분석: 2018년과 2022년 두 시점을 중심으로

        최인희(In-Hee Choi),김혜진(Hyejin K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교수활동이 새로운 교육환경에 대응하여 변화하였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영향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수활동의 질을 개선하고 학생 배움 중심의 교수활동을 변화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넘어서 실제 교수활동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TALIS 2018 자료와 2022년에 동일한 문항으로 수집한 자료를 통합하고 합동최소자승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교사의 교수활동은 4개 영역(수업구조화, 학생 인지활성화, 강화활동, 수업분위기 관리)으로 구성하였으며, 2018년 대비 2022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업구조화 활동을 실천하는 빈도가 증가한 반면 학생 인지활성화 활동과 강화 활동의 빈도는 줄어들었다. 교사의 교수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교직 선택 동기,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자율성, 학교 규모를 도출하였고, 교사협력, 평가활동과 같은 직무수행 행위와 교수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동료교사와의 협력활동과 평가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할수록 혁신적 교수활동인 학생 인지활성화와 강화 활동을 실천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교사 전문성을 함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teaching practices of middle school teachers, comparing the year of 2018 and 2022. By combining TALIS 2018 with the data collected in 2022, the changes in teaching practices were analyzed empirically, and factors influencing them were examined through pooled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Teaching practices composed of four areas, which were clarity of instruction, cognitive activation, enhanced activities, and classroom management.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clarity of instruction increased, while cognitive activation and enhanced activities decreased. In addition, teaching motivation,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utonomy, and school size were found to be influencing teaching practices. Teacher collaboration and assessment activities were in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novative teaching practices, such as cognitive activation and enhanced activities.

      • KCI등재

        대학원생의 특징 및 대학원 진학 영향 요인 분석 :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최인희(Choi, In-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부터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에 참여한 학생들 중 대학 졸업 후 대학원에 진학한 학생들을 파악하여, 대학원생의 특징과 대학원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학원 진학자와 미진학자의 특징을 비교한 결과, 대학원 미진학자에 비해서 대학원 진학자 중 여학생의 비율과 전문계열 고등학교 졸업생의 비율이 더 낮았고, 부모가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비율과 부모가 자녀에게 기대하는 교육수준이 석사 이상인 비율, 고등학교 재학 당시의 교육계획이 석사 이상인 비율, 대학에서의 전공이 이공계열인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대학원 미진학자에 비해서 대학원 진학자의 자아개념, 고등학교 내신 성적, 대학에서의 취득학점, 대학만족과 적응도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동일한 독립변인을 투입하여 대학원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탐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자아개념, 어머니의 교육수준(석사학위 이상 취득 여부), 부모의 교육 기대, 고등학교 내신 성적, 학생의 교육 포부, 대학 전공(이공계열 여부), 대학 학점, 대학 만족도가 대학원 진학의 가능성과 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부모의 학업적 관여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The current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graduate students and factors that affect graduate school attendance using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KELS 2005). Using the 9th-, 10th-, and 11th-wave data of KELS 2005, 1,098 students who earned bachelor degree were found. Then, between graduate students and non-graduate students, differences in personal and family backgrounds,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in high school and college were investigated. For graduate students, compared to non-graduate students, the percentages of female and non-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were lower and the percentages of students whose parents held master or higher degrees, students whose parents expected their child to earn master or higher degree, students who aimed at earning mater or higher level degree while attending high school, and students whose college major was either science or engineering were higher. In addition, self-concept, high school GPA, college GPA,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atisfaction of graduate school students were higher than non-graduate students. Als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graduate school attendance. The results showed that self-concept, mother’s education (master or higher degree), parents’ expectation of their child’s education (master or higher degree), high school GPA, student’s expected education, college major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GPA, satisfaction of colleg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odds of attending graduate school. However, parents’ academic involvement negatively affected odds of attending graduate school.

      • KCI등재

        대학원생 연구효능감의 영향요인 탐색

        최인희(Choi, Inhee),서재영(Seo, Jae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6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원생의 연구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하였다. 대학원생의 연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으로 학생 개인의 특징을 나타내는 성별과 자아개념, 대학에서의 경험을 나타내는 대학학점, 대학적응, 만족도를 포함하였다. 또한 대학원에서의 전공계열, 프로젝트 참여 여부, 대학원 전공 교과목의 도움 정도, 대학원 전공여건 만족도, 지도교수 연구멘토링을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나타내는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개념, 대학적응은 대학원생의 연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원 교육여건 만족도와 지도교수의 연구멘토링 중 대학원생이 독립적인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성장중심 멘토링이 연구효능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공계에서는 프로젝트 참여에 따른 연구효능감 차이가 없었지만, 비이공계에서는 프로젝트 참여 경험이 연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전공계열별로 프로젝트 참여에 따른 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earch self-efficacy of 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KELS 2005 data. Variables expected to affect the research self-efficacy of graduate students, such as: gender and self-concept, which repres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llege credits, college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hich represent university experiences, were included. In addition, the major, project participation, the degree to which graduate major courses were helpful, satisfaction with graduate school environment, and research mentoring by academic advisor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indicating the experience while attending graduate school.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concept and university adapt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search self-efficacy of graduate students. Among the research mentoring of their advisors, growth-focused mentoring, which supports graduate students to grow as independent researchers, positively affected research self-efficacy. Last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earch self-efficacy according to project participation for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but for non-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project participation experie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search self-efficacy.

      • KCI등재후보

        화예조형의 형태에 관한 연구 -나선형을 중심으로-

        최인희 ( In Hee Choi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3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29 No.-

        Researcher can`t exclude the nature from floral art for its characteristics in modern times. As the contemplation of the nature is the base of floral art, floral art is to recreate beauty from the nature. Contents of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 spiral shape which is phenomenon of the nature, and on the chapter II of this research, concept and symbol of the spiral of nature is defined. On the chapter III, through the collecting and categorization of various spiral shapes,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spirals are explained. Based on the chapter III, examples of other genres are analyzed on the chapter IV. Based on this research, not only how spirals affect space art, but also find out and reexamine how much spirals shapes are valuable to space art in various ways, and seek the area and direction of floral art activity.

      • KCI등재

        TALIS 2018에 나타난 초등교사의 교사협력 활동 특징과 유형 분석

        최인희(In-Hee Choi),김혜진(Hyejin K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2

        이 연구는 교사협력이 다양한 양상과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의식하에, TALIS 2018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초등교사의 교사협력 활동의 특징이 어떠하며 이러한 협력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일상적 협력’, ‘공동교수활동’, ‘학습공동체 참여’의 세 가지 하위 요인이 우리나라 초등교사의 협력활동을 설명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활동 양상에 따라 잠재집단으로 구분되는지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최상위 집단’, ‘공동교수활동 참여 저조 집단’, ‘공동교수/학습공동체 참여 저조 집단’, ‘전반적 최하위 집단’의 4개 집단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전체 연구 대상 중 ‘전반적 최하위 집단’과 ‘공동교수/학습공동체 참여 저조 집단’에 속한 초등교사의 비율이 약 85%로 나타났다. 셋째,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교직경력, 교직선택동기, 인지활성화 교수활동, 교사의 자기효능감, 동료교사의 혁신성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협력 증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의 성과 점검 및 방향 재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gagement in collaborative activitie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llaborative activities consist of three sub-factors: daily exchange and coordination, co-teaching, learning communities. Second,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is suggest that four latent profiles are identified according to teachers’ engagement in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hey are named as ‘top-level’, ‘low co-teaching’, ‘low co-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ies’, ‘bottom-level’. Among samples, about 85% teachers are classified into ‘low co-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ies’ and ‘bottom-level’ profiles. Third, teaching experience, teaching motive, cognitive activation teaching, self-efficacy, innovative climate have influence on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To conclud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monitoring policy outcomes and re-establishing the purpose of policy supports.

      • 남성의 관점에서 본 노인 돌봄 경험과 역할전환에 관한 연구

        최인희(In-Hee Choi),송효진(Hyo-Jean Song),지은숙(Eun-Sook Jee),정다은(Da-Eun J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연구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최근 한국사회의 노인돌봄과 관련한 대표적인 변화는 ‘남성(남편, 아들 등)’이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제한이 있는 노인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주된 역할을 수행하는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임. - 그러나, 기존 국내 노인돌봄 연구는 ‘여성’ 돌봄자의 돌봄 경험, 부양부담 및 부담경감 방안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돌봄의 주체’로서의 남성과 남성의 돌봄자로의 역할 전환(transition) 과정에 초점을 둔 연구는 제한적으로 수행됨. - 국외에서는 증가하는 남성돌봄자의 이슈를 탐색하기 위해 돌봄 수행방식 및 주돌봄자가 인지하는 노인돌봄 부담에 있어서의 성별차이(Akpinar et al., 2011; Montgomery, 1992; Pinquart & Sorensen, 2006; Stoller, 1992), 남성의 노인돌봄 경험(히라야마 료, 2015; Pretorius et al., 2009; Ribeiro et al., 2007; Sanders & Power, 2009) 및 남성성이 남성돌봄자들의 노인돌봄 경험에 미치는 영향(Baker et al., 2010; Russell, 2007)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며 국내에서도 노인을 돌보는 남성돌봄자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된 바 있으나(이순미·김혜경, 2009; 최희경, 2012a) 남성들의 돌봄 경험을 면밀히 탐색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수행되었음. - 이에 본 연구는 남성들의 노인돌봄 경험을 남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돌봄을 둘러싼 젠더정체성 및 가족관계 변화양상을 포착하여 선제적인 가족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남편, 아들 등)에 의한 노인돌봄 현황 및 남성의 돌봄자로의 역할 전환 과정을 살펴보고, 이들의 정책지원 욕구를 파악하여 제도보완 및 남성 가족돌봄자를 위한 정책개발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임. 2. 연구의 주요 내용 □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음. - 첫째, 배우자 또는 (조)부모를 돌보는 남성의 가족돌봄 현황(예: 돌봄기간, 시간, 돌봄 이유, 돌봄자 및 요보호노인의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망 등) 및 돌봄부담(burden)은 어떠한가? - 둘째, 남성이 배우자 또는 (조)부모를 돌보게 되면서 경험하게 된 변화(예: 관계적 측면, 돌봄의 의미 등)는 무엇인가? - 셋째, 배우자 또는 (조)부모를 돌보는 남성의 삶의 질은 어떠한가? - 넷째, 배우자 또는 (조)부모를 돌보는 남성의 가족돌봄 지원 정책(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등)에 관한 인지도 및 이용 경험, 정책지원 욕구는 어떠한가? 3. 연구방법 □ 문헌 연구 - 본 연구에서는 남성의 노인 돌봄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 및 우리나라와 일본의 가족돌봄자 지원제도에 관한 자료를 검토하였음. □ 2차 통계자료 분석 -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정경희 외, 2014)를 활용하여 요보호노인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는 사람, 가족원 중 가장 도움을 많이 준 사람 및 주당 돌봄시간 등을 분석하였음. □ 설문조사 및 분석 - 조사대상은 일상생활을 스스로 영위할 수 없는 55세 이상 노인을 조사시점에서 3개월 이상, 주당 15시간 이상 돌보고 있는 가족원 중 남성(남편, 아들 등) (N=247)으로 설정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1:1 면접조사를 수행하였음. 조사표는 1) 가족 및 돌봄대상자 특성, 2) 돌봄현황, 3) 사회적 지지, 4) 응답자의 건강 및 경제활동, 5) 가치관 및 삶에 대한 태도, 6) 정책지원 욕구로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남성의 돌봄 현황 및 돌봄 부담, 역할전환 과정, 돌봄지원 정책 및 서비스 이용 경험과 정책지원 욕구 등을 파악하였음. □ 심층면접 조사 및 분석 - 남성돌봄자의 돌봄 경험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영위할 수 없는 배우자 또는 부모를 조사시점에서 3개월 이상, 1주 평균 15시간 이상 돌보는 남성(17명)을 대상으로 1:1 면접을 수행하였음. 심층면접에서는 돌봄 상황 및 관계적 특성이 돌봄에 미치는 영향, 돌봄 경험의 의미, 돌봄지원 정책 및 서비스 이용 경험과 정책지원 욕구 등에 대해 살펴보았음. □ 전문가 자문회의 - 관련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연구설계 및 방법, 정책대안에 대한 관련 부처 및 전문가 자문의견을 수렴하였음. 4. 연구의 기대효과 및 한계점 □ 본 연구는 그동안 제한적으로 수행된 연구인 ‘남성’ 가족돌봄자의 노인돌봄 경험을 탐색하고,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음. - 그러나, 노인을 돌보는 남성 가족돌봄자 모집단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의 부재로 임의할당추출에 의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음. - 남성돌봄자만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여 여성돌봄자와의 돌봄 경험 및 부양부담의 차이를 직접적으로 비교하지 못 The number of male family caregivers in Korea, especially those providing spousal caregiving in old ag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However, since women have long predominated in the family caregiving role,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experience of caregiving by males in terms of the breadth and depth of care work and its mea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regiving experience of husbands and sons providing care to a spouse or parent(s) aged 55 and older who showed limitation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or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for a period of at least six month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purposive sample of 247 male caregivers who served as the primary care providers for a dependent spouse or parent(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variate models were obtained using SPSS Statistics. In additio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7 male caregivers were conduct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a comprehensive content review of all data, including line-by-line analysis, was conducted.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Some of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pproximately one-fourth of respondents identified personal bonds as being their motivation for taking care of a dependent spouse or parent(s). The average caregiving period was around 47.7 months, and respondents spent approximately 34.1 hours per week on average on caregiving. Secondl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in our sample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caregiving to be burdensome to some degree, especially in the areas of assistance with bathing (52.9%), voiding (49.5%), household management (44.6%), and meal preparation (50.6%). A significant number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one of the most difficult aspects of caregiving was balancing a personal life with the caregiving role, and most respondents stated that the initial phase of caregiving was the most difficult as they made the transition to the new role as caregiver and restructured their life. In addition, spousal caregivers generally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caregiving burden compared to son caregivers since they are more likely to be older, unhealthier, and have fewer resources. However, a majority of male caregivers also found caregiving to be a very rewarding experience in that they felt useful (72.9%) by providing care to a dependent family member or they had grown closer to their dependent spouse or parent(s) as a result of the caring (54.7%). Thirdly, about 65%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secondary caregivers available to support them regularly in their caregiving. This finding supports previous research in which male caregivers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have access to additional informal caregivers than were female caregivers. Fourth, although a significant number of respondents in our sample reported that they were aware of long-term care insurance (LTCI) benefits,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were receiving LTCI benefits was relatively smaller. Likewise, while approximately 80% of respondents reported being satisfied with the overall services available, the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suggested that service adequacy, especially in-home care service, was insufficient for assisting family caregivers with balancing work life with the caregiving role. They also suggested that overall service quality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quality of life among both older adults and family caregivers. However, in the regression analysis, use of LTCI benefits was not a predictor of male caregivers’ burdens.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 대상자를 위한 워크북 활용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최인희(Choi, In-Hee),김윤경(Kim, Youn-kyoung)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을 위하여 전래동화와 전통놀이를 기반으로 워크북을 활용한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효과를 인지기능,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으로 평가하였다.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조사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2014년 9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총 168명(실험군 81명, 대조군 87명)의 경도인지장애 대상자에게 10회기의 12주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F=17.50, p=<.001)과 삶의 질(F=6.54, p= .011)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도구적 일상활동(F=0.05, p=.825)과 우울(F=0.08, p=.774)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워크북을 활용한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를 가지고 있는 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tales and games using the workbook for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he participants were 168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Exp.=81, Cont.=87) and served a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using a workbook from September 2014 to December 2014. A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was consisted of 10 sessions for 12 weeks and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the program with the workbook on each week. After accomplishment of a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experimental group identifi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s for cognitive function (MoCA-K F=17.50, p=<.001) and quality of life (F=6.54, p= .011) compared to control group, but not for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0.05, p=.825) and depression (F=0.08, p=.774).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using a work is effectiv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