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語 複數標識 ‘들’에 對한 考察 - 依存名詞 ‘들’을 中心으로 -

        최윤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최윤, 2018. 한국어 복수표지 ‘들’에 대한 고찰, 어문연구, 180 : 91~117 한국어 복수표지 ‘들’은 그 문법적․의미적 위치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본 논의의 최종 목표는 복수표지 ‘들’을 일관된 시각으로 조망하여 그 활용과 의미 기능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타당한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 있으며 이번 논의에서는 그 첫 번째 시도로서 의존명사로 활용되는 ‘들’의 활용과 의미 기능을 고찰하였다. 논의의 결과, 현재 의존명사로 분류되어 있는 ‘들’은 접사나 보조사가 아닌 의존명사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존명사 ‘들’이 선행 명사군을 하나의 무리로 묶어 집단성을 강조한다는 사실과 단수의 명사군과 통합의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존명사 ‘들’의 이러한 특징은 모두 ‘들’의 복수성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복수성’이야말로 복수표지 ‘들’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의미 기능이라는 것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접사 ‘들’과 보조사 ‘들’의 의미 기능과 활용 양상을 종합하면 ‘들’의 문법적․의미적 위치를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position of Korean plural particle “deul” has not been clearly determined.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plural particle “deul” with a consistent point of view and finally to set reasonable criteria that help understand its usage and semantic function clearly. In this study, as an attempt to achieve its purpose, the usage and semantic function of “deul” that is utilized as a bound noun has been discussed. As a result of discussion, it is found that the particle “deul” that is currently classified as a bound noun needs to be classified as the bound noun that is neither affix nor auxiliary particle.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shed light on the fact that the bound noun “deul” emphasizes its collectiveness by combining preceding nouns as a group and that it contains its limitations in combining with singular nouns. All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bound noun “deul” can be seen to derive from its plurality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semantic function to fully understand the plural particle “deul.” If further study explores the usage and semantic function of “deul” as both affix and auxiliary particle and integrate its outcomes with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it would help better understand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position of Korean plural marker “deul.”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 친환경 요소의 적용현황 및 개선점 연구

        최윤,송병화,양병이,Choi, Yun,Song, Byeong-Hwa,Yang, Byoung-E 한국조경학회 2007 韓國造景學會誌 Vol.35 No.3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xternal environmentally-friendly factors ado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outdoor spaces have been designed and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at areas should be improved through environmentally-friendly ways to create natural outdoor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and enhance their availability and usefulness. For this study, 21 environmentally-friendly factors were chosen and a checklist by specific item was prepared. This study examine how these items were applied to basic planning, detail design, and construction in 4 target area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friendly residential areas was an ultimate goal of the project during basic planning and design. All target areas focused on developing an inner greens network, eco-pond, brook, and pedestrian track as well as the growth of a variety of plants. Some differences have been observed, however, in terms of method. Furthermore, due to economic and technological problems and poor construction site conditions, green walls/green roofs/pedestrian tracks/use of rainwater have not been properly promoted. These kinds of problems must be impro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friendly construction methods and materials, the expansion of natural grounds areas, economic support, a satisfactory repair and maintenance system.

      • 일개 고등학교 결핵 집단 발생 사례 보고

        최윤,박미선,결핵전문역학조사반수도권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목적: 학교, 의료기관 등 집단시설에서 결핵환자가 발생하면 국가결핵관리지침에 따라 결핵역학조사를 통해 추가 결핵환자 및 잠복결핵감염자를 조기 발견하여, 결핵의 전파를 차단하고 잠복결핵감염 예방치료를 통해 결핵 발병을 예방한다. 일개 고등학교의 결핵역학조사 사례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10주 가량 기침증상이 있었으며, 도말 양성 폐결핵으로 신고되어 2017년 9월 19일부터 접촉자를 대상으로 흉부X선 검사와 IGRA를 실시하였다. 접촉자는 학년, 접촉강도, 신분(학생/교직원), 가족접촉자 여부에 따라 분류하였다. 지표환자 및 접촉자의 특성에 따른 잠복결핵감염률을 분석하였고, 결핵환자로부터 분리된 결핵균에 대한 유전형을 분석하여 역학적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교내 접촉자 850명 중 추가결핵환자 29명, 잠복결핵감염 양성자 74명(9.1%)이 확인되었고, 가족접촉자 85명 중 추가환자 1명, 잠복결핵감염 양성자 25명(29.4%)이 확인되었다. 학생 중 밀접접촉자의 잠복결핵감염률은 20.9%, 일상접촉자의 감염률은 6.3%이었다. 지표환자와 '추가환자 1'과의 접촉 시간이 길수록 추가환자 발생이 많았다. 환자로부터 분리된 결핵균 15주에 대해 유전형 분석(Spoligotyping, 24-loci MIRU-VNTR)결과 모두 일치하였다. 일치한 균주에는 '추가환자 1'의 가족도 포함되어 있었다. 결론: 일개 고등학교에서 결핵환자가 발생하여 7개월 동안의 역학조사를 통해 30명의 추가결핵환자를 발견하였고, 잠복결핵감염자 74명(9.1%) 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내 결핵환자의 진단지연은 집단 결핵 발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조기 결핵진단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외국산 참서대과(Cynoglossidae) 어류 2종

        최윤,CHOI Youn 한국수산과학회 199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9 No.2

        Morphology of two foreign species of tongue soles (Cynoglossidae), Cynogiossus browni and C. senekalensis, was observed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from Kunsan fish market from 1992 to 1994. These species are externally similar to Cynoglossus robustus from Korean coast. But these are quite distincitive from Cynogiossus robustus by interlinear scale rows, body size, other counts and proportional measurements of body. The Cynogfossus browni and C. senegalensis are only distributed in western coast of Africa and commercially imported to Korea through Pusan fish market.

      • KCI등재

        군산연안 유어기 감성돔의 성장

        최윤 한국어류학회 1996 韓國魚類學會誌 Vol.8 No.1

        1995년 4월부터 12월까지 군산연안 천해역에 서식하는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Bleeder)의 성장과 서식환경에 대해 조사하였다. 감성돔의 부유성 치어는 6월 초순에 출현하였고, 6월 말부터 8월 초까지 군산연안의 천해역에 많은 유어가 몰려와 성장하였다. 감성돔의 유어가 주로 서식하는 곳은 천해역의 사니질에 솟아있는 바위 및 암벽 주변이었으며, 이곳의 수온은23.7℃∼28.2℃, 염분은 30.1∼32.2‰의 범위를 나타냈다. 유어가 천해역에 처음 출현하는 6월 하순에 전장은 12.7∼26.7㎜(평균 16.5㎜)였으며, 7월 중순에는 19.9∼51.4㎜(33.4), 7월 말에 24.8∼75.0㎜ (45.4), 8월 중순에 63.3∼79.6㎜(65.9㎜)였다. 8월 중순 이후에 천해역에서 감성돔의 유어는 채집되지 않았고, 8월 말부터는 고군산열도 부근에서 낭장망에 의해 전장 100㎜이상의 개체들이 채집되었다. 따라서 감성돔은 전장 70㎜를 넘게 되는 8월 이후에는 천해역에서 연안의 외해쪽으로 이동하여 성장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o study on the growth of young stage Acanthopagrus schlegelii,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hallow waters off Kunsan, Korea from July to December, 1995. The planctonic larvae of Acanthopagrus schlegelii were collected in early June. The young fish of 12.7∼26.6 ㎜ in total length began to appear in the shallow water in late June. They grew up 19.9∼51.4 ㎜ in middle July, 24.8∼75.0 ㎜ in late July, 63.3∼79.6㎜ in middle August. A. schlegelii disappear from the shallow water after middle August, and began to be collected in the outer bay off Kokunsan Isls. by long back net. This species that had spawned from Kunsan coast in late June to middle August grew up to 100㎜ in total length in December of that year.

      • KCI등재

        미국 물질남용 및 정신보건 서비스국의 2019-2023년 주요 운영정책 분석 연구

        최윤,강선경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연구는 미국의 공공영역 정신건강 서비스와 정책 및 연구 제공을 총괄하는 대표적인 행정기관인 ‘물질남용 및 정신건강 서비스국(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 Administration: SAMHSA)’의 등장 배경과 운영체계, 그리고 5년에 한 번 계획하는 주요 운영정책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2019년에서 2023년까지의 운영정책계획과 국내 정신건강 관련 정책들을 비교・분석하여, 국내 정신건강 정책 및 서비스의 현주소를 명확히 파악하고, 보완・수정할 요소들을 탐색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SAMHSA의 조직체계와 정책운영 방향을 바탕으로 하여, 국내 환경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시기적절한 정신건강 운영방안을 논의하였고, 국내의 심각한 정신질환(Serious Mental Illness: SMI)과 심각한 정서문제(Serious Emotional Disturbances: SED)에 보다 실질적이고 활성화된 예방 및 치료, 회복 지원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e emergence of the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 Administration (SAMHSA), an administrative system that oversees the provision and research of mental health services and policies in the public sector of the United States, and key operational policy plans from 2019 to 2023 are reviewed, and the current status and reality of domestic mental health services and policies are clearly identified and compared with the ongoing mental health services and policies. The ultimate goal is to explore them. Furthermore, based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SAMHSA and policy operation direction, we discuss alternatives to effective and timely mental health problems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Serious Mental Illness (SMI) through improvement of domestic mental health services and policy measures, and Serious Emotional Disturbances (SED) were proposed for more practical and active prevention, treatment and recovery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