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

        최승현,박상욱,황혜정 한국학교수학회 2014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7 No.1

        TIMSS와 PISA의 두 국제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경우, 수학 교과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성취도는 매우 우수한 반면 정의적 영역의 성취도는 참가국 중 최하위권의 순위를 기록하여 우리 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즈음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취약한 정의적 특성 요인의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은 일일 것이다. 이러한 취지하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서는 PISA와 TIMSS 두 국제평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 습에 대한 흥미와 자아효능감, 그리고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 로,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의 성취 실태 및 사례를 파악하 여 이의 실천적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최승현 외, 2013). 본고에서는 PISA와 TIMSS에 관한 선행 연구 재분석 및 통계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이에 초점을 두어 수학 교 과에서의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results from international achievement tests. In pursuing the goal, different research methods are employed including a) analysis of the theories and literature regarding the affective domains included in PISA and TIMSS studies; b)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needs of Korean students with respect to the affective factors based on PISA and TIMSS results; c) case studies of best practices in relation to students' affective domains in Korea and abroad; and d)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mproving and supporting Korea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Especially, this paper describes meta-analyses of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PISA and TIMSS studies. Afterwards, it reports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s and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Data from TIMSS 2011, TIMSS 2007, PISA 2006, and PISA 2003 are used for the analyses, and contextual variables are selected through rigorou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frequency and correlation, and expert consultati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xtual variables on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science are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Linear Model.

      • KCI등재

        위성 DMB 시스템 E의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승현,장대익,오덕길 대한전자공학회 2007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4 No.3

        위성 DMB는 이동성과 휴대성을 목표로 언제 어디서나 시청이 가능한 방송/통신 융합의 서비스로 현재 11개의 비디오 채널과 26개의 오디오 채널을 통해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들어 휴대형 단말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위성 DMB는 고품질 및 새로운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현 위성 DMB 시스템을 좀 더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채널수를 확보하거나 전송품질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계층적 8-PSK 변조 방식을 적용하여 현재의 시스템과 새로 추가된 시스템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역호환 방식의 위성 DMB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새로운 시스템의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강력한 채널 부호화 방식을 제안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위성 DMB 시스템의 고도화 가능성을 검증한다.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DMB) is the digital convergence servi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for mobility and portability. Broadcasting service of S-DMB can be taken by the mobile phone or vehicle terminals anytime and anywhere. S-DMB system is currently providing 11 video channels and 26 audio channels. As the demand of multimedia service is recently increasing, S-DMB system needs high quality and new contents service. Therefore we need to make efficient S-DMB with more channel ability and high transmission qua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S-DMB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powerful channel coding scheme and hierarchical 8-PSK(8-Phase Shift Keying) modulation with Backwards Compatibility modes that simultaneously can support both current and new system. And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current S-DMB system and verify a possibility of advanced S-DMB through computer simulation.

      • 이화음악 1920 년대 - 1930 년대의 음악교육

        최승현 한국음악학회 1997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15 No.1

        The purpose and aim of Ewha College's Music Depardnent in the 1930 Ewha College Catalogue reads thus: "Music is life, the expression of the inmost self, synonymous with spirituality. This department aims to correlate life with its environment, to refine all experience, to create the 'more abundant' life." Since Ewha's pioneering establishment of a Music Department in 1925 and up till the 1945 Liberation, the department remained as the only college institution in Korea offering musical training as a major field of study. As stated and determined above, since its inception untill this day Ewha's Music Department has carried many reponsibilities in engineering and accomplishing the founding of music education and in the creation of a musical community in Korea. To this day Ewha has contributed successfully in bringing western musical culture and music making into the Korean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ular process of music education and music making at Ewha College in the 1920s to 1930s. The contents of the 1925 and 1930 departmental curriculuae will be used exclusively as primary sources. The discussion will also include many aspects of the musical life carried on in the early stages of Ewha Music Departmen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the early years of Ewha's vigorous effort in promoting music education at Ewha College. And it is further hoped that this study may help enlighten the contribution that Ewha made in the early part of the century for the advancement of musical community and for the betterment of musical life in Korea.

      • 도로이용자비용 산정을 위한 포장상태기반 주행속도 예측모형개발

        최승현,도명식,이상혁 한국도로학회 2013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3 No.09

        일반국도유지보수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는 DB 이외에 1)포장상태지표의 공용성 모형, 2)포장상태지표 기반의 차량주행속도모형, 3)경제성 분석 모형과 4)의사결정지원 모형으로 구성된다. 특히 국토교통부의 「교통시설 투자지침서」에서 제시하는 도로이용자 및 사회·환경비용은 모두 차량운행속도의 함수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차량운행속도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즉, 도로의 상태기반 주행속도모형은 도로 부문의 편익 비용 항목 중 1)통행시간비용, 2)차량운행비용, 3)대기오염 비용, 4)온실가스비용, 5)소음비용 항목 등 이용자 비용 산정에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포장상태가 차량주행속도의 변수로 포함되도록 모형화 하는 것이 핵심이다. 먼저 유지보수 전·후의 『포장상태-차량속도』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NC-200을 통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순창, 제천, 단 양, 증평의 네 구간을 선정하여 각 구간의 지형 분석, 교통량 측정 및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필터링 된 속도 자료를 활용하여 유지보수 전·후의 속도 차이를 AD(Anderson-Darling) 검정, t 검정, Mann-Whitney U 검정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모형개발을 위해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된 구간 및 아스팔트 포장구간의 속도자료를 활용하여 표 1과 같이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승용차를 대상으로 제한속도가 60km/h, 80km/h인 경우의 평지를 대상으로 한 모형구축 과정을 통해 세 가지 도로 상태(균열, 소성변형, IRI)별 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속도모형을 통해 도로 이용자비용의 산출이 가능하며 향후 일반국도유지보수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및 유지보수 대상구간의 우선순위 결정 등 다양하게 활용가능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Metabolite Profiles of Glucosinolates in Cabbage Varieties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by Season, Color, and Tissue Position

        최승현,박수형,임용표,김선주,박종태,안길환 한국원예학회 2014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55 No.3

        Glucosinolates (GSLs) are sulfur-containing anionic secondary metabolites that are precursors of biologicallyactive compounds, such as isothiocyanates, in Brassicaceae. The GSLs found in 10 cultivars of cabbage (Brassicaoleracea var. capitata) popularly cultivated in Korea and China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Three GSL classes (6aliphatic, 1 aromatic, and 3 indolyl)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assspectrometry (HPLC-MS) and HPLC. The concentration of these GSLs varied by season (spring- and fall-sown), leafposition (inside and outside), and cabbage color (green and red). The average total amounts of GSLs in the innerand outer sections of green and red cabbages ranged from 8.55-13.5 μmol·g-1 dry weight. The spring-sown cabbages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GSL concentration (2.3-4.3 times higher) compared to their fall-sown counterparts. Theinner sections of cabbages contained 1.1- to 1.8-fold greater GSL concentrations than the outer sections. Theseresults indicate that an increase in temperature induces GSL accumulation in both green and red cabbages. The greencabbage cultivars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 of GSLs synthesized from homo-methionine, whereasthe red cabbage cultivars had greater amounts of GSLs synthesized from dihomo-methionine, which suggests that theactivities of enzymes involved in the elongation of homo-methionine are greater in red cabbages. The fall-sown redcabbages also contained 2- to 3-fold higher contents of GSLs synthesized from tryptophan compared to the springsowncabbages. In conclusion, the color of cabbage, tissue position of cabbage, temperature, and rainfall were all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GSL accumulation in cabbages.

      • KCI등재

        수학과 교육내용 적정성에 대한 성별 인식 차이 분석

        최승현,이대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8 No.1

        This study is to reveal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relevance of educational contents in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consists in the question about the relevance of educational content in mathematics curriculum. 4,1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4,571 middle school students, and 1,653 high school students a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Korean students showed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quantity, difficulty, interests, and utility of mathematical contents. In general, female students show significantly higher responses than male students in that mathematics is not interesting and utilizable but difficult. With the consideration that mathematics plays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selection of higher school and career,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s and make effort to develop the content which is related with female personality. 수학교육에서 모든 학생들이 기회균등하게 교육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남ㆍ녀 학생 간에 존재하는 성별 차이와 그 원인을 밝히고, 이를 해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관심이 요구된다. 이 중에서 현행 학교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수학적 내용에 대해 학생들이 느끼는 정도를 남ㆍ녀 학생별로 분석해 봄으로써, 남ㆍ녀 학생에게 균등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새로운 수학 교육과정의 마련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남ㆍ여 학생간의 수학과 교육내용에 관련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량, 내용수준, 흥미도, 실용성 정도 등에 따라 초등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체적으로 남학생과 여학생의 응답 결과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난이도 측면에서 남학생보다 어렵다고 느끼는 비율이 높았으며, 흥미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여학생들은 실생활에 대한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남학생 응답 보다 부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여학생에게도 친숙한 생활 소재 및 실생활 문제를 다루는 수학교육의 접근 방법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한편, 성차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발굴하기 위하여 학생 관찰, 면담 등의 방법을 통한 질적 접근을 통한 연구 방법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