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포넌트 설계를 위한 결합도 메트릭

        최미숙,이종석,송행숙,Choi Mi-Sook,Lee Jong-Seok,Song Haeng-So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2 No.4

        소프트웨어 개발의 높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사용 기술로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컴포넌트의 재사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설계된 컴포넌트가 측정가능 해야 하므로 컴포넌트의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메트릭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의 특성을 반영한 컴포넌트의 결합도 메트릭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결합도 메트릭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제시하고 기존 결합도 메트릭스와의 비교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제안된 결합도 메트릭은 좀 더 정확하게 컴포넌트의 품질을 평가하고 Briand이 제시한 결합도 메트릭의 필요조건을 만족한다. The component-based development methodology becomes famous as the reuse technology to improve the high productivity of softwar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component metrics for component-based systems, because the designed components should be measur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oftwar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 a coupling metric for component design which is reflected in characteristics of component. This paper suggest a case study and comparative analysis result about conventional metrics to verify the accuracy of our coupling metric. The Uoposed coupling metric measure the quality of components accurately and satisfies necessary conditions of coupling metric suggested by Briand and others.

      • KCI등재

        독립척도 기반의 비즈니스 컴포넌트 식별

        최미숙,조은숙,Choi, Mi-Sook,Cho, Eun-So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1 No.3

        컴포넌트 아키텍쳐 설계를 위하여 재사용 가능한 독립적인 비즈니스 컴포넌트의 식별은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그러나 기존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들의 컴포넌트 시별 방법은 대다수 개발자의 직관과 경험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개발자들에 의해서 식별된 컴포넌트가 보다 독립적으로 잘 정의되었는지 평가할 기준이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발자의 직관과 경험에 의존하는 비즈니스 컴포넌트 식별의 어려운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비즈니스 컴포넌트 식별의 평가 기준이 되는 메트릭을 컴포넌트의 특성을 부여하여 정의한다. 즉, 비즈니스 컴포넌트 식별을 위하여 컴포넌트 내의 응집도는 높고 컴포넌트 간의 결합도는 낮아야 하는 컴포넌트 특성을 적용한 응집척도와 결합척도를 제안한다. 또한 컴포넌트의 응집도와 결함도의 비율에 의하여 비즈니스 컴포넌트의 독립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독립척도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응집척도, 결합척도 그리고 독립척도를 사례에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평가한다. When constructing a component based system, It is understood that identifying reusable and independent business components is of utmost importance. However, according to conventional component based developing methodologies, most of developers depend on their experience and/or intuition for identification of business components. Furthermore, there are no criteria to evaluate whether the identified business components are more independently defined or not. Therefore, we propose a component identification metrics to apply to component properties In order to complement the difficulties of identifying business components through developers' experience and/or intuition. The metrics defined are the criteria for identifying the business Components and/or for evaluating the Identified components. We propose both a cohesion metric, and a coupling metric, to which component properties are applied, wherein those properties can be understood by high cohesion in, and low coupling between, components. Moreover, we propose an independence metric that can evaluate the degree of independence for a particular component by ratio of the cohesion and coupling of components. The metrics that we propose are applied to case study which demonstrates the identification of more independent business components and the validity of our metrics.

      • KCI등재

        유아의 기질이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최미숙(Choi Mi-Sook),박지영(Park Ji-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이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성과 연령에 따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J지역의 4곳의 사립유치원 만 3-5세 유아 240명을 임의 선정하여 기질과 의사결정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성에 따라 기질이 유아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아는 적응성과 정서성 기질이 유아 의사결정력과 정적 예측관계를 보였으며, 여아는 적응성, 반응성이 정적 예측관계를, 활동성과 생리적 규칙성이 부적 예측관계를 보였다. 둘째, 연령에 따라 기질이 유아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3세와 4세의 기질은 유아 의사결정력에 대해 높은 영향력을 보였으나 5세는 그 영향력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즉, 4세는 적응성과 반응성이 유아 의사결정력과 정적관계를, 활동성과 정서성이 부적 관계를 나타낸 데 비해 3세는 적응성에서, 5세는 정서성만이 정적 예측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influence on decision making ability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depending on gender and age. As an object of study, this study selected 240 young children, 3-5 years in full, going to four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at J region, and measured their treatment and decision making ability. As a result, first, temperature had a different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decision making ability, depending on gender. Concretely, the adaptation and emotional temperament of young boy children showed a positive relation with decision making ability. The adaptation and response of young girl children showed a positive expectation, response relation, and the activity and biological regularity showed a negative expectation relation. Second, temperament had a different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decision making ability, depending on age. The temperaments of the children, 3 years and 4 years, had a high influence on decision making ability, but that of 5 year children had a low influence on decision making ability noteworthily. That is, in 4 years, their adaptation and response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children’s decision making ability, and activity and emotion had a negative relation. But, in 3 year, only adaptation had a positive expectation relation, and in 5 years, emotion had a positive rel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경산시 일부 초등학교 학생들의 치아우식증 경험 및 비만도의 관련성

        최미숙 ( Mi Sook Choi ),최성숙 ( Sung Suk Choi ),정홍섭 ( Hong Sep Jung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2 치위생과학회지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relationship between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obesity among elementary school of student`s in oral health clinic to provide empirical data for school of oral health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s of 23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sa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30, 2011 by self-administrative questionnaires. Increased with age in the lower level dental caries experience.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obesity realted to were not with Mother`s employment status, education level, economic level each other. Number of weekly exercise normal weight (9.4%) than obesity weight (21.5%) was higher in the 0 times. The obesity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was not associated with each o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and demographic variation and regardless of don`t home care made ??in support do student`s oral and health care school health in terms of how much management so school oral health clinics later gradually enlarge and systematic a national policy will be implemented.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주기를 적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미숙 ( Mi Sook Choi ),안지영 ( Ji Young Ah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주기를 적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G시의 Y, U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0명이었다. 실험집단은 학습주기를 적용한 과학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과학활동을 실시하였다.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검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주기를 적용한 과학활동은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특히 ‘과학적 탐구능력’의 하위 요소인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의미 있는 향상이 있었다. 또한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자진성과 적극성’, ‘객관성’, ‘개방성’, ‘비판성’, ‘판단유보’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의미 있는 향상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earning- cycle program of scienc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The subjects were 40 children of five year old from the annexed kindergarten to Y elementary school and U elementary school in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learning-cycle program of science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was given general science activities.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test`` and ``The scientific attitude test`` were used for the collection of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outdid the control group in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Es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diction``, ``observation``, ``classification``, ``measurement`` and ``discussion`` of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the ``curiosity``, ``willing ness and positiveness``, ``objectivity``, ``openness``, ``criticism``, ``judgement reservation`` of scientific attitude. Thes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science activities applying the learning cycle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improve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 KCI등재후보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 기철학(氣哲學)의 심미의식(審美意識) 고찰

        최미숙 ( Choi Mi Soo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5 No.-

        花潭 徐敬德(1489~1546)은 朝鮮전기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隱者적 삶을 살며, 독자적인 氣哲學을 수립한 독특한 철학자이다. 花潭은 생애 중에 몇 차례 조정에 벼슬할 기회가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사하고 일생을 시골의 은둔선비로 지냈다. 花潭은 인격의 부단한 수양을 요구하였으며, 인생의 최고 경지의 도달은 도와 하나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문제에서 출발하여 자유를 논하였고, 사회적 속박뿐 아니라 육체적 욕망에서 벗어나려 하였다. 미적인 인생관을 갖고 산다는 것은, 일상생활과 사물을 대할 때에 그 대상의 유용성이나 이익이 되는 부분을 분석하기 보다는, 직관적 인식으로 사사로운 관심이나 욕망을 초월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사건과 사물에 대해 관조적 태도를 취함으로써, 직관적 인식을 통해 아름다운 인생을 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花潭은 보편의 원리인 氣가 곧 개체의 원리이며, 현상의 세계 역시 氣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花潭 徐敬德 氣哲學의 審美意識은 자연의 이치를 통해, 氣에 접근해 들어가는 인식과정에서 찾을 수 있는 美感으로,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花潭은 氣를 湛然虛靜한 太虛로 파악하였고, 虛卽氣라고 보았다. 太虛는 마치 고요하여 아무런 움직임이 없는 것 같지만 사물의 운동을 일으키는 근원의 미를 갖추고 있다. 湛然虛靜한 마음이 주재가 되어 인식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면, 物을 주재하여 그 속에 담긴 理를 체득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虛卽氣의 湛然虛靜적 美感은 주체의 虛心坦懷한 마음이 객체의 허무와의 조화를 이루는 美感이다. 둘째, 花潭은 氣는 있지 않은 데가 없고(無乎不在), 이르지 않은 데가 없다. (無乎不到)고 했다. 花潭은 인간의 본성 또한 虛한 동시에 誠(實)한 존재로 규정한다. 花潭에게 있어서 神은 주체에 내재된 정신의 昇華이다. 花潭의 理氣의 合一은 감성적 자연계와 이성 윤리적 본체계가 나뉘지 않으며, 오히려 상호 침투하고 부합되어 일치하는 것이다. 理氣合一의 象外神遊적 美感은 現象界를 초월한 審美와 도덕이 合一된 美感이다. 셋째, 花潭에게 있어 氣의 작용인 機自爾는 微妙한 법칙으로 기능하는 理之時와 짝해서 따른다. 機自爾의 機는 生化하는 생명의 미와 관련되고, 생명으로부터 출발해서 우주와 인생 본체가 고도로 生氣의 미에 이르게 한다. 그리고 理之時의 太極 지혜가 사람 생명의 물질 층위에서 우주와 인생의 정신철학, 예술철학 층위로 승화되어 生氣가 순환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機自爾 理之時의 生化적 美感은 자연만물과 인간의 약동하는 生命의 근원에 대한 美感이다. 종합하여 보면, 예술창작의 요건으로 사욕 없는 湛然虛靜적 마음이 중시되며, 現象界를 뛰어넘어 象外神遊적 신묘한 예술 경지에서 자유로이 노니면서 눈앞에 있는 外物을 대할 때라야, 비로소 外物과 나 사이에 生氣가 발동하게 된다. 氣가 본체로부터 신묘한 기운을 타고 聚散하여 만물에 變化無雙함을 이루듯이, 花潭氣哲學의 審美意識은 우주의 機自爾함과, 그에 내재된 조화로운 理之時가 합일된 최고의 미적 경지이다. Hwadam Seo Gyung-Duk(1489~1546) is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He is a unique philosopher who has lived a hermetic life and established his own Chi Philosophy. Hwadam spent his entire lifetime living in a rural hermit, despite the fact that he had been given the opportunity to make some adjustments during his lifetime. Hwadam demanded the constant restoration of personality and thought that reaching the highest level of life was one with enlightenment. He started from social problems and discussed liberty, and tried to escape not only social bondage but also physical desire. Living with an aesthetic view of life transcends personal interest and desire by intuitive perception, rather than analyzing the usefulness or profit of the object in dealing with everyday life and objects. By taking a contemplative attitude toward the event and things, it is possible to live a beautiful life through intuitive perception. Hwadam thought that a universal principle of Chi is the very principle of individual; also, the world of phenomenon is consisted of Chi. Chi Philosophy of esthetical receiving sense esthetical perception of Hwadam, there are three for esthetical perception that can feel in in approaching the recognition process into spirit. First, Hwadam identified the Chi as the Tae-heo(太虛) that was Dam-yeonheo- jeong(湛然虛靜), saw as empty is Chi(虛卽氣). Tae-heo(太虛) seems as if there is no movement in silence but is equipped with beauty of source that causes the movement of the things. If Dam-yeon-heo-jeong (湛然虛靜) mind is the presiding demonstrate awareness as much as possible, to preside over things (物) can enjoy the pleasure to acquire the li(理) contained therein. Dam-yeonheo- jeong(湛然虛靜)`s esthetic sense of empty is spirit(虛卽氣). It is the subject of a candid mind of vanity and objects of the harmony achieved. Second, Chi is in everywhere(無乎不在), reach everywhere(無乎不到). Hwadam defines human nature also as empty and sincere presence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Hwadam Shen(神) is the sublimate of the sprit(精神) inherent in the subject. Moral state of Hwadam is the very stage of aesthetic, unity of aesthetic and moral. Li and Chi`s unity of Sang-wae-sin-yu(象外神遊)`s esthetic sense(美感) is the unity of aesthetic appreciation which is transcending the phenomenal world and Tao. Third, the effect of Ki-ja-ee(機自爾) shall be subject to mate with the Chi of Li-ji-si(理之時) that functions as a subtle laws. Ki(機) of Ki-ja-ee(機自爾) is related to the reviving beauty of life, depart from life and leads the universe and life body to highly animated beauty. And wisdom of Tae-heo of li-ji-si(理之時) is sublimated in the top of the universe and the life Chi of philosophy, philosophy of art layer above material layers of human life to help circulation of vitality. Esthetic sense of revival of Ki-ja-ee(機自爾) Li-ji-si(理之時)`s esthetic sense is about life that all things in nature consistent of eternal life. Taken together, unselfish Dam-yeon-heo-jeong(湛然虛靜) mind is focused for the requirement of artistic creation, only when facing things at outside(外物) while strolling freely in the stage of mysterious and marvelous art of Sang-wae-sin-yu (象外神遊) beyond the phenomenal world, vitality between things at outside(外物) and me finally activated. As spirit achieve the kaleidoscope of everything by the chwisan(聚散) with taking mysterious and marvelous energy from the body, esthetical awareness of Hwadam chi philosophy is the best aesthetic stage with unity of Ki-ja-ee(機自爾) of universe and the inherent harmonious Li-ji-si(理之時).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성취동기와의 관계

        최미숙(Choi Mi-Sook),황윤세(Hwang Yoon-S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교사교육이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예비유아교사 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갖는 개인적, 심리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즉, 성인 학습자인 예비유아교사들의 다중지능, 창의성 및 성취동기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졸업반 학생 275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다중지능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다중지능 간에는 서로 밀접한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다중지능은 창의성 전체와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개방성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덟 개의 다중지능은 창의성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다중 지능은 성취동기를 유의한 수준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중지능과 성취동기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교육을 책임질 예비유아교사들의 개인 내 심리적 특성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앞으로 바람직한 교사양성과정과 효율적인 교사교육방법의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creativ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were 275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PC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with sub area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It is indicated that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have their multiple intelligence profile. Second, multiple intellige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reativit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all sub areas. Third, multiple intellige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chievement motivation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all sub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