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청-지역대학 간 고교학점제 공동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시사점

        주영효,김용진,박균열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敎育問題硏究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청-지역대학 간 고교학점제 공동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지역대학 협력형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면담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총장은 지역대학 협력형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운영에 관심과 대학 구성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리더십 발휘가 필요하다. 둘째, 대학 내 고교학점제 공동교육과정 전담 부서 설치와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하다. 셋째, 대학 내 고교학점제 공동교육과정 전담 부서와 전문 인력은 대학 내 인력풀 구축, 고교학점제 참여 강사의 교수법 연수, 고교학점제 참여 학생들의 만족도 관리 등 대학 내 자체적인 질 관리 또한 담당해야 한다. 넷째, 교육청 주관 고등학교 교원연수에 참여하는 대학 교수는 현장 지향의 실천적 연수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영향 요인 분석: 학부모 단체활동과 학교생활 파악 활동을 중심으로

        주영효,전하람,황영식 한국교육정치학회 2023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조사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한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영향 요인 분석을 통한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 도출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영향 요인을 학생 및 학부모 개인 수준과 학교 수준으로 구분하여 다층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학부모의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질적인 지원은 높은 자녀의 학교 교육 참여 수준으로 이어지며, 가정 내·외에 존재하는 사회자본 역시 높은 수준의 학교교육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었다. ② 사교육비의 증가는 수업참관을 제외한 학부모 단체활동 부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학교파악과 관련된 학교교육 참여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③ 자녀의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의 단체활동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만, 학교파악과 관련된 학교교육 참여에는 유의하지 않거나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④ 학교 요인은 학부모의 학교 파악 관련 대부분의 변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지만, 학부모의 단체활동과 관련된 변인의 경우 읍면지역에서 단체가입 및 수업참관의 수준이 높았고, 혁신학교에서 단체가입 및 자원봉사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가정배경을 고려한 맞춤형 학부모 학교교육 정책 입안과 집행 필요, 혁신학교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한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활성화 정책 개선 필요, 중소도시와 대도시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제고 정책 및 단위 학교 수준의 노력 제고 필요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중등교사의 교직만족도 영향 요인 및 구조적 관계 분석

        주영효,정주영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eaching profession satisfaction (TP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PS. To this end, first, the influence factors of TPS a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Nex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R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were conducted sequentially. As a result of SEM analysis, principal leade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climate, teacher enthusiasm,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School climate and teacher's enthusia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PS, and teacher 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P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1) it needs to eliminate teacher burnout through the form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eachers and to exercise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for emotional trust relationship; 2) the principal qualification training standard curriculum should focus on consideration, mutual trust,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fairness; and 3) it is necessary to refrain from compulsor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on, and to reduce teacher's work and form conditions for learning community.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등교사들의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교직만족도 영향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교직만족도 영향 및 관계 요인을 도출하고, 학교 개인 수준 요인과 조직 수준 요인 및 조직 내・외 환경 요인 수준 등으로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중회귀분석 결과, 중학교 교사와 고등학교 교사의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서로 양상이 달랐으나, 교사열의, 교직관, 교사소진은 교사의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학교장 리더십이 학교풍토, 교사열의, 교사효능감, 교사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학교풍토와 교사열의가 교직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교사효능감이 교직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① 교사의 긍정심리자본 형성을 통한 교사 소진 해소, 바람직한 교직관 형성, 교사와의 정서적 신뢰 관계 형성을 위한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발휘, ② 배려와 상호신뢰, 의사소통, 갈등관리, 공정성 등의 교육 현장 요구를 반영한 교장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으로의 개선, ③ 강제적, 의무적 전문가학습공동체 참여 지양 및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와 성찰적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교사 업무 경감, 학습공동체 참여 여건 형성 필요 등의 정책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대학생활 및 취업 효과 분석

        주영효,전하람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OS) on college life and employment. The AOS was introduced to specialize student selection by individual colleges, normaliz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reduce expenditures of private supplementary tutoring.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implified college entrance policy in 2013, the AOS was changed its name to the Comprehensive School Report Policy (CSRP). In this context,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outcomes related to college life and employment between students who got an admission through the AOS and other students, using the data from the 4th to 12th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The result showed that college graduates who get an admission through the AOS reported higher degree of the congruence between their current jobs and majors than other graduates. This significant difference confirmed that the AO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matching with major among college students. However,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outcomes between two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ollege curriculum in order to reflect individual students’ level and needs, enhancing the systems to support better educational performance among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대학생활 및 취업 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입학사정관 전형은 대학 이념에 맞는 학생 선발 특성화 및 전문화, 초・중등학교교육 정상화, 사교육비 경감을 위해 도입되었으며, 2013년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 발표 이후부터는 “학생부종합 전형”으로 그 명칭이 변경되었다. 입학사정관 전형 관련 학술 연구는 제도 시행 효과와 사교육 영향 분석, 제도 개선방안, 해외 사례와의 비교, 입학사정관 역할과 역량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반면,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대학생활과 졸업 후 취업 성과에 미친 실제적인 효과 분석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4~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원 진학자를 제외한 대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대학 입학 전형 중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대학생활과 졸업 후 취업과 관련된 성과에서 다른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종속 변수로는 졸업 평균 학점, 취업 여부, 정규직 여부, 월 평균 임금, 직무-전공 일치도를 고려하였고, OLS 회귀모형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분석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대학 관련 변수를 통제하여 분석한 결과,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대학 졸업생의 경우 졸업 평균 학점, 취업 여부, 정규직 여부, 평균 임금에서는 다른 학생들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직무전공 일치도는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대학생의 전공 일치 취업에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는 반면, 학생 수준 및 요구를 반영한 대학교육과정 개편, 대학생 지도 및 교육 지원 강화 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부종합 전형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대학생 개인의 대학생활 및 취업 성과에 맞춘 정책 효과 분석을 통하여 정부의 정책 기조를 검증하고, 정책의 지속・확대 유무 판단의 실증적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정책적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A political analysis of the policy process of the Open Recruitment System of Principals in Korea

        주영효,Pedro Reyes 한국교육개발원 2010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7 No.2

        This paper analyzes the policy process within the creation of the Open Recruitment System of Principals (ORSP) in Korea, considering the policy actors and the policy environment. As a result, the national policy environment and external elements such as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resulted in a radical policy initiative. The policy process of the ORSP showed dynamic interactions among policy actors over time, and policy actors interacted with the national policy environment in the process. However, the ORSP process has been short of deep consideration and discourse respecting different perspectives and interests of other stakeholders in policy making. There could be several reasons for this: (1) with a closed policymaking environment sponsored by the government, formal players demonstrated a strong will to introduce and implement the ORSP, forcing stakeholders to accept the ORSP this has served as a powerful policy trajectory as well as the ethical framework in the policy discourse (2) the government compromised politically with unofficial actors,making accommodations such as a public hearing regulated by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3) most interest groups, either opposing or proponent groups,did not compromise but competed with other policy actors only for their own interests in the policy process of the ORSP.

      • KCI등재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와 교사에 대한 학생 인식이 중ㆍ고등학생의 인지적ㆍ정의적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분석

        주영효,정주영,박균열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교수활동, 교사-학생 간 신뢰관계, 교사의 기대감이 서울지역 중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첫째, 중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 모두 1학년 때의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가 교사변인에 대해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학생들이 인식하였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사변인과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는 긍정적인 영향관계로 바뀌었다. 둘째, 중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 모두 1학년 때 인식한 교사변인이 정의적, 인지적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변화율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서울지역 중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교사변인의 변화율도 학생들의 정의적, 인지적 성취도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논거를 학생들의 교육적 성취에 초점을 두기보다 학교교육 공동체 형성, 교사전문성과 질 향상 등에 강조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arents' involvement in school education, teaching activity, students-teachers trust, and student perception about teacher expectations on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we performed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verification by using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recognized that parents participate in the first grade affected negative impact to the teacher' variables. However, this goes up grades, parents‘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and variables of teachers turned into a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first grade about the teacher factors had a positive impact on affective and cognitive achievement. But change rates had no significant effect. Also, this goes up grades, change rates of teacher factors had no significant effect to affective and cognitive achiev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mphasis should participate in the school grounds such a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arents and the school community building, teacher professionalism than focusing on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