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국산(國産) 마아가린중의 트란스산(酸) 함량

        조영자,관야도광,Cho, Young-Ja,Sugano, Michihiro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3

        한국산 가정용 마아가린을 1983년과 1984년 및 대만산을 각기 11종, 19종과 4종을 시정에서 구입하여 GLC로 분석하였다. 1983년 제품은 trans-octadenoic arid가 $6.2{\sim}35.5%$(평균 18%)이었고 t,t-octadecadienoic acid는 없었다. 트란스-지방산은 linoleic acid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1984년도의 마아가린은 1983년 제품에 비하여 트란스지방산 함량이 감소하는 대신에 linoleic acid는 증가하였다. P/S ratio는 1984년도의 연질형(軟質型)에서 증가를 나타냈다. 한국산 마아가린은 일본산 마아가린보다 linoleic acid함량이 다소 작게 나타났다. Fatty acid patterns were determined for 11 and 19 brands of household margarines from the local markets in Korea in 1983 and 1984, respectively. Gas-liquid chromatographic analyses on OV-275 column showed that the average content of total trans fatty acids was 18% ranging from 6.2 to 35.5% for the margarines produced in 1983. The prototype of trans fatty acids was trans-octadecenoic acid. There was a small amount of c, t-or t, c-octadecadienoic, whereas there were practically no t, t-octadecadienoic acid. Trans fatty acids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linoleic acid contents. For the margarines produced in 1984.. percentage of trans fatty acids tended to decrease, while that of linoleic acid wa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values for the 1983 products. Thus, the P/S ratio was increased markedly in the soft type margarines produced in 1984. However, Korean margarines contained seemingly less linoleic acid than that contained in Japanese margarines.

      • KCI등재

        미역첨가 식이가 당뇨 유발쥐의 혈청지질과 혈당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조영자(Young-Ja Cho),방미애(Mi-Ae B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6

        미역 첨가식이가 당뇨쥐의 당질과 지질대사 및 항산화효 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SD계 흰쥐에 식이 무게량의 20% 미역 분말을 급여하여 7주간 실험 사육한 후 혈청의 포도당 및 지질농도와 주요 장기의 항산화효소의 활성도를 관찰하였다. 미역 당뇨군에서 미역의 섭취는 당뇨에 의한 체중감소 현상을 보였다. 당뇨군의 혈당 농도는 미역섭취에 의한 혈당강하 효과는 2주째에 나타났으나 7주째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지질중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변화가 없었으나 중성지방은 미역 당뇨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이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당뇨시 증가하는 신장의 G6Pase 활성도는 MD군에서 미역의 섭취에 의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했다. 대조군에서 증가된 간장의 GST 활성도는 미역 섭취에 의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했다. 간장의 GPX 활성도의 경우, 미역 섭취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간장의 GR 활성도는 미역 당뇨쥐에서 미역 섭취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이나 신장에서는 상반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간장의 TBARS는 미역 당뇨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7주간의 미역첨가 섭취로 당뇨쥐의 고혈당이 강하되는 것은 2주에 나타났고 7주에는 관찰하지 못하였으나, 당뇨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증가한 간장의 항산화 효소 활성도(GST)가 미역 섭취로 인해 저하됨으로써 미역의 섭취가 당뇨시 항산화적 반응을 제공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중성지방이 감소하고 HDL-콜레스테롤의 증가하는 경향으로 심혈관계와 관련되는 당뇨합병증의 억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eaweed in diabetic rats treated with streptozotocin (STZ) for 7 weeks. The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180~200 g) were divided into 4 groups : normal rats fed control diet (C), diabetic rats fed control diet (CD), normal rats fed seaweed diet (M), and diabetic rats fed seaweed diet (MD). Diabetes was induced by single injection of streptozotocin (60 mg/kg, i.p.). Urinary levels of calcium and uric acid, and blood levels of hemoglobin, total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But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of M and MD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C and CD groups. Activity of hepatic microsomal G6Pase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C and M groups than that of CD and MD groups.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of M, CD and MD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 group (p<0.05), glutathione peroxidase (GPX) of C, M and MD groups were higher than CD group. In conclusion, dietary seaweed may improve blood lipid profiles and GSH-related enzyme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 KCI등재

        효율적인 통합교육 실행방안에 관한 연구

        조영자 ( Young Ja Ch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 No.4

        본 연구는 현재 교육현장에서 많이 실시되고 있는 통합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절차 및 지원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통합교육을 실시한 특수학교, 특수학급,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통합교육 실행절차를 준비과정, 진행과정, 일반화 및 확산과정으로 제시하며,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이루기 위한 각종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method of inclusion in school settings. Inclusion is a very hot issue in current Korean special education, but most research has focused only on what to teach (program) not on how to carry out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a) based on prior research, learning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is more effective than academic learning and partial inclusion is prerequisite for future practice of full inclusion; b) the process of inclusion should have three stages of preparation, practice, and extension and generalization. The preparation stage means analyzation of data such as literature review, level of awareness on inclusion, and student diagnosis. In the second stage, inclusive education plans and methods have to be set up and programs for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re recommended. The stage three gives chances of various practical experience to students for generalization of learning; c)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support for human resources, facilities, physical environments (e.g. student/teacher ratio), related services, budget, and school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마요네즈 첨가 식이가 흰쥐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조영자(Young-Ja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마요네즈의 EDTA 첨가물이 흰쥐의 지절대사, 총단백질과 칼슘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체중이 약 100g되는 Sprague-Dawley종 수컷 28마리를 이용하여 1주간 적응한 후 131±5g이 되었을 때, 대조군 (10%대두유), 5%, 10%와 15% 마요네즈 첨가군으로 각각 나누어서 4주간 사육하였다. 마요네즈의 EDTA 첨가물 함량 분석결과는 0.0307~0.0387%로 식품첨가물 허용기준치인 0.0075%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체중 증가율은 모든 군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식이섭취량은 마요네즈 첨가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장기중량은 흉선의 경우 10% 마요네즈 첨가군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다른 장기들은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간의 중량이 마요네즈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비장의 경우는 반대의 결과를 나타냈다. 간의 총지질 함량은 5%와 10%군에서 감소하였고, 15%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지방조직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혈청의 총지질 함량은 마요네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혈청의 총단백질 함량은 5% 마요네즈 첨가군에서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칼슘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마요네즈 첨가군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고,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나 중성지방 함량은 5%와 15% 마요네즈 첨가군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지방산의 구성을 보면 식이로 섭취하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볼 수 있었다. P/S 비율은 간보다 지방조직에서 10%와 15% 마요네즈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앞으로, 식품첨가물인 EDTA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We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mayonnaise on the lipid metabolism and calcium bioavailability of rats by using myonnaise. Sprague-Dawley male rats(131±5g) were divided into four dietary groups[Control (Con, 10% soybean oil), 5% Mayonnaise(M5), 10% Mayonnaise(M10)and 15% Mayonnaise(M15)] were fed ad libitum with experimental diets for four weeks. Final body weight exhibited a decrease in the M10 group, also final thymus organ weigh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ing trend(p<0.05). The levels of serum, liver and adipose total lipi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experimental groups(p<O.05). Serum calcium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M15 group than in among the groups(p<O.05). On the other hand, the elevation of serum cholesterol levels were not clearly observed, but triglyceride levels were elevated the M5 and M15 group. The P/S ratio of adipose tissue were higher in the M10 group(2.35±0.35) than any other groups. Free EDTA in mayonnaise was 0.0307~0.0387%, moisture 12.46-16.49%<br/> and calcium 0.012-0.019%. But commercial mayonnaise contained free EDT A higher than the safe use (0.0075%). Safety problems of EDTA additives resulted from mass processed mayonnaise are arising. Though the evaluation of safety can not reach a conclusion with only one or two clinical case studies. It often simply jumps to conclusion. Therefore more wide-ranged discussion and deepened study is required to search for the solution of safety problems.

      • KCI등재

        화학 I 교과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식과 학습 지도 방식에 대한 조사

        이은주,조영자,김은숙,유란영,김동진,박국태,Lee, Eun-Ju,Cho, Young-Ja,Kim, Eun-Suk,Ryu, Ran-Yeong,Kim, Dong-Jin,Park, Kuk-Tae 대한화학회 2007 대한화학회지 Vol.5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I 교과의 목표와 성격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학습 지도 시 화학 교사들의 학습 내용 선택도와 학습 지도 방식에 대해 조사하여, 화학I 교과가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40개 고등학교 화학 교사 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화학 교사들은 제7차 교육과정의 화학I 교과의 목표가 화학적 소양을 갖춘 민주 시민의 양성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화학I 교과의 목표에 적합한 수업 방식은 실험·실습 수업 혹은 조사 및 토의 수업과 같은 탐구 중심의 수업 방식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수업에서는 개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화학 교사에 따라 학습 내용 선택도에 차이가 많았다. 그리고 화학 교사들은 화학I 교과가 화학 학습에 흥미와 호기심을 갖게 하는데 적합하다고 생각하지만 화학 개념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기엔 부적당하기 때문에, 화학I 교과의 학습 내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I 교과의 목표에서 탐구 학습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탐구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교사 연수와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개정 시에 화학 교사들의 경험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hemistry teachers' perceptions on the aim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emistry I course fro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y means of investigating how frequently particular learning contents were selected and what the teachers' teaching styles were in order to find out how effectively teachers were working with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teaching.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which was answered by 44 chemistry teachers in 40 different high schools.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he perception on the aim and characteristics of chemistry I course, many chemistry teachers have already perceived that the aim of the course was to promote democratic citizens with the knowledge of chemistry. And the most appropriate way of teaching chemistry I course was inquiry-centered teaching such as experiment-practice and inquiry-discussion. However, these perceptions were not reflected when they actually taught students in the classroom. Instead, most of the class was concepts learning and there were a lot of differences in selecting learning contents among chemistry teachers. Furthermore, although chemistry I course was considered a good subject to make students have interest and curiosity in chemistry, it was not appropriate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s of chemistry. Therefore, learning contents in chemistry I course need to improve. In conclusion, as the goal of 7th national curriculum of chemistry I course was to emphasize inquiry teaching, inquiry based teaching should be practiced in the class. Moreover, sufficient teacher training should be accompanied and alternative additional teaching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Finally teachers' experienc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when it is revis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