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이산화탄소에 의한 메탄올 합성 (제 1 보). Cu / ZnO 촉매계 연구

        조성운,전기,박대철,이규완,Sung Yun Cho,Ki Won Jun,Dae Chul Park,Kyu Wan Lee 대한화학회 1989 대한화학회지 Vol.33 No.5

        여러가지 조성비로 만든 Cu/ZnO계 촉매로 이산화탄소를 수소화시켜 메탄올을 합성하였다. 촉매제조시 각 성분의 조성비가 촉매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반응촉매에 대하여 표면적 측정(BET), 주사전자현미경 측정(SEM), X선회절분석(XRD), X선광전자분석(XPS) 등을 실시하여, 각 촉매의 촉매특성을 조사하고 촉매활성과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반응생성물은 메탄올과 일산화탄소 뿐이었는데 메탄올의 생성은 CuO의 함량이 증가하면 그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나 CuO:ZnO의 조성비율이 30:70일 경우에 최대이었고, CuO가 70 이상이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촉매에 대한 SEM 측정과 BET 측정결과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이점은 미세결정크기가 증가되고 표면적이 감소하는 점과 일치되었다. 또 XPS 측정결과에서 촉매표면상에서의 Cu의 농도는 Cu/Cu+Zn(atomic ratio)을 비교할 때 CuO의 함량이 50% 이상인 경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각 촉매들의 $Cu(2P^3)$에 대한 결합에너지의 수치상의 값은 거의 같았으나 환원된 상태의 $Cu(2P^3)$의 결합에너지는 소성된 상태의 것과 비교하여 낮아졌고, 표면에 분포된 Cu 는 대부분 $Cu^{\circ}$로 확인되었으며 CuO:ZnO의 조성이 30:70인 경우에서 최대가 되었다. 이것은 또한 CuO의 조성비율이 30인 때에 메탄올생성이 최대라는 실험결과와도 잘 일치하였다. 그리고 환원된 각각의 촉매로 펄스(pulse)형태의 반응기에서 이소프로판올을 분해시킨 결과 아세톤의 생성율이 프로필렌보다 컸음으로 이들은 염기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촉매라고 추측하였다. The synthesis of methanol from carbon dioxide and hydrogen was studied for various compositions of Cu/ZnO catalyst system. Effect of the composition ratio of CuO and ZnO on the catalytic activity in the above re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alysts were explained from the result of surface area measurements, SEM, XRD, and XPS. The major products of the reaction were methanol and carbon monoxide. The selectivity to methanol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opper oxide content in the catalyst up to CuO: ZnO = 30:70 weight ratio, and decreased rapidly when the content is above 70%. SEM and BET measurements, indicate that this point corresponds to the increasing point of the catalyst crystallite size and the decreasing point of the surface area. As to the Cu/Cu + Zn atomic ratio, the surface concentration of copper measured by XPS decreased remarkably when the copper oxide content in catalyst was higher than 50%. All the unreduced catalysts had almost same binding energy of Cu(2P3) level, but the binding energy for $Cu(2P^3)$ level of reduced catalysts was lowered than that of calcined catalysts. The surface copper species which was in the maximum amount when the CuO:ZnO composition in the catalyst was 30:70, existed as zero valent copper. This result agre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 that the highest rate of methanol formation was observed when the CuO content in the catalyst was 30%. It was postulated that these reduced catalysts performed with a relatively strong basicity because the formation rate of acetone was higher than that of propylene in isopropanol decomposition as measured in a pulse type reactor.

      • KCI등재

        正庵 李鍾勳의 국내에서의 민족운동

        조성운 숭실사학회 2010 숭실사학 Vol.25 No.-

        이종훈은 1893년 동학에 입교하여 1931년 사망할 때까지 천도교인으로서 살았던 인물이며, 천도교의 사상과 조직 하에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그는 천도교를 대표한 민족대표로서 3·1운동을 준비하고 지도하였다. 그의 활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이종훈은 동학농민운동에 참여하여 무력에 의한 변혁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경기도 편의장으로서 기포하여 손병희의 휘하에서 좌익으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동학농민운동 이후 최시형과 손병희의 피신을 돌보면서 측근에서 보좌하였다. 그리고 1904년 갑진개화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1905년 12월 동학이 천도교로 교명을 변경한 후 손병희를 지지하거나 받들며 지방과 중앙에서 천도교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이종훈은 1910년 일제의 조선 강점 직후 보성사 사장 이종일과 협의하여 민중시위운동의 방법으로 독립운동을 준비하였다. 그것은 범국민신생활운동, 민족문화수호운동, 기독교·유림 및 구정객과의 연합에 의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이종훈 등이 제시했던 대중화·일원화·비폭력이라는 민족운동의 3원칙과 민중시위운동의 방법론은 곧 3ㆍ1운동의 방법론과 같은 것이었다. 결국 천도교에서는 이미 3ㆍ1운동의 원칙과 방법론을 이미 일제의 조선 강점 직후부터 준비하고 있었던 것이라 생각된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3ㆍ1운동의 ‘민족대표’로 참여하였다. 3ㆍ1운동 이후 이종훈은 1922년 고려혁명위원회의 고문으로 참여하였다. 고려혁명위원회는 최시형의 손자이며, 손병희의 조카, 홍병기의 손위 처남인 최동희가 천도교 내의 인적 기반을 바탕으로 천도교에 대한 혁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조직된 단체이다. 그리고 이후 고려혁명당으로 발전하였다. 이는 이종훈이 1922년 천도교의 혁신을 주장하며 조직한 종의사후원회와 그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라 보인다. 또한 그가 신구파의 분립시 천도교 신파를 선택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결국 이종훈은 천도교의 혁신을 주장하면서 근대적인 종교로의 발전을 꾀했던 인물이며, 이를 바탕으로 민족운동을 전개한 ‘천도교인’이었다고 할 것이다. Lee Jong-Hoon(pseudonym, Jeong-Am) joined Cheondo-Gyo(or Dong-Hak, a Korean religion) in 1893 and lived in accordance with its doctrine for life. And he developed a national movement under the doctrine of Cheondo-Gyo and its organization. In particular, he prepared the ground of the 1919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n behalf of Cheondoists. In this study, his activities wer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Lee Jong-Hoon participated in the peasant movement led by Cheondoists, and developed an armed uprising. He belonged to the group of Gyeonggi Province, and worked as a leftist under the command of Son Byeong-Hee. After the peasant movement, he helped Choi Si-Hyeong and Son Byeong-Hee to flee safely. And he actively participated in a cultural revolution that broke out in 1904. After the name ‘Dong-Hak’ was changed to ‘Cheondo-Gyo’ in December 1905, he contributed to its development not only at districts but at the central area, backing up Son Byeong-Hee. Immediately after Japan occupied Korea by force in 1910, he attempted to develop independence movements in cooperation with Lee Jong-Il the president of Bo-Seong Company, which was the alliance with Christians, confucianists and old politicians who aimed at nationwide new-life movement and national culture preservation. What is remarkably is that he developed such movements with the motto, ‘Popularization, Unification and Nonviolence’, which wa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It implies that Cheondoists had prepared the ground of the movement along with the same principle as the 1919 movement. In result, he had been a representative of the 1919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1919 movement, Lee Jong-Hoon participated in Korea Revolution Committee in the capacity of a councilor. The committee was organized by Choi Dong-Hee, a grandson of Choi Si-Hyeong, a nephew of Son Byeong-Hee and a brother-in-law of Hong Byeong-Gi, together with Cheondoists. Afterwards, the committee was developed to Korea Revolution Party, which was in collusion with an organization formed by him on purpose to renovate Cheondo-Gyo. What he chose the new school instead of the old when it is divided, shows his idea well. Altogether, it may be concluded that Lee Jong-Hoon was a Cheondoist who insisted on the revolution of Cheondo-Gyo and aimed to advance to a modern religion and developed a national movement on the basis of them.

      • KCI등재
      • KCI등재

        1910~20년대 수원지역 근대관광의 실태

        조성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8

        1910~20년대 수원지역 근대관광의 실태 조성운 본고는 1910~20년대 수원지역 근대관광의 실태를 당시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본고를 작성한 이유는 신문기사가 이 시기 수원지역 근대관광의 실태를 가장 잘 보여준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수원지역의 근대관광은 1910년대 이래 1920년대까지의 수원관광단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시기 수원을 찾은 관광단의 수는 모두 154개였으며, 1910년대는 관광단ㆍ시찰단이 주로 찾았으나 1920년대가 되면 수학여행단이 급증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들이 주로 찾은 곳은 권업모범장, 수원농림학교 등 근대 시설이었으며, 화성을 중심으로 한 고적은 아직 두드러지지 않음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1931년 조직된 수원보승회의 활동은 향후 화성을 중심으로 수원의 관광지가 확대될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를 계기로 개최지인 경성은 물론이고 수원을 비롯한 인천, 개성, 고양 등의 경기도 일원, 그리고 금강산까지도 관광객 유치를 위한 관광개발이 본격화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근대관광에 대한 연구가 식민지 근대화론을 뒷받침하는 논거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없지 않다. 필자는 오히려 이의 연구를 통해 식민지 근대화론을 비판, 극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관광을 주도한 세력이 보여주고자 한 것이 어떠한 성격의 것인가를 분석함으로써 근대관광을 통해 일제가 목적으로 한 것을 찾아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확인했듯이 수원지역의 주요 관광지가 권업모범장과 수원농림학교라는 것은 근대시설을 관광자에게 직접 보여줌으로써 일제의 조선 지배가 조선을 근대적으로 발전시켰다는 눈으로 확인시키는 일이기도 하였다. 이는 일제의 관광정책의 목적이 무엇이었나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근대관광의 기본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원지역의 근대관광을 살핀 것은 이러한 근대관광 연구에 대한 일부 연구자의 시각을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Status of Modern Tourism in Suwon in 1910-20s Cho, Sung-woon This essay looks at the state of modern tourism in Suwon in the 1910s and 20s, focusing on newspaper articles at that time. The reason that this writing is based on the newspaper articles is because it best illustrates the state of modern tourism in Suwon during this period. Through the newspaper articles, the trends of the Suwon tour group from the 1910s to the 1920s are able to be identified. The total number of tourist groups visiting Suwon during this period was 154, and in the 1910s, the number was mostly consisted of tour groups and inspection team, but by the 1920s, the number of school tour groups increased sharply. They visited modern facilities such as agriculture technology testing institutes and the Suwon agriculture school. The historical sites centered in Hwaseong district wasn't shown at that time. However, the activities of the Suwon Reclamation, which was organized in 1931, show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tourist sites in Suwon with the focus of Hwaseong in the futur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Gyeongseong, the host city of Chosun Products Exhibition, but also Suwon, Incheon, Gaeseong, Goyang, Mt. Kumgang, and the Gyeonggi Province were developing as tourism cities to attract tourists. On the other hand, people tend to think that the study of modern tourism can be used as an argument to support the theory of colonial imperialism. The writer thinks that the research on tourism will actually serve as an opportunity to criticize and overcome the modernization of colonial imperialism. It is because through the study in modern tourism, Japan's goals can be analyzed by discovering the purpose of the tourist industry development. As the essay confirmed, the main tourist attractions in Suwon were the agriculture technology testing institutes and the Suwon agriculture school, which intended to show the influence of Japanese imperialism on the modernization of Chosun. This shows the purpose of the Japanese tourism policy, and this is the basic characteristic of modern tourism. In this regard, it is believed that the prospect of modern tourism in the Suwon area could dispel some researchers' view of the modern tourism research.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김포지역 3ㆍ1운동의 역사적 의의 -김포지역사적 관점에서-

        조성운 숭실사학회 2009 숭실사학 Vol.22 No.-

        본고는 김포지역의 3․1운동을 김포지역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민족운동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살펴본 것으로서 김포지역의 3․1운동은 지역 내부의 운동 역량이 구한말 이래 성장하였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김포지역의 3․1운동에 대한 일제의 대응을 살핌으로써 이 시기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이 지방사회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가를 살피는 것이기도 하였다. 이는 투쟁의 주체로서의 조선 민중과 그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일본의 지배전략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가능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의 관심은 김포지역 3․1운동의 한계성을 인식하면서 그 바탕 위에서 김포지역 3․1운동의 전개과정을 다시 확인하면서 일제가 김포지역의 민심으로 어떠한 방법과 수단으로 무마하고자 하였는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김포지역 3․1운동에 대한 연구의 질과 폭이 확대되기를 기대한 연구의 일환이라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우선 이러한 연구를 통해 김포지역 3․1운동에 대한 일제의 대응을 간략하게나마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핵심은 청년층에 대한 교화로 나타났다. 이는 곧 조선의 독립운동에 대한 대책으로서 사회교화정책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단히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사회교화정책은 3․1운동 이후 일제가 채택한 문화정치의 한 축이라고도 할 수 있을 만큼 지배정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이에 대해서는 중앙 단위의 정책뿐만 아니라 김포지역을 포함한 지방 단위의 사실을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3․1운동의 전통이 1920년대 이후 김포지역의 민족운동 혹은 사회운동에 어떠한 모습으로 반영되었는가를 살필 필요가 있다. 그것은 역사란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계기적으로 발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김포지역사 뿐만 아니라 한국민족운동사와 한국근대사의 연구가 보다 풍부해지고 우리 역 사의 실체적 접근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This treatise is to see through what had happened in 3ㆍ1Independence Movement specially in Kimpo region in terms of socio-economical background and brief history of national movement, on which I intend to underscore that the Movement in that area has been developed from inside of movement capability since the last stage of the Greater Korean Empire. And by examining how the contemporary Japan responded to this 3ㆍ1 Movement, I want to trace of a process how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was carried out in the local society. Because I believe that by dong so, we may get some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is all about Joseon people as the subjects of anti-Japan fight and Japanese ruling strategy upon Jonseon. Accordingly, my first concern is to recognize a limitation of 3ㆍ1movement, on which I want to re-examine the procedure of Independent movement, and to get to the point that how Japanese forces appease Joseon people in what way. So, this trial is a sort of research to expand & deepen the original 3ㆍ1 movement confining it in Kimpo region. Through this work, this study got some idea how contemporary Japanese regime responded to 3ㆍ1 movement in Kimpo area. And its core of the Kimpo 3ㆍ1 movement was found as edifying youth power of Joseon. It means Joseon people's counterplan for Independent movement was definitely imperative against Japan. In fact, Japan's social edification policy. since 3ㆍ1 movement, was decisive in terms of ruling strategy. Regarding this, I thought that to define the whole strategy of central unit including local section of Kimpo movement is so important to get overall shape. And also it needs to examine how did the tradition of 3ㆍ1 Movement reflect on social or national movement of Kimpo area especially after 1920 and ever since. Because a history itself is not extinct but continuing one. For I believe that there are continuity between local history of 3ㆍ1 movement in Kimpo region and other national movements nationwide. Accordingly we might get into deeper level of Korean modern history as a whole.

      • KCI등재

        1910년대 식민지 조선의 근대 관광의 탄생

        조성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56

        본고는 식민지 조선의 근대관광의 탄생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관광수단으로서의 교통과 일제의 관광정책 수립기관이었던 일본여행협회 조선지부의 설치에 대해 살핀 연구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근대 관광이 근대와 제국주의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식민지를 경험했던 우리나라의 경우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의 일환으로 근대 관광이 탄생했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특히 철도로 대표되는 식민지 교통수단은 근대 시민계급의 탄생과 함께 근대 관광의 전제조건이다. 조선의 철도는 일제에 의해 건설되었으므로 그 출발부터 일제의 침략 수단이었음은 명백하지만 객관적으로 존재했던 것은 분명하지만 시민계급이 존재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또한 일본여행협회가 수립한 정책에 따라 조선철도가 관광사업을 수행하였다. 특히 부관연락선-조선철도-남만주철도를 잇는 철도망의 완성은 일제의 대륙침략정책과 맞물리는 것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일제는 부산을 “東亞大陸으로 통하는 門戶”, ‘세계의 통로’ 혹은 “歐亞大陸으로 통하는 門戶”라 불렀던 것이다. 그런데 1930년 일제는 철도성 산하에 국제관광국을 두어 관광을 국채사업으로 육성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일본여행협회는 국제관광협회와 함께 국제관광국의 외곽단체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이렇게 보면 식민지 조선의 근대 관광은 그 탄생부터 일제에 의해 규정되었고, 제국 일본의 관광정책은 동화정책의 일환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ジャパンツーロスとビューロー(日本旅行協會) 조선지부에 대해 국내 최초로 소개하였다. 일본여행협회는 1912년 일본의 철도원뿐만 아니라 조선총독부철도부, 대만총독부철도부, 오사카시 등의 정부기관과 남만주철도주식회사, 동양기선, 미츠코시(三越)오복점, 오사카상선, 제국호텔 등 민간회사도 있었다. 그리고 대련지부, 대만지부, 조선지부, 청도지부를 설치하였으며 지부 산하에 여행안내소를 설치하였다. 결국 일제는 관광을 통해 일본 국민에게 제국의 정체성을 확인시킴으로써 제국의식을 보다 강화시키고, 이를 통해 식민지 조선인에게 제국 일본의 우월성과 식민지 조선의 열등성을 각인시켜 조선을 영구히 지배하고자 하였다. This is a study, part of researches on the origins of modern tourism in colonized Joseon, on transportation as a means of touring and a branch which Japan Tourist Bureau(日本旅行協會) established in Joseon. Here, this writer intends to inform you that modern tourism in Joseon which had been colonized by Japan began as a means for colonialization Japan had kept, in that modern tourism was a product of imperialism and the modern age. Especially, transportation of the colonial period, represented as railroad was a premise in the modern tourism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citizens” class. It is apparent that railroad in Joseon played a critical roll for invading Joseon, for they had been constructed by Japanese government. Japan completed the railroad network from Bukwan(釜關) ferry via Joseon railroads to South Manchuria railroads, connected with the invasion policy for conquering the continent. That’s why Japan called Busan “Gate to Eastern Asian Continent”, “Path to the World”, or “Gate to Europe and Asia”. Besides this, In 1930, Japan attempted to institute the International Tourism Authority(ITA) under the national railroad administration and develop it as a business with national bonds. That resulted in the Japan Tourism Association with the International Tourism Association serving as a fringe organization of the ITA. However there is still a question about whether citizens class really existed although its existence was absolutely clear. In addition, railroad of Joseon performed tour business according to the policies Japan Tourist Bureau had established. Therefore, modern tourism in colonized Joseon was prescribed from the beginning by Japan and it was as part of the assimilation policies that tour policies of Imperial Japan were implemented. In addition, the Joseon branch of Japan Tourist Association(JTA) was introduced first in Korea from this study. The JTA included many of the private corporations such as the railroad departments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and Taiwan government-general, the government like Osaka, the South Manchuria Railroad Corp., Dongyang Liner Co., Osaka Merchant Marine Co., and Imperial Hotel as well as the national railroad administration. They also instituted Dalian branch, Taiwan branch, Joseon branch, and Qingdao branch and tourism information offices under the branch as well. Eventually, with a means of “tour”, a Japan tried to reinforce imperialism,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Imperial Japan into its people and to rule Joseon perpetually, imprinting the inferiority of colonized Joseon as well as the superiority of Imperial Japan on people in Joseon.

      • KCI등재

        1871년 영해사건 연구 동향과 과제

        조성운 동학학회 2023 동학학보 Vol.- No.65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aim of reviewing existing research on Younghae(寧海) Incident and looking at future research tasks based on this. Existing studies have called this case the Rebellion of Yi Pil-je(李弼濟), the Rise of the Younghae, the Revolution of the Donghak Peasant in Younghae, and the Rebellion of the Donghak Peasant in Younghae. This means that this case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historical terms. The academic conference “The Beginning of the Donghak Revolution,” held in 2014, “Younghae Donghak Revolution” in March 1871, became a branch of the study of this case. This is because through this academic conference, the trend to define this case as the “Younghae Donghak Revolution” has begun in earnest. However, considering that research on this case has not been conducted properly, this trend can be said to be hasty. This is because even at this academic conference, the terms were not unified, and the academic community did not agree. In the future, several studies on this case should be conducted. First, it is necessary to confirm how the Donghak organization participated and whether it has a revolutionary character.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firm how the religious organization of Donghak participated. Third,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at meaning and status this case has in regional history in the course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Younghae. Fourth, new data being discovered in the region should be reviewed, and the data should be collected, spatialized, and provided to researchers. Finally, the general public, not Donghak, should reveal why they participated in this case and who they are.

      • KCI등재

        일본여행협회의 활동을 통해 본 1910년대 조선관광

        조성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5

        19세기 중반 서구에서 시작된 근대관광은 제국주의의 발전과정과 그 맥을 같이 하는 것이었다. 일본의 근대관광 역시 이와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일제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았던 식민지 조선의 근대관광은 그 출발부터 식민지성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식민지 조선의 근대관광은 일본의 근대관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본여행협회의 설치를 기점으로 한 일본의 근대관광의 성립과 일본여행협회 조선지부의 활동을 통해 식민지 조선의 근대관광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본의 근대관광은 제국주의적 침략성을 갖고 탄생하였으며, 식민지 조선의 근대관광은 그 직접적인 영향으로 식민지성을 갖고 탄생하였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1910년대 일본여행협회는 관광객의 유치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는 한편 일본에 대한 서구인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설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지부를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치되었고, 이는 조선과 만주라 상징되는 대륙침략정책의 일환이기도 하다는 점 역시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조선지부는 여행안내소를 통해 안내 및 알선업무에 종사하였다. 한편 3ㆍ1운동 이후 조선총독부는 조선정보위원회를 설치하여 일본시찰을 장려함으로써 3ㆍ1운동 이후 조선인의 독립의지를 약화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곧 관광이 지배정책의 일환으로 이용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