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사회 거버넌스(治理) 확산 속 동북지역 사구건설의 진화: 노후사구(老舊社區)의 모범화

        조문영,장영석,윤종석,조문영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 중소연구 Vol.41 No.2

        Since the 2000s, the party-state has paid attention to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to economic growth. It is in this context that institutional efforts for invigorating grassroots participation, such as social work and social organizations, have recently emerged in the name of “social governance” (shehui zhili). In this article, we examine how community building (shequ jianshe) in northeast China has evolved in accordance with the state-led expansion of social governance. Our emphasis is that old and shanty communities (laojiu shequ), on which large-scale work-units had small impact in the past, have emerged as exemplary bases for experimenting the style of social governance. Textual analysis shows that social governance in the northeast, when it comes to the scale of related projects, is not as much prevalent as that in southern coastal regions, due to the insufficiency of local finance and the relative unfamiliarity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evertheless, fieldwork in three communities in Shenyang, Changchun, and Yanji allows us to discover active attempts to build “society”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s the cultural and institutional historicity of the northeast is intersected with a series of attempts to reinforce party leadership through social governance projects. However, project-based competition has a potential danger of regressively steering the convergence of Chinese-style community building and social governance as it merely advocates party directives or reinforces a sort of privilege of specific elites or families in the community. 2000년대 이후 중국 당과 정부는 경제성장 뿐 아니라 사회발전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최근 ‘사회 거버넌스(社會治理)’ 기조 아래 사구공작, 사회조직 등 기층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와 정책이 전면적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이다. 본 논문은 단위제 해체, 유동인구 급증, 주택 사영화 등 개혁개방 이후 도시공간의 급격한 변화에 조응하여 1990년대 이후 당·정이 실시한 사구건설이 사회 거버넌스 흐름과 접목되면서 어떤 변화를 겪었는가를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살핀다. 본 논문이 주목하는 것은 공유와 비공유, 지방국영과 집체가 역사적으로 혼재되어 있었고, 발전 지체로 가난한 노인들의 비중이 높은 노후사구(老舊社區)가 오히려 단위제 영향의 취약함 때문에 새로운 사회 거버넌스 모델을 도입할 실험적 모범기지로 부상했다는 점이다. 필자들이 현장연구를 수행한 동북지역의 세 사구는 남방에 비해 여전히 사회 거버넌스 프로젝트의 규모는 미흡하지만, 계획경제 시기 남방보다 견고한 사회주의 관료시스템과 단위체제를 구축하고 인구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동북의 역사성이 당의 역량강화를 중심으로 한 사회건설에 기입되면서 오히려 ‘중국적인 이념형’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더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경쟁은 정부의 입장을 변호하는 방식의 기획, 지역의 특정 엘리트나 친족이 특권을 독점하는 상황과 맞물리면서 중국식 사구건설과 프로젝트 거버넌스의 접합을 퇴행적인 방향으로 이끌 위험이 있다.

      • KCI등재

        원조규모가 원조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정부지출의 매개변인효과를 중심으로

        조문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An Analysis of the Aid Effectiveness of Aid Volume-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overnment ExpenditureMoonyoung Joe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aid volume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ai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government expenditure, under the reality that skepticism towards aid effectiveness has been emerging as a critical issue with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aid volume. To this end, educational sector among the social infrastructure sectors was selected to be analyzed, because of high level of ODA volume from OECD DAC donor countrie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it into continents with similar levels of education to remove the potential research bias. As for the analysis method, a fixed effect model was adopted among the panel regression models according to Baron & Kenny's three-step verification method for mediating effec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fiscal expenditure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both groups, an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iscal policy of the recipient countries could affect the aid effectivenes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Korea’s ODA,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n aid distribution policy in consideration of aid harmonization. Key Words: ODA Policy, Aid, Aid Effectiveness, Aid Volume, Government Expenditure 원조규모가 원조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정부지출의 매개변인효과를 중심으로조 문 영* 요약: 본 연구는 폭발적인 원조규모 증가에도 실제 원조효과성이 나타나지 않는 현실 하에, 원조효과성 제고를 위해 수원국 정부의 재정적 개입의 영향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원조규모가 원조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 중 재정지출을 통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섹터는 OECD DAC 공여국의 원조규모가 높은 사회 인프라 분야 중 교육섹터이며, 편의(bias)를 제거하기 위해 교육수준이 유사한 대륙별로 나누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매개효과 분석을 위한 Baron & Kenny의 3단계 검증 방법에 따라 패널회귀모델 중 고정효과 모형을 채택하였다. 분석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재정지출이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를 통해 수원국의 재정정책이 원조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원조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원조조화를 고려한 원조 배분 정책을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핵심어: 원조정책, 공적개발원조, 원조효과성, 원조규모, 수원국 재정지출 □ 접수일: 2022년 5월 31일, 수정일: 2022년 6월 16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수료(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Seoul National Univ., Email: nayamunu@snu.ac.kr)

      • KCI등재

        사회복지(社會工作)의 일상적 연행을 통해 본중국 국가의 구조적 폭력: 선전 폭스콘 공장지대를 중심으로

        조문영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4 중소연구 Vol.38 No.1

        As an ethnography of daily perfomances of social work, this study explores why and in what way social workers, whose autonomy the government attempted to stimulate as a new way of solving the crisis ofthe people’s livelihood, have come to be subject to the “mobilization unit” ofthe party-state. The government declared the reposition of its role fromtop-down intervention to a new partnership with civil organizations while emphasizing that it is no longer the “producer” of social service but its“purchaser.” Based on field work in Shenzhen’s Foxconn town, however, Iargue that the novel regime of social work is in fact a form of the state’s structural violence. Young social workers, who are mostly from thecountryside, experience multi-layered temporalities as strange passengers both in the city and in the state apparatus. Structural violence is exercised and produced as these workers are preoccupied with “expertise” in order to defend their own legitimacy, although their precarious condition prevents them from achieving it. 본 연구는 선전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사회복지의 일상적 연행에 관한 문화기술지(ethnography)로서, 중국 정부가 민간의 자율성을 고취시키는 방향으로 민생문제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사회복지사들이 당-국가의 말단 동원부대로 전락하게 된 배경과 기제를 고찰하고 있다. 구체적인 현지조사는 선전 외곽폭스콘 공장지대에 설립된 커뮤니티 서비스센터(社區服務中心)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는데, 연구자는 사회서비스의 ‘생산자’가 아니라 ‘구매자’임을 강조한 정부가각종 사회문제를 민간 사회복지서비스기구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전문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취지에서 도입한 사회복지가 기실 국가와 분리된 ‘사회’의 등장이 아니라 중국 국가의 구조적 폭력을 드러낸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대부분 농촌 출신의 젊은 대졸자들로 구성된 사회복지사들은 도시의 과객(외지 청년)으로서, 정부의 과객(계약직 복지사)으로서 중층적 한시성(限時性)을 경험하고 있다. 지역에 대한 주민들의 귀속감을 향상시킬 임무를 부여받고 배속된 도시에서도, 사회복지의최종 설계자이자 감독관으로서 규율권력을 행사하는 정부와의 관계에서도 온전히포섭되지 못하는 복지사들의 변경적 조건은 이들을 쉽게 쓰고 버릴 수 있는 일회용도구로 만들고 있다. 불안정한 조건 하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층 정부기관들로부터온갖 ‘비전문적’ 업무를 강요받는 이들이 ‘전문성’만 제고되면 사회복지가 발전할것이라는 정부 발언을 자신들을 변호하는 정당성의 언어로 차용하는 역설적 상황이야말로 중국 국가의 구조적 폭력을 드러내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CoCl_2$로 유도된 C6 신경교세포의 사멸에 대한 억간산(抑肝散)의 보호 효과

        조문영,신용진,하예진,우찬,김태정,유주연,최용석,최정훈,신선호,Cho, Mun-Young,Shin, Yong-Jeen,Ha, Ye-Jin,Woo, Chan,Kim, Ta-Jung,You, Ju-Yeon,Choi, Yong-Seok,Choi, Jung-Hoon,Shin, Sun-Ho 대한한방내과학회 2013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4 No.2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made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mechanism of Ukgan-san (UGS) extracts on hypoxia-induced C6 glial cell death. Methods : The cell viability was assess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MT) assay and cell morphological changes were analysed with microscope after staining with crystal violet (CV). Reactive oxygen species (ROS) formation was assessed by flow cytometer after staining with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We also analyzed express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1 alpha (HIF-$1{\alpha}$) and p53, processing of procaspase-3 and procyclic acidic repetitive protein (PARP) by western blot method. Results : We estimated the elevated cell viability by UGS extract on $CoCl_2$-induced C6 glial cells. UGS attenuated $CoCl_2$-induced ROS formation in C6 glial cells and also showed a protective activity compared to antioxidants and exhibited abrogation of LDH-released by $CoCl_2$. UGS suppressed the typical apoptotic cell death markers, caspase-3 and PARP activation. UGS inhibited $CoCl_2$-induced HIF-1${\alpha}$ expression which is known as a major regulator for hypoxia-induced cell death, and suppressed p53 express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UGS extract contains protective constituents for hypoxia-induced C6 glial cell death.

      • KCI등재

        혼종, 효용, 균열: 중국 광동 지역 국가 주도 사회건설에서 사회공작(사회복지)의 역할과 함의

        조문영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5 중소연구 Vol.39 No.3

        In this article, I examine how social work functions in the state-led project of “social construction” (shehui jianshe), which has emerged as a response to growing social inequality and insecurity since the mid-2000s. Operated through the government’s contracting out services, the mainstream social work in Guangdong has become a unique mechanism for incorporating the building of society into nation-building processes by accomplishing a double mission to disperse state functions and re-articulate state power. Based on discursive analysis and ethnographic fieldwork, I explore the location of social work in the project of “social construction” in terms of hybridity, utility, and cleavage. Although scholarly work to historicize an import from capitalism in the socialist country remains hybrid and elusive, the party-state has recently spurred the in- stitutionalization of social work while highly appreciating it as a visible prescription to alleviate social problems. Many scholars have criticized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and state governance, arguing that the first is “misused” by the latter. In the perspective of state agents, however, such a linkage proves the actual “utility” of social work in that they can mobilize the educated and trained youth with multiple purposes in local practices of building society. My argument is that this alleged utility is not so much indicative of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d social sectors as buttressed by and reproducing the forced flexibility and precarious labor condition of young college graduates who are mostly from the countryside. Though few in numbers, social workers who seek alternative ways of doing social work produce cleavage in the project of “social construction,” seriously asking what kind of society it intends to build and who are (not) qualified to build society. 본 연구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중국 당-정부가 ‘경제건설’에 따른 각종 사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회건설’ 과정에서 신생 제도인 사회공작(사회복지)이 어떤 역할과 함의를 갖는가를 분석한다. 정부의 서비스 구매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회공작은 당-정부 직능의 분산과 통치권력의 재집결이라는 이중의 과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사회건설을 국가건설의 일부로 통합시키는 기제가 되었다. 연구자는 중국 사회공작 역사에 관한 담론 분석과 광동성 선전 폭스콘 공장지역에서 전개되는 사회공작 활동에 관한 개인 현지조사, 광동성 사회건설 과정에 관한 공동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사회공작이 사회건설과 맺는 관계를 혼종성, 효용성, 균열성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사회주의 중국에서 자본주의로부터의 수입물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사기술 작업은 혼종성을 낳을 수밖에 없지만, 당-정부는 목전의 사회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가시적인 처방의 하나로 사회공작의 제도화를 적극 추진했다. 사회공작이 정부와 맺는 긴밀성은 학계에서는 사회공작의 ‘오용’으로 비판받기도 하나, 당-정부의 관점에서 보자면 전문적 훈련을 거친 청년 사회공작자들을 기층 사회건설 과정에 다목적으로 동원한다는 점에서 사회공작의 ‘효용’으로 간주될 수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효용’이 국가-사회 간 공생의 실례라기보다 외지 출신 대졸 청년들의 강제된 유동성과 불안정한 노동조건을 이용하고 재생산하는 구조적 착취의 산물임을 주장한다. 주류 사회공작 환경에서 벗어나 노동 NGO에서 정당한 노동의 의미와 권리를 추구하는 소수 사회공작자들의 사례는 국가 주도 사회건설 프레임에 균열을 드러내며, 사회건설이 어떤 사회를 지향하는가, 누가 사회를 건설할 것인가에 대한 성찰적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