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전통문화 반영 양상

        정혜승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The present study assumes the domestic culture inherited until historical event of the ‘Opening of Port’ as traditional culture to analyze the traditional culture reflected in textbooks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developed based on the curricula for national language education revised in 2009. Educational courses for traditional culture in textbooks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included the courses to learn characteristics of national language, writings, and proper command of language for which the ‘Old Tales’ and ‘Literary Works reflecting Traditions of Korean Literature’ were presented as teaching materials f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opics of traditional culture are reflected in forms of themes or subject matters in textbooks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the topics are thus used mainly as materials to accomplish educational objectives. Among the topics, the portion of linguistic culture occupies dominance in textbooks for national language education wherein the educational materials, mainly consist of narrative stories containing old tales or classical novels, are dominant thereby the texts or works of other genre are not presented therein. Materials in cultural categories of living, art, spirit, customs, and plays are also reflected in the topics; the selected materials are modified in the simple and familiar for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me improvements are need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njoy culture including traditional ones and to cultivate creative capability through educational courses of national language. The current educational materials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which are mainly consist of classical narratives, need to be diversified to support students to get deep and sound cultural experience and to cultivate cultural literacy. The balanced activities, designed to accomplish educational objectives and to help understand, appreciate, and criticize literary works, should be provided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이 연구는 ‘개항 이전’까지의 우리나라 문화를 전통문화로 보면서 2009,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전통문화가 반영된 양상을 분석하였다. 국어과 교육과정은 전통문화 교육 내용으로는 우리말과 글의 특성 및 언어 예절을, 학생들이 학습할 자료로는 ‘옛이야기’와 ‘한국 문학의 전통이 잘 드러난 작품’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전통문화는 제재와 화제 형태로 반영되어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소재 차원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국어 교과서인 만큼 언어문화 범주의 비중이 가장 높은데, 옛이야기와 고전 소설 등 고전 서사 중심의 자료가 대부분으로, 다양한 유형이나 장르의 텍스트나 작품이 제시되어있지 않다. 생활문화, 예술문화, 정신문화, 풍속 및 놀이문화 범주 요소도 반영되어 있는데, 초등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친숙하고 이해하기 쉬운 자료 중심으로 선정되어 있다. 국어교육을 통하여 전통문화를 포함한 문화 향유와 창조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개선도 필요한 바, 고전 서사 중심의 자료 선정을 다양화하고 학생들의 온전하고 깊이 있는 문화적 경험이나 문화적 문식성 계발을 지원하도록 학습 목표를 성취하는 데 필요한 활동과 함께 작품자체를 이해하고 감상하고 비평하는 활동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빈도, 이유, 가치 부여에 관한 연구

        정혜승,민병곤,손원숙,정현선,김정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3 국어교육연구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practices. This research is based on a large-scale survey of 5,110 children from third to sixth grade in 13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and Incheon, South Korea, focusing on how frequently they read and write out of school over the course of a month, why they read and write voluntarily, and to what degree they evaluate their own out-of-school literacy practic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lder students (upper-graders), boys, and rural residents engaged in out-of-school literacy practices less frequently than younger students, girls, and city-dwellers. Second, the students wrote less than they read and found writing less pleasurable than reading. Third, the pleasure students took in reading and writing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reason affecting the frequency of their voluntary reading and writ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more pleasurable the students find reading and writing, the more they read and write voluntari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tudents’ pleasure in in-school literacy practices.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빈도, 이유, 가치 부여를 중심으로 한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인천시에 소재한 총 13개 초등학교 3∼6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5,110명을 표집하여 지난 한 달 간 스스로 읽고 쓴 빈도, 학교 밖 문식 활동을 하는 이유, 학교 밖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부여 등을 5점 리커트(Likert)식 척도로 측정하였다. 또한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이유 및 가치가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자발적 문식 활동의 빈도는 높은 학년일수록, 남학생일수록, 읍면지역의 학생들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자발적 읽기에 비해 자발적 쓰기를 덜 자주 하고 있었고, 재미를 느끼는 정도도 읽기에 비해 쓰기가 낮았으며, 자발적으로 읽으면 읽기가 더 즐겁다는 학생들에 비해 자발적으로 쓰면 쓰기가 더 즐겁다는 학생들의 비율도 더 낮았다. 셋째, 학생들의 자발적 문식 활동의 빈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재미’와 ‘즐거움’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재미와 즐거움이 자발적 문식 활동을 촉진하고 다시 자발적 문식 활동이 재미와 즐거움을 유발하는 선순환이 가능해지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일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해 준다.

      • KCI등재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

        정혜승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1 교육과학연구 Vol.32 No.1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을 형식적인 측면에서 교육과정의 기본 기능을 다하고 있는지, 내적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고, 내용적인 측면에서 지식 기반 사회에 적합한 교육과정인지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즉,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과를 왜 가르쳐야 하는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분명한 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성격-목표-내용-방법-평가'에 이르는 일련의 체계가 긴밀하게 연결되지 못하였다.또한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특히 '목표'와 '내용' 면에서 지식 기반 사회의 요구를 충분히 대응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고는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요소별로 분석한 문제점들에 대해 나름대로의 대안을 제시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주제어]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평가, 국어과의 성격, 국어과의 목표, 국어과의 내용, 국어과의 방법, 국어과의 평가, 창조적 지식기반 사회 This paper start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re disregarded by teachers in classroom who is the subjective body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s a mother language.The primary reason for that situation may be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esn't perform the basic functions as a curriculum.In this paper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analyzed and the used criteria for analysis are that if it performs the basic functions as a curriculum sufficiently, if the inner coherence is maintained through the whole curriculum, and if the curriculum is suitable for the critical knowledge-based society.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esn't satisfy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good curriculum.It doesn't present any definite answers regarding why the Korean Language should be taught, what should be taught, and how it should be taught.It is not organized systematically, so that composing elements of a system such as Character-Objectives-contents-Methods-Testing are not linked closely.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curriculum does not correspond to the requirements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adequately, particularly in the area of Objectives and Contents. This paper is intended to be helpful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showing found problems in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presenting some practicable alternatives. [Key Word]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curriculum evaluation, character, objectives, contents, methods, testing, critical knowledge-based society

      • KCI등재

        미래형 국어과 온라인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정혜승,옥현진,서수현,박치범,노들 국어교육학회 2023 國語敎育學硏究 Vol.58 No.2

        This study proposes a future model of an online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Arts by reflecting future changes in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rts subject. The textbook was conceptualized as a system that supports and manages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Internet as well as individuality, variability, interactivity, and expandability were presented as the textbook’s main characteristics. The main principles to be considered while developing the textbook were listed as a textbook consistent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rts competence, a textbook that supports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s growth through evaluation, and that promotes the connection and expansion of language and cultur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textbook model’s core components were proposed as the operating system and basic software, developed materials, support and manag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xternal links. In the final part, the need for reexamining the textbook’s legal definition, the search for practical support measures for future textbooks,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the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were discussed. The latter will be used for future textbook development to spread future online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 교육의 변화와 국어 교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미래형 국어과 온라인 교과서의 구체적인 모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과 온라인 교과서를 인터넷을 통해 교수·학습을 지원하고 관리해주는 시스템을 갖춘 교과서로 개념화하고 주요 특징으로 개별성, 가변성, 상호작용성, 확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미래형 국어과 교과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원리를 ‘국어과 역량 계발에 부합하는 교과서’, ‘개별화 교육을 지원하는 교과서’, ‘평가를 통한 성장을 지원하는 교과서’, ‘언어와 문화의 연결 및 확장을 촉진하는 교과서’, ‘사용자 친화적 체제를 구축하는 교과서’로 열거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미래형 국어과 온라인 교과서 모형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를 ‘운영체제 및 기본 소프트웨어’, ‘개발자료’, ‘교수·학습 지원 및 관리’, ‘외부 연계’로 제안하였다. 또한, 미래형 국어과 교과서 개발과 확산을 위해 교과서의 법적 정의에 대한 재검토, 미래형교과서의 실제적 지원 방안 모색, 교과서 질 관리 체제 개발, 미래형 교과서활용을 교수·학습과 평가 방안 연구 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Error Types and Teacher E-Feedback: A Study on Korean EFL Beginner Writing

        정혜승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0 현대영어영문학 Vol.54 No.4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1) the frequency of error types in Korean EFL beginner drafts, (2) how the teachers provide revision strategy in their e-feedback, and (3) the effect of teacher e-feedback on student revision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a total of 1304 errors on 118 drafts typed by 15 Korean EFL beginner students and the teacher e-feedback to these errors. While the findings on error types are discussed in virtue of the error types―Punctuation, Determiner, Verb-related error types, and Sentence Structure; teacher e-feedback is considered with focus on revision strategy. Along with the framework of student error types, the findings on how the teacher apply revision strategy and the effect of revision strategy on student revisions are to provide empirical grounds for teachers who make e-feedback decisions on errors in Korean EFL beginner writings.

      • 위성발사체의 파이로 기폭 감시를 위한 비접촉식 전류센서

        정혜승,김주년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11

        나로호의 2차에 걸친 비행시험이 모두 실패함에 따라 정확한 실패원인의 분석을 위해 보다 정밀하고 폭 넓은 텔레메트리 데이터의 취득이 요구되고 있다. 위성발사체의 비행 중 중요한 이벤트인 페어링 분리, 단분리, 위성분리, 엔진점화 등은 모두 파이로 기폭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어, 파이로 기폭도선의 전류를 감시하는 센서부착이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파이로 기폭전류를 측정할 비접촉식 전류센서의 우주발사체 적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Honeywell사의 대표적인 비접촉식 전류센서들을 이용한 각종 기능시험, 우주환경에서의 정상동작 및 성능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및 진공시험, 실제 파이로 기폭시 센서의 정상동작여부 및 강인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폭시험, 기존 텔레메트리 장치와의 호환성 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시험대상 센서들이 가혹한 우주환경에서 신뢰성 높은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차세대 한국형발사체에 충분히 적용가능하리라 판단된다. After the two consecutive failures of KSLV-Ⅰ’s flight tests, more accurate and diverse data acquisition technique to be applied in future launch vehicles is required for post flight analysis. Main flight events of satellite launch vehicle are composed of fairing separation, stage separation, engine start, satellite separation and so on. All of these events are actuated by pyrotechnic devices. So current sensing for pyrotechnic device ignitions becomes a major concern to determine which part is failed in case of launch vehicle mission failu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non-contact current sensor for future domestic launch vehicles. For this purpose, various functional tests, thermal and vacuum tests for space environment, real ignition test for reliability and robustness verification and compatibility test with existing telemetry units are carried out with the candidated sensor devices. As a result, those sensors have been operated with reliable under severe space environment and the devices are proven for launch vehicle application.

      • KCI등재

        국어과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현황과 과제

        정혜승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06 교육논총 Vol.26 No.1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에서 질적 연구의 현황과 향후 과제를 탐구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국어과 교육에서 질적 연구는 학습자의 언어 사용 과정과 국어과 교 육 현상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그리고 국어 수업 대화 분석과 국어과 교 육과정 평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미국의 자국어 교육 연구는 1980년대 이전 에는 실증적이고 양적인 접근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다면, 1980년대 이후에는 현상 학적이고 질적인 접근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미국의 사회문화적 현 실과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른 변화라고 읽혀진다. 국어과 교육에서 본격적인 질적 연구는 1990년대 후반부터 이루어졌는데, 그간에 이루어진 질적 연구를 분류 하면 국어 수업 대화 특성 연구,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기술 연 구,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양상 연구로 대별된다. 국어과 교육에서는 질적 연구의 역사가 일천하여 연구 주제나 방법의 다양화나 깊이 면에서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다. 특히 연구 방법의 정밀성과 함께 다양성이 추구되어야 하고, 연구를 정리하 고 기술하는 방식의 다양화가 요구되며, 실행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설치류에서 췌도 이식이 부분췌장절제 후 내인성 β-세포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

        정혜승,이명식,이문규,민용기,정재훈,김광원,안유란,오승훈,정정화,김태현,황유철,강미라,배용석,김영석 대한당뇨병학회 2007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1 No.2

        연구배경: β-세포의 부족은 당뇨병의 주요 병인이며, 이의 해결은 당뇨병의 치료방법으로서 중요하다. 췌도이식이 단순히 인슐린을 공급하는 것 이외에, 내인성 β-세포의 재생에 관여하는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췌도이식의 β-세포 재생에 대한 영향을 인슐린 치료와 비교하여 관찰하였다.방법: 70%의 췌장을 절제해 낸 10~12주령 Balb/c mouse를 β-세포 재생 모델로 이용하였다. Sham operation (I)군, 70% 췌장절제군 (II), 절제 후 인슐린 치료군 (III), 절제 후 췌도이식 시행군 (IV)으로 나누어 시간 경과에 따라 혈당과 체중, 복강 내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였고, 절제 6일 (치료 후 3일)과 10일 후 (치료 후 7일)에 잔여 췌장을 적출하여 세포 증식과 β-세포의 질량을 측량하였다. 여기에는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하였다.결과: 70% 췌장절제 후 고혈당과 체중감소가 발생하였으며, 인슐린치료군, 췌도이식군은 치료 후 정상혈당을 회복하고 체중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공복 혈장 인슐린 농도, β-세포 각각의 면적 및 전체 β-세포의 질량이 II군에 비하여 IV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 (P < 0.05), 특히 이식 3일 후보다는 7일 후에 그 차이가 분명하였다. III군과 비교하였을 때에, IV군의 β-세포 각각의 면적은 이식 7일 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 전체 β-세포 질량은 이식 3일 후가 더욱 뚜렷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P < 0.05). Background: Islet transplantation is one of regimens supplying the deficient insulin in diabetes patients, but the effects of islet grafts on the changes of endogenous β-cells are not clear.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changes of endogenous β-cell mass after islet transplantation in partially pancreatectomized mice. Methods: Balb/c mice were 70% pancreatectomized, transplanted with syngeneic islets (group IV), and were compared with pancreatectomized mice treated with insulin (group III) or no insulin (group II). Blood glucose levels and body weight were monitored. Remnant pancreas was obtained at 6 or 10 days after pancreatectomy,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done for the evaluation of β-cell mass changes.Results: Hyperglycemia and weight loss were induced after pancreatectomy. After islet transplantation or insulin treatment, blood glucose levels recovered to normal, and body weight started to increase. Plasma insulin levels were higher and β-cell mass was larger in group IV than in group II (P < 0.05). Especially, the difference of β-cell mass between them was more evident at 7 days as compared to at 3 day after transplantation. When compared to group III, group IV showed larger individual β-cell area after 7 days and larger β-cell mass after 3 days of islet transplantation (P < 0.05).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islet transplantation plays a role in enhancing remnant β-cell regeneration after partial pancreatectomy in rodents. (J Kor Diabetes Assoc 31:113~122, 20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